KR100274044B1 -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4044B1
KR100274044B1 KR1019980037038A KR19980037038A KR100274044B1 KR 100274044 B1 KR100274044 B1 KR 100274044B1 KR 1019980037038 A KR1019980037038 A KR 1019980037038A KR 19980037038 A KR19980037038 A KR 19980037038A KR 100274044 B1 KR100274044 B1 KR 10027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voice
signal
cal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108A (ko
Inventor
장하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0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일반적인 통화기능 및 그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기능을 검사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Apparatus of acoustic test for a handyphone)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단말기의 핸드폰 모드 또는 핸드프리 모드에서의 통화 시험을 위한 시스템의 구동을 결정하는 동시에 그에 따른 구동 결과를 제어 분석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결정에 따라 일정 주파수 범위의 음성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기능발생부와, 상기 기능발생부에서 전달받은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를 해당 시스템에 전달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음성입출력부에서 전달받은 음성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통화기능이 정상인 지를 판단하는 기능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자동으로 검사하여 정량적인 검사데이터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검사데이터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무선단말기의 일반적인 통화 기능 및 그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 기능을 자동적으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일반적인 통화기능 및 그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기능을 검사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단말기의 일반적인 통화기능 또는 그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기능을 자동적으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상기 무선단말기 사용자도 점차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무선단말기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상기 무선단말기를 제조하는 회사도 다양하기 때문에 통화 상태에서의 수신감도에 따라 그 성능을 좌우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단말기(1)에는 스피커(1d) 및 마이크(1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무선단말기(1)를 핸드폰 모드/핸드프리 모드(HP/HF)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시스템에는 선택스위치(1c)가 구비되어 있다.
우선, 핸드폰 모드에서는, 상기 무선단말기(1)의 안테나(1a)에 장착되어 무선송수신신호를 감지하도록 하는 커플러(3)와, 상기 커플러(3) 또는 안테나(1a)와 연결되는 RF 입력/출력 단자(4a)를 포함하여 그 선택변수를 상기 무선단말기(1)의 마이크에서 스피커로 루프-백(loop-back)되는 음성신호를 검사할 수 있도록 2초 에코(echo)로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를 콜(call) 상태로 셋업(set-up)시키는 테스터(4)와, 상기 테스터(4)와 커플러(3)를 상호 연결시키는 제1 케이블(C1)로 구성된다.
다음, 무선단말기(1)의 핸드프리 모드에서는, 상기 무선단말기(1)의 하부에 형성되어 다른 장치와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1b)와, 검사마이크(5a) 및 검사스피커(5b)가 구비되어 있는 핸드프리 키트(5)와, 상기 핸드프리 키트(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6)와, 상기 무선단말기(1)의 안테나(1a) 또는 커플러(3)에서 전송되는 무선송수신데이터가 상호 통신되도록 상기 테스터(4)와 연결시키는 제2 케이블(C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단말기(1)의 일반적인 통화상태나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상태 중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통화상태를 선택스위치(1c)를 이용하여 핸드폰 모드/핸드프리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만약, 일반적인 통화상태를 검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1c)는 핸드폰 모드를 선택 결정하게 되고, 상기 무선단말기(1)의 안테나(1a) 또는 커플러(3)와 연결되어 있는 테스터(4)는 모든 선택변수를 루프-백되는 음성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1)를 콜(call) 상태로 셋업시킨다.
그러면, 작업자가 직접 음성신호를 마이크(1e)에 송신하면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이를 수신하게 되고, 작업자는 상기 무선단말기(1)의 스피커(1d)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듣고 음이 왜곡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는 테스터(4)에도 전달되어 음성 경로를 검사하여 상기 무선단말기(1)의 마이크(1e)나 스피커(1d)의 주변회로가 정상 동작하는 지를 검사하게 된다.
다음, 무선단말기(1)의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기능을 검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1c)가 핸드프리 모드를 선택 설정하게 되고, 핸드프리 키트(5)는 상기 무선단말기(1)의 커넥터(1b)에 접속하게 된다.
그 후, 전원공급기(6)에서 상기 핸드프리 키트(5)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어 상기 핸드프리 키트(5)가 구동되면, 작업자는 검사마이크(5a)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기(1)는 작업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1)에서 수신하여 이를 검사스피커(5b)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단말기(1)는 제2 케이블(C2)을 통해 상기 테스터(4)와 연결되어 있어 수신된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마이크(1e) 및 스피커(1d)의 주변회로의 정상 동작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상호 통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기(1)의 일반적인 통화상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직접 청각을 이용하여 수신된 음성신호의 왜곡 등을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는 작업자의 청각을 이용한 관능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따라 검사 편차가 발생되므로 검사 데이터가 정량화될 수 없어 검사방법에 대한 객관성이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단말기의 핸드프리 통화상태를 검사할 경우는 제조품 중에서 일부를 샘플링하여 통화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불량발생 확률이 높아지고, 품질의 신뢰성도 저하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선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자동으로 검사하여 정량적인 검사데이터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검사데이터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무선단말기의 일반적인 통화 기능 및 그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 기능을 자동적으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의 핸드폰 모드/핸드프리 모드에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3a는 도 2에서 지그의 구성이 자세하게 도시된 도면,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단말기 10' : RF단자
11 : 시료마이크 12 : 시료스피커
13 : 커넥터 20 : 제어컴퓨터
21 : 테스터 30 : 지그
30a : 하부받침 30b : 상부받침
30c : 로커 40 : 기능발생수단
50 : 음성증폭수단 60 : A/D컨버터
70 : 주파수카운터 80 : 변환전압공급수단
90 : 라인구동수단 90' : 입출력기판
MA : 마이크 SP : 스피커
S1, S2 : 제1 및 제2 밀봉재 C1, C2 : 케이블 및 RF케이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무선단말기의 핸드폰 모드 또는 핸드프리 모드에서의 통화 시험을 위한 시스템의 구동을 결정하는 동시에 그에 따른 구동 결과를 제어 분석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결정에 따라 일정 주파수 범위의 음성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기능발생부와, 상기 기능발생부에서 전달받은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를 해당 시스템에 전달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음성입출력부에서 전달받은 음성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통화기능이 정상인 지를 판단하는 기능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음성입출력부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안착되어 그 송신부 및 수신부가 대향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그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지지되는 동시에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부받침과, 상기 하부받침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동시에 일측이 고정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된 상부받침과, 상기 무선단말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상부받침과 하부받침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동작되도록 하는 잠금수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지그는 상기 무선단말기의 송신부 및 수신부에서 입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밀봉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능판단부는 상기 음성입출력부의 음성출력신호를 시스템에서 검사가능한 정도의 음성증폭신호로 증폭하는 음성증폭부와, 상기 음성증폭신호를 시스템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해당 시스템에 전달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단말기에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다르게 하여 그에 따른 상기 무선단말기의 통화기능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환전압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무선단말기(10)의 핸드폰 모드 또는 핸드프리 모드에서의 통화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시스템의 구동을 결정하는 동시에 이에 따라 구동된 결과를 제어 분석하는 제어 컴퓨터(20)와,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이하 GPIB라고 함)로 상기 제어 컴퓨터(20)와 연결되어 상호 통신이 가능해지며 선택변수를 상기 무선단말기(10)를 통해 루프-백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10)를 콜상태로 셋업시키는 테스터(tester)(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 컴퓨터(20) 및 테스터(21)는 시스템의 제반 동작에 관여하여 이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스터(21)와 케이블(C1)로 연결되어 내측에 상기 무선단말기(10)가 안착되는 지그(30)와,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시료스피커(12)와 연결되는 동시에 신호가 외부로 흘러 나가지 않도록 그 사이에 제1 밀봉재(S1)가 형성되어 있는 마이크(MA) 및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시료마이크(11)와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제2 밀봉재(S2)가 형성되어 있는 스피커(SP)와, 상기 테스터(21)와 GPIB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컴퓨터(20)에서 일정한 가청 주파수, 즉 400㎐에서 3000㎐ 사이의 음성주파수를 발생하도록 명령하면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SP)로 400㎐에서 3000㎐ 사이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기능발생수단(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능발생수단(40)에서 입력받은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SP)를 거쳐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시료 마이크(MA)를 통해 음성출력신호가 상기 시료스피커(12)에서 상기 마이크(MA)로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마이크(MA)에서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검사 가능하도록 증폭하여 음성증폭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증폭수단(50)과, 상기 음성증폭수단(50)의 음성증폭신호를 시스템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제어 컴퓨터(20)로 출력하는 A/D컨버터(60)와, 상기 음성증폭수단(50)에서 증폭된 음성증폭신호를 분리 전달받아 주파수를 측정하는 동시에 음성 경로의 정상동작 여부 및 상기 시료마이크(11)와 시료스피커(12)의 성능 이상 여부를 검사하도록 상기 제어 컴퓨터(20)와 GPIB로 연결되어 있는 주파수 카운터(70)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장치와 접속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기 무선단말기(10)의 하부에서 커넥터(13)와 접속되어 각 시스템을 상호 연결시키는 라인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10)의 핸드프리 모드에서의 통화기능이 검사되도록 모드 변환/설정을 수행하는 라인구동수단(90)과, 상기 라인구동수단(90) 및 제어 컴퓨터(20)와 연결 제어되어 상기 무선단말기(10)에 각기 다른 레벨의 전압을 공급토록 하는 변환전압 공급수단(80)과, 상기 라인구동수단(90)을 통해 전달되는 제반 신호가 상기 제어 컴퓨터(20)에 디지털 신호로 입력 또는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기판(9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그(30)는 직육면체로 일정 높이를 갖으며 상기 무선단말기(10)가 안착지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부받침(30a)과, 상기 하부받침(30a)과 동일한 외형을 갖으면서 일측이 힌지(hinge) 고정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외형이 보호되도록 하는 상부받침(30b)과, 상기 상부받침(30b)과 하부받침(30a)이 잠금/잠금해제 동작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로커(30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받침(30b)의 내측은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시료스피커(12) 및 시료마이크(11)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밀봉재(S1) 및 제2 밀봉재(S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은 제1 밀봉재(S1) 및 제2 밀봉재(S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마이크(MA) 및 스피커(SP)가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컴퓨터(20)와 테스터(21)는 일반적으로 각각이 분리되어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테스터(21)의 제반 동작을 상기 제어 컴퓨터(2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10'은 RF 단자이고, 참조부호 C2는 RF 케이블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단말기(10)를 지그(30)의 하부받침(30a)에 안착시키고, 상부받침(30b)을 닫아 로커(30c)로 잠그게 된다. 그 후, 제어 컴퓨터(20)는 변환전압 공급수단(80)에 일정 전압을 라인구동수단(90)에 공급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라인구동수단(90)이 온(on)됨과 동시에 상기 라인구동수단(90)과 상기 무선단말기(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13)는 상호 연결되게 되므로 상기 무선단말기(10)에도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테스터(21)는 상기 무선단말기(10)의 RF 단자(10')와 케이블(C1) 및 RF 케이블(C2)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 컴퓨터(20)의 구동결정에 따라 선택변수를 상기 무선단말기(10)에서 루프-백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단말기(10)를 콜상태로 셋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컴퓨터(20)는 상기 기능발생수단(40)으로 일정한 가청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음성신호를 스피커(SP)로 전송하도록 명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기능발생수단(40)이 상기 스피커(SP)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SP)를 통해 시료마이크(11)에 전달된 음성신호는 상기 무선단말기(10)를 통해 다시 시료스피커(12)를 거쳐 마이크(MA)로 음성출력신호로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출력신호는 시스템에서 검출하기에는 신호가 미약하므로 음성증폭수단(50)에 의해 증폭하여 음성증폭신호로 해당 시스템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음성증폭신호는 A/D컨버터(6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 컴퓨터(20)로 전달되어 신호의 출력 레벨 및 왜율이 검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증폭신호는 분기되어 주파수 카운터(70)로 전달되어 상기 주파수 카운터(70)는 주파수를 측정하여 음성 경로가 정상 동작되는 지를 포함하여 상기 시료마이크(11) 및 시료스피커(12)의 성능에는 이상이 없는 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컴퓨터(20)는 상기 변환전압 공급수단(80)에 5V, 즉 핸드프리 모드로 동작되기에 적정한 전압을 라인구동수단(90)에 공급하도록 명령하며, 아울러 상기 라인구동수단(90)은 상기 무선단말기(10)의 커넥터(13)와 연결되어 있어 자동적으로 상기 무선단말기(10)가 핸드프리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라인구동수단(90)은 상기 무선단말기(10)의 핸드프리 모드에서 통화 상태를 상기 주파수 카운터(70)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주파수 카운터(70)는 상기 무선단말기(10)의 핸드프리 모드에서의 통화기능을 검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자동으로 검사하여 정량적인 검사데이터를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검사데이터 및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일반적인 통화 기능 및 그 핸드프리 상태에서의 통화 기능을 자동적으로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량발생 확률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무선단말기의 핸드폰 모드 또는 핸드프리 모드에서의 통화 시험을 위한 시스템의 구동을 결정하는 동시에 그에 따른 구동 결과를 제어 분석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결정에 따라 일정 주파수 범위의 음성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기능발생부와, 상기 기능발생부에서 전달받은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단말기로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출력신호을 해당 시스템에 전달하는 음성입출력부와, 상기 음성입출력부에서 전달받은 음성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기가 통화기능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기능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출력부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안착되어 그 송신부 및 수신부가 대향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지그(Jig)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지지되는 동시에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부받침과, 상기 하부받침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동시에 일측이 고정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판형으로 형성된 상부받침과, 상기 무선단말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상부받침과 하부받침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동작되게 하는 잠금수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판단부는 상기 음성입출력부의 음성출력신호를 시스템에서 검사가능한 정도의 음성증폭신호로 증폭하는 음성증폭부와, 상기 음성증폭신호를 시스템에서 처리 가능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해당 시스템에 전달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KR1019980037038A 1998-09-08 1998-09-08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KR10027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038A KR100274044B1 (ko) 1998-09-08 1998-09-08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038A KR100274044B1 (ko) 1998-09-08 1998-09-08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108A KR20000019108A (ko) 2000-04-06
KR100274044B1 true KR100274044B1 (ko) 2000-12-15

Family

ID=1954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038A KR100274044B1 (ko) 1998-09-08 1998-09-08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4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064B1 (ko) * 2000-10-06 2002-06-20 송문섭 더블유엘엘 단말기의 불량 체크방법
KR100364006B1 (ko) * 2000-12-26 2002-12-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멀티 채널 환경에서의 평가보드를 사용한 시스템 기능검증장치 및 방법
KR20030060677A (ko) * 2002-01-11 2003-07-16 김영호 핸드폰 통화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8722B1 (ko) * 2002-11-28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시스템 검사장치
KR100581234B1 (ko) * 2004-02-25 2006-05-22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의 성능 측정장치
KR100605460B1 (ko) * 2004-02-25 2006-07-28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의 통화 시험장치
KR100713469B1 (ko) * 2005-07-0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검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0991B1 (ko) * 2006-02-21 2008-03-11 (주)바코 통화품질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108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2111B2 (en) Testing voice-based office equipment for immunity to interference from wireless devices
US6308065B1 (en) Apparatus for testing cellular base stations
KR100274044B1 (ko) 무선단말기의 통화 시험장치
US7689233B2 (en) Remote switching for handset handsfree speakerphone
JPH10107744A (ja) 無線通信装置の自己診断方法及び装置
JP2007295139A (ja) 携帯電話機テスタ
KR20000007967A (ko) 기지국 시험장치의 자체 점검 방법
KR1003399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품질 측정 시스템
CN111031464A (zh) 麦克风测试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3267328B2 (ja) 無線通信機
JP3439382B2 (ja) 携帯型移動無線電話装置および携帯型移動無線アンテナ故障検出方法
JP4798107B2 (ja) 通信回路の測定評価方法及び測定評価システム装置
KR20060051677A (ko) 다수의 휴대용 전화기를 시험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H05244054A (ja) 無線電話装置
JP3075322B2 (ja) 高周波不平衡特性評価試験器
KR100220803B1 (ko) 무선 음성 정보 전달 매체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0237223Y1 (ko) 이동통신 기지국의 출력 감지 장치
KR20040013364A (ko) 기지국 안테나 수신 정재파비 측정 시스템
KR19990038305A (ko) 기지국의 송수신 설비 점검 장치 및 점검방법
JP3153543B2 (ja) 電子機器
KR20030060677A (ko) 핸드폰 통화 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685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환경을 검사하기 위한 시스템
JPH04219034A (ja) 送信機とその検査装置
JP2005159847A (ja) デジタル無線機及びその動作チェック方法
JP2006064667A (ja) 半導体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