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534B1 -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534B1
KR100267534B1 KR1019970079471A KR19970079471A KR100267534B1 KR 100267534 B1 KR100267534 B1 KR 100267534B1 KR 1019970079471 A KR1019970079471 A KR 1019970079471A KR 19970079471 A KR19970079471 A KR 19970079471A KR 100267534 B1 KR100267534 B1 KR 10026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applied
summer
mepa
quan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273A (ko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79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5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신호를 여러 해상도로 나누어 각기 압축 부호화/다중화를 거쳐 동시에 전송하도록 한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의 해상도가 일정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동영상 신호의 화소를 (1/4)n만큼씩 가중치부, 4×4추출부 및 2×2추출부에서 추출한 신호를 2×2Q, 4×4Q 및 8×8Q를 통해 양자화하는데, 가장 낮은 레벨의 양자화된 신호를 2×2Q-1, 4×4Q-1및 8×8Q-1에서 연이어 역 양자화하여 섬머를 통해 상위 레벨의 추출 신호로부터의 차이를 구한 후에 역가중치부를 통해 다시 예측 신호로 전송함과 동시에 해당 양자화된 신호를 여러 해상도로 나누어 각기 압축 부호화/다중화를 거쳐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욕구를 가진 소비자들이 각기 다른 해상도를 갖는 수신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신호를 여러 해상도로 나누어 각기 압축 부호화/다중화를 거쳐 동시에 전송하도록 한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압축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디지탈 입력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해당 움직임의 변화량 등을 측정하는 MEPA(Motion Estimation and Picture Analysis ; 11)와, 이전의 예측 신호를 생성하는 PU(Prediction Unit ; 12)와, 해당 입력 신호에 해당 PU(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감산하는 제1섬머(Summer : 13)와, 해당 제1섬머(13)를 통해 인가되는 디지탈화되어 인가되는 신호와 예측되어 생성된 이전의 신호의 레벨 차이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 14)와, 해당 DCT(14)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양자화하는 Q(Quantizer ; 15)와, 해당 Q(15)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다시 압축 및 다중화하여 해당 압축 다중화 데이타를 출력하는 VLC(Variable Run-Length Code)/MUX(Multiplexer)(16)와, 해당 Q(16)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하는 Q-1(Inverse Quantizer ; 17)와, 해당 Q-1(17)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다시 공간 상의 데이타로 변환하는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 18)와, 해당 IDCT(1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해당 PU(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해당 MEPA(11)로 인가하는 제2섬머(1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의 동작을 살펴 보면, 대략 270(Mbps) 가량의 동영상 신호를 해당 MEPA(11)와 제1섬머(13)에서 인가받는데, 해당 MEPA(11)에서는 해당 동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해당 움직임의 변화량 등을 측정하여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해당 PU(12)와 VLC/MUX(16)에 인가하고 사이드 정보(Side Information)를 해당 Q(15), Q-1(17) 및 VLC/MUX(16)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 해당 PU(12)에서는 해당 MEPA(11)로부터 모션 벡터를 인가받아 이전의 예측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제1섬머(13)에 인가해 주므로, 해당 제1섬머(13)에서는 해당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에 해당 PU(12)로부터 인가되는 이전의 예측 신호를 감산하여 해당 DCT(14)에 인가하여 준다.
이에 따라, 해당 DCT(14)에서는 해당 제1섬머(13)를 통해 인가되는 현재 영상과 이전의 영상 간의 움직임 차이를 보상한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켜 해당 Q(15)에 인가하므로, 해당 Q(15)에서는 해당 DCT(14)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VLC/MUX(16)와 Q-1(17)에 인가해 준다.
그런데, 해당 Q-1(17)에서는 해당 Q(16)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다시 해당 IDCT(18)에서 해당 Q-1(17)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다시 공간 상의 데이타로 변환시키며, 해당 제2섬머(19)에서 해당 IDCT(18)로부터 인가되는 변환된 신호와 해당 PU(1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가산하여 다음에 인가되는 동영상 신호에 대한 예측 신호로 다시 해당 PU(12)와 MEPA(11)로 인가하므로써, 이렇게 생성된 연이은 두 영상 간의 차이 신호를 다시 해당 DCT(14) 및 Q(15)를 통해 양자화된 신호가 해당 VLC/MUX(16)에 인가되어진다.
그러면, 해당 VLC/MUX(16)에서는 해당 MEPA(11)로부터 모션 벡터와 사이드 정보를인가받아 해당 Q(15)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다시 압축 및 다중화하여 해당 압축 다중화 데이타를 출력해 주게 된다.
즉, 종래의 기술은 동영상 신호를 해당 신호의 복잡성이나 운동량 등에 따라 해당 Q(15)의 양자화 수를 변화시키는 정도로 압축량을 조절하나 해당 동영상 신호의 해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므로, 부호화기의 결정에 따라 수신단의 Q-1(17)는 종속되고 비용이 많이 들더라도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경우나 해상도는 떨어져도 비용을 절감하려는 경우의 다양한 형태의 소비 욕구를 충족시키기는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를 복잡성, 운동량 등에 따라 양자화 수를 변화시켜 압축량을 조절했으나 해당 동영상 신호의 해상도는 일정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형태의 욕구를 충족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영상 신호를 여러 해상도로 나누어 각기 압축 부호화/다중화를 거쳐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욕구를 가진 소비자들이 각기 다른 해상도를 갖는 수신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있어 4×4 화소 신호와 2×2 화소 신호의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MEPA(Motion Estimation and Picture Analysis)
22 : PU(Prediction Unit) 23, 26 : 섬머(Summer)
24 :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25 : IDCT(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
27 : VLC/MUX(Variable Run-Length Code/Multiplexer)
31 : 가중치부(Weighting Function) 32 : 4×4추출부(Extractor)
33 : 2×2추출부 34 : 2×2Q
35 : 4×4Q 36 : 8×8Q
37 : 2×2Q-138 : 4×4Q-1
39 : 8×8Q-141, 42, 43, 44 : 섬머
45 : 역가중치부(Inverse Fun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MEPA와, PU와, 제1섬머와, DCT와, IDCT와, 제2섬머와, VLC/MUX를 구비하는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DCT에서 변환한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가중치를 주파수 성분에 따라 적용시키는 가중치부와; 상기 가중치부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를 4×4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1/4로 감소시키는 4×4추출부와; 상기 4×4추출부를 통해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를 2×2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다시 1/4로 감소시키는 2×2추출부와; 상기 MEPA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추출부로부터 인가되는 2×2 화소 신호를 양자화시켜 상기 VLC/MUX에 인가하는 2×2Q와; 상기 MEPA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Q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신호를 역 양자화시키는 2×2Q-1와; 상기 4×4추출부로부터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에 상기 2×2Q-1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를 감산하는 제3섬머와; 상기 MEPA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3섬머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상기 VCL/MUX에 인가하는 4×4Q와; 상기 MEPA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4×4Q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키는 4×4Q-1와; 상기 2×2Q-1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4×4Q-1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를 가산하는 제5섬머와; 상기 가중치부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에 상기 제5섬머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감산하는 제4섬머와; 상기 MEPA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4섬머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상기 VCL/MUX에 인가하는 8×8Q와; 상기 MEPA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8×8Q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키는 8×8Q-1와; 상기 8×8Q-1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제5섬머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가산하는 제6섬머와; 상기 제6섬머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에 역 가중치를 주파수 성분에 따라 적용시켜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상기 IDCT에 인가하는 역가중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 4×4 화소 신호와 2×2 화소 신호의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PA(21)와, PU(22)와, 제1섬머(23)와, DCT(24)와, IDCT(25)와, 제2섬머(26)와, VLC/MUX(27)와, 가중치부(Weighting Function ; 31)와, 4×4추출부(Extractor ; 32)와, 2×2추출부(33)와, 2×2Q(34)와, 4×4Q(35)와, 8×8Q(36)와, 2×2Q-1(37)와, 4×4Q-1(38)와, 8×8Q-1(39)와, 제3섬머(41)와, 제4섬머(42)와, 제5섬머(43)와, 제6섬머(44)와, 역가중치부(Inverse Function ; 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MEPA(21)와, PU(22)와, 제1섬머(23)와, DCT(24)와, IDCT(25)와, 제2섬머(26)와, VLC/MUX(27)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가중치부(31)는 상기 DCT(24)로부터 인가되는 변환된 주파수 영역 8×8 화소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해 가중치(W(i,j))를 상기 4×4추출부(32)와 제4섬머(42)에 인가한다.
상기 4×4추출부(32)는 상기 가중치부(31)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를 4×4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1/4로 감소시켜 낮은 해상도의 4×4 화소 신호로 상기 2×2추출부(33)와 제3섬머(41)에 인가한다.
상기 2×2추출부(33)는 상기 4×4추출부(32)를 통해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를 2×2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다시 1/4로 감소시켜 낮은 해상도의 2×2 화소 신호로 상기 2×2Q(34)에 인가한다.
상기 2×2Q(34)는 2×2 화소의 양자화기(Quentizer)로서,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추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2×2 화소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양자화 신호를 상기 VCL/MUX(27)와 2×2Q-1(37)에 인가한다.
상기 4×4Q(35)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3섬머(41)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양자화 감산 신호를 상기 VCL/MUX(27)와 4×4Q-1(38)에 인가한다.
상기 8×8Q(36)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4섬머(42)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양자화 감산 신호를 상기 VCL/MUX(27)와 8×8Q-1(39)에 인가한다.
상기 2×2Q-1(37)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Q(34)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해당 역 양자화 신호인 2×2 화소 신호를 상기 제3섬머(41)와 제5섬머(43)에 인가한다.
상기 4×4Q-1(38)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4×4Q(35)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해당 역 양자화 신호를 상기 제5섬머(43)에 인가한다.
상기 8×8Q-1(39)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8×8Q(36)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해당 역 양자화 신호를 상기 제6섬머(44)에 인가한다.
상기 제3섬머(41)는 상기 4×4추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에 상기 2×2Q-1(37)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인 2×2 화소 신호를 감산하여 해당 감산 신호를 상기 4×4Q(35)에 인가한다.
상기 제4섬머(42)는 상기 가중치부(31)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에 상기 제5섬머(35)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감산하여 해당 감산 신호를 상기 8×8Q(36)에 인가한다.
상기 제5섬머(43)는 상기 2×2Q-1(37)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4×4Q-1(38)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를 가산하여 해당 가산 신호를 상기 제4섬머(42)와 제6섬머(44)에 인가한다.
상기 제6섬머(44)는 상기 8×8Q-1(39)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제5섬머(43)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가산하여 해당 가산 신호를 상기 역가중치부(45)에 인가한다.
상기 역가중치부(45)는 상기 제6섬머(44)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역 가중치를 적용해 해당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상기 IDCT(25)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을 수행한다.
대략 270(Mbps) 가량의 디지탈 동영상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MEPA(21)와 제1섬머(23)에서 해당 디지탈 동영상 신호를 인가받는데, 해당 MEPA(21)에서는 해당 동영상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모션의 변화량 등을 측정한 후 해당 분석한 동영상 정보 및 양자화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양자화에 필요한 정보인 사이드 정보와 모션 보상을 위한 모션 벡터를 생성시키며, 해당 사이드 정보는 2×2Q(34), 4×4Q(35), 8×8Q(36), 2×2Q-1(37), 4×4Q-1(38) 및 8×8Q-1(39)와, VLC/MUX(27)에 인가되게 하고 해당 모션 벡터는 PU(22)와 VLC/MUX(27)에 인가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PU(22)는 상기 MEPA(21)로부터 모션 벡터를 인가받아 동작을 수행하는데, 제2섬머(26)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예측한 이전의 신호로 생성하여 상기 제1섬머(23)에 인가해 주므로써, 상기 제1섬머(23)는 상기 동영상 신호에 상기 PU(22)로부터 인가되는 이전의 예측 신호를 감산하여 해당 감산 신호를 DCT(24)에 인가시켜 준다.
이에, 상기 DCT(24)는 상기 제3섬머(13)를 통해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 신호를 가중치부(31)에 인가하는데,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 규격은 상기 DCT(24)의 출력 단위를 8×8의 화소로 규정하고 있으므로써, 상기 DCT(24)는 8×8 화소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변환된 8×8 화소 신호를 해당 가중치부(31)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중치부(31)에서는 상기 DCT(24)로부터 인가되는 변환된 8×8 화소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해 주는데, 해당 적용된 `i, j' 번째 화소의 가중치(W(i,j))를 4×4추출부(32)와 제4섬머(42)에 인가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4×4추출부(32)는 상기 가중치부(31)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를 4×4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1/4로 감소시켜 2×2추출부(33)와 제3섬머(41)에 인가하며, 해당 2×2추출부(33)는 상기 4×4추출부(32)를 통해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를 2×2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다시 1/4로 감소시켜 상기 2×2Q(34)에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4×4추출부(32)와 2×2추출부(22)를 거쳐서 상기 8×8 화소 신호를 낮은 해상도의 신호인 4×4 화소 신호와 2×2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1/4와 1/16로 감소시켜 주며, 이 때 해당 4×4 화소 신호와 2×2 화소 신호가 추출되는 과정은 도 3을 참고하여 쉽게 알 수 있는데, 상기 DCT(24)를 거쳐 변환된 8×8 화소 신호는 왼측 상단 성분인 DC 성분에 가장 많은 정보를 내포하고 있는 고주파수 영역으로 갈수록 포함된 정보의 양은 매우 작아지므로 여러 해상도의 신호로 부호화를 해도 전체 대역폭을 크게 늘이지는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2×2Q(34)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추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2×2 화소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양자화 신호를 상기 VCL/MUX(27)와 2×2Q-1(37)에 인가하며, 상기 2×2Q-1(37)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Q(34)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해당 역 양자화 신호인 2×2 화소 신호를 상기 제3섬머(41)와 제5섬머(43)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3섬머(41)는 상기 4×4추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에 상기 2×2Q-1(37)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인 2×2 화소 신호를 감산하여 해당 감산 신호를 상기 4×4Q(35)에 인가하며, 상기 4×4Q(35)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3섬머(41)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양자화 감산 신호를 상기 VCL/MUX(27)와 4×4Q-1(38)에 인가하며, 상기 4×4Q-1(38)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4×4Q(35)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해당 역 양자화 신호를 상기 제5섬머(43)에 인가하며, 상기 제5섬머(45)는 상기 2×2Q-1(37)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4×4Q-1(38)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를 가산하여 해당 가산 신호를 상기 제4섬머(42)와 제6섬머(44)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4섬머(42)는 상기 가중치부(31)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에 상기 제5섬머(35)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감산하여 해당 감산 신호를 상기 8×8Q(36)에 인가하며, 상기 8×8Q(36)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4섬머(42)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해당 양자화 감산 신호를 상기 VCL/MUX(27)와 8×8Q-1(39)에 인가하며, 상기 8×8Q-1(39)는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8×8Q(36)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켜 해당 역 양자화 신호를 상기 제6섬머(44)에 인가하며, 상기 제6섬머(44)는 상기 8×8Q-1(39)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제5섬머(43)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가산하여 해당 가산 신호를 상기 역가중치부(45)에 인가한다.
이 때, 상기 2×2Q(34), 4×4Q(35), 8×8Q(36)는 상기 동영상 신호의 모션 정도, 복잡도 등에 따라 양자화 레벨을 유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장 낮은 레벨에서 역 양자화된 신호는 해당 레벨의 한 단계 위의 신호를 양자화할 때에 감산하여 줌으로써 다시 한 번 압축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역가중치부(45)는 상기 제6섬머(44)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역 가중치를 적용해 해당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IDCT(25)에 인가시켜 주므로, 해당 IDCT(25)는 상기 역가중치부(45)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다시 공간 상의 영역의 신호로 변환시켜 준다.
그런데, 상기 공간 상 영역의 데이타는 원래의 입력 동영상 신호와 상기 예측 신호 간의 차이였으므로, 상기 제2섬머(26)에서 상기 IDCT(25)로부터 인가되는 변환된공간 상 영역의 데이타와 상기 PU(12)로부터 인가되는 이전의 예측 신호로 사용했던 신호를 가산시켜 해당 가산 신호를 상기 MEPA(21)로 인가하므로써, 상기 MEPA(21)에서는 또다시 입력되는 동영상 신호와 해당 가산 신호를 이용하여 다시 모션 벡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동영상 신호에 대한 여러 가지의 사이드 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이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VLC/MUX(27)에서는 상기 MEPA(21)로부터 모션 벡터와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Q(34), 4×4Q(35) 및 8×8Q(36)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된 신호를 다시 압축 및 다중화하여 해당 압축 다중화 데이타를 출력해 주게 된다.
이렇게 하여, 종래에 수신단의 역부호화기가 송신단의 부호화기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부호화기의 특성을 어느 정도 보완하고 여러 해상도를 가지는 부호화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DBS(Direct Broadcasting Service), CATV, 디지탈 TV, HDTV 등과 같은 서비스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동영상 신호의 화소를 (1/4)n만큼씩 가중치부, 4×4추출부 및 2×2추출부에서 추출한 신호를 2×2Q, 4×4Q 및 8×8Q를 통해 양자화하는데, 가장 낮은 레벨의 양자화된 신호를 2×2Q-1, 4×4Q-1및 8×8Q-1에서 연이어 역 양자화하여 섬머를 통해 상위 레벨의 추출 신호로부터의 차이를 구한 후에 역가중치부를 통해 다시 예측 신호로 전송함과 동시에 해당 양자화된 신호를 여러 해상도로 나누어 각기 압축 부호화/다중화를 거쳐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욕구를 가진 소비자들이 각기 다른 해상도를 갖는 수신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

  1. MEPA(21)와, PU(22)와, 제1섬머(23)와, DCT(24)와, IDCT(25)와, 제2섬머(26)와, VLC/MUX(27)를 구비하는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DCT(24)에서 변환한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가중치를 주파수 성분에 따라 적용시키는 가중치부(31)와;
    상기 가중치부(31)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를 4×4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1/4로 감소시키는 4×4추출부(32)와;
    상기 4×4추출부(32)를 통해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를 2×2 화소 신호로 압축할 화소수를 다시 1/4로 감소시키는 2×2추출부(33)와;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추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2×2 화소 신호를 양자화시켜 상기 VLC/MUX(27)에 인가하는 2×2Q(34)와;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2×2Q(34)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신호를 역 양자화시키는 2×2Q-1(37)와;
    상기 4×4추출부(22)로부터 인가되는 4×4 화소 신호에 상기 2×2Q-1(37)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를 감산하는 제3섬머(41)와;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3섬머(41)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상기 VCL/MUX(27)에 인가하는 4×4Q(35)와;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4×4Q(35)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키는 4×4Q-1(38)와;
    상기 2×2Q-1(37)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4×4Q-1(38)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를 가산하는 제5섬머(43)와;
    상기 가중치부(31)를 통해 인가되는 8×8 화소 신호에 상기 제5섬머(35)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감산하는 제4섬머(42)와;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제4섬머(42)로부터 인가되는 감산 신호를 양자화시켜 상기 VCL/MUX(27)에 인가하는 8×8Q(36)와;
    상기 MEPA(21)로부터 사이드 정보를 인가받아 상기 8×8Q(36)로부터 인가되는 양자화 감산 신호를 역 양자화시키는 8×8Q-1(39)와;
    상기 8×8Q-1(39)로부터 인가되는 역 양자화 신호와 상기 제5섬머(43)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를 가산하는 제6섬머(44)와;
    상기 제6섬머(44)로부터 인가되는 가산 신호에 역 가중치를 주파수 성분에 따라 적용시켜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상기 IDCT(25)에 인가하는 역가중치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KR1019970079471A 1997-12-30 1997-12-30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KR10026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471A KR100267534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471A KR100267534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273A KR19990059273A (ko) 1999-07-26
KR100267534B1 true KR100267534B1 (ko) 2000-10-16

Family

ID=1953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471A KR100267534B1 (ko) 1997-12-30 1997-12-30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5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273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771B1 (ko) 이동벡터 스케일링기능을 개선한 스케러블 부호화기 및 그 방법
EP1701552B1 (en) Image conversion apparatus
KR101348365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263627B1 (ko) 화상 부호화 장치와 화상 복호화장치 및 부호화.복호화 시스템
EP088468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and its inverse
US5909249A (en) Reduction of noise visibility in a digital video system
EP1195993A2 (en) Transcoding of video signal
US20120275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JPH06189281A (ja) 適応的フレーム/フィールドフォーマット圧縮を用いた映像信号符号化装置
KR20070009337A (ko) 주파수 공간에서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6018368A (en) Scalable encod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improved function of scaling motion vector
JPH05191653A (ja) カラー画像の符号化と復号化の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符号器と復号器
KR100267534B1 (ko) 디지탈 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KR100777930B1 (ko) 복호 장치 및 복호 방법
KR100260702B1 (ko) 인간의 시각특성을 이용한 영상신호 압축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U2001293994A1 (en) Compression of motion vectors
EP1325636A2 (en) Compression of motion vectors
KR100394014B1 (ko) 영상 변환 부호화 장치
JP3131181B2 (ja) 移動ベクトルスケーリング機能を改善するスケラブル符号化器およびその方法
US20130195180A1 (en) Encoding an image using embedded zero block coding along with a 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KR100238757B1 (ko) 주파수 피라미드 방식을 이용한 영상 압축 장치
Panchanathan et al. Fast 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 scheme for a wavelet transform video coder
JPH07298270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予測符号化装置
KR0124157B1 (ko) 영상 부호화 장치
KR100238083B1 (ko) 배경을 고려한 변환부호화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