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40B1 -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 Google Patents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40B1
KR100270740B1 KR1019980030284A KR19980030284A KR100270740B1 KR 100270740 B1 KR100270740 B1 KR 100270740B1 KR 1019980030284 A KR1019980030284 A KR 1019980030284A KR 19980030284 A KR19980030284 A KR 19980030284A KR 100270740 B1 KR100270740 B1 KR 10027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soil
dredged
soil
floating
sof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169A (ko
Inventor
임철웅
Original Assignee
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웅 filed Critical 임철웅
Priority to KR101998003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7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토투가장(浚渫土投棄場)의 액체상태인 준설토연약지반을 조기에 개량하기 위하여 여과용 주름배수관을 수직드레인과 수평드레인으로 설치하는 등 탈수촉진을 위한 시공작업을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안된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 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 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본 발명은 준설토투기장(浚渫土投棄場)의 준설토(浚渫土)가 처음에는 액체상태이므로 준설연약지반을 조기에 개량할시에는 준설토표층을 표층강화하여야만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장비를 진입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준설토표층의 표층강화를 위하여 부상매트슬라브공법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부상매트슬라브를 액체상태의 준설토의 표층에 시공설치하므로서 표층이 강화된 준설토의 표층으로 시공설치된 부상매트슬라브의 상부로 준설토연약지반을 조기개량하기 위한 장비를 진입하여 준설토연약지반을 개량하기위한 시공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종래 준설토투기장은 조기에 개량할시에는 액체상태의 준설토의 표면에 적정 두께의 시멘트를 급결시켜 표층을 강화하는 고화처리공법으로 시공설치하였다. 이와같은 종래의 시멘트고화처리공법은 시공설치작업이 복잡성 및 작업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시공설치비용이 많이들며, 또한 준설토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 때문에 비효율성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준설토투기장을 조기에 개량하기 위하여는 준설설투기장이 초기에는 액체상태이므로 준설토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장비를 진입하기 위하여 준설 토표층을 강화하는 별도의 시공설치작업이 필요하였다.
일반적으로 준설토를 형성하고 있는 흙에 물의 중량비가 2/3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액체상태의 준설토표면에 장비가 들어갈수가 없었다. 따라서, 액체상태인 준설토투기장의 준설토연약지반을 조기에 개량하기위한 장비진입을 목적으로 준설토표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부상매트슬라브의 구조물을 제안하였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부상매트슬라브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스치로폴판체를 넓이로 다수개 결합하여 보인 부상매트슬라브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스치로폴판체를 넓이와 두께로 다수개를 결합하여 보인 부상매트슬라브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시공완료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부상매트슬라브를 시공장소인 준설토연약지반에 설치하여 보인 부상매트슬라브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치로폴판체 1a : 결합형 스치로폴판체
2 : 이·표면 3, 3a : 접착면
4, 4a, 7, 7a : PE매트 5 : 절곡핀
6, 8, 9 : 부상매트슬라브 10 : 준설토연약지반
11 : 준설토표층 12 :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
12a : 돌출배수관 13 : 여과용 수평주름배수관
14 : 시공구멍 15 : 배수층
16 : 배수담수로
제1도는 본 발명의 부상매트슬라브(6)의 사시도로서 부상재질의 스치로폴(EPS)을 적정두께와 넓이로 성형제작한 스치로폴(EPS)판체(1)의 이·표면(2)의 둘레부에 접착면(3)을 형성시켜 PE매트(4)(4a)를 부착하여 그 둘레부를 절곡핀(5)로 핀묶음시켜 패널형 부상매트슬라브(6)을 제작한다.
제2도는 제1도에서 성형제작한 스치로폴판체(1)을 넓이로 다수개를 결합하여 보인사시도로서 스치로폴판체(1)을 종으로 3개와 횡으로 4개를 연설하여 그 이·표면(2)의 둘레부에 형성시킨 각 접착면(3)에 보다 넓은 PE매트(7)(7a)를 부착하여 결합형 스치로폴판체(1a)를 형성한 다음 각 스치로폴판체(1)의 둘레부를 절곡핀(5)로 핀묶음시켜 넓은 패널형 부상매트슬라브(8)을 제작한다.
제3도는 제1도에서 성형제작한 구조와 동일한 스치로폴판체(1)을 넓이로 다수개로 연설하며 두께로 3개를 층설시켜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스치로폴판체(1)을 종으로 3개와 횡으로 4개를 연설하여 형성한 결합형 스치로폴판체(1a)를 3겹으로 층설하여 그 이·표면(3a)에 PE매트(7)(7a)를 부착한 다음 각 스치로폴판체(1)의 둘레부를 절곡핀(5)를 핀묶음시켜 두텁고 넓은 패널형 부상매트슬라브(9)를 제작한다.
이때 각 결합형판체(1a)를 형성하는 각 스치로폴판체(1)은 그 이·표면(2)의 둘레부와 두께부의 각 내측면에 형성시킨 접착면(3)(3a)에 의하여 3개를 층설시킨 결합형 스치로폴판체(1a)가 일체화로 부착되어 견고하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준설토투기장의 내부에 액체상태의 준설토연약지반(10)의 표면부로 부상매트슬라브(6)(8)(9)를 깔아 설치하여 준설토표충(11)을 형성하면서 탈수촉진을 위한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와 여과용 수평주름배수관(13)을 설치할 수 있는 장비(도시생략)를 진입시켜 상기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를 시공설치하기 위한 시공구멍(14)를 뚫어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를 상기 준설토표층(11)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배수관(12a)가 돌설되도록 시공설치하여 준설토표충(11)의 상면부로 모래와 자갈을 적정두께의 배수층(15)을 형성하면서 배수층(15)의 내부에 상기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의 돌출배수관(12a)에 걸어 묶음시키는 여과용 수평주름배수관(13)을 배수담수로(16)에 돌출되도록 설치한다음, 배수층(15)의 상면부로 적정한 높이의 성토흙(17)을 쌓아 올려주므로서 본 발명의 시공작업을 완료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8은 준설토투기장, 19는 바다, 20은 준설토투기장(18)의 둑을 표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준설토연약지반(10)의 조기개량을 위한 장비진입용 각부상매트슬라브(6)(8)(9)를 액체상태의 준설토표면 일측으로부터 깔아가면서 준설토연약지반(10)의 전체면으로 설치하여 주므로서 상기 각부상매트슬라브(6)(8)(9)를 형성하고 있는 부상재질의 스치로폴(EPS)에 의하여 액체상태의 준설토표면의 부력이 작용되면서 준설토연약지반(10)의 조기개량을 위한 장비(도시생략)를 진입할 수 있는 견고한 준설토표층(11)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견고한 준설토표층(11)의 표면으로 장비를 진입시켜 준설토연약지반(10)의 정도와 깊이에 따라 적정간격과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을 시공설치하기 위한 시공구멍(14)를 적정크기와 간격마다 뚫어 각 시공구멍(14)에는 미리 준비된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를 돌출 배수관(12a)가 형성되도록 심설한 다음, 상기 각 돌출배수관(12a)에는 각 여과용 수평주름배수관(13)을 걸어묶어 설치한 상태가 매설되도록 모래꽈와 자갈을 적층하여 적정두께의 배수층(15)를 형성하고 배수층(15)의 상면부로는 준설토연약지반(10)의 정도와 깊이에 따라 적정한 높이의 성토흙(17)을 쌓아올려 주므로서 본 발명의 시공작업이 완료된다. 이와같은 상태는 준설토연약지반(10)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과 여과용 수평수름배수관(13)으로 유입되어 여과용 수평주름배수관(13)과 배수층(15)를 통하여 배수담수로(16)으로 탈수된다. 이때 배수층(15)의 상면부에 쌓아을린 성토흙(17)의 중압에 의하여 준설토연약지반(10)의 탈수를 더욱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상매트슬라브(6)(8)(9)는 별도로 패널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부상재질의 스치로폴(EPS)과 PE매트, 절착제 및 절곡핀 등을 준비하여 시공현장에서 직접 제작 및 시공설치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준설토연약지반을 조기에 개량하기 위하여 액체상태의 준설토표면의 하중을 분산시켜 준설토표층을 강화 할 수 있는 제품의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하므로서 준설토연약지반을 조기에 개량할 수 있는 장비를 진입할 수 있는 견고한 준설토표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형성된 준설토표충에의하여 준설토연약지반을 조기에 개량하기 위한 준설토연약지반의 탈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장비 및 구조물들을 용이하게 진입하여 시공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시공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준설토연약지반(10)의 표면부로 부상매트슬라브(6)을 설치하여 형성시킨 견고한 준설토표층(11)의 표면부로 준설토연약지반(10)의 조기개량을 위한 장비를 진입시켜 준설토연약지반(10)의 정도와 깊이에 따라 적정간격마다 시공구멍(14)를 뚫어 여과용 수직주름배수관(12)를 돌출배수관(12a)가 돌설되도록 시공설치하며, 돌출배수관(12a)가 돌설된 준설토표층(11)의 상면부에는 배수층(15)를 형성하면서 여과용 수평주름배수관(13)을 상기 돌출배수관(12a)에 걸어묶음시켜 배수담수로(16)에 돌출되도록 설치한 다음 배수충(15)의 상면부로 성토흙(17)을 적층하여 시공을 완료함을 특징으로한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 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2. 부상물체의 스치로폴(EPS)을 적정두께와 넓이와 성형제작한 스치로폴(EPS)판체(1)의 이·표면(2)의 둘레부에 접착면(3)을 형성하며, 접착면(3)에는 PE매트(4)(4a)를 부착하여 그 둘레부를 절곡핀(5)로 핀묶음시켜서된 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
  3. 제2항에 있어서, 이·표면(2)의 둘레부에 접착면(3)을 형성시킨 스치로폴판체(1)을 종, 횡으로 수개 연설하여 그 이·표면(2)에 PE매트(7)(7a)를 부착하여 결합형 스치로폴판체(1a)를 형성한 다음 각 스치로폴판체(1)의 둘레부를 절곡핀(5)로 핀묶음시켜서된 준설토연약지반의 탈수촉진을 위한 조기개량장비 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
  4. 제2항에 있어서, 결합형 스치로폴판체(1a)를 3겹으로 층설하여 그 이·표면에 PE매트(7)(7a)를 부착한 다음 각 스치로폴판체(1)의 둘레부를 절곡핀(5)로 핀묶음시켜서된 준설토연약지반의 탈수촉진을 위한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
KR1019980030284A 1998-07-28 1998-07-28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KR10027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84A KR100270740B1 (ko) 1998-07-28 1998-07-28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284A KR100270740B1 (ko) 1998-07-28 1998-07-28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69A KR19980072169A (ko) 1998-10-26
KR100270740B1 true KR100270740B1 (ko) 2000-11-01

Family

ID=1954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284A KR100270740B1 (ko) 1998-07-28 1998-07-28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161A (ko) * 2002-10-01 2004-04-17 김병호 연약지반의 배수층 성토 공법
KR102031416B1 (ko) 2017-08-23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매트슬래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169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2916A (zh) U形装配式钢筋混凝土盖板涵洞及其施工方法
KR970065905A (ko) 구조물용 보강틀 및 보강틀을 이용한 건설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5863089A (zh) 后浇带防水结构及处理方法
CN105756100A (zh) 地下室后浇带系统及其制备方法
KR100270740B1 (ko) 준설토연약지반의 개량장비진입용 부상매트슬라브를 이용한준설토연약지반의 조기개량시공법 및 그 물건
KR0178708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콘크리트 양면 블록의 제조방법
CN110805047A (zh) 一种土质边坡保土护坡景观结构及施工方法
KR100659035B1 (ko) 점성토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표층처리강화공법 및표층처리구조
CN115418908A (zh) 一种人行道海绵渗排系统及施工方法
CN211873024U (zh) 地连墙及地下支护装置
KR200384144Y1 (ko)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JPH0583688B2 (ko)
RU2655312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крепления откосов земляного полотна
KR100310728B1 (ko) 진공압밀 하중을 이용한 준설토 연약 지반의 조기 개량 시공법및그 부상 매트 슬라브
KR100427589B1 (ko) 부직포를 이용한 진공탈수에 의한 점성토준설매립지반의표층처리시공법 및 표층처리구조
CN213926386U (zh) 一种底板后浇带施工缝防渗漏结构
CN214143763U (zh) 一种深水大型双壁钢套箱围堰封底结构
JP3571139B2 (ja) 非連通型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浸透施設
CN219672265U (zh) 一种新型水池防漏装置
CN108221545A (zh) 一种透水砖路面结构及其施工工艺
WO2002042561A2 (en) PERMEABLE PAVE
KR940019935A (ko) 여과용 주름 배수관을 이용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공법
CN107700760A (zh) 一种反梁种植屋面排水方法及其系统
CN210975902U (zh) 一种地下室后浇带防渗结构
JP2506050B2 (ja) アスファルトマスチック層の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