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597B1 - 전기트렁킹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트렁킹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597B1
KR100268597B1 KR1019950005653A KR19950005653A KR100268597B1 KR 100268597 B1 KR100268597 B1 KR 100268597B1 KR 1019950005653 A KR1019950005653 A KR 1019950005653A KR 19950005653 A KR19950005653 A KR 19950005653A KR 100268597 B1 KR100268597 B1 KR 10026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lock
enclosure
trunking
wall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936A (ko
Inventor
제라드제고
쟝-끌로드르보
필립노르망
다니엘누리
쟝-삐에르띠에리
Original Assignee
까리아스 알렝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까리아스 알렝, 쉬나이더 일렉트릭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까리아스 알렝
Publication of KR95003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금속 인클로우져내에 절연 접촉블럭상에 일정간격으로 지지된 평행 전기 도선 세트를 포함하는 전기트렁킹의 제조방법.
단일 시트 금속블랭크는 굽혀지고 크림프되어 결합에지 (27, 28) 를 갖는 튜브형 프로파일을 만들고, 도선어셈블리 (31) 는 이 튜브내로 니끌어져 들어가고 각 지지 접촉블럭 (30) 은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툴을 사용하여 각 브랜치 개구내에서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 접촉블럭은 탄성확대장치에 의해 개구에 대해 클램프된다. (제 2 도)

Description

전기트렁킹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조립된 전기트렁킹에 대한 부분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 선을 취한 확대단면도.
제3도는 클램프된 위치에서 지지접촉 블럭을 구비한 브랜치 개구 영역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와 비슷한 식으로 인클로우져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5도는 지지접촉블럭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트렁킹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접촉블럭 확대 장치 및 탄성 클램프 장치에 대한 부분확대도.
제7도는 접촉블럭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인클로우져 18 : 브랜치 개구
19 : 브랜치 커넥터 26 : 크림프 이음매(crimp seam)
30 : 지지 접촉블럭 30a : 확대장치
31 : 컨덕터 어셈블리 64 : 측면개구
65a : 치 (teeth) 66 : 랙텅 (rack tongue)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의 브랜치 개구를 갖는 금속 인클로우져와 이 인클로우져내에 수용되고 절연지지 접촉블럭에 상기 일정 간격으로 인가된 병렬 전기 컨덕터로 이루어진 컨덕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트렁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조립된 전기트렁킹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트렁킹의 인클로우져는 형상을 위해 굽혀지고 커버(cover)를 갖거나 2 개의 반쪽으로 되는 채널섹션 (channel-section), 시트 금속으로부터 대개 만들어지고, 또한 형상을 위해 굽혀지는 시트금속으로 부터 종방향 일치 평면상에 서로 맞춰진다.
컨덕터 어셈블리의 트렁킹 삽입후 트렁킹을 시일(seal)하기 위하여는 커버가 트렁킹에 시일 되던가, 두개의 반쪽 (halves) 이 서로 시일 되어야만 한다. 이것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소정의 강도 한계내에서, 벽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의 제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트렁킹의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브랜치 접속의 전기 및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제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굽은 시트 금속 인클로우져를 갖는 전기 트렁킹의 단가를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의 브랜치 개구를 갖는 금속 인클로우져와 상기 인클로우져에 수용된 컨덕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절연지지 접촉블럭에 상기 간격으로 인가되는 평행 전기 컨덕터로 이루어지는 전기 트렁킹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으며, 또한 본 방법은,
-시트 금속 블랭크에 상기 간격으로 브랜치 개구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블랭크를 굽히고, 서로 시일되고 결합된 에지를 갖는 튜브형을 얻기 위해 블랭크의 종방향 에지를 크림핑 (crimping) 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 접촉블럭이 각 브랜치 개구와 정렬될 때까지 상기 튜브를 따라 미끄러지게 하여 상기 컨덕터 어셈블리를 상기 튜브에 삽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촉블럭을 센터링하고 각 브랜치 개구에 대해 센터링된 접촉 블럭을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지지 및 브랜치 접속 접촉블럭은 인클로우져의 대면벽의 내면에 대하여 접촉 블럭을 확장 및/또는 감싸기 위해 공구(tool)를 브랜치 개구를 통하여 삽입시킴으로써 튜브형 인클로우져 내벽에 대항하여 압력을 받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트렁킹에 대한 것이며, 트렁킹의 각 접촉블럭은 탄성 클램핑 부재 확대 장치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을 설명한다.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된 조립전기 트렁킹 (10) 은 서로 단부 대 단부 (end-to-end) 로 결합된 동일 길이의 많은 섹션(section)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간략을 위하여 하나의 섹션만이 도시되어 있다. 트렁킹의 각 섹션은 복수개의 전기 전도 버스바 (busbar) 나 케이블 (16), 여기서는 4 개의 컨덕터 편평 다발 (17) 을 수용하고, 4 개의 벽 (12, 13, 14, 15) 으로 된 직사각형 단면, 바람직하게는 최적의 강성을 위해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금속 인클로우져 (11) 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개구 (18) 가 일정간격 (L) 으로 벽(12)에 형성된다. 이 개구의 목적은 컨덕터 (16) 로부터 부하 (도시않음) 를 공급하기 위한 브랜치 커넥터 (19) 를 접수하기 위한 것이다. 커넥터 (19) 는 절연몸체 (20), 출구 케이블 (21) 및 접속단자, 예컨대 스프링 클립 (spring clip)을 구비하고, 이 스프링클립은 컨덕터 (16) 와 출구 케이블 사이의 전기 접속을 만들기 위해 컨덕터(16)의 노출부 (16a) 에 맞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 컨덕터 (16) 는 피복된 가요성 케이블이나 비피복 또는 피복 금속 스트립 또는 버스바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렁킹 (10) 은 한 쪽 단에서 전원 단편 (end-piece, 23) 과 다른 쪽 단에서는 클로져 단편 (24) 을 갖는다. 커넥터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개구 (18) 는 캡 (25) 에 의해 닫히거나 시일된다. 클립핑 수단 (도시않음) 은 트렁킹 섹션 사이의 기계 및 전기 접속을 제공한다. 고정부재는 수평 또는 수직 지지벽에 대한 트렁킹의 기계적 접속을 제공하고, 트렁킹으로부터 부속품을 매다는데 이용된다.
트렁킹의 인클로우져 (11) 는 폐쇄된 윤곽을 위하여 시트 금속 블랭크를 굽혀서 만들어진다. 다시 말해, 블랭크의 자유에지 (27, 28) 는 26에서 종방향으로 크림프된다. 즉, 에지는 상호 결합 U-섹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굽혀진다. 시일된 크림프 이음매 (26) 는 브랜치 개구 (18) 를 포함하는 벽 (12) 에 수직인 인클로우져의 벽 (14) 상에 있고, 인클로우져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X-X' 는 트렁킹 축을 지시하고, P-P' 는 벽 (12) 의 외측면을 가리키고, Y-Y' 는 P-P' 에 수직이고, 개구 (18) 의 중앙축을 지시한다. 예리한 에지가 없는 인클로우져의 직사각형 외부 단면은 상대적으로 얇은 벽으로부터 단순한 외양과 우수한 강성을 제공한다.
케이블 (16) 의 다발 (17) 은 케이블과 지지 접촉블럭이 축 X-X' 을 따라 트렁킹의 폐쇄된 윤곽 튜브형 인클로우져 (11) 로 미끌어져 들어갈 수 있는 컨덕터 서브 어셈블리 (31)를 형성하는 식으로, 개구 (18) 사이의 간격 (L) 과 동일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 접촉 블럭 (30) 에 의해 지지된다. 각 지지 접촉블럭은 개구 (18) 와 결합하고, 접촉블럭을 그 위치 유지시키기 위하여 인클로우져 벽의 내면에 접촉블럭을 걸리게 하도록 개구 (18) 를 통하여 작동되는 확대장치 (30a) 를 갖는다. 접촉블럭 (30) 은 개구와 대면하고, 리베이트(rebate)된 센터링 에지 (33a) 를 갖는 플랜지 (33) 를 구비한 절연몸체 (32) 를 갖는다.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 (32) 는 개구 (18) 의 반대측 상에 다리 (34) 를 갖고, 상기 다리는 서브어셈블리 (31) 를 튜브형 인클로우져 안으로 삽입시 벽 (15) 의 내면 (15a) 상에서 지지되고, 접촉블럭의 클램핑에 의해 이 내면으로부터 이탈된다. 몸체 (32) 는 상기 커넥터의 백이 셀 (35a) 로 재분할되는 커넥터용 하우징 (35) 과 컨덕터 (16) 용 각 슬롯 (38a)을 갖는 하우징 (36) 을 포함한다.
하우징 (35) 의 측벽 (35b) 은 커넥터의 상보형 (37) 용 가이드를 제공한다. 탄성단자 (22) 는 리브 (38) 에 딱 맞는다. 이 리브 (38) 는 대면 하우징 (35, 36) 사이의 몸체 (32) 를 껴안는다. 리브는 개구 (18) 의 방향으로 리브에 가압되는 컨덕터 (16) 의 노출부 (16a) 보다 얇다.
지지 접촉블럭의 몸체 (32) 는 X-X' 와 Y-Y' 에 수직인 축을 갖는 베어링 (39) 을 갖는다. 베어링은 러그 (39a) 의 옆에 있고 이 예에서 확대장치 (30a) 를 구성하는 피봇부재 (40) 의 스핀들(spindle)이나 저널(journal)을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피봇부재 (40) 는 다리 (34) 사이에 배치되고 벽 (15) 의 내면 (15a) 에 인가된 탄성캠 구성을 갖는 변형부 (42) 를 구비한다. 피봇부재 (40) 는 상기 캠에 반대되는 단단한 베어링 브랜치 (43) 를 갖는다. 상기 피봇부재 (40) 가 피봇할 때, 브랜치는 빗(comb)처럼 컨덕터 (16) 의 직접 노출된 부위 (16a) 에 동시에 인가된다. 변형부 (42) 는 수축위치 (제 3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와 개구 (18) 를 통하여 삽입되는 공구(tool)에 의해 접촉블럭을 클램프하는 확대위치 (전체 윤곽) 사이에서 피봇동작을 행한다. 변형부는 개구 (18) 를 향한 방향 Y-Y' 으로 접촉불럭을 변위시키는 리세스 (44) 상에 지지되며, 플랜지 (33) 의 리베이트된 에지 (33a) 는 개구의 중심에 위치한다. 클램프 위치에서, 접촉블럭의 외측에지 (33a) 는 개구의 에지로부터 압력을 받으며 실질적으로 벽 (12) 의 외측면 (12a) 의 평면 (P-P') 에 있게 된다. 이것은 커넥터가 접촉블럭의 하우징 (35) 에 안착할 때까지 벽 (12) 을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커넥터 (19) 를 장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 4 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접촉 블럭은 벽 (12) 과 크림프된 이음매 (26) 사이에 있는 벽 (14) 의 내면상에 가이드 핑거 (34a)를 가질 수 있다. 벽 (13) 과 같은 측상에서, 지지 접촉블럭은 51 에서 접촉 블럭에 부착되는 루프형의 탄성접촉 스트립 (50) 을 갖는다. 이러한 스트립은 브랜치의 한 부분과 벽 (13) 의 내면 (13a)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인클로우져를 접지시키도록 된 하나의 브랜치 (52) 를 갖는다.
접촉블럭의 삽입시, 브랜치 (52) 의 자유단 (53) 은 피봇 부재에 부착된 러그 (54) 에 의해 클램프된다. 자유단은 접촉블럭이 위치로 한번 클램된 러그 (54) 에 의해 풀어지게 된다 (제 4 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됨).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전기트렁킹은 전술한 것과 다른 지지접촉블럭을 갖는다.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각 접촉블럭 (30) 은 가이드면 (35b) 을 갖는 하우징 (35) 과 본 예에서는 경사진 센터링 에지 (33a) 를 갖는 플랜지 (33) 와, 가이드핑거 (34a) 와 슬롯 (36a) 과 컨덕터를 유지하기 위한 리브 (38) 를 제공하는 제 1 부분 (61) 을 포함한다.
또한, 접촉블럭은 컨덕터 (16) 의 노출영역 (16a) 을 슬롯 (36a) 바닥쪽으로 누르기 위한 리브 (63) 를 갖는 제 2 부분 (62) 을 구비한다. 제 2 의 부분(62) 은 어떤 수단에 의해 제 1 부분 (61) 에 안착, 클립 또는 고정된다. 접촉블럭의 제 2 부분 (62) 은 Y-Y' 에 상대적으로 경사지고 상보형 노치나 치설된 (toothed) 랙텅 (66, rack tongue) 과 연동하는 노치나 치설된 탄성벽 (65) 에 의해 접해 있는 측상에서 개구 (64) 를 갖는다. 인클로우져의 개구 (18) 와 개구 (68) 를 통하여 삽입되는 접촉블럭부 (61) 의 공구는 각 텅의 상단 (67) 상에서 B 방향으로 밀어서 텅의 하단 (69) 이 인클로우져의 벽 (15) 의 내면 (15a) 과 접할 때까지 아래로 움직이도록 한다. 동시에, 또다른 공구가 개구 (18) 에서 센터링에지 (33a) 를 유지하거나 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접촉 블럭의 부분 (61 또는 62) 에서 B' 방향으로 견인하는데 사용된다. 랙텅의 치 (66a) 가 탄성벽 (65) 의 치 (65a) 에 맞물릴 때, 치 (65a) 는 제 6 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움직이도록 제한된다. 치는 경사측면과 실질적으로 P-P' 에 평행인 측면을 갖는다. 텅 (66)은 단단하나 대신 자체적으로 탄력있게 될 수도 있거나 탄성확대 장치 (30a) 를 보조하기 위한 탄성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랙텅과 탄성벽의 조합은 트렁킹내의 접촉블럭을 클램프하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접촉블럭은 인클로우져를 접지하기 위한 탄성 스트립 (71) 을 갖는다. 이 스트립은 스트립 (50) 과 유사하고 슬라이딩 위치 (제 6 도에서 점선으로 표시) 에서 작동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작동위치에서 브랜치 (72) 가 접촉블럭상의 리테이닝 숄더 (retaining shoulder; 74) 와 접하는 공구에 의해 스트립의 영역 973) 을 이탈함으로써 인클로우져 (제 5 도의 전체 윤곽) 의 벽 (13) 의 한 측 (13a) 에 대하여 압력을 받는다.
접촉블럭 측면부 (제 7 도) 의 하우징 (80) 은 전력 컨덕터 (16) 에 평행인 트렁킹내의 저전류 신호 컨덕터 (82) 에 접속하기 위해 슬라이딩 접속부재 (81) 를 수용한다. 이러한 저전류 신호 컨덕터는 트위스트 와이어 또는 전자기 간섭을 막을 수 있는 차폐된 트위스트 와이어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 (81) 는 컨덕터 (82) 에 접속하기 위한 절연 변위 접촉자 (contact;83)를 가지며, 상기 컨덕터는 컨덕터의 대응 전도부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는 접촉 스트립 (84) 에 죄어지거나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설명된 전기트렁킹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개구 (18) 는 소정 피치 (L) 를 가진 시트 금속 블랭크로부터 절단되고, 블랭크는 종방향 모제를 따라 굽혀져서 트렁킹을 폐쇄하고 시일하는 종방향 크림프 이음매 (26) 를 형성하는 에지 (27, 28) 를 갖는 인클로우져를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트렁킹의 외부는 보편적인 수단에 의해 도색된다. 미리 노출된 면적 (16a) 을 갖는 컨덕터 다발 (17) 은 피치 (L) 에서, 주형된 모듈된 접촉블럭 몸체 (32, 61) 의 슬롯 (36a) 에 놓여진다. 제 3 도와 제 4 도의 예에서, 피봇부재는 접촉 블럭의 러그 (39a) 내로 클립되고, 인클로우져내로의 삽입을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수축위치로 유지된다. 피봇 부재는 슬롯 (36a) 의 바닥에 대항하여 또는 근처에서 다발 (17) 을 유지한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의 예에서, 부분 (62) 은 슬롯 (36a) 의 바닥에서 컨덕터의 면적 (16a) 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분 (61) 에 안착 또는 클립된다. 접촉블럭과 케이블은 접촉블럭상의 숄더에 대항하는 케이블 외장 (16b) 의 받침대 (abutment) 에 의해 X-X' 축 방향으로 위치를 유지한다.
컨덕터 다발 (17) 과 지지접촉블럭 (30) 을 포함하는 서브어셈블리는 그 후 서브어셈블리 (도시않됨) 의 끝 부재상에서 당기거나 밀어서 (바람직하게는 당겨서) 튜브형 인클로우져 (11) 에 삽입된다.
각 접촉블럭은 각 브랜치 개구의 앞에 위치할 때, 공구는 확대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각 개구 (18) 내로 삽입된다. 제 3 도와 제 4 도의 예에서, 부재 (40) 는 다리 (34) 사이의 수축위치로부터 전개 클램핑 위치로 피봇된다. 변형부 (42) 의 피봇작용은 접촉블럭을 개구 (18) 쪽으로 변위시키고 개구내에서 리베이트 에지 (33a) 를 중심에 위치시키고 벽 (15) 의 내면 (15a) 에 대해 캠을 탄성적으로 클램프한다. 동시에 브랜치 (43) 에 의해 형성된 빗 (comb) 은 케이블의 노출부 (16a) 에 대해 압력이 가해져서 이들을 슬롯 바닥에 유지시키고 러그 (54) 가 인클로우져에 대해 가압되도록 하기 위해 러그는 접지 스트립 (50) 을 풀어준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의 예에서, 공구는 각 텅 (제 6 도의 화살표 B) 의 상단 (67) 에 인가되고, 접촉블럭은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지며, 컨덕터 (71) 가 풀어진다.
피봇부재 (40) 나 텅 (66) 의 탄성효과가 작동 공차를 허용한다.
전술한 트렁킹은 단일 그룹보다는 컨덕터의 2 개의 그룹을 수용할 수 있다. 제 1 다발과 연합하는 접촉블럭 (30) 의 다리 (34) 사이에서 제 2 다발 (17') 은 제 4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응하는 브랜치 개구 (18') 는 벽 (12) 의 반대 쪽에 있는 벽 (15) 에 있고, 대응하는 접촉블럭 (30') 은 역전되어 있다. 브랜치 커넥터는 트렁킹의 양측으로부터 트렁킹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접촉블럭까지 설치될 수 있다.
브랜치 접속에서 평면이나 실질적으로 평평면 (12) 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각 브랜치 개구에 대해 접촉블럭을 센터링하기 위한 부재가 외측으로부터 부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른 리텐션(retention) 확대장치가 전술한 것외에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일정 간격의 브랜치 개구를 갖는 금속 인클로우져와 상기 인클로우져에 수용되고 상기 간격으로 절연 지지 접촉블럭에 인가되는 평행 전기 컨덕터로 이루어지는 컨덕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기 트렁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시트 금속 블랭크에 상기 간격 (L) 으로 브랜치 개구 (18) 를 절단하는 단계와, 양 단부들을 함께 시일하고 결합시킨 튜브형 인클로우져 (11)를 얻기 위해 상기 블랭크를 굽혀서 상기 블랭크의 종방향 에지를 크림핑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 접촉 블럭 (30) 이 브랜치 개구 각각에 정렬될 때까지 튜브를 따라 상기 컨덕터 어셈블리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컨덕터 어셈블리 (31) 를 튜브내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브랜치 개구 각각에 대해 상기 접촉 블럭을 센터링시켜서 중심위치에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치 개구에 대해 위치한 상기 접촉블럭은 결합에지를 구비한 상기 튜브형 인클로우져의 한 벽의 내면에 대해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내면에 대하여 각 접촉블럭을 가압하기 위하여, 공구가 상기 접촉블럭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브랜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접촉블럭은 내면과 내면의 반대측 벽면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인클로우져 내부의 상기 지지 접촉블럭의 확대는 브랜치 개구 각각의 에지를 갖는 접촉블럭은 센터링 및 맞물림시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의 제조방법.
  5. 평행 전기 컨덕터 (16) 를 수용하는 금속 인클로우져 (11) 와, 외부로부터 브랜치 커넥터 (19) 를 상기 인클로우져 내부와 각 개구의 앞에서 지지 접촉블럭 (30)을 지지하도록 인가되기에 접합한 컨덕터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 (L) 의 개구 (18)를 갖는 인클로우져의 제 1 벽 (12) 을 포함하는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트렁킹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우져 (11) 는 상기 인클로우져의 제 2 벽 (14) 상에서 크림프 이음매 (26) 에 의해 시일되고 결합되는 에지를 갖는 직사각형 튜브를 형성하기 위해 굽혀지는 단일 시트 금속블랭크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지지 접촉 블럭 (30) 은 상기 트렁킹의 조립시 축 (X-X') 을 따라 상기 튜브형 인클로져 (11) 내로 자유로이 슬라이딩하고 삽입되는 크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트렁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우져 (11) 의 제 2 벽 (14) 은 제 1 벽 (12) 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
  7. 제5항에 있어서, 브랜치 개구 (18' ) 를 구비하는 제 3 벽 (15) 이 추가로 상기 제 1 벽의 반대 편에 설치되고, 상기 인클로우져는 역지지 접촉블럭을 갖는 컨덕터의 두 그룹 (17, 17') 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
  8. 제3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전기 트렁킹에 있어서, 각 지지 접촉블럭 (30) 은 상기 브랜치 개구 평면에 수직인 방향 (Y-Y') 으로 상기 인클로우져의 내면에 대해서 상기 접촉블럭을 가압하기 위하여 확대장치 (30a) 와 연합하고, 상기 확대장치는 상기 브랜치 개구 (18) 를 통하여 접근가능하고 작동가능한 작동부재 (44, 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트렁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장치 (30a) 는 상기 작동부재의 동작에 이어서 각 브랜치 개구 (18) 의 에지에 대하여 상기 접촉블럭 (30) 을 클램프하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작동부재 (44, 66) 와 결합하는 탄성부재 (40, 6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트렁킹.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장치 (30a) 는 치 (65a) 를 갖는 벽 (65) 에 의해 접해 있는 상기 접촉블럭의 측면개구 (64) 와 결합하는 하나이상의 랙텅 (6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트렁킹.
  11. 제10항에 있어서, 치 또는 랙텅 (66) 을 갖는 상기 벽 (65) 은 탄성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트렁킹.
KR1019950005653A 1994-03-17 1995-03-17 전기트렁킹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8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3251 1994-03-17
FR9403251A FR2717634B1 (fr) 1994-03-17 1994-03-17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analisation électrique et canalisation ainsi obten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36A KR950034936A (ko) 1995-12-28
KR100268597B1 true KR100268597B1 (ko) 2000-10-16

Family

ID=946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653A KR100268597B1 (ko) 1994-03-17 1995-03-17 전기트렁킹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76557A (ko)
EP (1) EP0673089B1 (ko)
KR (1) KR100268597B1 (ko)
CN (1) CN1055797C (ko)
BR (1) BR9501103A (ko)
DE (1) DE69500631T2 (ko)
ES (1) ES2108541T3 (ko)
FR (1) FR2717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5491U1 (de) * 1996-03-25 1996-05-23 Knuerr Mechanik Ag Gehäuse für Mehrfachsteckdosen
FR2757323B1 (fr) * 1996-12-17 1999-01-22 Schneider Electric Sa Canalisation de distribution electrique a bus de transmission
DE102004048414B4 (de) * 2004-10-01 2006-09-07 Fröhlich Biegetechnik GmbH & Co. KG Elementensatz zur Erstellung von Schutzrohrleitungen
PE20151377A1 (es) 2009-11-03 2015-09-18 Orica Explosives Tech Pty Ltd Conector
PL3288131T3 (pl) * 2016-08-24 2020-11-30 Anord Mardix Databar Busway Limited System przewodów szynowyc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9223A (en) * 1928-05-15 1931-06-09 Armen H Tashjian Combined conduit and molding
GB1148184A (en) * 1966-07-08 1969-04-10 Henning Jorgens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ucts for enclosing electrical wiring in buildings
SG50306G (en) * 1981-03-12 1986-05-02 Electrak Int Ltd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4508400A (en) * 1982-10-18 1985-04-02 Rotaflex P.L.C. Electrical supply connector for continuous outlet track
EP0573047A1 (en) * 1992-06-05 1993-12-08 Rhc/Spacemaster Corporation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501103A (pt) 1995-11-14
FR2717634B1 (fr) 1996-04-26
EP0673089A1 (fr) 1995-09-20
CN1055797C (zh) 2000-08-23
CN1116368A (zh) 1996-02-07
ES2108541T3 (es) 1997-12-16
DE69500631T2 (de) 1998-01-08
KR950034936A (ko) 1995-12-28
FR2717634A1 (fr) 1995-09-22
US5676557A (en) 1997-10-14
EP0673089B1 (fr) 1997-09-03
DE69500631D1 (de) 199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4480B (fi) Elektrisk stickanslutningsklaemma
US3910672A (en) Replacement cover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CN1185669A (zh) 电线接线夹
JPS63905B2 (ko)
US4223971A (en) Electrical wiring assembly and method
JPS6074362A (ja) 複線ケ−ブル連結子用電導性遮断ケ−ス
US4445748A (en) Mass termination of densely grouped conductors
CN107809010B (zh) 绝缘位移接触装置和将有护套的电缆与导体电连接的方法
EP1032084B1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able connector
KR100268597B1 (ko) 전기트렁킹 및 그의 제조방법
US3622955A (en) Electrical connector
US5133677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shielded cable to same
KR0122784Y1 (ko) 전기 커넥터가 부착된 소형 전기 모터
US5967818A (en) Electrical distribution duct with transmission bus
KR100573968B1 (ko) 접지장치와이를이용한케이블접지방법
US600736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able cores
WO2020196480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3880489A (en) Electrical connector
US6065996A (en) Connector with a stripping slit for electrical wire
US5772467A (en) Terminal free connector and method
US4917633A (en) Separable connection device between a conducting lug and at least one connection wire
US6083014A (en) Connector for a shielded cable
US5127153A (en) Insulation-piercing connector with clamping lip, and tool for bending thereof
JPH0523422U (ja) 圧接形ケーブル接続器
US5532443A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