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6706B1 - 시일 아래 연성재 스트립 설치용 핸드디스펜서, 또한 그 설치방법과 용도 - Google Patents

시일 아래 연성재 스트립 설치용 핸드디스펜서, 또한 그 설치방법과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6706B1
KR100266706B1 KR1019940703188A KR19940703188A KR100266706B1 KR 100266706 B1 KR100266706 B1 KR 100266706B1 KR 1019940703188 A KR1019940703188 A KR 1019940703188A KR 19940703188 A KR19940703188 A KR 19940703188A KR 100266706 B1 KR100266706 B1 KR 10026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lip
seal
nozzle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129A (ko
Inventor
보뎅 피에르
Original Assignee
보뎅 피에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뎅 피에르 filed Critical 보뎅 피에르
Publication of KR95070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6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92Tools moving along strips, e.g. decorating or sealing strips, to insert them in, or remove them from, groov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40Devices for making a normally hidden area accessible for the spra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45Assembling sealing arrangements with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Road Repair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핸드 디스펜서는 스트립을 용기 또는 릴(reel)로부터 공급받는 분배단편을 구비한다. 연성재 스트립은 선형 또는 테두리 시일의 한 립(lip) 아래에 있고 립은 시일로 덮인 또한 이에 인접한 구역상에서 페인트칠 또는 분무할때 들어올린 위치로 유지한다. 디스펜서는 임시수단 및 차수리점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Description

시일 아래 연성재 스트립 설치용 핸드디스펜서, 또한 그 설치방법과 용도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의 분배기기를 사용하여 자동차 전면 시일을 들어올리는 스트립 장착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스트립 장착을 보여주는 것으로: 제3도는 스트립이 제위치에 있는 시일의 사시도.
제4, 5도 또한 제6도는 제3도의 절단선 [IV-[IV, V-V 또한 VI-VI에 따른 단면도.
제7, 8도 및 제9도는 페인트 분무 전, 동안 또한 후의 스트립을 포함한 시일의 사시도.
제10도는 스트립 설치후 종래의 테두리 시일의 단면도.
제11도는 접착된 윈도우용 테두리 시일의 유사 단면도.
제12도와 제13도는 또다른 분배기기의 프로파일과 단면도.
제14도와 제15도는 스트립이 저장된 분배기의 프로파일과 단면도.
제16도와 제17도는 로울이 저장된 분배기의 프로파일.
제18도는 발포 스트립 말단이 도입된 핸드 디스펜서의 단면도.
제19도와 제20도는 분배기 노즐속으로 삽입될 두 가지 발포 스트립 말단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립 2 : 시일
3 : 창 4 : 차체
5 : 립(lip) 6 : 스트립 말단
8 : 분배기 9 : 노즐
10 : 노즐입구 11 : 노즐출구
12 : 접착테이프 13 : 페인트
14 : 분무기 단부 15 : 페인트 코팅
16 : 단부경계 17 : 시일
18 : 창 19 : 차체
20 : 시일 21 : 창
22 : 접착제 스트립 23 : 차체
24 : 중간고정요소 25 : 스트립
26 : 핸들 27 : 용기
28 : 단부 29 : 스트립
30 : 피스톤 31 : 손잡이
32 : 루우프 33 : 리일
34 : 스트립 35 : 스핀들
36,37 : 브랜치 38 : 보호케이싱
39 : 덮 40 : 접착테이프
본 발명은 도장 또는 처리전 상승된 상태에서 선형 또는 주변시일, 예컨대 자동차 창의 누수방지 시일과 같은 립(lip)시일 고정용 신축성 스트립을 배치하기 위한 핸드 디스펜서와 그 사용방법에 관계한다.
사고로 인한 패널 수리후 차체를 재도장하거나 자동차를 장식하기 위해 자동차를 페인트가게에 보낼 때 도장될 차체와 도장안된 이웃한 부위간 경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가 특히 곤란하다.
따라서, 유리창 부위는 보호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창 둘레를 따라 시일상에 고정된 접착테이프로 유지되는 종이스크린으로 덮힌다.
고무나 반-강성 플라스틱재로 만든 시일은 누수방지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창유리 모서리와 차체간 주변 경계를 덮어서 차단한다. 이 목적으로 시일은 수밀리미터 이상 차체를 덮는다.
시일의 립(lip) 가장자리에서 새로운 코팅의 박리개시를 촉진시키는 페인트막의 불연속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일의 립을 들어올리고 페인트 분무 및 건조동안 그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일의 립 아래에 페인트막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페인트가 분무될 때, 분무물은 연속방식으로 시일로 덮힌 지대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최종 상태에서 시일은 페인트 코팅의 경계를 덮어서 심미적 연속성을 제공하며 이러한 경계를 대기부식에 대해 보호한다.
시일의 립을 들어올려 전면유리의 전체둘레에 걸쳐 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현재 차체제작공은 미봉책의 수단을 이용할 뿐이다.
예컨대 시일의 립과 차체 사이에 손으로 삽입되는 신축성 관형태의 선형 삽입체가 있다.
이러한 관은 시일을 들어올리도록 시일 아래에 삽입되며 창전체에서 시일을 따라 활주하는 가이드를 써서 설치된다. 이러한 관은 가이드내에서 활주하여 시일과 차체간에 존재하는 공간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불만족스럽고 여러 결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유체연결용 관은 5미터 정도의 일정크기로만 시판중이다. 더욱이 그 직경은 기존의 시일나비와 각종 형태에 부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이것을 작은창에 사용할 경우 남는 길이는 도장단계가 끝날때까지 창중심에 모아 감고 고정시켜야 하므로 또다른 처리조작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각 창둘레에 단일한 관이 있어야 한다.
전체 페인트칠 및 건조단계동안 제2 차체작업자는 그것을 이용할 수 없다.
사용측면에서 관형파이프를 들어올린 상태로 시일립을 유지하는 모든 곤란성에 대한 완벽한 방법을 제공할 수 없다. 특히, 시일의 립을 균일하게 들어올리도록 파이프를 위치시키기가 어렵다. 실제로 파이프는 전면유리와 차체간에 존재하는 틈새의 가변적인 표면상태 때문에 약간 찌그러져서 시일 및 웨지 아래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페인트막의 경계가 불규칙해진다.
덧붙여서, 파이프는 시일과 차체 사이에 있는 홈바닥까지 미끄러지는 경향이 있어서 시일립 상승이 더 불규칙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다른 한편, 파이프는 관 모양이고 재질이 탄성이므로 기계적 응력하에서 편평하게 되거나 일그러지는 경향이 있다.
덧붙여서, 페인트칠 단계후 파이프가 제거될때 페인트와 접착한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종종있다. 그러므로 시일아래에 위치될 때 조차 새로운 페인트 코팅의 박리개시를 일으킬 수 있는 작은 릿지가 인열력(tearing force)에 의해 형성된다.
관은 비싸고 불편하기 때문에 절연부가 있는 단일 전선케이블이 종종 사용되는데, 이것은 각종형태의 시일에 적합한 여러직경의 물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은 시일 아래에 불규칙하게 위치하는 탓으로 불규칙하게 시일을 들어올린다. 더욱이 시일 아래에 도입하기가 불편하다. 최종적으로, 차체제작자는 연속적으로 다수의 케이블을 갖추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까지 사용되온 전선 또는 파이프를 충분한 길이 또는 미터당으로 쓸 수 있는 일회용 신축성 발포 스트립으로 대체하여 상기의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길이는 시일의 크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립은 균일하게 시일의 립 아래 놓인다. 스트립은 배치장소에서 미끄러짐 없이 유지되며 발포물은 시일과 차체간 작용을 보상한다. 발포스트립이 설치시 신장되는 정도에 따라 차체에 대한 시일의 복원력에 의해 발포물이 가변적으로 압축되므로 원하는 방식으로 시일의 립을 올릴 수 있다.
발포물 최종 고정은 손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립말단에서 페인트로부터 시일을 보호하며 평면재료 가장자리와 연결부를 형성하여 창을 보호하는 접착테이프를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 통과중 접착테이프의 수축이 방지될 수 있다.
발포스트립은 배치된 장소에 움직일 수 없게 유지되므로 홈 바닥까지 밀어 넣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즉 최적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발포스트립은 설치가 용이하고 빠르다. 또한 페인트 흡수성이 있는 발포물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후에 벗겨지는 원인이 되는 예리한 모서리와 페인트막의 갑작스런 파괴대신에 시일 아래 페인트막 두께가 점차적으로 균일하게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전면유리 시일이 더 협소하며 접착제로 굳건하게 부착되며 케이블 또는 신축성 파이프가 설치되기 곤란한 경우에 유용하며 효과적이다. 사실상 접착된 창의 경우에 시일은 누수방지성이며 창과 차체 가장자리사이에 존재하는 틈새에 강제 도입되는 반-강성 몰딩으로 구성된 미학적인 시일이다. 이것은 도장단계동안 제거하기 어렵다.
차체를 덮고 있는 립의 형태탓에 종래의 신축성 파이프 또는 전선은 충분히 시일을 들어올리지 못한채 홈 바닥에 미끄러져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물 신축성 스트립의 이용은 이 경우에도 효과적이며 이득이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트립 설치를 위한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는 시일립 상승을 가능하도록 하며 스트립 립(lip) 아래 균일하게 전달 및 삽입하고 이것을 일시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유지시키는 분배노즐을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 용기 또는 릴 로울로부터 운반된 스트립 저장원 또는 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파지수단이나 용기자체가 설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다른 장점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통한 설명에서 주어진 바와 같다:
신축성 발포스트립을 전면유리 또는 시일과 도장 또는 처리된 인접면 사이에 있는 구멍을 폐쇄하는 창이나 다른벽의 테두리 시일 아래에 삽입하여서 립 또는 이것의 일부나 전체를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들어올리며 차체 페인트칠 및 건조작업에 상응한 시간동안 스트립 존재로 인해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발상에서 본 발명은 출발한다.
신축성 재료인 폴리에틸렌 발포물 스트립(1)이 자동차차체(4) 또는 시일에 근접 위치한 이것의 일부를 페인트칠하는 동안 보호될 창문이나 전면유리(3)를 둘러싼 테두리시일(2)과 형태나 크기가 일치된 단면으로 사용된다. 시일(2)의 립(5)은 전면창 또는 창(3)의 주변에 걸쳐 차체를 덮는다.
신축성재료는 신장, 압축된후 초기 상태나 이에 충분히 근접한 상태로 복귀할 수 있거나 설치후 신장이 되는 재질이다.
스트립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신축성 재료는 공지이다(US 특허 4,996,092).
스트립은 코드나 와이어와 유사한 신장가능한 연속 물리적 형태를 뜻하며 특별한 단면형에 관계없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립이 예리한 모서리없이 원형이나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스트립(1)의 출발말단(1)은 립이 국지적으로 상승된 시일(2) 아래 위치(7)에 도입되고 이후에 출발점에 복귀할때까지 전체 테두리를 따라 립 아래에 스트립이 연속으로 점진적으로 삽입된다.
명확히, 일부 길이로만 시일이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이 출발말단(6)은 스트립에 특별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이것은 수동으로 또는 적절한 기구를 써서 시일의 립 아래 도입 및 고정하는데 적절한 구성 또는 강성 팁(tip)을 포함한다.
장착후, 스트립은 충분한 길이로 절단하고 페인트칠 또는 처리조작을 시행한다.
수작업을 시행하는 변형태에 따르면, 시일은 나사 드라이버 또는 얇은 말단을 갖는 다른 기구를 써서 초기에 들어올릴 수 있다. 스트립의 한 말단이 도입되고 시일의 립 아래 홈 바닥과 근접하게 유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스트립은 주변을 따라 시일 아래 조금씩 삽입되고 이것을 신장하여 원하는 상향 효과를 얻고 이것을 손으로 누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분배기(8)을 이용하며 제12도 내지 18도에서 여러변형태를 설명하였다.
분배기(8)는 다음의 기능과 특성을 갖는다.
분배기는 차체(4)로부터 시일의 립(5)을 제거하고 스트립(1)을 립 아래 놓는데 사용하는 분배노즐(9)을 포함하는데, 노즐을 통해 스트립이 통과하고 출구방향으로 수렴하는 노즐(9)의 내부형태에 의해 압축후 노즐을 떠난다.
분배기는 또한 스트립 저장원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일정길이의 스트립이 10미터 또는 15미터로 감겨진 용기속에, 또는 고정식, 이동식, 착탈식, 재충전식 매거진 또는 스트립이 감긴 릴형홀더에 밀봉된다.
또한 사용자가 잡아 분배기를 조정하도록된 파지수단을 포함하는데, 파지수단은 용기 또는 매거진이거나 핸들이 첨가된 부재이다.
저장된 스트립을 전진 또는 압축하는 수단과 노즐 입구 단부쪽으로 운반하는 수단이 보조적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의 립(5)아래에 쉽게 도입되어 립을 들어올리며 상기 립과 차체 패널사이에 스트립을 전단하는 노즐 단부가 쉽게 미끄러지도록 원추형과 같이 입구단부(10)로부터 출구단부(11)로 수렴하는 내부 및 외부모양을 갖는 분배노즐이 선호된다.
분배노즐은 중공팁 또는 원통형, 원추형, 원통원추형 슬리이브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노즐은 강성 플라스틱재질의 차체 긁힘이 없는 재료로 만든다. 필요하면, 노즐의 강성은 종단리브(rib)나 플루우트형태로 보강된다.
수렴형 팁을 가진 노즐이 내부채널의 출구단면 직경이 도면에 도시된 비압축된 발포물 스트립 단면(R)보다 더 적도록 선택될 경우에 립(lip)아래에 배치하기전 발포물을 압축하는 추가 장점이 획득된다.
탄성 때문에, 발포물은 분배노즐을 떠난직후에 시일 아래서 팽창하며, 이 효과는 스트립 배치시 스트립에 부여하는 장력에 의해 증가된다.
노즐(9) 구성 팁의 다른 구형도 가능하다. 게다가 노즐을 분배기 몸체(8)에 나사연결시 착탈식으로 고정될수 있어서 사용자는 스트립 직경과 시일 형태가 상이한 한 세트의 상호교환가능한 분배노즐을 이용할 수 있다.
스트립을 본 발명의 분배기(8)를 써서 시일의 립 아래 배치할 수 있도록 다음의 간단한 절차를 이용한다.
창 또는 전면유리 둘레에 존재하는 임의의 시일 위치에서, 짧은 길이의 스트립이 연장된 분배노즐(9) 말단이 립을 약간 들어올려 도입된다. 그 후 차체 패널과 립사이에 말단이 시일 아래 삽입된다.
스트립 말단은 손으로 눌러 고정되고 시일(제3도 내지 6도)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유지한 분배기 노즐(9)이 시일을 따라 미끄러진다. 스트립은 노즐을 통해 풀리고 노즐말단이 립을 들어올린후 홈바닥으로 미끄러짐없이 시일의 립 아래로 연속으로 스트립이 놓인다.
스트립 장력을 변화시켜서, 스트립 압축력을 조절하여 도입을 용이하게 한다. 필요하면 제1통과후 제2통과작업을 실행한다.
립이 전체 둘레에 걸쳐 들어올려진후 스트립을 절단한다. 따라서 자동차 모든창의 시일이 신속히 상승된다.
배치에 사용하는 분배기(8)는 제2자동차 제작 또는 다른 가공스테이션에서 즉시 재이용될 수 있다.
스트립을 창의 시일 아래 비치한 후,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대로 시일의 립 단부 둘레로 접어서 창보호 스크릴을 고정할 수 있는 접착테이프(12)에 의해 시일이 페인트 분무로부터 보호된다.
이후에 차체 처리 또는 페인트칠이 페인트(13) 분무총을 사용하여 실행되며, 분무총 말단(14)이 도시되어 있다.
발포물 스트립은 특히 시일 아래 말단경계(16)에서 페인트막(15)의 탁월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건조후, 스트립을 한끝을 당겨 제거하고 시일에서 떨어지게 하며 시일은 초기위치에 즉시 복귀한다. 립은 탄성 때문에 복귀되어서 새로 도장된 차체 표면을 시일 아래에 둔다.
연결은 말끔하고 시일은 페인트 얼룩이 없다. 페인트막 말단 경계는 점진적이어서 후속의 박리가능성이 방지된다. 이 방법은 매우 얇은 시일의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이 방법과 분배 및 배치기기는 특히 기존의 여러 시일형태에 적합하다. 두가지 예가 제10도와 11도에서 비제한적으로 도시된다.
시일은 제10도에 도시된 대로 시일의 들어올려진 상태로 차체(19)상에 전면유리(18)나 유리창을 유지하는 시일(17)이거나 또는 제11도에 도시된대로 차체(23)상에 접착제(22) 스트립으로 부착되는 전면창(21) 또는 유리창용 시일(20)이다. 이 실시예에서, 시일은 몰딩형 중간 유지요소(24)속으로 삽입된다.
신축성 발포스트립을 배치하는데 적합한 도구가 제12도 내지 18도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제12도와 13도의 기기(8)에 따르면, 스트립 저장원은 길이가 제한되지 않는 스트립(25)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고 분배노즐(9)을 통해 기기속으로 한 말단을 삽입할 수 있다.
이 변형태에 따르면, 스트립은 일정길이, 특히 15미터 정도의 스트립을 로울형태로 상자 또는 카톤에 포장하고 사용시 이것을 푼다. 스트립은 손으로 절단 또는 포장에 구비된 절단날을 써서 절단하고 혹은 절단기구, 날, 칼 가위등을 쓴다.
스트립은 분배기속에 직접적이고 연속적으로 도입된다.
파지 수단은 이 변형태에서 단부에 분배노즐(9)이 있는 핸들(26)형태이다. 이 핸들은 중공형에서 스트립이 이를 통과할 수 있다. 노즐축과 중심이 있는 핸들의 배열은 스트립 배치동안 기기조작에 유용하다. 필요하면, 핸들이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4도와 15도에 나타낸 변형태의 경우, 스트립 저장원이 신축성 또는 딱딱한 마분지, 플라스틱, 금속 실린더 형태의 용기(27)속에 들어있고, 제거가능한 단부(28)가 존재하며, 20, 30 또는 40미터등 원하는 길이의 스트립(29)이 이속에 들어있다. 스트립은 “느슨하게”도입될 수 있지만 감겨진 형태와 같이 규칙적으로 도입되는 것이 선호되며, 발포물은 그 축이 용기의 축과 일치하는 볼 또는 스푸울 형태로 압축되며 사용시 풀린다.
분배기의 형태와 크기, 또한 필요한 스트립의 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용기가 가능하다.
용기는 새로운 길이의 스트립이나 볼, 또는 스풀을 도입하여 재충전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스트림 저장원은 스트립 포장물, 예컨대 신축성 또는 열수축형 덮개나 교환이 용이한 카트리지이다.
스트립 저장원이 수용되는 용기를 손으로 잡을 수 있다(제14도와 15도). 사용방법은 제1도와 2도에서 나타내었다. 이 경우 파지수단은 용기 자체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횡방향 또는 종방향, 고정식 또는 이동식 인체공학적 핸들을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6도와 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분배기(8)의 구체예를 보여준다.
분배기는 파지수단으로 손잡이(31)가 있는 피스톨(30)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분배노즐(9)은 전면단부에, 예컨대 분배기와 일체로 형성된 루우프(32)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이 경우 스트립 저장원은 특정 길이의 스트립(34)이 감겨있고 분배기 몸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된 교환가능한 스푸울 또는 로울형성 릴(33)이며, 스트립이 풀려서 노즐을 통과한다.
로울이나 스풀은 분배기 몸체의 2개의 수직 브렌치(36,37)상에 스냅이나 클립으로 장착될 수 있는 스핀들(35) 형성 횡단부에 직접 감긴다. 스트립은 스핀들상에 직접 감길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제17도에서 보는 것 같이 분배기에 보호케이싱(38)이 설치될 수 있다.
변형태에 따른 분배기는 또한 트리거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어기에 연결된 진행 메카니즘을 포함하여서 스트립을 노즐(9) 안팎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분배기 노즐을 통한 스트립 초기도입에 관계된 문제는 다음의 방식대로 해결한다(제18도 내지 20도).
로울 카트리지나 스풀에 재충전하는 경우에, 출발단(6)은 점차 감소하는 단면을 가지므로 압축없이 분배노즐 출구를 통해 지나간다. 이러한 단부에 스트립 출발말단을 고정, 압축하는 얇고 신축성인 또는 강성인 막대나 와이어와 같은 팁(39)이 장착될 수 있다.
스트립이 없는 경우나 스트립이 깨진 경우, 사용자는 스트립 자유말단을 포장용기에 장착된 날을 써서 비스듬히 자르거나 접착테이프(40)를 감아서 말단을 처리하거나 또는 분배노즐을 통과하는 스트립 말단을 얻을 수 있는 다른 방식을 써서 가늘어진 단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기초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립(5) 부위를 가지며 두성분 사이에 삽입된 테두리 시일(2) 아래에 압축성 재질의 스트립(1)을 삽입하여서 분무 페인트칠한 페인트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상기 시일의 립(5)부위 아래에 배치된 부위가 분무 도장되도록 하는 스트립 삽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일(2)의 립(5)부위를 들어올려서 상기 시일의 립(5)부위와 립 부위와 맞물린 성분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시일의 상승된 립(5)부위와 립 부위와 맞물린 성분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압축성 재질의 스트립(1)을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상기 공간에 상기 스트립을 삽입하기 이전에 분배기(8)에 의해 스트립(1)의 선단부를 압축하여서 상기 압축된 스트립 선단부가 비압축된 스트립 직경보다 적게하며; 상기 상승된 립(5)부위와 립 부위와 맞물린 성분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압축된 스트립 선단부를 삽입하고 상기 압축된 스트립 선단부를 상기 비압축된 스트립쪽으로 팽창시켜서 상기 시일의 립(5) 부위를 상승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시일의 립 부위 아래에 배치되는 부위의 후속 분무도장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를 사용하여 스트립을 삽입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성 재질의 스트립 선단부가 삽입된 후 상기 선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상승된 립 부위와 립 부위와 맞물린 성분사이에 형성된 상기 공간내에서 상기 상승된 립 부위를 따라 분배기(8)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삽입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립 부위가 들어 올려진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립 부위와 맞물린 성분을 분무 도장하고; 상기 립 부위와 립 부위와 맞물린 성분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압축성 재료로된 상기 스트립을 제거하여서 상기 릴 부위가 상기 맞물린 성분을 다시 맞물어서 맞물린 성분의 분무도장된 부위를 덮게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스트립 삽입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재료가 압축가능한 발포물 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삽입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재료가 흡수성 발포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삽입방법.
  6. 두 성분사이에 있는 시일아래로 비-압축된 예정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두성분중 하나를 맞무는 립부위를 갖는 압축성 재료스트립을 삽입하기 위한 핸드 디스펜서로서, 상기 시일의 립 부위가 상기 립 부위에 의해 맞물린 성분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립부위와 상기 성분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스트립을 삽입시키며 상기 맞물린 성분에 대해 상기 립부위를 상승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분배단부를 갖는 노즐; 상기 립부위와 맞물린 성분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압축성재료로된 스트립을 용이하게 삽입하며 상기 스트립의 압축된 선단부를 비압축된 부위쪽으로 팽창시켜서 상기 맞물린 성분에 대해 상승된 상태로 상기 립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의 분배단부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압축성 재료로된 스트립의 선단부를 분배시키기 이전에 상기 압축된 스트립 선단부가 비압축된 부위보다 더 적은 단면을 가지도록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를 사전 압축하기 위해서 상기 노즐의 분배단부상에 형성된 수단;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스트립을 더욱 분배하기 위해 상기 상승된 립 부위와 상기 성분다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상기 상승된 립 부위를 따라 상기 분배기의 노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노즐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분배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발포물이 폴리에틸렌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삽입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성분중 하나가 자동차 차체 패널이고 다른 하나가 자동차 윈도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삽입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를 사전 압축하는 수단이 상기 노즐의 분배단부에 연결되며 비압축부위보다 적은 단면부위를 상기 노즐의 분배단부에서 가지며 상기 노즐내에 형성된 수렴채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상에 나사부위가 있으며 상기 노즐수단이 상기 나사부위와 맞물리는 나사부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통로를 가져서 이를 통해 상기 압축성재료가 상기 노즐쪽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재료가 압축성 발포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KR1019940703188A 1992-03-17 1993-03-16 시일 아래 연성재 스트립 설치용 핸드디스펜서, 또한 그 설치방법과 용도 KR100266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2/03337 1992-03-17
FR9203337A FR2688715A1 (fr) 1992-03-17 1992-03-17 Distributeur a main pour la pose d'un cordon de matiere souple sous un joint, procede de pose et application d'un tel cordon.
PCT/FR1993/000259 WO1993018862A1 (fr) 1992-03-17 1993-03-16 Distributeur a main pour la pose d'un cordon de matiere souple sous un joint, procede de pose et application d'un tel cord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129A KR950700129A (ko) 1995-01-16
KR100266706B1 true KR100266706B1 (ko) 2000-10-02

Family

ID=942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188A KR100266706B1 (ko) 1992-03-17 1993-03-16 시일 아래 연성재 스트립 설치용 핸드디스펜서, 또한 그 설치방법과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633048A (ko)
EP (1) EP0631526B1 (ko)
JP (1) JP3654647B2 (ko)
KR (1) KR100266706B1 (ko)
AT (1) ATE158962T1 (ko)
AU (1) AU678762B2 (ko)
BR (1) BR9306098A (ko)
DE (1) DE69314479T2 (ko)
ES (1) ES2110624T3 (ko)
FR (1) FR2688715A1 (ko)
MX (1) MX9301464A (ko)
WO (1) WO1993018862A1 (ko)
ZA (1) ZA931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2964A1 (en) * 2000-06-05 2005-05-19 Grunst Kenneth D. Methods and structures for sealing air gaps in a building
US6651402B2 (en) 2000-06-05 2003-11-25 Kenneth D. Grunst Methods and structures for sealing air gaps in a building
WO2005099999A2 (en) * 2004-04-12 2005-10-27 Xtreme Seal,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ealing
US7338225B1 (en) 2006-10-09 2008-03-04 Taylor Jerri L Touch up paint applicator
US7797891B2 (en) * 2007-05-04 2010-09-21 Michaud Donald A Compresent insulation arrangement for building openings
DE102012223440A1 (de) * 2012-12-17 2014-06-18 Kunststoff-Technik Scherer & Trier Gmbh & Co. Kg Verfahren zum Lackieren einer zumindest zweifarbigen, stufenfreien Karosserieleiste, Maskierschablone, Karosserieleiste
CN103657931B (zh) * 2013-12-03 2016-01-20 昆山先捷精密电子有限公司 散热模组的喷漆遮蔽治具
AT517840B1 (de) * 2015-11-19 2017-05-15 Thomas Haring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streifenförmigen Dichtungsmaterials
US10336226B2 (en) * 2017-02-23 2019-07-02 Velcro BVBA Tool for fastening a listing bead to a fastener strip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5015A (en) * 1981-12-10 1983-05-24 Glass Medic, Inc. Repair of shatterproof glass
SE440982B (sv) * 1984-03-06 1985-09-02 Functek K Jacobsson Ab Verktyg for anvendning i samband med elastiska lister
DE3818930A1 (de) * 1988-06-03 1989-12-14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m montagefertigen vorbereiten einer autoglasscheibe fuer den einbau
US4964362A (en) * 1988-12-13 1990-10-23 Gilbert Dominguez Applicator for motor vehicle glass adhesives and sealants
AU4818790A (en) * 1988-12-22 1990-07-10 Laurie, Ronald John Container nozzle guide
US4996092A (en) * 1989-02-20 1991-02-2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aped foam
GB8923414D0 (en) * 1989-10-17 1989-12-06 Select Traders Ltd Hand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1526B1 (fr) 1997-10-08
WO1993018862A1 (fr) 1993-09-30
AU678762B2 (en) 1997-06-12
AU3756893A (en) 1993-10-21
BR9306098A (pt) 1997-11-18
FR2688715A1 (fr) 1993-09-24
MX9301464A (es) 1994-01-31
US5633048A (en) 1997-05-27
JP3654647B2 (ja) 2005-06-02
ATE158962T1 (de) 1997-10-15
ZA931820B (en) 1993-10-04
FR2688715B1 (ko) 1995-02-10
JPH07504613A (ja) 1995-05-25
DE69314479T2 (de) 1998-04-23
EP0631526A1 (fr) 1995-01-04
DE69314479D1 (de) 1997-11-13
ES2110624T3 (es) 1998-02-16
KR950700129A (ko) 199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6706B1 (ko) 시일 아래 연성재 스트립 설치용 핸드디스펜서, 또한 그 설치방법과 용도
US4652331A (en) Tape applicator
US4637531A (en) Spout with gate
US4425182A (en) Blending tape dispenser
US4096021A (en) Hand held masking machine
CA2328827C (en) Caulking guide and reinforcing tip
US20050150604A1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masking film
US6478068B1 (en) Edge taping tool
US11046018B2 (en) Tape applicator assembly and tape assembly
US20030094243A1 (en) System comprising an applicator/dispenser and a rolled strip, and use thereof by pushing the dispenser forward
US5622728A (en) Wiping device for caulking, and method of forming same
CA2389466A1 (en) Tape applicator
US20060266464A1 (en) Filament tape system & method thereof
CA2938012C (en) Tape applicator assembly and tape assembly
US3935758A (en) Tool for applying masking tape to moldings
US20150210496A1 (en) Tape assembly
US20010000096A1 (en) Tape dispenser
AU6706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ubular printed product packs with a tear-out aid
WO1990006815A1 (en) Container nozzle guide
AU2014101510A4 (en) Masking System for Painting
US7144169B2 (en) Packaging device integral with an applicator
AU2005100149A4 (en) Masking System for Painting
US20220041895A1 (en) Adhesive tape having perforations for applying to a ribbon bead nozzle
US20080066872A1 (en) Drywall tape dispensing system
WO1998023518A1 (en) Sheet dispenser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