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253B1 -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253B1
KR100269253B1 KR1019980018523A KR19980018523A KR100269253B1 KR 100269253 B1 KR100269253 B1 KR 100269253B1 KR 1019980018523 A KR1019980018523 A KR 1019980018523A KR 19980018523 A KR19980018523 A KR 19980018523A KR 100269253 B1 KR100269253 B1 KR 100269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ar
spring
push
antenna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848A (ko
Inventor
임태영
곽명신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1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2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안테나의 머리부분을 한 번 누르면 몸체에 삽입되고, 또 한 번 누르면 내장된 스프링의 힘을 원동력으로 안테나가 뽑아지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안테나는 전화기 본체에서 손가락 한 두마디쯤 돌출되어 있어서 전화기의 외형의 줄이는데 제한이 되었고, 휴대시에 돌출부분이 거치적거려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출, 삽입되는 안테나로서,
관 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스프링(221)(223)을 받혀주기 위한 멈춤링(211)(213)을 구비한 안테나바(210)와; 상기 안테나(210)의 상부 멈춤링(211) 하부에 삽지되고, 후술하는 상하가이드(230)로 하여금 회전걸림체(240)에 힘을 전달하고, 안테나(210) 인출시 완충작용을 하기 위한 상부 스프링(221)과; 상기 상부 스프링(221)의 하방에 삽지되고, 후술하는 회전걸림체(240)를 눌러주어 회전걸림체(240)가 하향,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면 선단을 소정각도로 경사각을 가진 다수의 슬라이드톱니(231)를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방향으로만 습동되기 위한 가이드돌기(233)를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상하가이드(230)와;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하방이며, 상기 하부 멈춤링(213) 상에 삽지되고, 상기 상하가이드(230)에 눌리어 회전력을 얻고, 안테나(210)를 인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다수의 회전키(241)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키(241)의 상단은 상기 상하가이드의 슬라이드톱니(231)와 대응하는 슬라이드경사면(241a)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회전걸림체(240)와; 상기 하부 멈춤링(213) 하방에 삽입 설치되어, 안테나(2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는 탄성력을 주기 위한 인출스프링(223)과; 상기 안테나(210)에 삽지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221), 상하가이드(230), 회전걸림체(240), 및 인출스프링(223)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화기 본체와 고정되며, 상기 상하가이드(230) 및 회전걸림체(240)를 안내하기 위한, 내부공간(251)의 내주면에 상기 상하가이드(230) 및 회전걸림체(24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3)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253)에 하나 건너마다 상기 회전걸림체 회전키(241)의 걸림(lockung)턱(255)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253)과 걸림턱(255)을 이루는 내벽의 하방선단부가 상기 회전걸림체(240)의 회전키 슬라이드경사면(241a)과 대응하는 슬라이드경사면(253a)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받침대(26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57)을 형성한 외통(250) 및 받침대(260)를 구비하여 되는 외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할 때에 안테나 꼭지를 손가락으로 한 번 살짝 누르는 동작만으로 안테나가 뽑아지도록 함으로써, 안테나를 매우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송수신 시에 통상적으로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아뽑아야하는 안테나의 꼭지 부분도 몸체에 완전 삽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외형도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임.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돌출되어 있는 안테나의 머리부분을 한 번 누르면 몸체에 삽입되고, 또한번 누르면 내장된 스프링의 힘을 원동력으로 안테나가 뽑아지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안테나는 전화기 본체에서 손가락 한 두마디쯤 돌출되어 있어서 전화기의 외형을 줄이는데 제한이 되었고, 휴대시에 돌출부분이 거치적거려 불편한 점이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전화기(1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0)는 휴대전화기의 상단 일측에 고정형으로 손가락 한 마디쯤 돌출되어 있거나,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잡아 뽑아야하는 안테나의 꼭지부분이 손가락 두 마디쯤 돌출되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용 안테나의 외형을 나타낸 것으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21)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잡아 뽑아야하는 2단구조(2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전화기는 휴대시에 돌출부분이 걸림돌이 되기도 하고, 송수신시에는 보통 한 손으로 전화기 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사용, 안테나의 꼭지부분을 잡아 뽑은 후 귀에 갖다 대어야하기 때문에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중, 예컨대 운전중이나 무엇인가를 잡고 있을 때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돌출형의 안테나부는 전화기의 외형, 규격을 줄이는데 많은 제약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를 어느 한 손가락만을 사용해서 안테나의 꼭지부분을 누름으로 하여, 내장된 스프링의 힘을 원동력으로 안테나가 뽑아지도록 함으로써, 안테나의 조작을 단순화시키며, 고정형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두 손가락으로 잡아 뽑아야하는 2단형 안테나의 꼭지부분도 전화기 몸체에 삽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외형도 줄일 수 있도록 한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의 외형.
도 2는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고정형 안테나의 외형.
도 3은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2단 안테나의 외형.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단면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보이는 삽입상태의 단면도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보이는 인출상태의 단면도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일부 절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하가이드의 구성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걸림체의 구성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구성도로서,
a는 일부 절개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d는 c의 B-B선 단면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전걸림체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안테나바 211: 상부 멈춤링
213: 하부 멈춤링 221: 상부 스프링
223: 인출 스프링 230: 상하가이드
231: 슬라이드톱니 233: 가이드돌기
240: 회전걸림체 241: 회전키
241a: 슬라이드경사면 250: 외통
251: 내부공간 253: 안내홈
255: 걸림턱 257: 나사산
260: 받침대 260a: 2단 받침대
263: 나사봉 265: 너트공
266: 볼트 267: 나사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출, 삽입되는 안테나로서,
관 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스프링을 받혀주기 위한 멈춤링을 구비한 안테나바와,
상기 안테나바의 상부 멈춤링 하부에 삽지되고, 후술하는 상하가이드로 하여금 회전걸림체에 힘을 전달하고 안테나 인출시 완충작용을 하기 위한 상부 스프링과,
상기 안테나바에 상부 스프링의 하방으로 삽지되고, 후술하는 회전걸림체를 눌러주어 회전걸림체가 하향,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상하가이드와,
상기 안테나바에 상하가이드의 하방과 상기 하부 멈춤링 상으로 삽지되고, 상기 상하가이드에 눌리어 회전력을 얻고, 안테나를 인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걸림체와,
상기 안테나바 하부에 멈춤링 하방으로 삽입 설치되어, 안테나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는 탄성력을 주기 위한 인출스프링과,
상기 안테나바에 삽지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 상하가이드, 회전걸림체, 및 인출스프링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화기 본체와 고정되며, 상기 상하가이드 및 회전걸림체를 안내하는 외통 및 받침대를 구비하여된 외통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성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조립단면도로서 안테나바가 삽입된 상태인데, a는 종단면도, b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고, 도 6은 안테나바가 인출된 상태로서, a는 종단면도, b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200)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출, 삽입되는 안테나로서,
관 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스프링(221)(223)을 받혀 주어 삽입과 인출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멈춤링(211),(213)을 구비한 안테나바(210)와, 안테나바(210)의 상단부를 눌렀을 때 인출, 삽입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하 가이드(230), 회전걸림체(240) 및 외통체(250)(260)를 상기 안테나바(210)에 삽지하고, 상단에는 상하가이드(230)로 하여금 회전걸림체(240)에 힘을 전달하며 안테나바 인출시 완충작용을 위한 상부스프링(221)을 구비하고, 하단에 안테나바가 뽑아지는 원동력을 갖는 인출스프링(223)을 부착한 구조를 갖는다.
도 7은 상하가이드(230)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상하가이드(230)는, 안테나바에 상부스프링(221)의 하방으로 삽지되고, 후술하는 회전걸림체(240)를 눌러주어 회전걸림체(240)가 하향,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저면 선단을 소정각도로 경사각을 가진 다수의 슬라이드톱니(231)를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방향으로만 습동되기 위한 가이드돌기(233)를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톱니(231)의 수는 10개 이상으로 하되 짝수를 이루어진다.
도 8은 회전걸림체(240)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회전걸림체(240)는, 안테나바(210)에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하방과 상기 하부 멈춤링(213) 사이에 삽지되고,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에 눌리어 하향, 회전력을 얻어 안테나바(210)를 인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상향으로 회전력을 얻기 위한 다수의 회전키(241)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키(241)의 상단은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와 대응하는 슬라이드경사면(241a)을 구비하며, 하단 내부에는 하부멈춤링(213) 및 인출스프링(223)의 선단부를 내삽하기 위한 단턱(24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걸림체의 하단 외경(245)은 안내홈(253)이 형성된 외통(250)의 내주면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251) 반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키(241)는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 수의 절반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회전키(241)의 경사방향은 회전걸림체(240)의 회전방향을 결정하게 되며, 회전키의 길이는 안테나바(21)가 뽑혀졌을 때 최대한의 성능(최적의 인덕턴스)을 발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걸림체(24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단턱을 형성하지 않고, 하단 외경이 외통의 안내홈 반경에 걸리며, 하부멈춤링(213)의 상단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외통체(250)(260)는, 안테나바(210)에 삽지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221), 상하가이드(230), 회전걸림체(240), 및 인출스프링(223)을 수용하는 내부공간(251)을 형성하고, 전화기 본체에 매입 고정되며, 상기 상하가이드(230) 및 회전걸림체(240)를 안내하도록 하는 외통(250)과 받침대(260)로 구성된다.
도 9는 상기 외통체 중 외통(250)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일부 절개 사시도, b는 저면도, c는 b의 A-A선 단면도 d는 c의 B-B선 단면확대도이다.
상기 외통(250)은 상단에 안테나바 통공(252)을 형성하며, 내주면에 상기 상하가이드의 가이드돌기(233) 및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3)을 다수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253)에 하나 건너마다 상기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 걸림(locking)턱(255)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253)과 걸림턱(255)을 이루는 내벽의 하방선단부가 상기 회전걸림체(240)의 회전키 슬라이드경사면(241a)과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후술하는 받침대(26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57)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260)는 외통의 하부에 나합되기 위한 나사면(267)을 상부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인출스프링(223)을 받혀주며 전화기 본체에 고정되는 나사봉(263)을 구비한 받침대(2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받침대(260)는 외주면에 공구나 손으로 잡고 돌리기 좋도록 요철(261)을 주설함이 바람직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너트공(265)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공(265)에 삽지되기 위한 볼트(266)를 상단에 구비하며 하방 중심에 안테나선 연결용 나사(269)의 너트공(267)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돌리개홈(268)을 형성하여된 2단받침대(260a)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상하가이드(230), 회전걸림체(240) 및 외통(250)과의 관계를 발췌하여 펼쳐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안테나바(210)는 꼭지가 눌려짐에 따라, 상하가이드(230)의 가이드돌기(233)가 외통(250)의 안내홈(25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가 회전걸림체(240)를 밀어 하향시키고,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걸림체(240)는 외통(250)의 안내홈(253)을 따라 하향하다 안내홈의 선단부 슬라이드경사면(253a)에 이르러 회전키의 슬라이드면(241a)에 회전력을 받게 되어 회전하여, 외통(250)의 안내홈(253)과 걸림턱(255)을 따라 슬라이드경사방향에 따라 돌면서 안테나 꼭지를 누를 때마다 상하로 움직여 번갈아 인출, 삽입된다. 즉 회전걸림체(240)가 인출스프링(223)의 힘에 의해 안테나바(210)가 위로 올라가다 걸림턱(255)에 걸리면 안테나바(210)는 삽입되고, 걸림턱(255)이 없는 안내홈(253)이면 회전걸림체(240)가 상승하여 안테나(210)가 뽑아지게 된다.
상기한 작동상태를 도 1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a는, 안테나바(210)가 눌려서 외통(250) 내부공간에 정지된 상태이며,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가 외통의 걸림턱(255)에 걸리어 있다.
이 때는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가 회전걸림체(240)의 회전키(241) 위에 반쯤 걸려있으면서, 외통의 걸림턱(255)에 걸리게 되는 작용을 한다. 그리하여 하부 멈춤링(213)을 밀며 그 하방에 설치된 인출스프링(223)에 압력을 가하면서 안테나바(210)를 외통체 내부에 가두어 삽입하고 있는 상태이다.
b는, 안테나바(210) 꼭지를 손가락으로 누르는 순간이다.
이 때,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가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를 외통의 안내홈(253)내벽에 밀면서 회전키(241)는 안내홈(253) 벽에 걸려서 밀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c는, 손으로 완전히 눌렀을 때 회전걸림체(240)가 회전한 모양이다.
이 때,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는 안내홈 내벽의 하방선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경사면(253a)에 걸려 경사각만큼 회전력을 받게 된다. 상하가이드(230)는 손의 누르는 힘에 의해 밑으로 내려가 있지만 손가락의 힘을 빼는 순간 회전걸림체(240)의 미끄러지는 힘의 영향을 받아 상하가이드(230)와 회전걸림체(240) 사이가 벌어지는 힘을 받게된다.
d는, 손을 놓았을 때 회전걸림체(240)가 회전하면서 외통(250)의 슬라이드경사면(253a)을 따라 안내홈(253)에 진입하는 모양이다. 이 때,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는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에 경사면(241a)이 걸리게 되어 상하가이드(230)를 밀어 올리면서 외통의 안내홈(253)으로 미끄러 들어가게 된다.
e는,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가 회전한 후 외통의 안내홈(253)에 완전히 들어가게 되고 상하가이드의 슬라이드톱니(231)의 경사면에 걸리면서 안테나바(210)가 뽑아지는 상태이다.
이 때 상기 상부 스프링(221)은 안테나바(210)가 튀어 오를 때 완충용 겸 상하가이드의 슬라이드톱니(231)와 회전걸림체의 회전키(241)의 슬라이드경사면 사이에 소정간격의 유격을 흔들리지 않도록 해주는 작용을 한다.
이렇게 뽑아진 안테나바를 다시 손으로 누르면 상하가이드(230)가 회전걸림체(240)를 밀고 내려와 회전시켜 외통의 걸림턱(255)에 걸리게 하여 안테나바는 전화기 몸체 안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안테나의 꼭지부분을 한 손가락으로 한 번 살짝 누르는 동작만으로 안테나가 간단하게 뽑아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전화기의 안테나작동 및 사용을 한 손만으로도 수행할 수 있어, 운전시 등과 같이 다른 일을 하고 있는 중에도 휴대전화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테나의 꼭지부분을 누르는 동작으로 안테나를 전화기 몸체 윗부분과 거의 같은 높이로 삽입시킬 수 있으며, 송수신 시에 통상적으로 하게 되는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안테나의 꼭지부분을 잡아 뽑는 동작이 필요없게 됨으로 인하여 잡아야하는 부분을 몸체에 완전 삽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외형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휴대용 전화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출, 삽입되는 안테나로서,
    관 형상의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스프링(221)(223)을 받혀주기 위한 멈춤링(211)(213)을 구비한 안테나바(210)와,
    상기 안테나바(210)에 상부 멈춤링(211) 하부로 삽지되고, 후술하는 상하가이드(230)로 하여금 회전걸림체(240)에 힘을 전달하고 안테나바(210) 인출시 완충작용을 하기 위한 상부 스프링(221)과,
    상기 안테나바(210)에 상부 스프링(221)의 하방으로 삽지되고, 후술하는 회전걸림체(240)를 눌러주어 회전걸림체(240)가 하향,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상하가이드(230)와,
    상기 안테나바(210)에 상하가이드(230)의 하방과 상기 하부 멈춤링(213) 사이에 삽지되고, 상기 상하가이드(230)에 눌리어 회전력을 얻고, 안테나바(210)를 인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걸림체(240)와,
    상기 안테나바(210)의 하부멈춤링(213) 하방에 삽입 설치되어, 안테나바(21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는 탄성력을 주기 위한 인출스프링(223)과,
    상기 안테나바(210)에 삽지되고 상기 상부 스프링(221), 상하가이드(230), 회전걸림체(240), 및 인출스프링(223)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화기 본체와 고정되며, 상기 상하가이드(230) 및 회전걸림체(240)를 안내하는 외통(250) 및 받침대(260)를 구비하여 되는 외통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가이드(230)는, 저면 선단을 소정각도로 경사각을 가진 다수의 슬라이드톱니(231)를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회전을 방지하고 상하방향으로만 습동되기 위한 가이드돌기(233)를 다수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걸림체(240)는, 외주면에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에 눌리어 하향, 회전력을 얻기 위한 다수의 회전키(241)를 형성하되, 상기 회전키(241)의 상단은 상기 상하가이드(230)의 슬라이드톱니(231)와 대응하는 슬라이드경사면(241a)을 구비하며, 하단 내부에 하부멈춤링(213) 및 인출스프링(2230의 선단부를 내삽하기 위한 단턱(24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는, 내부공간(251)의 내주면에 상기 상하가이드(230) 및 회전걸림체(240)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53)을 형성하고, 상기 안내홈(253)에 하나 건너마다 상기 회전걸림체 회전키(241)의 걸림(lockung)턱(255)을 형성하되, 상기 안내홈(253)과 걸림턱(255)을 이루는 내벽의 하방선단부가 상기 회전걸림체(240)의 회전키 슬라이드경사면(241a)과 대응하는 슬라이드경사면(253a)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며, 후술하는 받침대(260)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57)을 형성한 외통(250)과, 상기 외통(250)의 하부에 나합되기 위한 나사면(267)을 상부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인출스프링(223)을 받혀주며 전화기 본체에 고정되는 나사봉(263)을 구비한 받침대(2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60)는 중심에 너트공(265)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공(265)에 삽지되기위한 볼트(66)를 상단에 구비하며, 하방 중심에 안테나선 연결용 너트공(267)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돌리개홈(268)을 형성하여 된 2단받침대(260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KR1019980018523A 1998-05-22 1998-05-22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KR100269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23A KR100269253B1 (ko) 1998-05-22 1998-05-22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23A KR100269253B1 (ko) 1998-05-22 1998-05-22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848A KR19990085848A (ko) 1999-12-15
KR100269253B1 true KR100269253B1 (ko) 2000-10-16

Family

ID=1953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523A KR100269253B1 (ko) 1998-05-22 1998-05-22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99A (ko) * 2001-11-14 2001-12-07 김진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20020055950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이동단말기의 가동형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761B1 (ko) * 2001-12-27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20040011014A (ko) * 2002-07-26 2004-02-05 양승문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의 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950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이동단말기의 가동형 안테나
KR20010107899A (ko) * 2001-11-14 2001-12-07 김진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848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5072B1 (en) Adjustable pole and lock
EP3797844A1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pole and foldable pole
US10986903B2 (en) Walking stick
KR100269253B1 (ko) 휴대전화기용 누름식 자동인출 안테나
KR20010053726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CN110341349B (zh) 一种自锁提拉笔
US7753608B2 (en) Lipstick case with cam mechanism
US20050116429A1 (en) Fast and convenient operation structure of a screwdriver head socket
CN107736133B (zh) 一种抓手式采摘装置
US20060142679A1 (en) Backscratcher for relieving itches
EP1968717A1 (en) Apparatus facilitating the collection of marker cones
CN210363090U (zh) 手持伸缩笔
KR200497111Y1 (ko) 휴대 편리성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JP3949581B2 (ja) 筆記具
CN209924576U (zh) 一种滑动定位结构
KR20050033097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CN210715442U (zh) 一种自动伸缩杆杖的伸缩锁定机构
US20040025650A1 (en) Turning head of precision screwdriver
JPH09246824A (ja) 伸縮式ロッドアンテナの引出し構造
CN110192698B (zh) 伞巢结构和伞
GB2233610A (en) Compact pen with extendable body
CN220301907U (zh) 一种收纳式帐篷用支撑杆以及收纳式帐篷
CN214793892U (zh) 一种原状土便携式取土钻
CN221012243U (zh) 一种可伸缩的伞头及折叠雨伞
KR200304043Y1 (ko) 화장용 립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