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667B1 -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 Google Patents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667B1
KR100265667B1 KR1019970078609A KR19970078609A KR100265667B1 KR 100265667 B1 KR100265667 B1 KR 100265667B1 KR 1019970078609 A KR1019970078609 A KR 1019970078609A KR 19970078609 A KR19970078609 A KR 19970078609A KR 100265667 B1 KR100265667 B1 KR 10026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st converter
power factor
switching element
inducto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480A (ko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6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41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resonan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83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by adding a controlled rectifier in parallel to a first rectifier feeding a smoothing capac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공진 기술을 이용하여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자방해잡음(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억제하도록 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회로는 효율이 상당히 낮고 또한, 이러한 손실을 방열시켜 주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방열판 및 큰 풍량의 팬(FAN)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수단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류수단에서 출력된 전원을 받아서 역률제어 기능을 하는 승압형 컨버터수단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여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에서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는 부분공진수단과,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각종 입/출력 신호를 각기 달리 검출하되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만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과 부분공진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본 발명은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분 공진 기술을 이용하여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자방해잡음(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억제하도록 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역률제어 기능이 없는 DC 전원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정류하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부(1)와, 상기 정류부(1)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원을 일정하게 평활시키는 평활 캐패시터(2)로 구성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전류(Iin)과 출력전압(Vo)을 갖는다.
이 회로의 역률은 보통 0.4∼0.7 사이의 수치를 갖으며, 또한 고조파(Harmonics) 성분이 크기 때문에 가정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 다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역률제어용 회로를 삽입하여 역률 및 고조파를 줄이고 있다.
그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회로(10)와, 상기 정류회로(10)를 통하여 출력되는 맥동전원을 일정하게 평활시키는 필터 인덕터(L) 및 필터 캐패시터(C)로 이루어진 LC 필터회로(20)와, 상기 정류회로(10)를 통한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40)와, 상기 LC 필터회로(20)를 거쳐 부하로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50)와, 상기 부하의 동작에 따라 입력전원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부(30)와,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필터 인덕터(L)에 역전압을 인가시켜 전체 회로의 역률을 개선하는 스위칭 소자(S1)와, 상기 입력전압 검출부(40)와 출력전압 검출부(50) 및 전류 검출부(30)로부터 검출값을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 소자(S1)로 역률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률제어 회로(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회로(10)를 통해 정류하면 입력전압 검출부(40)에서 검출되는 전압(VIN)은 입력전원 주파수(50/60Hz)의 두배의 주파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역률제어 회로(60)의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S1)가 스위칭되면 필터 인덕터(L)에는 입력전압(VIN)과 동상인 전류가 흐르고 상용전원에서 보면 50/60Hz의 입력전압에 동상인 싸인파 전류가 흘러서 역률이 거의 1.0에 가깝게 된다.
이때, 출력전압 검출부(50)를 통하여 검출되는 출력전압(VO)은 입력전압(VIN)의 피크치보다 큰전압이 되고, 역률제어 회로(60)는 출력전압이 설정치로 안정되게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즉, 필터 인덕터(L)의 전류가 입력전압(VIN)을 추종하도록 하는 역률제어 회로(60)는 입력전압 검출부(30)와 전류 검출부(40)의 출력정보를 가지고 스위칭 소자(S1)를 제어하는데, 이때 입력전압 검출부(30)는 기준 파형을 제공한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S1)는 50KHz이상의 높은 주파수로 동작하기 때문에 스위칭시에 필터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원과 같은 역할을 한다.
만일, 스위칭 소자(S1)와 다이오드(D,D1) 및 각 수동소자(L,C)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할 때 승압형 컨버터의 미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역률제어 회로(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S1)가 온되면 필터 인덕터(L)에는 입력전압(VIN)이 걸려 전류가 선형적으로 상승하고 이때, 필터 캐패시터(C)는 부하에 파워를 공급한다.
그리고, 역률제어 회로(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S1)가 오프되면 다이오드(D)가 도통하여 필터 인덕터(L)에는 VO-VIN의 전압이 입력전압(VIN) 방향과 반대로 걸려 필터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IL)는 선형적으로 감소되어 필터 캐패시터(C)가 충전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필터 인덕터(L)에 흐르는 전류(IL)가 입력전압의 모양을 추종하도록 하여 역률이 개선된다.
도 4는 스위칭 소자(S1)가 스위칭될 때 전압 및 전류의 파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처음의 전압/전류의 변동은 스위칭 소자(S1)가 오프될 때 발생되는 것이고 다음의 변동은 스위칭 소자(S1)가 온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소자의 전압과 전류의 곱이 각 소자에서 발생하는 스위칭 손실인데 각 소자의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이 겹치는 부분이 많아지면 손실이 커진다.
특히, 다이오드(D)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전류(ID)가 흐르는 역회복 특성을 갖는데 이 역회복 전류는 D - S1 - C 경로로 흐르고 이는 스위칭 소자(S1)와 다이오드(D)의 손실을 상당히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회로는 효율이 상당히 낮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피크성 전류는 전자기 장애(EMI)의 발생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손실을 방열시켜 주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방열판 및 큰 풍량 팬(FAN)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분 공진 기술을 이용하여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전자방해잡음(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억제하도록 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수단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류수단에서 출력된 전원을 받아서 역률제어 기능을 하는 승압형 컨버터수단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여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에서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는 부분공진수단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각종 입/출력 신호를 각기 달리 검출하되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만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과 부분공진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역률제어 기능이 없는 DC 전원 회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출력 전압 및 입력 전류 파형도.
도 3은 종래의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스위칭시 전압 및 전류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스위칭 한 주기 동안의 스위칭상태 및 전류 전압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류검출 저항의 위치가 변경된 다른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덕터에 전류검출 코일을 감은 다른 실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주 인덕터의 위치를 변경한 다른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정류부 102 : 승압형 컨버터부
103 : 부분공진부 104 : 검출부
105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00)와,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류부(100)에서 출력된 전원을 받아서 역률제어 기능을 하는 승압형 컨버터부(200)와,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여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에서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는 부분공진부(300)와,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각종 입/출력 신호를 각기 달리 검출하되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만을 검출하는 검출부(400)와, 상기 검출부(400)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와 부분공진부(30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승압형 컨버터부(200)는 상기 정류부(100)의 정(+)단자에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와, 상기 인덕터(L)의 일측단과 상기 정류수단의 부(-)단자사이에 연결된 스위칭소자(S1)와, 상기 스위칭소자(S1)와 인덕터(L)의 연결점에 연결된 다이오드(D)와, 상기 다이오드(D)의 캐소드와 상기 정류부(100)의 부(-)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분기시키는 직렬로 연결된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와 상기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에 병렬로 연결된 부하(210)로 구성되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부분공진부(300)는 제 1,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1)(Sa2)가 직렬로 구성되데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에 제 1 공진 캐패시터(Cr1)와 함께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2)에는 역병렬로 제 2 보조 다이오드(Da2)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보조 스위칭소자(Sa1)에는 제 1 보조 다이오드(Da1)와 제 2 공진 캐패시터(Cr2)가 병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1)(Sa2)의 연결점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다이오드(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의 연결점과 상기 제 1,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1)(Sa2)의 연결점 사이에는 공진인덕터(Lr)가 연결되어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400)는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일측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410)와, 타측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420)와,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430)로 각각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역률제어를 하는 동작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고 단지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부분 공진부(300)를 동작하여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와 다이오드(D)의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따라서 여기서는 스위칭 한 주기 동안의 동작을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소자가 이상적이라고 가정하고 초기상태는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가 오프되어 있어서 다이오드(D)를 통해서 인덕터(L)의 전류를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와 부하(210)로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를 온시키려면 미리 부분공진부(300)의 제 1 보조 스위칭소자(Sa1)를 영전류의 조건에서 온한다.(도 6의 t0 구간)
그러면, 부분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Lr)에는 출력전압의 반(Vo/2)이 걸리고 전류(iLr)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 전류가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인덕터(L)의 전류(IL)와 같아지면 다이오드(D)의 전류(LD)가 영이되고 부분공진부(300)의 제 1 공진캐패시터(Cr1), 제 1 보조 스위칭소자(Sa1), 공진인덕터(Lr), 제 2 필터 캐패시터(Co2)의 경로로 공진을 해서 상기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의 전압이 영으로 떨어진다.(도 6의 t1∼t2 구간)
이때, 다이오드(D)의 전압은 영에서 출력전압(Vo)까지 상승한다.
한편, 도 6의 t2 구간에 영전압의 조건으로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를 온시키면 익덕터(L)의 전류(IL)는 스위칭소자(S1)로 흐른다.
이때, 부분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Lr)의 전류는 상기 공진인덕터(Lr), 제 2 필터 캐패시터(Co2), 제 2 보조 다이오드(Da2)의 경로로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부분공진부(300)의 제 1 보조 스위칭소자(Sa1)는 영전류 영전압의 조건에서 오프되고(도 6의 t3 구간)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의 온 절차가 모두 종료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를 오프시키려면 미리 부분공진부(300)의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2)를 영전류의 조건에서 온한다.(도 6의 t4 구간)
그러면, 부분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Lr)에는 출력전압의 반(Vo/2)이 온할때와는 반대로 걸리고 반대방향의 전류(iLr)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 전류가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인덕터(L)의 전류(IL)와 같아지면 스위칭소자(S1)와 부분공진부(300)의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2)를 영전압의 조건으로 오프한다.(도 6의 t5 구간)
그러면, 부분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Lr)의 전류(iLr)는 제 2 공진 캐패시터(Cr2), 제 1 필터 캐패시터(Co1), 공진인덕터(Lr)의 경로로 공진을 해서 상기 제 2 공진 캐패시터(Cr2)의 전압이 영이 되면 상기 공진인덕터(Lr), 제 1 보조 다이오드(Da1), 제 1 필터 캐패시터(Co1)의 경로로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영이되고, 승압형 스위칭소자(S1)의 전압은 인덕터(L)의 전류(IL)에 의해 부분공진부(300)의 공진인덕터(Lr1)가 출력전압(Vo)까지 충전하고 다이오드(D)의 전압은 영까지 떨어져서 도통하게 된다.(도 6의 t6 구간)
따라서,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인덕터(L)의 전류(IL)에 의해 다이오드(D)를 통해서 부하(210)로 전달되고 모든 오프 절차가 모두 종료된다.
이후, 제어부(500)에서 다시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를 온시키라는 신호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 상태가 유지되어 한 주기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각 스위칭시는 항상 영전압 또는 영전류에서 스위칭을 해서 도 4의 각 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로서, 전류 검출하는 방법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저항(Rs)의 위치를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스위칭소자(S1)에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인덕터(L)에 검출 권선을 감아서 검출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압형 컨버터부(200)의 주 인덕터(L)의 위치를 정류부(100)의 앞단에 이동하여 구성한다.
위의 모든 실시 예시도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동작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문제점인 손실 문제를 부분 공진방식을 이용하여 거의 영으로 줄이므로서 방열을 위한 방열판과 풍량의 팬(Fan)등의 사용을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을 컴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부분 공진에 의해서 전자방해잡음(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문제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수단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류수단에서 출력된 전원을 받아서 역률제어 기능을 하는 승압형 컨버터수단과,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여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에서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는 부분공진수단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각종 입/출력 신호를 각기 달리 검출하되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만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서 출력된 신호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과 부분공진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은 상기 정류수단의 정(+)단자에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L)와, 상기 인덕터(L)의 일측단과 상기 정류수단의 부(-)단자사이에 연결된 스위칭소자(S1)와, 상기 스위칭소자(S1)와 인덕터(L)의 연결점에 연결된 다이오드(D)와, 상기 다이오드(D)의 캐소드와 상기 정류수단의 부(-)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분기시키는 직렬로 연결된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와 상기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에 병렬로 연결된 부하(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공진수단은 제 1,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1)(Sa2)가 직렬로 구성되데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스위칭소자(S1)에 제 1 공진 캐패시터(Cr1)와 함께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2)에는 역병렬로 제 2 보조 다이오드(Da2)가 연결되며,
    상기 제 1 보조 스위칭소자(Sa1)에는 제 1 보조 다이오드(Da1)와 제 2 공진 캐패시터(Cr2)가 병렬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1)(Sa2)의 연결점과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다이오드(D)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o1)(Co2)의 연결점과 상기 제 1, 제 2 보조 스위칭소자(Sa1)(Sa2)의 연결점 사이에는 공진인덕터(Lr)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일측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410)와, 타측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420)와,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출력전압 검출부(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검출저항(Rs)의 위치가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스위칭소자(S1)의 이미터단자와 상기 정류수단의 부(-)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다이오드(D)와 필터 캐패시터(C) 및 상기 부분공진수단이 상기 스위칭소자(S1)의 양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검출저항(Rs)의 위치가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스위칭소자(S1)의 이미터와 상기 정류수단의 정(-)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다이오드(D)와 필터 캐패시터(C) 및 상기 부분공진수단이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스위칭소자(S1)와 직렬로 연결된 검출저항(Rs)의 양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부는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인덕터(L)에 검출권선을 감아서 상기 인덕터(L)의 전류를 직접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형 컨버터수단의 인덕터(L)가 상기 정류수단의 정(+)단자에 직렬로 상용 전원의 한쪽 입력단에 이동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019970078609A 1997-12-30 1997-12-30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0026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609A KR100265667B1 (ko) 1997-12-30 1997-12-30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609A KR100265667B1 (ko) 1997-12-30 1997-12-30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480A KR19990058480A (ko) 1999-07-15
KR100265667B1 true KR100265667B1 (ko) 2000-09-15

Family

ID=1952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609A KR100265667B1 (ko) 1997-12-30 1997-12-30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94B1 (ko) * 2006-12-06 2008-06-20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직류/직류 컨버터의 인덕터 전류 감지회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094B1 (ko) * 2006-12-06 2008-06-20 (주)제이디에이테크놀로지 직류/직류 컨버터의 인덕터 전류 감지회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48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461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US8649189B2 (en) Power supply with single stage converter for performing power factor correction and resonant conversion
US5073849A (en) Resonant DC to DC converter switching at zero current
US7719139B2 (en) Power supply unit
US20090129126A1 (en) Single Phase Power Supply for Inductively Coupled Power Transfer Systems
JPH11356046A (ja) 電源装置
US720620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with error amplification control
US5644479A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0231227B1 (ko) 교류 직류 변환 전원 회로
US5712780A (en) Unity power factor converter for high quality power supply with magnetically coupled compensation
KR100265667B1 (ko)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Moschopoulos et al. A single-stage zero-voltage switched PWM full-bridge converter with power factor correction
KR100277512B1 (ko)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US6697269B2 (en) Single-stage converter compensating power factor
KR19990047290A (ko)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00292489B1 (ko) 소프트 스위칭 기술을 이용한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00279604B1 (ko) 역률제어기능을 갖는 소프트 스위치 단상 능동정류기
JPH1022967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19990054579A (ko) 소프트 스위칭을 이용한 저손실형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9990058477A (ko)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100339539B1 (ko) 소프트스위칭역률제어용승압형컨버터의저손실스위칭구동회로
JPH08168240A (ja) Dc−dcコンバータ
KR19990054580A (ko)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WO2021135343A1 (zh) 电流检测装置和功率因数矫正装置
KR19990058750A (ko) 소프트 스위칭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의 스위칭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