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770B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770B1
KR100266770B1 KR1019980009392A KR19980009392A KR100266770B1 KR 100266770 B1 KR100266770 B1 KR 100266770B1 KR 1019980009392 A KR1019980009392 A KR 1019980009392A KR 19980009392 A KR19980009392 A KR 19980009392A KR 100266770 B1 KR100266770 B1 KR 10026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eat exchange
boiler
inlet pipe
combus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454A (ko
Inventor
백승복
Original Assignee
백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복 filed Critical 백승복
Priority to KR101998000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67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24H9/0031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with means for changing or adapting the path of the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하단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도어가, 타측에는 배수관과 청소용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유입관과 배기관이 형성되고, 양측면 일단에는 드레인밸브가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이 케이스부재의 내부에는 바닥면에 안내레일이, 하단 양측으로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배수관과 유입관 및 드레인밸브와 연결된 이중의 수로가 형성되고, 이 수로 사이에 상기 배기관과 연결된 배기로가 형성되는 열교환부와; 이 열교환부의 삽입부에는 연소부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를 제공하므로서, 전열면적을 확대시킨 열교환부를 형성하여 최소의 연료비로 최대한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최대의 열효율을 갖을 수 있도록 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열면적을 확대시킨 열교환부를 형성하여 최소의 연료비로 최대한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최대의 열효율을 갖을 수 있도록 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일러는 그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기름 보일러, 가스 보일러 및 연탄 보일러 등으로 크게 구분되는 데, 상기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는 사용되는 연료를 연료탱크에 저장함과 동시에 보일러와 연결시켜 사용하므로서, 사용하기 편리한 점을 있으나, 기름이나 가스의 연료비가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과,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연료를 소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연탄 보일러는 상기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와 같이 연료탱크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소부에 연료를 삽입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연소가 이루어지면 다시 새로운 연료를 교체해야 하므로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에 비해 연료비가 적게 소요되는 잇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또한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연료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전열면적을 확대시킨 열교환부를 형성하여 최소의 연료비로 최대한의 열교환이 이루어져 최대의 열효율을 갖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부는 사용되는 연료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소부의 구성을 연소용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부에 삽입되는 연료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과, 상기 연소부를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보일러에 있어서, 일측에 하단으로 삽입공이 형성된 도어가, 타측에는 배수관과 청소용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유입관과 배기관이 형성되고, 양측면 일단에는 드레인밸브가 형성된 케이스부재와; 이 케이스부재의 내부에는 바닥면에 안내레일이, 하단 양측으로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배수관과 유입관 및 드레인밸브와 연결된 이중의 수로가 형성되고, 이 수로 사이에 상기 배기관과 연결된 배기로가 형성되는 열교환부와; 이 열교환부의 삽입부에는 연소부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부는 밑면으로 상기 안내레일에 상응되게 다수의 이동용바퀴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내측에 조절구가 형성된 공기유입관이 형성되고, 내면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그 하측으로 재치부재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부는 상단과 내면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공기유입관과 연결되도록 공급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부는 일측면으로 개폐수단인 도어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안내레일이, 재치부재의 밑면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상응되는 다수의 이동용바퀴가 설치되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부는 일측면 후방에 회전구가 설치되며, 이 회전구에는 그 전방으로 설치되는 회동수단과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의 삽입부에서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외형도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 열교환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또 다른 일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연소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고,
도 6은 본 발명 연소부에 설치되는 재치부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7은 본 발명 연소부를 인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연소부 10a, 32 : 도어
12 : 공기유입관 12a : 조절구
13, 15a : 이동용바퀴 14 : 단열재
15 : 재치부재 18 : 공급관
20 : 열교환부 21, 21a : 안내레일
22 : 수로 24 : 배기로
25 : 배기공 26 : 삽입부
30 : 케이스부재 31 : 삽입공
34 : 배수관 35 : 청소용 삽입구
36 : 유입관 38 : 배기관
39 : 드레인밸브 100 : 회전구
120 : 회동수단 130 : 연결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외형도를 도시한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 열교환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일측에 하단으로 일면에 공기유입관(12)이 형성된 연소부(10)가 삽입되도록 삽입공(31)이 형성된 도어(32)가, 타측에는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가 배출되도록 배수관(34)과,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부(2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용 삽입구(35)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별도의 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순환수가 상기 열교환부(20)의 수로(22)에 유입되도록 설치된 유입관(36)과, 연소부(10)에서 연소되면서 발생된 폐가스가 배기되도록 배기관(38)이 형성되고, 양측면 일단에는 이물질 등이 함유된 순환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39)가 형성된 케이스부재(30)와;
상기 케이스부재(30)의 내부에는 바닥면에 안내레일(21)이, 하단 양측으로 다수의 배기공(25)이 형성된 삽입부(26)가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 전열면적을 넓게 갖을 수 있도록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배수관(34)과 유입관(36) 및 드레인밸브(39)와 연결된 이중의 수로(22)가 형성되고, 이 수로(22) 사이에 상기 배기관(38)과 연결된 배기로(24)가 형성되는 열교환부(20)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또 다른 일측 단면도로서, 상기 케이스부재(30) 내로 설치되어 수로(22)와 배기로(24)가 형성된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 연소시 필요한 연료가 재치되는 연소부(1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연소부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 삽입된 연소부(10)는 밑면으로 상기 안내레일(21)에 상응되게 다수의 이동용바퀴(13)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외부에서 연소부(10) 내로 유입되는 공기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구(12a)가 형성된 공기유입관(12)이 형성되고, 내면에 단열재(14)가 설치되어 그 하측으로 연탄, 조개탄, 목재 및 폐기물 등이 재치되도록 프레임에 망이 설치되는 재치부재(15)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연소부(10)는 상단과 내면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공기유입관(1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결된 공급관(18)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 연소부에 설치되는 재치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소부(10)는 일측면으로 개폐수단인 도어(10a)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안내레일(21a)이, 재치부재(15)의 밑면에는 상기 안내레일(21a)에 상응되는 다수의 이동용바퀴(15a)가 설치되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연소부를 인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소부(10)는 일측면 후방에 체인기어 등의 회전구(100)가 설치되며, 이 회전구(100)에는 그 전방으로 설치되는 모터나 회전핸들 등의 회동수단(120)과 벨트나 체인 등이 상기 연소부(10)의 일측면 전방과 고정되는 연결수단(130)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서 상기 회동수단(120)에 의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 및 작용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스부재(30)의 상면으로 형성된 유입관(36)을 통해 열교환부(20)의 수로(22)에 순환수를 공급하며, 연소부(10)의 재치부재(15) 하부에는 번개탄 등과 같은 점화재를 넣고, 재치부재(15)의 상부에는 연탄, 조개탄, 목재 및 폐기물 등의 연소 연료를 재치시킨 다음, 점화재에 점화를 시킨 후,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로 도 1,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삽입시키면서 도어(32)를 닫는다. 이때, 점화재의 점화는 연소부(10)를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 삽입시킨 후, 점화시켜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도어(32)를 닫을 시에는 도어(32)에 형성된 삽입공(31)으로 내부에 조절구(12a)가 형성된 연소부(10)의 공기유입관(12)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에서 연소부(10)는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 바닥면으로 형성된 안내레일(21)를 통해 밑면으로 형성된 이동용바퀴(13)에 의해 원활하게 인출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외부로 돌출된 공기유입관(12)에는 연소부(10)에서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송풍기 등을 사용하여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고, 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공기유입관(12)의 내측에 설치된 조절구(12a)의 조절에 따라 연소부(10)의 상단과, 전방 및 후방으로 설치된 공급관(18)을 통해 연소부(10)의 전, 후방으로 원활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소부(10)의 재치부재(15) 하부에 삽입된 점화재에 점화가 이루어지면서 재치부재(15)의 상면으로 재치된 연소 연료에 연소가 이루어지고, 그 연소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교환부(20)의 수로(22)에 공급된 순환수가 열교환되어 배수관(34)을 통해 필요한 곳을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열교환부(20)는 상기 연소부(10)에서 발생된 열을 최대한으로 흡열하여 전열할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다수번 절곡하여 전열면적을 넓게 갖을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한편, 연소에 따라 발생된 폐가스나 연기 등은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 양측 하단으로 형성된 배기공(25)을 통해 수로(22)와 수로(22) 사이에 형성된 배기로(24)를 따라 케이스부재(30)와 연결되어 형성된 배기관(3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폐가스나 연기 등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폐가스나 연기 등에 잔류되어 있는 열기가 열교환부(20)로 다시 한번 더 전열되어 더욱더 큰 열교환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소부(10)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연소부(10)의 연소가 완료되면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서 연소부(10)를 다시 이탈시킨 후, 재치부재(15)의 상부로 재치되어 있는 연소 연료를 교체시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연소를 계속하여 실행한다.
상기에서 케이스부재(30)의 일면으로 형성된 청소용 삽입구(35)는 열교환부(20)의 배기로(24)에 연소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자 사용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고압노즐 등이 설치된 제거장치 등을 상기 삽입구(35)를 통해 삽입시킨 후, 공기 또는 물 등을 분사시켜 배기로(24)에 부착된 가스나 이물질 등을 제거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거되는 가스나 이물질 등은 열교환부(20)의 양측 하단으로 형성된 배기공(25)을 통해 열교환부(20)의 바닥면으로 배출되며, 이 배출된 가스나 이물질 등은 사용자가 제거하면 간편하게 배기로(24)의 청소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양측면 일단으로 형성된 드레인밸브(39)는 열교환부(20)의 수로(22)에서 순환되는 순환수에 일정 사용기간에 따라 함유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자 설치한 것으로서, 순환수를 일정 기간 사용 후에 드레인밸브(39)를 개방하여 순환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시켜 열교환 조건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여건을 갖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연소부에 설치되는 재치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소부(10)에 삽입되어 재치되는 연소 연료를 더욱더 원활하게 연소부(10)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연소부(10)의 일측면에 개폐수단인 도어(10a)를 형성하고, 이 연소부(10)의 바닥면에는 안내레일(21a)을, 그 상부로 재치되는 재치부재(15)의 밑면에는 상기 안내레일(21a)로 인출 가능하게 이동용바퀴(15a)를 형성하므로서, 연소 연료가 재치되는 재치부재(15)를 연소부(10)에서 더욱더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소부(10)에서 재치부재(15)를 원할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재치부재(15)의 상부로 재치되는 연소 연료의 교체시에 더욱더 편리한 연료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 연소부를 인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서 인출되는 연소부(10)를 좀더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부(10)의 일측면 후방에 체인기어 등의 회전구(100)를 설치하고, 이 회전구(100)에는 그 전방으로 설치되는 모터나 회전핸들 등의 회동수단(120)과 벨트나 체인 등이 상기 연소부(10)의 일측면 전방과 고정되는 연결수단(130)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서 상기 회동수단(120)의 조작에 의해 손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연소부(10) 또한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서 사용자가 외부에 설치된 회동수단(120)을 조작하여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하므로서, 연소부(10)를 인출시 더욱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는 여건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는 전열면적을 확대시킨 열교환부를 형성하므로서, 적은 연료로서 최대한의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는 바람직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부에는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연소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여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연소부에 삽입되어 재치되는 연소 연료를 원활하게 삽입하여 재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료교체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열교환부에 삽입되는 연소부를 외부에서 회동수단을 사용하여 더욱더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한층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발명인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는 전열면적이 큰 열교환부를 갖으므로서, 본 발명의 연소부 대신에 가스버너나 기름버너 등의 가열장치를 열교환부의 삽입부에 삽입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종래 가스버너나 기름버너 등에서 사용되는 연료량에 비해 적은 연료량으로도 더욱더 큰 열교환 효과를 갖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보일러에 있어서, 일측에 하단으로 삽입공(31)이 형성된 도어(32)가, 타측에는 배수관(34)과 청소용 삽입구(35)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유입관(36)과 배기관(38)이 형성되고, 양측면 일단에는 드레인밸브(39)가 형성된 케이스부재(30)와; 이 케이스부재(30)의 내부에는 바닥면에 안내레일(21)이, 하단 양측으로 다수의 배기공(25)이 형성된 삽입부(26)가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 다수번 절곡되어 상기 배수관(34)과 유입관(36) 및 드레인밸브(39)와 연결된 이중의 수로(22)가 형성되고, 이 수로(22) 사이에 상기 배기관(38)과 연결된 배기로(24)가 형성되는 열교환부(20)와; 이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는 연소부(10)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0)는 밑면으로 상기 안내레일(21)에 상응되게 다수의 이동용바퀴(13)가 설치되며, 전면에는 내측에 조절구(12a)가 형성된 공기유입관(12)이 형성되고, 내면에 단열재(14)가 설치되어 그 하측으로 재치부재(15)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0)는 상단과 내면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공기유입관(12)과 연결되도록 공급관(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0)는 일측면으로 개폐수단인 도어(10a)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안내레일(21a)이, 재치부재(15)의 밑면에는 상기 안내레일(21a)에 상응되는 다수의 이동용바퀴(15a)가 설치되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10)는 일측면 후방에 회전구(100)가 설치되며, 이 회전구(100)에는 그 전방으로 설치되는 회동수단(120)과 연결수단(130)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부(20)의 삽입부(26)에서 상기 회동수단(120)에 의해 인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1019980009392A 1998-03-19 1998-03-19 보일러 KR100266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392A KR100266770B1 (ko) 1998-03-19 1998-03-19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9392A KR100266770B1 (ko) 1998-03-19 1998-03-19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454A KR19980019454A (ko) 1998-06-05
KR100266770B1 true KR100266770B1 (ko) 2000-09-15

Family

ID=1953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392A KR100266770B1 (ko) 1998-03-19 1998-03-19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67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36A (ko) * 2001-03-09 2002-09-14 이만섭 연탄 온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454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5012Y1 (ko) 다목적 보일러 장치
KR101324474B1 (ko) 상하연소 방식의 화목보일러
KR100266770B1 (ko) 보일러
KR20090121162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216193Y1 (ko) 온수보일러
KR200438793Y1 (ko) 고체연료 난로
KR20070117065A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607448B1 (ko) 배기가스의 강제배출이 가능한 나무펠릿 다기능 보일러
KR100319649B1 (ko) 보일러
KR1018098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381890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200328096Y1 (ko) 코크스 보일러
KR200234389Y1 (ko) 분리형 화목 보일러
KR20060077810A (ko) 온수 보일러
KR100460640B1 (ko) 다목적 보일러 장치
KR200320285Y1 (ko) 유류겸용연탄보일러장치
CN200993467Y (zh) 节能采暖锅炉
KR200397963Y1 (ko) 난방장치
KR200202960Y1 (ko) 다목적 난방기
KR100619283B1 (ko) 폐비닐을 이용한 보일러
KR20110003144A (ko) 보일러
KR890007608Y1 (ko) 난로
KR20020093685A (ko) 온풍기용 연탄보일러
KR200368247Y1 (ko) 떡 찜용 보일러
KR200316389Y1 (ko) 다목적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