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747B1 - 부피가 큰 저속난류화염을 사용한 산소/연료 점화식 노 - Google Patents

부피가 큰 저속난류화염을 사용한 산소/연료 점화식 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747B1
KR100272747B1 KR1019940701642A KR19940701642A KR100272747B1 KR 100272747 B1 KR100272747 B1 KR 100272747B1 KR 1019940701642 A KR1019940701642 A KR 1019940701642A KR 19940701642 A KR19940701642 A KR 19940701642A KR 100272747 B1 KR100272747 B1 KR 10027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urnace
fuel
oxyge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스워드 샴프 도날드
포울러 스타크 토마스
얼 스위셔 쥬니어. 해리
Original Assignee
메어리 앤 크러척
존스 맨빌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어리 앤 크러척, 존스 맨빌 인터내셔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어리 앤 크러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03B5/2353Heating the glass by combustion with pure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e.g. using oxy-fuel burners or oxygen l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C03B7/02Forehearths, i.e. feeder channels
    • C03B7/06Means for thermal condition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 C03B7/065Means for thermal condition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by combustion with pure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 Gas Burner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노의 산소-연료 시스템은 이격 시스템은 이격된 위치에서 산소 및 연료의 가스스트림을 노내로 유입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고 있다.
가스스트림은 노벽 및 크라운으로부터 떨어진 노내에서 수용된다.
노내의 주연소는 화염 크라우드가 발생되는 노의 중심부분에서 발생한다.
넓은 화염 크라우드는 노내에서 용해되는 재료의 처리과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더욱 균일한 온도윤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부피가 큰 저속난류화염을 사용한 산소/연료 점화식 노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유리를 용해하기 위한 종래의 노의 평면도.
제2도는 산소-연료버너를 사용하여 유리를 용해하기 위한 종래의 노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용해노의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산소 및 가스연료를 노에 분사하는데 사용되는 바람직한 노즐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점화시스템을 사용하는 정련채널 및 부싱퍼더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시스템의 변경의 부분평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출원은 전노내의 유리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산소/가스 명칭으로 1992년 9월 14일에 출원된 출원 일련번호 07/944,551의 일부 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유리와 같은 물질을 용해하고 정련하기 위하여 산소-연료를 사용하는 노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 또는 액체연료의 강산화성 물질로서 비교적 순수한 산소, 적어도 90%의 산소를 사용하는 노를 가동함에 있어서, 미합중국 특허 제 3,592,622호, 제 4,376,205호, 제 4,531,960호, 제 4,541,796호, 제 4,622,007호, 제 4,642,047호, 제 4,690,635호, 제 4,761,132호, 제 4,986,748호, 제 5,145,361호, 제 5,147,438호, 및 컴버션 테크회사의 클린파이어(Combution Tec, Inc's Cleanfire; 상표명) 버너의 설명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버너를 사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들 버너의 모두는 연료스트림에 근접한 상태로 노내에 산소를 유입시켜 노내의 농축된 에너지의 강렬한 화염을 발생시킨다.
이들 대부분의 버너가 이격된 배열로 노벽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 버너가 작동되면 복수의 강렬한 화염은 화염과 경계부 사이에서 비교적 찬 공간을 발생시킨다.
유리 용해와 같은 적용물을 위한 개량된 이전의 공기-연료식기술을 통한 이러한 상태는 노내의 생산품 및 노의 온도 균일성에 있어서 개량할 여지가 있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은 신규하고 개량된 노 가동시스템 및 노 가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의 넓은 범위에 적용가능하지만 유리 용해과정과 같은 용해과정에 사용되는 노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산소-연료 버너가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산소스트림은 프로판 또는 천연가스와 같은 스트림이 노즐 또는 파이프를 통하여 노에 유입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이격된 위치에서 노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벽 및/또는 지붕을 통하여 노에 유입된다.
가스가 노의 벽 또는 크라운으로부터 안전한 거리에 있을 때까지 산소가 실제적인 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분한 농축상태에서 천연가스와 접촉하지 않도록 산소와 연료 스트림을 분리시킨다. 이것은 연소가 벽 또는 버너 블록내에 인접하여 시작되는 종래기술의 산소-연료식 노보다 더 차가운 노벽을 유지한다.
보다 상세히는, 스트림 또는 노즐은 벽 및/또는 지붕에서 적어도 6인치 및 통상 적어도 10인치 만큼 이격되어 있다.
연료 및 산소용 노즐은 노내에서 이전에 사용된 공기-연료 또는 산소-연료 시스템에서 나오는 화염보다 더 큰 체적의 노 또는 생산품의 더 넓은 구역을 차지하는 노내에서 화염의 크라우드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위치되고 제어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화염 크라우드는 크기 및 체적에서 약간 변화지만 농도가 완전하게 균일한 화염의 3차원 동적 매스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연료의 각 스트림은 산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림에 인접하여 있으며 산소의 각 스트림은 연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림에 인접한다.
많은 결합은 실행가능하지만 화염의 균일한 온도 크라우드를 발생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장치가 실질적으로 연료노즐에 대량한 산소노즐에 위치되어 산소의 스트림이 노의 중심부분에서 연료의 스트림과 연속적으로 충돌하고 바람직한 화염 크라우드 패턴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장치를 노즐의 다른 쌍과 반복시킨다.
또한, 각 쌍의 노즐 또는 인젝터에 대한 연료 및 산소유량비율은 노내의 바람직한 온도프로 파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소 또는 적어도 75%의 산소를 함유한 산소공기혼합물, 천연가스, 프로판, 분무된 또는 기화된 연료오일을 사용하여 유리원물질을 용해하는데 특히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유리를 용해하기 위하여 구성된 종래의 노 유니트(10)를 극히 간략화한 평면도이다. 장방형의 노(10)는 후방벽(12), 2개의 측벽(13), 전방벽(14) 및 도시안된 종래의 크라운 및 바닥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벽은 종래의 방식으로 내화성물질로 이루어졌다.
천연가스에 공기 또는 산소를 혼합한 연료를 사용하는 버너(19)는 측벽(13)에 위치되어 있고 유리형성물질을 용해하여 이용해된 유리를 정련하여 필요로 하는 제품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배치재(15)는 용해되지 않는 마지막 물질이 배치라인(17)에서 사라질 때까지 점차적으로 용해되는동안 노(1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배치커버(16)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후방벽(12)내의 2개 또는 그이상의 구멍을 통하여 노(10)내에서 계측된다.
용해된 유리(18)는 노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가스기포 또는 시드없이 균질하게 되고 전방벽(14)내의 통로(11)를 통하여 유리를 바람직한 온도조건으로 조절하고 이 유리를 성형장치로 전달하는 전노 또는 피더 (도시안됨) 내로 방출한다.
종래의 노에 있어서 버너(9)는, 미리 혼합된 연료 및 공기, 연료와 공기의 분리스트림 또는 연료와 산소의 분리스트림을 이송시킬 수 있다. 공기대신에 비교적 순수한 산소의 사용은 에너지 효율이 더 높아지고 환경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대단히 대중적이다.
공기는 연소작용에 기여하지 않는 약 79%의 니트로겐을 함유하고 있다.
대신에 니트로겐은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처리되어야 하는 배기가스량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니트로겐은 제거하는데 많은 경비가 소모되고 바람직하지 않은 니트로겐 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식 버너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산업계는 다량 또는 전체공기를 비교적 순수한 산소로 대체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 추세는 산소의 네트가격이 계속해서 떨어짐에 따라 가속될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리탱크와 유사하고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다수의 공기-연료버너(19)대신에 10%의 산소-연료버너(21)로 교환한 유리탱크(20)를 도시하고 있다.
2 개의 노의 특징에 대응하는 참조번호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산소-연료버너(21) 및 각 버너용 유량제어부는 고가이다.
이러한 이유 및 산소-연료버너의 화염온도가 공기-연료버너의 화염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공기-연료버너 보다 산소-연료버너를 크게 이격시킴으로 산소-연료버너를 사용할 때 산소-연료버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산소-연료버너가 공기-연료버너 보다 더 비싼 이유는 가스가 버너의 끝을 세정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가스가 측벽(13)의 내측을 넘어서 또는 인접하여 있을 때까지 연료스트림을 산소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연소가 버너 또는 벽 내측에서 발생하여 버너와 측벽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산소-연료식은 공기-연료식보다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도 약간의 특성은 개량되어야 한다. 그하나는 버너의 가격이 고가이고 버너의 고장 및 결함이 버너를 파손시킬뿐만 아니라 노의 측벽을 크게 파손시키는 위험이 있다.
또한 용해된 유리표면온도의 변화를 일으키는 유리위의 분위기 온도가 크게 변화한다.
이것은 어떤 산소-연료화염의 화염온도가 화씨 5000도를 초과하고 버너가 공기-연료버너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고 화염으로부터의 복사가 복사원으로부터의 거리제곱만큼 감소하고 산소-연료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패턴이 점진적으로 팽창하는 절두형에 접근하는 원통형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화염패턴보다 충분하게 차가운 고온화염패턴 사이의 노에는 실질적인 면적이 있다.
본 발명은 더욱 균일한 방식으로 열에너지를 생산품에 적용하는 화염의 크라우드를 발생시키는 유일한 방식으로 저렴한 가스노즐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단점을 극복한다.
각각의 노즐이 단지 강산화성 물질 또는 단지 연료를 수용하므로, 조기연소의 위험이 없고 조기연소로부터 발생하는 파손 및 위험한 상태가 없다.
제3도는 용해된 유리를 저장하기 위한 유리탱크(22)에 사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이 탱크 또는 노(22)는 종래의 버너(9,21)를 사용하지 않는점을 제외하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노와 동일하다.
대신에 버너(9,21)는 비교적 근접하게 이격된 노즐 또는 파이프(23,24,25)로 대체된다.
노즐(23,24,25)은 통상 적어도 10인치 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여러 피트까지 이격될 수 있다.
노즐의 간격은 노즐(23,24,25)을 수용한 노의 부분내의 용해된 유리와 배치의 상부표면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를 포함하는 화염 크라우드 또는 화염 블랭크를 발생시키도록 선택된다.
노즐(23,24,25)은 단지 파이프의 길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고온산화물과 부식에 저항하도록 스텐레스 스틸 또는 다른 내화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그러나 바람직한 노즐(23,24,25)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형상이다.
제4도는 유리탱크내의 내화성 물질로 이루어진 측벽의 일부분의 절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2 개의 측벽(27, 28)과 출구끝(29)을 가진 노즐(26)은 측벽의 내면과 동일한 또는 측벽의 내면에서 후퇴된 노즐의 출구끝(29)을 구비한 측벽에 위치되어 있다.
노즐(21)의 입구끝은 공급파이프 세그먼트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등근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노즐(26)의 출구끝(29)의 형상은 배출연료 또는 산화물이 노즐출구(29)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그러나 수직크기로 대단히 작게 퍼짐 또는 성장에 따라 수평면에 퍼지는 가스의 팬형상스트림을 형성하도록 한다. 연료의 교호팬 또는 스트림과 산화물이 접촉하면, 연소는 배치커버 또는 용해된 유리의 표면 바로위에 화염의 크라우드를 발생시키는 것, 생산품으로의 복사 에너지 전달을 최대로 하는 것 및 노의 내화 크라운으로의 복사에너지 전달의 양을 최소로 하는 것을 일으킨다.
용해된 유리풀(pool)과 노즐바닥의 간격은 적어도 2 내지 12인치이다.
노즐(23,24,25) 대신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노즐의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노즐(31)은 가늘고 긴 타원형상으로 출구끝(32)을 가지고 있다. 설명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노즐의 형태는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제7도를 재참조하면, 노즐(23)은 산업등급의 산소스트림(33)을 멜터내로 분사하는데 사용되며 노즐(24)은 천연가스 또는 프로판 스트림(34)을 멜터내로 분사하는데 사용된다.
분무된 또는 기화된 연료오일 또는 다른 가스연료는 노즐(24)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노즐(25)은 선택적이며 산소를 분사하는데 사용하여 가스연료의 각 스트림이 화염의 합성크라우드내에서 완전연소를 보장하도록 산소스트림을 가지게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측벽(13)내의 각 가스연료노즐(24)은 대향한 측벽(13)내의 산소노즐(23)옆에 대향되어 있다.
이것은 화염(35)의 크라우드를 형성하는 노의 중심부분내에서 대향된 스트림의 양질의 최종혼합을 발생시킨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벽(13)은 노즐(23,24,25)을 통과하는 가스스트림이 냉각효과를 가지고 있고 스트림(33, 34)이 벽(13)의 동작면으로부터 충분한 거리(36)에 있을 때까지 서로 접촉 또는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과열되지 않는다.
이 스트림 접촉지점 또는 구역(36)은 측벽(3)의 내부로부터 적어도 12인치 떨어져 있다.
이 고온분위기에서 지연된 연소는 연소스트림내의 연료가 분리 또는 분해되어 정상연료보다 더 늦은 비로 연소되는 휘발성 물질 및 더 작은 탄소입자를 형성하며 이에따라 더 큰 발광화염 크라우드를 발생하도록 한다.
이 증가된 발광성은 용해된 유리 및 유리피복된 유리배치로 복사전달율을 증가시킨다.
대단히 작은 연소 또는 화염은 벽(13)에 인접한 노(22)의 구역에 존재한다.
가스라인에 근접한 노즐의 위치 및 좁은팬형상의 가스스트림을 작은 수직크기로 발생시키는 노즐설계와 함께 측벽에 인접한 현저한 연소의 결핍은 종래기술의 산소-연료노의 가장 고온인 부분보다 더 차가운 내화벽 및 크라운을 유지하는데 협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모드에 있어서, 노즐(23,24,25)은 후방벽(12)에서 시작하는 측벽(13)의 길이를 따라 1/3 내지 2/3 만큼 뻗어있다. 이것은 대부분 에너지가 필요한 용해배치위에 또한 배치라인(17)을 바로넘어 화염 크라우드(35)를 위치시킨다.
용해된 유리(18)는 화염 크라우드를 넘어서 또한 전방벽(14)내의 출구통로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 약간의 냉각, 가스제거 및 균질화시키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작동중에, 노즐에 공급되는 산소 및 가스연료의 양은 노내에서 바람직한 온도를 발생시키고 연소에 있어서 화학식대로의 조건 또는 연소에 있어서의 약간의 산소초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어된다.
각 세트의 대향된 노즐로의 가스의 유동은 화염 크라우드(35)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한 온도 프로파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어되고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즐(23,24,25)의 유동제어는 종래의 산소-연료버너의 유동제어보다 저렴한 종래의 가스유동제어이며 여기에서 각각의 버너는 산소 및 천연가스 모두의 유동제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출원은 미합중국 특허 제 4,375,369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된 유리에 있어서 노의 정련 및 형성구역 또는 전노이며 이 특허는 참고문헌으로 인용되었다. 내화성 물질로 정렬된 채널은, 용해된 유리를 정련하고 바람직한 온도로 조절하는 동안에, 유리섬유, 병 등과 같은 유리물품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용해된 유리를 복수의 성형장치로 전달시킨다.
이 채널과 전노내에서의 열손실때문에 종래에는 유리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버너를 설치해야만 했다. 유리의 균일한 초 임계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더 많은 화염커버를 얻기 위하여 많은 소형의 버너를 설치하는 것이 통례이다.
각각의 소형의 버너로의 공기를 통하게 하는 배관작업은 대단히 많은 경비가 소모되고 종종 역화를 방지하는 고가의 안전장치를 필요로 하는 공기/가스혼합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폭발 및 조기발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의깊은 보수유지가 필요하며 이들 문제점은 강산화성물질로서 공기대신에 산소 또는 농도짙은 산소공기를 사용할 때 크게 증가된다.
제6도는 이러한 전노 채널과 섬유성형피더 채널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용해된 유리는 잠수된 통로(38)를 통하여 노(10)에서 배출되어 전노 채널(40) 아래로 유동한다. 채널(40)에는 복수의 섬유성형피더채널(42)이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 또는 노즐은 제13도의 유리멜터에 도시된 종래의 방식으로 최대유리레벨 바로 위의 채널(40, 42)의 벽에 설치되어 있다.
채널(40, 42)에 따라 하나걸러 있는 노즐(44)은, 적어도 50%의 산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의 산소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의 산소를 가진 산업등급산소 또는 산소/ 공기혼합물을 채널내로 이송시키고 노즐(43)은 가스연료를 채널에 공급한다.
이 배열은 종래기술의 버터시스템보다 적은 노즐로 큰 퍼센테이지의 용해유리를 커버하는 화염 크라우드를 발생시킨다.
각각의 산소노즐(44)은 연소노즐(43)옆의 대향 채널벽상에 대향되어 있다.
이것이 바람직한 노즐방향이다.
필요하다면, 채널은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구역내의 노즐은 통상의 산소용 유동제어기와 통상의 연료용 유동제어기와 결합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산소노즐(44)은 대향벽상의 연료노즐(43)옆에서 실질적으로 대향되어 있지 않다. 제7도에 있어서, 각 산소노즐(44)은 다른 산소노즐(44)옆에서 대향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료노즐(43)은 다른 연료노즐(43)옆에서 마찬가지로 대향되어 있다.
각각의 연료노즐(43)은 산소노즐(44)에 인접한 곳에 적어도 하나 있다.
제8도에 있어서 노즐은 대향벽상의 다른 노즐에 실질적으로 대향되어 있지 않으며, 그러나 대신에 노즐은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노즐이 통상 벽에 위치될 때 적어도 10인치, 바람직하게는 12인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인치 만큼 이격되어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바람직하게, 모든 노즐은 통상 벽에서 수평면에 일렬로 위치되어 있거나 또는 대부분 통상의 수평면에서 약간의 인치만큼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50%의 산소를 함유한 강산화성 물질과 함께 가스연료를 연소시키고 연소의 생성물을 배출함으로써 노내의 물질을 가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강산화성물질 스트림이 벽 또는 지붕으로부터의 안전한 거리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연소를 발생시키는 충분한 농축상태에서 연료스트림과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분리노즐을 통하여 강산화성 물질과 가스연료를 노에 유입시키는 단계, 강산화성 물질 노즐개수가 연료노즐갯수와 적어도 동일한 상태에서 적어도 3개의 상기 노즐을 사용하는 단계, 및 각각의 강산화성 물질 노즐이 적어도 하나의 연료노즐에 인접하도록 상기 노즐을 위치시켜 상기 노즐의 경계부에 의해서 형성된 면적 아래에 위치된 상기 물질의 적어도 50%를 커버하는 화염 크라우드를 형성하도록 상기 노즐을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료노즐은 노의 다른벽에 위치된 강산화성 물질 노즐옆에서 실질적으로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연료노즐이 위치되는 측벽에 대향된 측벽이며 상기 노즐은 적어도 6인치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유리원물질로 부분적으로 커버되는 용해된 유리의 풀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열되는 유리원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노즐은 바닥에지가 상기 풀위로 약 2 내지 12인치에 있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스트림이 상기 노즐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수평크기와 아주 작은 수직크기로 퍼지는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노즐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물질을 가진 상기 풀의 적어도 70%의 세그먼트를 커버하는 화염 크라우드를 발생시키도록 위치되고 천연가스와 산업등급산소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크라우드는 상기 세그먼트의 적어도 80%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후방벽으로부터 상기 측벽의 길이를 따라 단지 2/3만큼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용해된 유리이며 상기 노는 용해된 유리의 풀을 조절하고 운반하는 전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바닥에지는 상기 풀의 상부표면의 2 내지 12인치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스트림이 상기 노즐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수평크기와 아주 작은 수직크기로 퍼지는 스트림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풀의 적어도 80%를 커버하는 화염 크라우드를 발생시키도록 위치되어 천연가스와 산업등급산소와 함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용해된 유리이며 각각의 연료노즐은 그 축의 돌출부가 상기 측벽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대향벽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노내에 수용된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노에 있어서, 상기 노는 강산화성 물질과 연료의 스트림을 상기 노내에서 분리되게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노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벽에 위치된 적어도 3개의 노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연료노즐은 각각의 강산화성 물질 노즐로부터 적어도 10인치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료노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강산화성 물질 노즐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료노즐은 노의 다른벽에 위치된 강산화성 물질 노즐옆에서 실질적으로 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벽은 상기 연료노즐이 위치되는 측벽에 대향한 측벽이며 상기 노즐은 적어도 6인치 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는 유리 노이며 상기 노즐은 바닥에지가 상기 노내의 상기 유리의 상부표면위로 약 2 내지 12인치에 있도록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수단은 상기 스트림이 상기 노즐로부터 멀리 이동할 때, 수평크기와 아주 작은 수직크기로 퍼지는 강산화성 물질과 연료의 스트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수단은 상기 노즐수단 사이에 형성된 상기 유리풀의 적어도 80%의 세그먼트를 커버하는 화염 크라우드 발생시키기 위하여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20.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벽에 위치된 노즐수단을 더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벽내의 각각의 노즐의 돌출부는 상기 대향벽내의 노즐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대향벽을 향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
KR1019940701642A 1992-09-14 1993-09-13 부피가 큰 저속난류화염을 사용한 산소/연료 점화식 노 KR100272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455192A 1992-09-14 1992-09-14
US7/944,551 1992-09-14
US08/015,491 US5346524A (en) 1992-09-14 1993-02-09 Oxygen/fuel firing of furnaces with massive, low velocity, turbulent flames
US8/015,491 1993-02-09
PCT/US1993/008582 WO1994006723A1 (en) 1992-09-14 1993-09-13 Oxygen/fuel firing of furnaces with massive, low velocity, turbulent flam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747B1 true KR100272747B1 (ko) 2000-11-15

Family

ID=26687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642A KR100272747B1 (ko) 1992-09-14 1993-09-13 부피가 큰 저속난류화염을 사용한 산소/연료 점화식 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46524A (ko)
EP (1) EP0612306B1 (ko)
JP (1) JP2749448B2 (ko)
KR (1) KR100272747B1 (ko)
AT (1) ATE159922T1 (ko)
CA (1) CA2123590C (ko)
DE (1) DE69315055T2 (ko)
DK (1) DK0612306T3 (ko)
ES (1) ES2108297T3 (ko)
GR (1) GR3025298T3 (ko)
WO (1) WO19940067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538B1 (ko) 2011-02-28 2019-02-0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용해법, 시스템,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348A (en) * 1992-09-14 1997-07-01 Schuller International, Inc. Oxygen/fuel fired furnaces having massive, low velocity, turbulent flame clouds
US5405082A (en) * 1993-07-06 1995-04-11 Corning Incorporated Oxy/fuel burner with low volume fuel stream projection
FR2722272B1 (fr) * 1994-07-08 1996-08-23 Air Liquide Ensemble de combustion pour un four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FR2728254B1 (fr) * 1994-11-08 1997-01-3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fusion du verre
US5632795A (en) * 1995-01-17 1997-05-27 Corning Incorporated Reduction of nitrogen containing glass batch materials using excess oxygen
US5628809A (en) * 1995-06-13 1997-05-13 Praxair Technology, Inc. Glassmelting method with reduced volatilization of alkali species
FR2743360B1 (fr) * 1996-01-05 1998-02-27 Air Liquide Procede de chauffage de la charge d'un four de verre
US6253578B1 (en) * 1996-04-12 2001-07-03 Praxair Technology, Inc. Glass melting process and apparatus with reduced emissions and refractory corrosion
DE19619919A1 (de) * 1996-05-17 1997-08-14 Sorg Gmbh & Co Kg Verfahren zum Beheizen von Schmelzöfen und Brenneranordnung hierfür
FR2750977B1 (fr) * 1996-07-11 1998-10-30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reduction de l'emission de nox dans un four de verrerie
FR2757844B1 (fr) * 1996-12-26 1999-01-29 Air Liquide Procede de fabrication de verre technique et bruleur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US5893940A (en) * 1997-05-05 1999-04-13 Ppg Industries, Inc. Reduction of NOx emissions in a glass melting furnace
US5961686A (en) 1997-08-25 1999-10-05 Guardian Fiberglass, Inc. Side-discharge melter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fiberglass
US6237369B1 (en) 1997-12-17 2001-05-29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Roof-mounted oxygen-fuel burner for a glass melting furnace and process of using the oxygen-fuel burner
US6705117B2 (en) 1999-08-16 2004-03-16 The Boc Group, Inc. Method of heating a glass melting furnace using a roof mounted, staged combustion oxygen-fuel burner
US6354110B1 (en) 1999-08-26 2002-03-12 The Boc Group, Inc. Enhanced heat transfer through controlled interaction of separate fuel-rich and fuel-lean flames in glass furnaces
US6715319B2 (en) * 2001-03-23 2004-04-06 Pilkington Plc Melting of glass
FR2823290B1 (fr) 2001-04-06 2006-08-18 Air Liquide Procede de combustion comportant des injections separees de combustible et d oxydant et ensemble bruleur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P1644291B1 (en) * 2003-06-10 2015-12-02 Owens Corning Front end with low heat capacity gas oxy fired burner
FR2879284B1 (fr) * 2004-12-09 2007-01-19 Air Liquide Procede de fusion d'une composition de matieres premieres par un bruleur en voute
FR2880410B1 (fr) * 2005-01-03 2007-03-16 Air Liquide Procede de combustion etagee produisant des flammes asymetriques
US20070281264A1 (en) * 2006-06-05 2007-12-06 Neil Simpson Non-centric oxy-fuel burner for glass melting systems
DE102007027044B3 (de) * 2007-06-12 2008-09-04 Beteiligungen Sorg Gmbh & Co. Kg Glasschmelzofen und Verfahren für das Erschmelzen von Gläsern
CN102351402A (zh) * 2011-07-19 2012-02-15 彩虹集团公司 一种玻璃窑炉的助燃方法
US10570045B2 (en) 2015-05-22 2020-02-25 John Hart Miller Glass and other material melting systems
DE102018000572A1 (de) * 2018-01-25 2019-07-25 Messer Austri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heizen und Transportieren einer Glasschmelze
DE102020005638A1 (de) 2020-09-15 2022-03-17 Messer Austria Gmbh Verfahren zum Beheizen einer Glasschmelz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049A (en) * 1919-05-27 1920-05-20 Frederic George Riley Improvements in gas heated glass melting furnaces
US4424071A (en) * 1982-09-27 1984-01-03 Toledo Engineering Co., Inc. Molten mass temperature conditioner
FR2587695B1 (fr) * 1985-09-20 1987-11-20 Air Liquide Dispositif pour ameliorer le chauffage d'un canal de distribution de verre et procede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dispositif
US4725299A (en) * 1986-09-29 1988-02-16 Gas Research Institute Glass melting furnace and process
AU613725B2 (en) * 1988-04-01 1991-08-08 Boc Group, Inc.,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lancing
US5147438A (en) * 1991-09-18 1992-09-15 Union Carbide Industrial Gases Technology Corporation Auxiliary oxygen burners technique in glass melting cross-fired regenerative furn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538B1 (ko) 2011-02-28 2019-02-07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용해법,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06723A1 (en) 1994-03-31
JPH07501309A (ja) 1995-02-09
EP0612306A1 (en) 1994-08-31
ES2108297T3 (es) 1997-12-16
CA2123590C (en) 1999-12-07
DE69315055D1 (de) 1997-12-11
US5346524A (en) 1994-09-13
EP0612306B1 (en) 1997-11-05
DK0612306T3 (da) 1997-12-29
CA2123590A1 (en) 1994-03-31
GR3025298T3 (en) 1998-02-27
DE69315055T2 (de) 1998-06-04
ATE159922T1 (de) 1997-11-15
JP2749448B2 (ja) 199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2747B1 (ko) 부피가 큰 저속난류화염을 사용한 산소/연료 점화식 노
KR850000949B1 (ko) 산소흡기기 버너의 용광로 발화공정
US6068468A (en) Refractory block for use in a burner assembly
US5984667A (en) Combustion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e containing separate injection of fuel and oxidant streams
US59791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lting of glass batch materials
EP0436793B1 (en) Oxygen-fuel burner
KR100249051B1 (ko) 질소 산화물을 적게 발생시키는 스테이지형 산소 연료 버너, 연소 시스템
US3592622A (en) Oxy-fuel accelerated glass melting furnace and method of operation
US20110236846A1 (en) Submerged combustion melter
EP0234447A1 (en) Burner design for melting glass batch and the like
KR19980042686A (ko) 연료 및 산화제 스트림을 별도로 주입하는 연소 방법 및 연소장치
US5643348A (en) Oxygen/fuel fired furnaces having massive, low velocity, turbulent flame clouds
PL200214B1 (pl) Sposób spalania w piecu, do którego wtryskuje się oddzielnie co najmniej jedno paliwo i co najmniej jeden utleniacz oraz zespół palnikowy do oddzielnego wtryskiwania
US5447547A (en) Annular batch feed furnace and process
CN107750239A (zh) 具有氧气/气体加热燃烧器系统的浸没燃烧玻璃熔化器
KR101640256B1 (ko) 열 분포를 균질화시키고 NOx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
CA1137748A (en) Continuous copper melting furnace
JPS58500854A (ja) 溶融ガラスの製造方法
US5603456A (en) Liquid fuel burner
US4747772A (en) Burner design for melting glass batch and the like
GB2140910A (en) Heating of enclosures
CN1186927A (zh) 包括分开喷射燃料和氧化剂流的燃烧方法和设备
EP4005985A1 (en) Oxygen fuel burner for a forehearth system
SU834371A1 (ru) Способ отоплени обжиговых печей
JPH06207708A (ja) ガスー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