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642B1 -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642B1
KR100269642B1 KR1019980004404A KR19980004404A KR100269642B1 KR 100269642 B1 KR100269642 B1 KR 100269642B1 KR 1019980004404 A KR1019980004404 A KR 1019980004404A KR 19980004404 A KR19980004404 A KR 19980004404A KR 100269642 B1 KR100269642 B1 KR 10026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fd
voice
recogni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880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0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6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어 및 외국어로 출력되는 음성 다중 신호를 선택적으로 VFD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다중신호중에서 한국어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는 제 1필터 및 제 1음성복조부에 의해 제 1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진 후 제 1증폭부의 증폭 과정을 거쳐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반면, 외국어 및 인식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는 제 2필터 및 제 2음성복조부에 의해 제 2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져 제 2증폭부에 인가되고, 이 때 인식 신호 검출부가 상기 제 2저주파 음성신호에 포함된 인식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인식 신호가 음성 다중 신호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경우, 마이컴이 음성인식부 및 VFD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제 2증폭부에서 인가되는 제 2저주파 음성신호를 그 폰트에 맞게 디지털 변환하여 VFD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VFD제어부는 VFD구동에 필요한 애노우드 구동 신호 및 그리드 구동 신호를 가시 형광 표시 장치인 VFD에 인가하여, 상기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가 VFD형광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정보의 전달성을 높이는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어 및 외국어로 출력되는 음성 다중 신호를 선택적으로 VFD(Vaccum Fluorescent Display;가시형광표시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A output apparatus of multi-sound signal in using VFD for television)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 다중 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텔레비전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와, 상기의 안테나(1)로부터 입력된 복수 개의 텔레비전 신호 중에서 하나의 방송 신호만을 선택하는 튜너부(2)와, 상기의 튜너부(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증폭시키는 IF증폭부(3)와, 상기의 IF증폭부(3)로부터 출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 중에서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음성검파부(4)와, 상기의 음성검파부(4)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5)와, 상기의 음성처리부(5)의 출력 신호에서 음성 다중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다중처리부(6)와,
상기의 음성다중처리부(6)의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8)에 음성으로 출력시키는 음성증폭부(7)와, 상기의 음성다중처리부(6)의 출력 신호가 필터(9), 적분기(10) 및 비교기(11)를 통하여 입력되고, 상기의 입력 신호가 음성 다중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12)과, 리모트컨트롤러(15)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의 음성처리부(5)에 음성 다중 출력 등의 제어 신호를 PWM발생부(13) 및 적분회로부(14)를 통하여 출력하는 상기의 마이컴(12)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음성 다중 갖는 텔레비전에서 출력되는 음성 다중은 스피커 및 헤드폰을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의 스피커 및 헤드폰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 다중을 청취하는 사용자가 외국어에 능숙하지 못하거나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 상기의 음성 다중 정확하고 신속하게 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다중 갖는 텔레비전에서 스피커 및 헤드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다중 선택적으로 VFD(Vaccum Fluorescent Display;가시형광표시장치)를 통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출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음성복조수단 및 증폭 수단이 외국어 및 인식 신호를 포함한 음성신호에서 저주파 음성신호를 뽑아내어 증폭하고, 인식 신호 검출수단이 상기 음성복조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 혼합된 인식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인식 신호가 음성다중방송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경우, 제어 수단이 음성 인식 수단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그 폰트에 맞게 디지털 변환되도록 하며, 상기 음성 인식 수단으로부터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를 인가 받은 VFD제어 수단이 VFD출력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애노우드 구동 신호 및 그리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VFD형광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음성 다중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개략적인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11 : 고주파 증폭부
112 : 혼합부 113 : 국부발진부
120 : IF증폭부 130 : 영상검파부
140 : 제 1필터 150 : 제 1음성복조부
160 : 제 1증폭부 170 : 스피커
180 : 제 2필터 190 : 제 2음성복조부
200 : 제 2증폭부 210 : 음성인식부
220 : VFD제어부 230 : VFD
240 : 마이컴 250 : 리모트컨트롤러
260 : 인식신호검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음성 다중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음성다중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 이용되는 음성다중방식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2개의 전파를 이용하는 투 캐리어(TWO CARRIER) 방식, 즉 영상 전파, 영상 전파보다 4.5MHZ높은 음성전파 및 영상 전파보다 4.7242MHZ높은 또다른 음성 전파를 동시에 송신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으며, 상기의 음성 다중 방송을 하는 경우로는 FM 스테레오 방송과 같이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 및 한국어와 외국어를 동시에 방송(뉴스, 외국영화 등)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에는 제 1음성반송파에 좌/우 신호를 합한 신호(L+R=MONO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하고, 제 2반송파에는 좌/우 차신호(L-R신호) 및 자동 인식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의 자동 인식 신호(IDENTIFICATION SIGNAL)는 수신 측에서 스테레오 방송을 하고 있는지 아니면 두 개의 음성 다중 하고 있는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수직귀선기간마다 보내어지는 신호(FM 스테레오 방송에서 파일럿 신호에 상응하는 신호)로서, 상기 자동 인식 신호는 스테레오 방송을 할 경우 55.07KHZ(수평동기신호 주파수의 3.5배)를 부반송파(SUB-CARRIER)로 이것을 149.9HZ(수평 동기 신호 주파수의 1/105)로 50% 진폭 변조한 신호이며, 두 개의 음성 다중 하는 경우에는 55.07KHZ를 276.0HZ(수평 동기 신호 주파수의 1/57)로서 50% 진폭 변조한 신호이다.
또한, 제 1음성전파 및 제 2음성 전파의 주파수 편이분은 ±25KHZ이지만 제 2음성 전파의 경우는 자동 인식 신호 ±2.5KHZ가 더 부가되므로 ±27.5KHZ가 되며, 상기 자동 인식 신호 등이 수평 동기 신호(15734.26HZ)와 일정한 관계가 있는 특정주파수로 지정해 두는 이유는 송수신 과정에서 영상 신호와 색부반송파, 및 음성반송파와 동기 신호들 간에 상호 간섭이 일어서 영상 신호에 악영향을 주거나 음성 채널간에 누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고, 대역 폭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되는 복합 영상 신호인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증폭부(111), 상기 고주파 증폭부(111)로부터 증폭된 입력 신호와 국부발진부(113)로부터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인가 받아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혼합부(112) 및 상기 혼합부(112)에 주파수 변환용의 신호를 공급하는 국부발진부(113)로 구성되는 튜너부(110)와,
상기 튜너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 영상 신호를 중간주파증폭하는 IF증폭부(120)와, 상기 IF증폭부(120)로부터 중간주파증폭되어 인가되는 중간 주파 신호를 AM검파하여 영상 신호, 제 1음성신호(4.5MHZ의 FM파) 및 제 2음성신호(4.7242MHZ의 FM파)가 혼합된 복합 신호를 뽑아내는 영상검파부(130)와,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 신호 중에서 4.5MHZ의 제 1음성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1필터(140)와,
상기 제 1필터(140)로부터 4.5MHZ의 FM신호를 인가 받아 제 1음성신호(50-15000HZ의 저주파 신호)를 꺼내는 제 1음성복조부(150)와, 상기 제 1음성복조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저주파 신호를 증폭시켜 스피커(170)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 1증폭부(160)와,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복합 신호 중에서 4.7242MHZ의 제 2음성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2필터(180)와, 상기 제 2필터(180)로부터 4.7242MHZ의 FM신호를 인가 받아 제 2음성신호(50-15000HZ의 저주파 신호)를 꺼내는 제 2음성복조부(190)와,
상기 제 2음성복조부(19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저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제 2증폭부(200)와, 후술하는 마이컴(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증폭부(200)로부터 음성 저주파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털 변환하여 VFD제어부(220)에 출력하는 음성인식부(210)와, 상기 음성인식부(210)에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인가 받은 후 VFD(Vaccum Fluorescent Display가시 형광 표시 장치;230)에 애노우드(ANODE) 구동 신호 및 그리드(GRID)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VFD제어부(220)와,
상기 VFD제어부(220)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디지털 음성신호를 VFD 형광 면에 출력하는 VFD(Vaccum Fluorescent Display 가시형광 표시장치;230)와, 후술하는 마이컴(2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2음성복조부(150)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 인식 신호를 AM검파하여 인식 신호를 꺼내는 인식 신호 검출부(260)와, 리모트컨트롤러(25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인식 신호 검출부(260), 음성인식부(210) 및 VFD제어부(22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컴(24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텔레비전의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인 고주파 신호는 튜너부(110)의 입력 회로(도시 안됨)를 통하여 공급선(FEEDER)의 특성 임피이던스와 고주파 증폭부(111)의 입력 임피이던스가 매칭되어 고주파 증폭부(111)에 출력되고, 상기 고주파 증폭부(111)는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의 이득을 높이고, 선택도를 좋게 하며 이미지 방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 증폭부(111)를 통해 증폭된 신호 및 상기 국부발진부(113)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는 혼합부(112)에 입력되고, 상기 혼합부(112)는 고주파 신호 및 국부발진부파수를 혼합하여 2개 주파수의 차에 해당하는 중간 주파 신호를 발생한 후, IF증폭부(120)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의 IF증폭부(120)는 중간 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영상검파부(130)에 출력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250)를 조작하여 VFD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마이컴(240)은 상기의 영상검파부(130) 및 인식 신호 검출부(26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마이컴(240)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영상검파부(130)는 IF증폭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중간 주파 신호를 AM검파함으로써 영상 신호,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가 혼합된 복합 신호를 검파하게 되며, 상기 제 1음성신호인 4.5MHZ의 FM신호에는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 L+R(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를 합성한 신호)가 들어 있게 되고, 두 개의 음성 방송(한국어와 외국어)을 하는 경우에는 한국어가 들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음성신호인 4.7242MHZ의 FM신호에는 상기 스테레오 방송을 하는 경우 L-R신호가 들어 있게 되고, 상기 2개국어 방송을 하는 경우 외국어와 인식 신호가 들어 있게 되며, 모노(MONO)방송을 하는 경우 인식 신호는 0HZ로 된다.
상기 영상검파부(130)로부터 출력되는 복합 신호에는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가 혼합되어 있어 상기의 제 1필터(140)를 통해서는 상기 제 1음성신호만이 통과되고, 상기의 제 2필터(180)를 통해서는 상기 제 2음성신호만이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필터(140)로부터 출력되는 제 1음성신호는 제 1음성복조부(150)에 의해 제 1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진 후 제 1증폭부(160)의 증폭 과정을 거쳐 스피커(170)를 통하여 출력된다.
반면, 상기 제 2필터(180)로부터 출력되는 제 2음성신호는 제 2음성복조부(190)에 의해 제 2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진 후 제 2증폭부(200)에 출력되며, 상기 제 2증폭부(200)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인식부(210)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240)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인식 신호 검출부(260)는 제 2음성복조부(190)로부터 인식 신호를 검출하여 마이컴(240)에 인가하게 되며, 상기 마이컴(240)은 인식 신호를 판별하여 판별된 인식 신호가 음성다중방송임을 나타내는 신호이면 음성인식부(210) 및 VFD제어부(22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음성인식부(210)는 마이컴(24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2증폭부(20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음성신호를 그 폰트에 맞게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VFD제어부(220)에 출력하고, 상기 VFD제어부(220)는 마이컴(2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VFD(Vaccum Fluorescent Display가시 형광 표시 장치;230)의 구동에 필요한 애노우드(ANODE) 구동 신호 및 그리드(GRID) 구동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VFD(230)는 VFD제어부(220)의 구동 신호에 의해 애노우드 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문자 형성을 위한 매트릭스 모양으로 재배열하여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를 형광 면에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170)로 출력되는 한국어를 포함한 음성신호를 VFD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국어를 포함한 음성신호가 VFD에 출력되는 과정과 동일하며, 다만 제 2음성복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혼합된 인식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이 생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다중신호중에서 한국어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는 제 1필터 및 제 1음성복조부에 의해 제 1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진 후 제 1증폭 부의 증폭 과정을 거쳐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반면, 외국어 및 인식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신호는 제 2필터 및 제 2음성복조부에 의해 제 2저주파 음성신호가 꺼내어져 제 2증폭부에 인가되고, 이 때 인식 신호 검출부가 상기 제 2저주파 음성신호에 포함된 인식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인식 신호가 음성 다중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경우, 마이컴이 음성인식부 및 VFD제어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인식부는 제 2증폭부에서 인가되는 제 2저주파 음성신호를 그 폰트에 맞게 디지털 변환하여 VFD제어부에 출력하고, 상기 VFD제어부는 VFD구동에 필요한 애노우드 구동 신호 및 그리드 구동 신호를 가시 형광 표시 장치 VFD에 인가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된 음성신호가 VFD형광 면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성 다중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VFD에 출력할 수 있는 텔레비전에 있어서,
    외국어 및 인식 신호를 포함한 음성신호에서 저주파 음성신호를 뽑아내는 음성복조수단 및 증폭하는 증폭 수단과,
    상기 음성복조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에 혼합된 인식 신호를 검출하는 인식 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그 폰트에 맞게 디지탈 변환하는 음성 인식 수단과,
    상기 음성 인식 수단으로부터 디지탈 변환된 음성신호를 인가 받은 후 애노우드 구동 신호 및 그리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VFD제어수단과,
    상기 VFD제어 수단의 구동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탈 변환된 음성신호를 VFD형광면에 출력하는 VFD출력수단과, 그리고
    상기 인식 신호 검출수단, 음성 인식 수단 및 VFD제어 수단에 각각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음성신호의 VFD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출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인식 신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인식 신호가 음성다중방송임을 나타내는 신호일 경우 증폭 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디지탈 변환되도록 음성 인식 수단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출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FD출력 수단은 VFD제어 수단으로부터 구동에 필요한 애노우드 구동 신호 및 그리드 구동 신호를 인가 받아 애노우드 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문자 형성을 위한 매트릭스 모양으로 재배열하여 디지털 변환된 음성신호가 형광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출력장치.
KR1019980004404A 1998-02-13 1998-02-13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KR10026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404A KR100269642B1 (ko) 1998-02-13 1998-02-13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404A KR100269642B1 (ko) 1998-02-13 1998-02-13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880A KR19990069880A (ko) 1999-09-06
KR100269642B1 true KR100269642B1 (ko) 2000-10-16

Family

ID=1953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404A KR100269642B1 (ko) 1998-02-13 1998-02-13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6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880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61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 television sound
KR100269642B1 (ko) 텔레비전에서 vfd를 이용한 음성 다중 신호 출력장치
KR200176962Y1 (ko) 동기신호 및 자동이득제어전압 검출통한 약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JPS6016153B2 (ja) 多重放送受信アダプタ
JP2848645B2 (ja) 音声多重信号切換装置
KR0137526B1 (ko) 텔레비전의 수직화면폭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verticality screen width of television)
JP3009903U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76961Y1 (ko) 칼라킬러 전압의 검출을 통한 무신호시 음성다중 오동작 경고장치
JP3085324B2 (ja) 映像ミューティング装置
JPS62629B2 (ko)
KR19980022757U (ko) 영상 기기의 냄새 발생 장치
KR20000045193A (ko)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헤드폰 입력 선택장치
KR19990005199U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더블화면시 음성 출력 스위칭장치
KR200156628Y1 (ko) Pip 텔레비젼의 자막처리장치
JP3123622B2 (ja) 受信装置
KR960010471B1 (ko) 무신호시 채널 자동 전환 장치
JPH03265294A (ja) テレビ受像機のワイヤレスイヤホン回路
JPH07336656A (ja) テレビジョン多重放送方式
KR19990021205U (ko) 텔레비전의 외부음성 출력장치
JPH08331474A (ja) 多方式対応受信装置
KR19990031458A (ko) 주,부화면의 스테레오/모노 차별 표시방법
KR20000045179A (ko) 음성다중 오디오박스
KR19990012798U (ko) 텔레비전용 리모폰의 음량조정장치
KR19990013441U (ko) 음성신호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화면 제어장치
JP200009241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