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471B1 - 파일럿식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파일럿식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471B1
KR100271471B1 KR1019970012094A KR19970012094A KR100271471B1 KR 100271471 B1 KR100271471 B1 KR 100271471B1 KR 1019970012094 A KR1019970012094 A KR 1019970012094A KR 19970012094 A KR19970012094 A KR 19970012094A KR 100271471 B1 KR100271471 B1 KR 10027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valve
solenoid
main valv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678A (ko
Inventor
히데하루 사토오
신지 미야조에
타쿠미 마쯔모토
Original Assignee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다 요시유끼,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다 요시유끼
Publication of KR97007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7Multiblock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1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57Electrical connecting means, e.g. plugs,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5Channels for electrical components, e.g. for cabl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있어서, 밸브의 방법 변경, 불량부품의 수리, 교환할때에, 부품의 교환을 쉽게 하여,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종합해서 교환하는 일없이 방법 변경 등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매니폴드베이스(2)의 밸브설치면에, 주밸브(3)와 2개의 파일럿밸브(4A 및 4B)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설치면을 설치한다. 매니폴드베이스(2) 내에는, 공급유로(8)와 배출유로(9A,9B), 전단면으로 개구하는 출력포트를 설치하여, 그들을 주밸브의 설치면에 개구시켜, 한쪽 끝을 파일럿공급유로(ps) 및 파일럿배출유로(pe)에 연결시킨 파일럿공급통로(40a,40b)와 파일럿배출통로(41a,41b)의 다른 쪽 끝을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개구시켜, 한쪽 끝이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개구하는 파일럿출력통로(42a,42b)의 다른 쪽 끝을 주밸브의 설치면에 개구시킨다.

Description

파일럿식 전자밸브
본 발명은, 매니폴드베이스 위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 구동의 파일럿밸브로 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유체에 의하여 주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여, 주밸브의 출력개구를 공급개구와 배출개구로 변환하여 연결시키도록 한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매니폴드베이스 위에 설치된 주밸브와, 그 주밸브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구동의 파일럿밸브 등을 구비하고, 파일럿밸브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유체에 의하여 주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여, 주밸브의 출력개구를 공급개구와 배출개구로 변환 연결시키는 파일럿식 전자밸브는, 특히 예시할 때까지도 없고 주지인 것이다. 이 종류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일반적으로, 파일럿밸브가 주밸브에 직접 설치되며, 양자가 일체화되어서, 매니폴드베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대하여, 최근에는, 생산라인에 있어서의 다종 소량생산 등에 기인하여, 매니폴드베이스에 설치된 밸브의 일부에 대하여 방법 변경을 실시하는 일이 적지 않다. 예컨대, 싱글 솔레노이드 모양의 밸브를 더블 솔레노이드 모양의 밸브로 하는 방법 변경, 정전 시 등에 밸브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조작부의 방법 변경, 혹은, 파일럿밸브의 솔레노이드에 대한 전압의 변경이나, 파일럿밸브의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등의 변경 등의 방법 변경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주지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주밸브와 파일럿밸브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 변경할 때에, 그 때마다, 주밸브 및 파 일럿밸브를 종합해서 교환할 필요가 있고, 공통부품이 많은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경제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 게다가, 상술한 주밸브와 파일럿밸브의 일체화에 의하여, 일부의 부품을 교환하려고 하여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종합하여 교환하는 일없이, 부품의 교환에 의하여, 상술한 방법 변경에 쉽고 또한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또, 일부의 동작 불량부품의 수리: 교환에도 쉽고 또한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파일럿식 전자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니폴드베이스 위에, 출력개구를 공급개구와 배출개구로 변환하여 연결시키는 주밸브와, 그 주밸브의 밸브체를 구동 하는 솔레노이드 구동의 파일럿밸브 등이 설치되며, 상기한 파일럿밸브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유체에 의하여 주밸브의 밸브체를 그 축선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한 개구 사이의 유로를 변환하여 연결시키는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에, 주밸브와 2개의 파일럿밸브 등을 분리하여 설치하는 밸브설치면과, 그 연이어 설치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압력유체의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와, 전단면에 개구하는 출력포트와, 이들의 유로 및 포트를 상기한 주밸브와 설치면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개구에 각각 연결시키는 통로와,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그 파일럿밸브의 파일럿공급개구 및 파일럿배출개구에 대응하는 위치로 각각 개구하는 제1, 제2의 파일럿공급유로 및 제1, 제2의 배출유로와, 한쪽 끝이 이들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파일럿출력개구에, 다른 쪽 끝이 주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파일럿유체의 통로에 각각 개구하는 제1, 제2의 파일럿 출력통로 등을 설치하고, 상기한 주밸브의 설치면에 주밸브를,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그 주밸브의 동작에 필요한 파일럿밸브를, 서로 분리하여 독립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있어서는, 매니폴드베이스에, 제1 또는 제2의 파일럿출력통로의 어느 하나로 바꿔서, 또는 그들에 가하여, 파일럿공급 유로를 주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파일럿유체의 통로에 개구시키는 외부의 파일럿통로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매니폴드베이스 내로 설치된 급전선 수납로의 급전선에 접속된 급전용 소켓이 설치되고, 파일럿밸브에, 그것을 상기한 설치면에 설치했을 때에 상기한 소켓에 접속되는 급전 단자가 설치된다.
매니폴드베이스의 주밸브설치면에 주밸브를 설치하고,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1개 또는 2개의 솔레노이드 구동의 파일럿밸브를 각각 설치하면, 주밸브와 공급개구, 배출개구 및 출력개구가, 각각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압력유체의 공급 유로, 배출유로 및 출력포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파일럿밸브에 있어서의 파일럿공급개구 및 파일럿배출개구가, 파일럿공급유로 및 배출유로에 연결된다. 그리고, 파일럿밸브의 동작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의 파일럿공급통로 및 파일럿배출통로를 통하여 파일럿밸브에 압력유체가 공급되면, 매니폴드베이스의 파일럿 출력통로에서 파일럿유체가 주밸브에 출력되고, 주밸브와 구동된다. 매니폴드베이스에 외부 파일럿통로를 설치한 경우에는, 주밸브에 외부파일럿유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주밸브와 파일럿밸브를 분리하여 매니폴드베이스에 설치하였으므로, 매니폴드베이스의 밸브설치면에, 더블솔레노이드 모양이나 싱글솔레노이드 모양의 주밸브를 설치하고, 그 주밸브에 따라서 2개 또는 1개의 파일럿밸브를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파일럿식 전자밸브를 더블솔레이노이드 모양으로 하거나, 싱글솔레노이드 모양으로 할 수 있다.
또, 파일럿식 전자밸브의 각종 방법 변경이나, 일부의 동작 불량부품의 수리, 교환할 때에는,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종합해서 교환하는 일이 없고, 필요한 부품만의 간단한 교환에 의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주밸브에 파일럿밸브를 직접 설치한 것과 다르고, 각각의 밸브를 매니폴드베이스로부터 개별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정전시 등에 밸브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조작부의 방법 변경, 혹은, 파일럿밸브의 솔레노이드의 전압의 변경, 표시등의 변경 등의 방법 변경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분리하여 설치된 주밸브나 파일럿밸브는, 그들의 보수, 점검, 고장발견 등이 쉬운 것뿐만 아니라, 주밸브의 보수점검을, 전기적 배선을 지닌 파일럿밸브에 전혀 접촉하지 않고 실시하므로, 안정성이 향상되며, 또, 방법 변경이나 파손 등인 때에는 이들의 밸브를 개별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를 싱글솔레노이드모양으로 하는 경우 등,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각각 파일럿밸브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통로 등을, 필요하면 일시적으로 떼어 낼 수 있는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하면 좋다.
또, 매니폴드베이스의 연이어 설치하는 방향으로 파일럿밸브의 솔레노이드에 급전하는 급전선을 통하기 위한 급전선 수납로를 설치하고,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그 급전선 수납로 내의 급전선에 접속된 급전용 소켓을 설치하면, 파일럿밸브를 상기한 설치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한 소켓에 급전단자를 접속할 수 있고, 파일럿밸브의 전기적 접속에 대한 단속(斷續)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제3도의 A-A위치에서의 종단측면도.
제2도는 동일하게 변형예의 B-B위치에서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파일럿식 전자밸브의 연이어 설치하는 상태를 표시 하는 평면도.
제4도는 동일한 정면도.
제5도는 동일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동일하게 변형예의 종단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9도는 동일하게 변형예의 종단측면도.
제10도는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소켓 설치부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부분측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12도는 동일한 연이어 설치하는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61, 61A : 파일럿식 전자밸브
71, 71A, 91, 91A : 파일럿식 전자밸브
2, 62, 72, 92 : 매니폴드베이스
3, 3A, 63, 63A, 73, 73A, 93, 93A : 주밸브
4A, 4B : 파일럿밸브 8 : 공급유로
8a, 9a, 9b, 11a, 11b : 통로 9A, 9B : 배출유로
제1도 내지 제5도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도에 상세한 것을 표시하는 파일럿식 전자밸브(1)의 매니폴드베이스(29)는, 게다가, 그 매니폴드베이스(2)의 긴 쪽 방향으로 분리하여, 주밸브(3) 또는 (3A)(제2도)의 설치면과, 솔레노이드 구동의 제1 및 제2 파일럿밸브4A(4B: 제2도)의 설치면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도에서는, 싱글 솔레노이드 모양의 주밸브(3)를 그 설치면에 설치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구동의 제1파일럿밸브(4A)만을 상기한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설치한 상태(제3도의 A-A단면)를 표시하고 있다. 또, 제2도에서는, 더블솔레노이드 모양의 주밸브(3A)를 제1도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의 매니폴드베이스(2)의 주밸브 설치면 상에 설치함과 아울러,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제1 및 제2 파일럿밸브(4A,4B)를 설치한 상태(제3도의 B-B단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적재한 매니폴드베이스(2)는, 일반적으로,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그 다수를 연이어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매니폴드베이스(2) 내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듯이, 그 연이어 설치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압력유체의 공급유로(8), 제1 및 제2의 배출유로(9A,9B), 파일럿공급유로(ps), 파일럿배출유로(pe) 및 통전계의 배선수납로(10)를 구비함과 아울러, 전단면으로 개구하는 제1 및 제2의 출력포트(11A,11B)를 구비하며, 상기한 공급유로(8), 배출유로(9A,9B) 및 출력포트(11A,11B)는, 각각, 통로(8a,9a,9b,11a,11b)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2) 윗면의 주밸브설치면에 개구시키고 있다. 또, 파일럿공급유로(ps) 및 파일럿배출유로(pe)는, 매니폴드베이스(2) 윗면의 파일럿밸브 설치면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의 파일럿밸브(4A,4B)의 설치위치에 개구시키고, 배선수납로(10)는, 상기한 2개의 파일럿밸브(4A,4B)의 설치면에 개구하는 소켓설치부(lOb)에, 통로(10a)를 거쳐 연결시키고 있다.
매니폴드베이스(2) 상의 주밸브 설치면에 개구시키는 상기한 유로(8,9A,9B)는, 그 주벨브 설치면의 하방으로 설치하며, 또 파일럿공급유로(ps) 및 파일럿배출유로(pe)는, 주밸브 설치위치 또는 그 위치와 파일럿밸브 설치위치 사이의 하방으로 설치하고, 더욱이, 상기한 배선수납로(10)는, 파일럿밸브(4A,4B)의 설치면의 하방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파일럿밸브 설치면의 하방은, 큰 유로 등이 적으므로, 급전선수납로(10)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2)는, 공급유로(8) 및 배출유로(9A,9B)와, 이것과는 별도의 파일럿공급유로(ps) 및 파일럿배출유로(pe) 등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의 파일럿유로를 생략하여, 파일럿공급통로(40A,40b)를 공급유로(8)에, 파일럿배출통로(41a,41b)를 배출유로(9A,9B)의 어느 것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2)는, 그 위의 주밸브설치면에,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더블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A)(제2도)를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매니폴드베이스(2)를 연이어 설치하는 경우에, 제3도에 표시하듯이, 그들의 각종 주밸브(3,3A)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매니폴드베이스(2)에 있어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제1의 파일럿밸브(4a)만을, 더블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a)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파일럿밸브(4A,4B)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1,1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니폴드베이스(2)의 소요수(所要數)를 연이어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지만, 그 연이은 설치는, 매니폴드베이스(2)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구멍(6), 및 그 연이은 설치방향 한 쪽 끝의 제1 측판(12) 및 타측단의 제2 측판(13)의 동일 위치에 설치된 연결구멍에 연결볼트(14)(제5도 참조)를 관통함으로써 실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원하는 수의 파일럿식 전자밸브(1 또는 1A)만을 연이어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1 측판(12)은 전단면에 압력유체의 공급포트(P)와 배출포트(R)를 구비함과 아울러, 외측면에 설치된 커넥터부착구멍에, 각 파일럿밸브(4A,4B)의 솔레노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다극커넥터(16)를 설치한 것이고(제3도 내지 제5도 참조), 상기한 공급포트(P)는, 제1 측판(12) 내의 통로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2)에 있어서의 공급유로(8) 및 파일럿공급유로(ps)에 대응하는 위치로 각각 개구시켜, 또, 배출포트(R)는 전기한 배출유로(9A,9B) 및 파일럿배출유로(pe)에 대응하는 위치로 각각 개구시키고 있다. 한편, 제2 측판(13)은, 매니폴드베이스(2)에 있어서의 상기한 각 유로의 타단을 각각 폐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들의 매니폴드베이스(2) 및 제1 및 제2측판(12,13)의 연설면의 사이에는, 각 유로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개스킷이 설치된다.
상기한 제1측판(12)에 있어서의 공급포트(P) 및 배출포트(R) 및 매니폴드베이스(2)의 출력포트(11A,11B)에는, 소위 원터치 관이음매(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터치 관이음매(17)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가요성 압력공기 공급용 튜브를 삽입했을 때에, 그 튜브의 외면에 걸리며, 릴리스푸시의 누름에 의하여 그 걸림을 해제하여 튜브를 뽑아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3도 중의 부호 18은, 측판(12,13)에 설치된 고정구멍이고, 이 파일럿식 전자밸브(1)를 필요로 하는 부재에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제1도에 상세한 것을 표시하는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는, 밸브보디(20)와, 그 축방향 양측의 제1 피스톤상자(21) 및 제2 피스톤상자(22) 등을 구비하며, 이들의 피스톤상자는, 각각이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연결나사에 의하여 밸브보디(20)에 일체로 연결되며, 밸브보디(20)가 복수의 설치나사(23)(제3도 참조)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2)의 윗면의 주밸브설치면에 개스킷을 거쳐 기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밸브보디(20)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구멍(25) 및 파일럿통로(27)와, 상기한 밸브구멍(2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압력유체의 공급개구(27), 제1, 제2 출력개구(28A,28B) 및 제1, 제2 배출개구(29A,290)를 구비하며, 이들의 개구는, 주밸브(3)가 매니폴드베이스(2)의 설치면에 설치되면, 대응하는 유로 및 포트에 각각 연결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파일럿통로(26)는, 공급개구(27)에 연결시키고 있다.
밸브구멍(25)과 동축의 제 1피스톤 상자(21)에는 제1 피스톤(31)이, 동 제2 피스톤상자(22)에는 제1 피스톤보다 소경(수압면적이 대략 1/2)인 제2 피스톤(32)이, 밸브구멍(25)에는 상기한 피스톤(31,32)에 의하여 눌리는 밸브체(33)가, 어느 것도 축방향으로 미끄러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제1피스톤(31)이 이동하는 제1압력실(34)은, 매니폴드베이스(2)의 제1파일럿 출력통로(42a)에 연결시키고, 제2피스톤(32)이 이동하는 제2압력실(35)은 파일럿통로(26)에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한 주밸브(3)는, 제1 압력실(34)에 파일럿유체가 출력되면,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공급개구(27)와 출력개구(28A) 및 출력개구(28B)와 배출개구(29B)가 연결되고(제1도의 밸브체의 상반부 참조), 제1 압력실(34)의 파일럿유체가 배출되면, 제2 압력실(35)에 공급되어 있는 파일럿통로(26)의 유체에 의하여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공급개구(27)와 출력개구(28B) 및 출력개구(28A)와 배출개구(29A)가 연결되는 (밸브체의 하반부 참조) 5포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1 피스톤상자(21)에 미끄러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수동조작단추(36a)는, 보통은, 코일스프링(38)의 작용에 의하여, 도면에 있어서, 위쪽으로 이동되고, 제1 파일럿출력통로(42a)를 제1 압력실(34)에 연결시켜, 코일스프링(38)의 작용에 항거하여 누르면, 제1 압력실(34)을 파일럿통로(26)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시일패킹(39)에 의하여 제1 압력실(34)과 제1 파일럿출력통로(42a)의 연결이 차단된다. 따라서, 정전 등의 사고에 의하여 파일럿밸브(4A)로부터 제1 압력실(34)에 파일럿유체를 출력할 수 없을 때는, 수동조작단추(36a)를 누르면, 파일럿통로(26)로부터 제 1 압력실(34)에 압력유체가 공급되므로, 피스톤(31 과 32)의 지름차에 의하여 밸브체(33)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파일럿밸브(4A)는, 제1 파일럿공급개구(p1), 제1 파일럿출력개구(a1) 및 제1 파일럿배출개구(e1)를 구비함과 아울러, 파일럿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는 제1 솔레노이드(51)를 구비한 것이다. 이 제1 파일럿밸브는, 솔레노이드(s1)의 여자에 의하여 가동철심(도시생략)을 흡인하여 파일럿공급개구(p1)를 파일럿출력개구(a1)에 연결시켜, 솔레노이드(s1)의 여자를 해제하면, 복귀스프링(도시생략)의 작용에 의하여 가동철심으로 복귀시켜서, 파일럿출력개구(a1)를 파일럿배출개구(e1)에 연결시키는 경우의, 주지의 직동형 3포트 전자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파일럿밸브의 파일럿공급개구(p1) 및 파일럿배출개구(e1)는, 매니폴드베이스(2)에 형성된 파일럿 공급통로(40a) 및 파일럿 배출통로(41a)에 의해서, 각각 파일럿공급유로(ps) 및 파일럿배출유로(pe)에 연결시키고 있다. 또, 제1 파일럿출력개구(a1)는, 매니폴드베이스(2)에 형설된 제1 파이럿출력유로(42a), 및 주밸브의 밸브보디(20)와 제1 피스톤상자(21) 등으로 형성된 통로(43a)에 의하여, 제1 압력실(34)에 연결시키고 있다.
또,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2)는, 더블솔레노이드형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와 공용하기 위하여, 제2 파일럿밸브(43)의 설치면을 구비하며, 제2도에 표시하듯이, 제1 파일럿밸브와 동일 구조의 제2 파일럿밸브(4B)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1 파일럿밸브의 설치면과 마찬가지의 유로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제1 파일럿밸브(4B)의 제2 파일럿공급개구(p2), 제2 파일럿출력개구(a2) 및 제2 파일럿배출개구(e2)에 대응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제2 파일럿공급개구(p2) 및 제2 파일럿배출개구(e2)는, 매니폴드베이스(2)에 형성된 파일럿공급통로(40b) 및 파일럿배출통로(41b)에 의하여, 각각 파일럿공급유로(ps) 및 파일럿배출유로(pe)에 연결시켜, 제2 파일럿출력개구(a2)는,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2)에 있어서의 밸브보디(20)의 제2 피스톤상자(22)측의 윗면에 개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파일럿출력유로(42a,42b)를 밸브보디(20)를 통하여 각각 제1 및 제2 피스톤상자의 압력실(34,35)에 연결시키면, 밸브보디(20)를 매니폴드베이스(2)에 설치한대로 제1 및 제2 피스톤상자(21,22)를 밸브보디(20)로부터 착탈하며, 수리,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도의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에서는, 제2 피스톤상자(22) 내에 있어서,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와 제2 압력실(35)의 연결이 차단되며, 결과적 으로 그 통로(42b)는 폐쇄된다.
각 솔레노이드(sl,s2)는, 각각 솔레노이드커버(44)를 설치하며, 이 솔레노이 드커버(44)의 상부에는, 기판(45a,45b)과, 이것을 덮은 투명한 보호커버(46a,46b)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슬레노이드(s1,s2)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코일단자(47)와, 솔레노이드커버(44)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관통하는 급전단자(48)는, 기판(45a,45b)에 인쇄배선된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기판(45a,45b)에 설치된 솔레노이드(s1,s2)의 통전을 표시하는 램프(49a) 및 솔레노이드의 통전에 필요한 각종 전자부품(49)도, 상기한 전기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매니폴드베이스(2) 윗면의 파일럿밸브설치면에 개구하는 상기한 소켓설치부(10a)에는, 상기한 제1 및 제2파일럿밸브(4A,4B)의 급전단자(48)가 각각 접속되는 소켓(51)이 장착되고, 이들의 소켓에 있어서의 단자의 한쪽 끝에 접속된 급전선(52)의 다른 쪽 끝이, 배선수납로(10)를 통과하여 다극커넥터(16)의 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솔레노이드커버(44)에는, 각각 소켓(51)에 끼워져 파일럿밸브의 매니폴드베이스(2)로의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매니폴드베이스(2)에 있어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급전용 소켓(51)을 설치하면, 파일럿밸브를 그 설치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소켓(51)에 급전단자(48)를 접속할 수 있고, 파일럿밸브(4A,4B)의 전기적 접속에 대한 단속(斷續)도 간단하게 된다.
상기한 파일럿밸브(4a,4B)는, 그것을 위치결정부(44a)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2)에 설치하면, 각 파일럿개구가 매니폴드베이스(2)에 설치한 대응하는 파일럿통로에 각각 연결함과 아울러, 급전단자(48)가 소켓(5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극커넥터(16)로부터 이들의 파일럿밸브(4A,43)의 솔레노이드(s1,s2)에 일괄하여 급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파일럿밸브(4A,4B)는, 설치나사(53)(제3도 참조)에 의하여 매니폴드베이스(2)의 윗면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각 급전선(52)이 매니폴드베이스(2)에 설치한 배선수납로(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한 파일럿밸브(4A,4B)에는, 도면 중에 쇄선으로 표시하듯이, 방수커버(55)를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기적 동작 부분 및 그 통전계를 방수할 수 있다 이점은, 아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도에 표시하는 더블솔레노이드형의 파일럿식 전자밸브(1A)는, 주밸브(3A가, 밸브보디(20)의 일 측에 제1도의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의 경우와 동일한 제1 피스톤상자(21)를 구비함과 아울러, 밸브보디(20)의 타 측에, 그 제1 피스톤상자(21)와 동일한 구성을 보유하는 제2 피스톤상자(21A)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피스톤상자(21A)에 설치한 제2 압력실(34A) 및 제2 피스톤(31A)은, 제1 압력실(3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기한 제2 파일럿밸브(4B)가 설치되고,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는 밸브보디(20)와 제2 피스톤상자(21A)에 설치된 통로(43b)에 의하여, 제2 압력실(34A)에 연결되고 있다.
상기한 전자밸브(1A)의 다른 구성은 전자밸브(1)와 동일하므로, 도면의 주요한 동일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구성을 보유하는 파일럿식 전자밸브(1,1A)에 있어서는, 주밸브(3,3A) 및 파일럿밸브(4A,4B)를 매니폴드베이스(2)에 설치하면, 이들의 밸브의 각 개구가 각각 대응하는 유로 및 포트에 연결함과 아울러, 파일럿밸브의 솔레노이드(s1,s2)가 다극커넥터(16)의 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싱글솔레노이드형의 파일럿식 전자밸브(1)로 하는 것에 의해 파일럿밸브(4B)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일럿통로(40b,41b) 등의 파일럿밸브 설치면 측의 개구에서 파일럿유체의 유출입이 발생하는 것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플러그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폐쇄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은, 아래의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제1도의 싱글솔레노이드형의 파일럿식 전자밸브(1)에 있어서는, 파일럿밸브(4A)의 솔레노이드(s1)를 여자하면, 제1 압력실(34)에 파일럿유체가 출력되고, 주밸브(3)가 구동되므로, 제1 출력포트(11A)로부터 압축공기 등의 압축유체가 출력되며, 솔레노이드(s1)의 여자를 해제하면, 제1 압력실(34)의 파일럿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제2 출력포트(113)로부터 압력유체가 출력된다. 또, 제2도의 파일럿식 전자밸브(1A)에서는, 파일럿밸브(4A,4B)의 솔레노이드(s1,s2)를 서로 번갈아 여자 및 여자 해제하므로서, 주밸브(3A)가 구동되며, 제1 출력포트(11A)와 제2 출력포트(11B)로부터 서로 번갈아 압력유체가 출력된다.
정전 등의 사고의 경우에 있어서의 수동조작단추(36a,35b)의 조작은, 아미 진술한 것과 같다.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주밸브(3,3A)와 파일럿밸브(4A,4B) 등을 매니폴드베이스(2)에 분리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매니폴드베이스(2)의 밸브설치면에, 더블솔레노이드형이나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3,3A)를 설치하며, 그 주밸브에 따라서 2개 또는 1개의 파일럿밸브를 그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파일럿식 전자밸브를 더블솔레노이드형으로 하거나, 싱글솔레노이드형으로 하여, 그들의 교환을 할 수 있다. 또, 제1 피스톤 상자(21)나 제2 피스톤 상자(22,21A)의 교환만으로 의하여, 밸브보디(20)를 매니폴드베이스에 설치한 대로이고, 싱글솔레노이드형과 더블솔레노이드형 상호간의 방법 변경 등에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파일럿식 전자밸브의 그 외의 방법 변경이나, 일부의 동작불량 부품의 수리, 교환할 때에는,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중합해서 교환하는 일없고, 필요한 부품만의 간단한 착탈, 교환에 의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주밸브에 파일럿밸브를 직접 설치된 종래의 것과 달리하며, 주 밸브(3,3A)나 파일럿밸브(4A,4B)를 각각 매니폴드베이스로부터 개별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정전시 등에 밸브를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수동조작부의 방법 변경, 혹은, 파일럿밸브의 솔레노이드이 전압의 변경, 표시등의 변경 등의 방법 변경, 불량품의 교환 등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경제적이다.
게다가, 분리하여 설치한 주밸브나 파일럿밸브는, 그들의 보수, 점검, 고장 발견 등이 쉬운 것뿐만 아니라, 주밸브의 보수점검을, 전기적 배선을 지닌 파일럿 밸브에 전혀 접촉되는 일없이 실시되므로, 보수점검 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의 파일럿식 전자밸브(61)는, 싱글솔레노이드형으로 외부의 파일럿식의 주밸브(63)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매니폴드베이스(62)위에, 주밸브(63)의 설치면과 제1 및 제2 파일럿밸브(4A,4B)의 설치면 등을 개별적으로 구비하며, 매니폴드베이스(62)의 설치면과 제1 및 제2 파일럿밸브(4A,4B)의 설치면 등을 개별적으로 구비하며, 매니폴드베이스(62)에는, 전기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구성에 가하여, 한쪽 끝이 파일럿공급유로(ps)에 연결하는 외부의 파일럿통로(64)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파일럿공급유로(ps)는,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된 제1 측판(12)과 마찬가지의 측판 등에서 외부의 파일럿유체가 공급되는 것으로 하고, 그 측판에 있어서, 파일럿공급유로(ps)와 공급포트(p) 등을 연결시키는 일은 없다.
한편, 상기한 주밸브(63)는, 밸브보디(65)와 그 축 방향 양측의 제1 피스톤 상자(66) 및 제2 피스톤상자(67) 등을 구비하고, 한쪽 끝을 파일럿공급유로(ps)에 연결시킨 외부의 파일럿통로(64)의 다른 끝은, 밸브보디(65) 및 제2 피스톤상자(67)에 형성된 통로(68)에 의하여, 제2 피스톤(32)이 미끄러짐 이동하는 제2 압력실(35)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그 제2 압력실(35)을 거쳐, 밸브보디(65)에 형성된 파일럿통로(69)에 연결시키고 있다. 그런데,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와 제2 압력실(35)의 연결은, 제2 피스톤상자(67)에 있어서 차단되어 있다.
이 파일럿식 전자밸브(61)는, 제2 압력실(35)에 파일럿공급유로(ps)로부터 외부의 파일럿유체가 공급되므로, 전기한 제2 파일럿밸브(43)의 설치면에 그 파일럿밸브가 설치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2파일럿밸브(4B)의 설치위치에, 도면에 표시하듯이 파일럿공급통로(40b)를 파일럿출력통로(42b)에 연결시키는 플러그(70)를 설치하고, 혹은 파일럿공급유로(ps)를 직접 파일럿출력통로(42b)에 연결시켜서, 그 파일럿출력통로(42b)를 제2 피스톤상자(67)에 있어서 제2 압력실(35)에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전자밸브(61)의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의 전자밸브(1)와 동일하므로, 도면의 주요 동일한 곳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의 전자밸브(61)는, 수동조작단추(36a)를 누르면, 외부의 파일럿통로(64)의 파일럿유체가 통로(68) 및 파일럿통로(69)를 통과하여 제1 압력실(34)에 공급되므로, 피스톤(31 과 32)의 지름차에 의하여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제6도의 밸브체의 상반부참조), 또, 수동조작단추(36a)의 누름을 해제하면, 제1 압력실(34)의 파일럿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제2 압력실(35)에 공급되어 있는 외부의 파일럿유체에 의하여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한다(제6도의 밸브체의 하반부 참조).
제7도는, 제6도의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전자밸브(61)로 바꾸어서, 더블솔레노이드형의 파일럿식 전자밸브(61A)를 사용한 경우를 표시하고, 이 경우에는, 매니폴드베이스(62)의 구성은 제6도의 경우와 변화하는 점이 없지만, 필연적으로, 그 매니폴드베이스(62)에 2개의 파일럿밸브(4A,4B)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 주밸브(63a)는, 밸브보디(65)의 일 측에, 제6도의 제2 피스톤상자(67)로 바꿔서, 제1 피스톤상자(66)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보유하는 제2 피스톤상자(67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제2 피스톤상자(67A)는, 제1 압력실(34) 및 제1 피스톤(31)과 동일지름의 제2 압력실(34A) 및 제2 피스톤(31a)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를 제2압력실(34A)에 연결시키는 통로(43b)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이 제2 피스톤상자(67A)에서는, 외부의 파일럿통로(64)를 파일럿통로(69)에 연결시키는 통로(68)를 부설하고, 그 통로중에 수동조작단추(36b)를 설치하고 있다. 단, 도시된 상태에서는 시일패킹(39)에 의하여, 통로(68)와 제2 압력실(34A)의 연결은 차단되어 있다.
제7도의 전자밸브(61a)의 그 외의 구성은, 전자밸브(61)와 동일하므로, 도면의 주요 동일한 곳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전자밸브(61A)에 있어서는, 파일럿밸브(4a)의 솔레노이드(s1)를 여자하면, 제1 압력실(34)에 파일럿유체가 출력되며, 파일럿밸브(43)의 솔레노이드(s2)를 여자하면, 제2 압력실(34A)에 파일럿유체가 출력된다. 정전 등의 사고 때에는, 수동조작단추(36a 또는 36b)를 누르면, 통로(68)로부터 제1 압력실(34) 또는 제2 압력실(34A)에 외부의 파일럿유체가 출력된다.
전자밸브(61A)의 그 외의 작용은, 전자밸브(6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2 실시예의 전자밸브에서는, 매니폴드베이스(2), 제1피스톤상자(66) 및 파일럿밸브(4A,4B) 등을, 제1 실시예와 동일부품을 그대로, 혹은 약간의 개변을 가할 뿐이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1도 및 제2도의 전자밸브는, 외부의 파일럿식으로의 방법 변경도 쉽고, 부품의 공통화에 의하여 값싼 것으로 할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파일럿식 전자밸브(71)에서는, 싱글솔레노이드형으로 외부의 파일럿식의 주밸브(73)와 파일럿밸브(4A) 등을 구비하고 있지만, 매니폴드베이스(72)상에는 제2 파일럿밸브(4B)를 설치하는 설치면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매니폴드베이스(72)에 있어서는, 각 파일럿통로를 밸브보디(75)에 있어서의 제1 피스톤상자(76)측으로 집약하여 개설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는 종류가 다른 매니폴드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를 표시하고, 필연적으로 그 매니폴드베이스(72)에 적합한 밸브구조를 지닌 주밸브(73)를 사용하고 있다
단, 매니폴드베이스(72)의 기본구성은, 전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것과 변화하는 점이 없으므로, 파일럿통로의 위치나 수에 약간의 개변을 가할 뿐이고, 그들의 매니폴드베이스(2,62,72)를 동일한 소재로 제조할 수도 있고, 또,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하듯이 매니폴드베이스를 연이어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양자를 혼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주밸브(73)는, 밸브보디(75)와 그 긴 쪽 방향 양단의 제1 피스톤상자(76) 및 제2 피스톤상자(77) 등을 구비하고, 밸브보디(75)의 축방향에는, 밸브구멍(25)과 제1, 제2 파일럿통로(78a,78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피스톤상자(76)는, 제1 피스톤(31) 및 제1 압력실(34)과 수동조작단추(36a) 등을 구비하고, 제2 피스톤상자(77)는, 제1 피스톤(31) 및 제2 압력실(34)보다 작은 지름의 제2 피스톤(32) 및 제2 압력실(3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72)이 밸브설치면에 있어서의 밸브보디(75)의 제1 피스톤상자(76)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파일럿통로(80) 및 제1, 제2 파일럿출력통로(42a,42b)의 한쪽 끝이 집약하여 개구해 있고, 제1 파일럿출력통로(42a)는 제1 실시예의 주밸브(3)와 마찬가지로, 제1 피스톤상자(76)의 제1 압력실(34)에 연결하고 있다. 또,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는 제1 피스톤상자(76)내의 통로(81a)에 의하여, 밸브보디(75)의 제2 파일럿통로(78b)에 연결시키고 있지만, 그 선단은 제2 피스톤상자(77)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한편, 외부의 파일럿통로(80)는, 통로(82a), 수동조작단추(36a)의 주위의 간극, 및 제1 파일럿통로(78a)에 의하여, 제2 피스톤상자(77)의 제2 압력실(35)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이 제8도의 제3 실시예의 다른 구성은, 제1도의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면의 주요한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예의 파일럿식 전자밸브는, 파일럿밸브(4A)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압력실(34)에 파일럿유체를 공급하면,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유로가 변환된다(제8도의 밸브체의 상반부 참조). 또, 제1 파일럿밸브(4A)의 작동해제에 의하여 제1 압력실(34)의 파일럿유체를 배출하면, 통로(82a) 및 파일럿통로(78a)를 통하여 제2 피스톤상자(77)의 압력실(35)로 공급되어 있는 외부의 파일럿유체에 의하여,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한다(제6도의 밸브체의 하반부 참조).
정전 등의 사고 때에는, 수동조작단추(36a)를 누르면, 외부의 파일럿통로(80)가 통로(82a)를 통하여 제1 압력실(34)에 연결됨과 아울러, 시일패킹(37)에 의하여 제1 압력실(34)과 제1 파일럿출력통로(42a)의 연결이 차단되므로, 제1 압력실(34)에 외부의 파일럿유체가 유입되어,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또, 수동조작단추(36a)의 누름을 해제하면, 제1 압력실(34) 내의 파일럿유체가 외부에 배출됨과 아울러, 통로(78a)를 통하여 제2 압력실(35)에 파일럿유체가 공급되므로, 밸브체(33)가 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제9도는, 상기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매니폴드베이스(72)상에, 더블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73a)를 설치한 변형예를 표시하고 있다. 본 파일럿식 전자밸브(71A)의 주밸브(73A)에 있어서의 제2 피스톤상자(77A)는, 제1 피스톤상자(76)에 있어서의 제1 피스톤(31) 및 제1 압력실(34)과 동일지름의, 제2 피스톤(31A) 및 제2 압력실(34a)을 구비함과 아울러 제1 피스톤상자(76)의 수동조작단추(36a)와 마찬가지의 수동조작단추(36b)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파일럿출력통로(42a)는 제1 피스톤상자(76)의 제1 압력실(34)에 연결시켜, 제2 파일럿출력통로(42b)는, 제1 피스톤상자(76) 내의 통로(81a) 및 밸브보디(75)의 제2 파일럿통로(78b)를 거쳐, 더욱이 제2 피스톤상자(77A) 내로 형성된 통로(81b)를 통하여 제2 압력실(34A)에 연결시켜, 또, 외부의 파일럿통로(80)는, 통로(82a), 수동조작단추(36a)의 주위의 간극 및 제1 파일럿통로(78a)에 의하여, 제2 수동조작단추(36b)의 시일패킹(39)에 의하여, 제2 압력실(34A)과의 연결이 차단되어 있다.
이들의 전자밸브(71,71A)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전자밸브(1,IA)와 동일하므로, 도면의 주요 동일한 곳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3 실시예 및 그 변형예의 전자밸브(71,71A)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피스톤상자(77 과 77A)의 구성이 다른 이외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싱글솔레노이드형과 더블솔레노이드형의 방법 변경이 극히 쉽다.
제10도는, 상기한 각 실시예의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소켓설치부(10a) 및 파일럿밸브(4A,43)의 급전단자(48)가 접속되는 소켓(51)이, 각각, 양쪽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파일럿밸브(4A,4B) 사이 쪽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그 반대측, 즉, 매니폴드베이스(85)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파일럿밸브(4A,4B)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양단 측에, 배선수납로(86)에 연결하는 한 쌍의 소켓 설치부(86a)를 설치함과 아울러, 그곳에 소켓(87)을 설치하도록 한 변형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전기한 각 실시예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솔레노이드(s1,s2)에 급전하는 급전선(52)은, 급전선수납로(10) 등을 통하지 않고, 급전단자(48)에 직접 접속하여, 각 파일럿밸브(4A,4B)의 위쪽에서 급전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주밸브와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을 매니폴드베이스 위에 직렬로 설치한 경우를 표시하고 있지만, 제11도 및 제12도에는,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을 병렬로 설치한 제4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즉, 제11도의 파일럿식 전자밸브(91)는,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93)(제11도 참조)와 파일럿밸브(4A) 등을 구비한 것이지만, 제12도에 있어서의 파일럿식 전자밸브(977)는, 더블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93A)와, 파일럿밸브(4A,4B) 등을 구비하고, 이들의 파일럿밸브(4A,4B)는, 동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매니폴드베이스(92)의 연이어 설치하는 방향에 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이들의 전자밸브(91,91A)에 있어서의 주밸브(93,93A)는, 제1 실시예의 주밸브(3,3A)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기재된 싱글솔레노이드형 및 더블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로 할 수도 있다. 이들의 파일럿식 전자밸브는, 제12도에 표시하듯이, 전자밸브(91 과 91A)의 양쪽을 원하는 수만큼 연이어 설치하고, 혹은 어느 한쪽만을 원하는 수만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92)는, 설치하는 전자밸브에 대응하는 구성을 보유하는 매니폴드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파일럿밸브(4A,4B)를 설치한 방향으로 병설하여 있으므로, 전술한 각 실시예의 매니폴드베이스는 길이방향의 길이 및 각 파일럿통로 및 배선수납로(10)의 매니폴드베이스 윗면의 개구위치가 상위(相違)하고 있다. 이 경우에, 어떤 구성을 보유하는 매니폴드베이스를 연이어 설치하여도, 이들의 통로 및 배선수납로를 연이은 설치방향에 기밀하게 연이어 설치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제4 실시예의 파일럿식 전자밸브는, 파일럿밸브(4A,4B)를 매니폴드베이스(92)의 설치방향에 따라 병설된 것으로서, 매니폴드베이스이 설치방향 폭이 약간 넓어지지만,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연이어 설치된 경우에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이어 설치하는 파일럿식 전자밸브의 수가 적을 때나, 주밸브와 유량이 크므로, 파일럿밸브(4A,4B)에 비하여 큰 지름일 때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이 제4 실시예의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어느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으로 상술한 각 실시예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서는, 주밸브와 파일럿밸브 등을 분리하여 매니폴드베이스에 설치하였으므로, 매니폴드베이스의 밸브설치면에, 더블솔레노이드형이나 싱글솔레노이드형의 주밸브를 설치하고 그 주밸브에 따라서 2개 또는 1개의 파일럿밸브를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설치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파일럿식 전자밸브를 더블솔레노이드형으로 하거나, 싱글솔레노이드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주밸브에 파일럿밸브를 직접 설치한 것과 다르며, 파일럿식 전자밸브의 각종 방법 변경이나, 일부의 동작불량 부품의 수리, 교환할 때에는,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종합해서 교환하는 일없이, 필요한 부품만의 간단한 교환에 의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고, 게다가, 분리하여 설치된 주밸브와 파일럿밸브는, 그들의 보수, 점검, 고장발견 등이 쉬울 뿐만 아니라, 주밸브의 보수점검을, 전기적 배선을 지닌 파일럿밸브에 전혀 접촉되는 일없이 실시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며, 또, 방법 변경이나 파손 등의 경우에는 이들의 밸브를 개별적으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극히 경제적이다.
이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있어서는, 매니폴드베이스에 주밸브와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을 설치하고, 이들의 설치면에 주밸브와 파일럿밸브를 분리하여 설치하였으므로, 이들의 밸브의 방법 변경이나 일부의 고장이나 보수 점검할 때에, 주밸브 및 파일럿밸브를 종합해서 교환하는 일없고, 부품의 교환에 의하여, 그 방법 변경 등에 쉽고 또한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또, 일부의 동작불량 부품의 수리, 교환에도 용이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Claims (3)

  1. 매니폴드베이스 위에, 출력개구를 공급개구와 배출개구로 변환하여 연결시키는 주밸브와, 그 주밸브의 밸브체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 구동의 파일럿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파일럿밸브로부터 공급되는 파일럿유체에 의하여 주밸브의 밸브체를 그 축선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개구 사이의 유로를 변환하여 연결시키는 파일럿식 전자밸브에 있어서, 상기한 매니폴드베이스에, 주밸브와 2개의 파일럿밸브를 분리하여 설치하고, 실질적으로 전체가 평평한 밸브설치면과, 그 연이어 설치된 방향에 관통하는 압력 유체의 공급유로 및 배출유로와, 전단면으로 개구하는 출력포트와, 이들의 유로 및 포트를 상기한 주밸브와 설치면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개구에 각각 연결시키는 통로와,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그 파일럿밸브의 파일럿공급개구 및 파일럿배출개구에 대응하는 위치로 각각 개구하는 제1, 제2의 파일럿공급유로 및 제 1, 제2 배출유로와, 일단이 이들의 파일럿 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파일럿출력개구에, 타단이 주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파일럿유체의 통로에 각각 개구하는 제 1, 제2의 파일럿출력통로 등을 설치하고, 상기한 주밸브의 설치면에 주밸브를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그 주밸브의 동작에 필요한 파일럿밸브를, 서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주밸브에 수동조작단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전자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매니폴드베이스에, 제1 또는 제2의 파일럿출력통로 중 어느 하나로 바꿔서, 또는 그들에 가하여, 파일럿공급유로를 주밸브의 설치면에 있어서의 파일럿 유체의 통로에 개구시키는 외부의 파일럿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전자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니폴드베이스에 있어서의 2개의 파일럿밸브의 설치면에, 매니폴드베이스 내로 설치된 급전선 수납로의 급전선에 접속된 급전용 소켓을 설치하고, 파일럿 밸브에, 그것을 상기한 설치면에 설치했을 때에 상기한 소켓에 접속되는 급전단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식 전자밸브.
KR1019970012094A 1996-04-03 1997-04-02 파일럿식 전자밸브 KR100271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06309A JPH09273652A (ja) 1996-04-03 1996-04-03 パイロット式電磁弁
JP96-106309 1996-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78A KR970070678A (ko) 1997-11-07
KR100271471B1 true KR100271471B1 (ko) 2000-12-01

Family

ID=1443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94A KR100271471B1 (ko) 1996-04-03 1997-04-02 파일럿식 전자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00001B1 (ko)
JP (1) JPH09273652A (ko)
KR (1) KR100271471B1 (ko)
DE (1) DE69708954T2 (ko)
TW (1) TW31166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5038A1 (de) * 2008-02-01 2009-08-06 Festo Ag & Co. Kg Ventileinrichtung mit handhilfsbetätig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0894C2 (de) * 1992-01-13 1995-07-20 Mannesmann Ag Ventilmodul für fluidische Anschlußleisten
US5184648A (en) * 1992-04-27 1993-02-09 The Rexroth Corporation Solenoid-operated valve for mounting in seriatim having automatic wireway device
DE4305608A1 (de) * 1993-02-24 1994-08-25 Bosch Gmbh Robert Ventilblock
JP2616875B2 (ja) * 1993-05-12 1997-06-04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678A (ko) 1997-11-07
EP0800001B1 (en) 2001-12-12
TW311661U (en) 1997-07-21
DE69708954D1 (de) 2002-01-24
JPH09273652A (ja) 1997-10-21
DE69708954T2 (de) 2002-06-27
EP0800001A1 (en) 199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633B1 (ko) 센서가 부착된 매니폴드밸브
KR100670632B1 (ko) 전자 파일롯식 스위칭 밸브
KR100640101B1 (ko) 연접형 전자밸브
KR100415784B1 (ko) 위치검출기능을 구비한 매니폴드밸브
JP3837205B2 (ja) 封止形切換弁組立体
US7677264B2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 with external port
US8347921B2 (en) Parallel type valve assembly
CN101460746B (zh) 阀装置
CN110005842B (zh) 夹置块、阀歧管块及用于阀歧管组件的歧管块
US5918629A (en) Solenoid valve manifold with switch
US5996629A (en) Pilot solenoid valve
JP2007032831A (ja)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EP0915259B1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connector device
US6216740B1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 with relay unit
KR100271471B1 (ko) 파일럿식 전자밸브
EP0800002B1 (en) Solenoid pilot valve
US20220381264A1 (en) A Valve Manifold, Valve and Actuator Assembly
JPH07280121A (ja) 電磁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927

Effective date: 200004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