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178B1 -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178B1
KR100265178B1 KR1019970061470A KR19970061470A KR100265178B1 KR 100265178 B1 KR100265178 B1 KR 100265178B1 KR 1019970061470 A KR1019970061470 A KR 1019970061470A KR 19970061470 A KR19970061470 A KR 19970061470A KR 100265178 B1 KR100265178 B1 KR 10026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eel wire
hydraulic
piston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950A (ko
Inventor
신종기
Original Assignee
신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기 filed Critical 신종기
Priority to KR101997006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1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8Anchoring or tensio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장에서 지하터파기 또는 토목작업시에 절토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앵커시키는데 사용되는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는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하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원통부외주면과 상기 실린더내주면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및 하부커버의 원통부상부에 설치되어 강선을 배열하는 강선배열판과, 상기 강선배열판의 이동을 일정거리만큼 규제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합되는 커버와,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오일챔버와, 상기 오일챔버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통로를 구비한 흙막이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흙막이 공사에서 확실하게 앵커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앵커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본 발명은 토목공사나 건측공사장에서 지하 터파기 또는 절토작업시에 절토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앵커시키는데 사용되는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장의 지하터파기공사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토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공사초기에 지하로 수직H빔(1)을 수직으로 일정거리마다 타설한 후, 상기 수직H빔(1)의 한쪽 흙을 포크레인 등으로 퍼내면서 절토하고, 일정깊이만큼 흙을 파낸 후에는 상기 수직H빔(1)이 흙을 파낸쪽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상기 수직H빔(1)의 한쪽에 수평H빔(3)을 고정시킨다.
그 후, 절토된 쪽에서 상기 수펑H빔(3)을 도시하지 않은 지지빔 등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절토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임시로 지지한 후, 완전히 절토작업이 끝난 다음에는 상기 수직 및 수평H(1,3)들에 의해서 절토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상기 수평H빔(3)에 일정길이마다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을 천공하고,상기 관통구멍의 외측(절토된 측)에 지압판(5)을 고정시킨다.
다음에, 공압드릴을 사용하여 상기 수평H빔(3)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서흙벽(7)을 향해서 일정깊이의 구멍(9)을 천공한 후, 이 구멍(9)내에 강선(구체적으로는 연선)을 투입한 다음, 상기 구멍(9)내의 장착장까지 시멘트몰탈을 주입해서 그라우팅하여 상기 강선(11)을 상기 구멍(9)주위의 흙이나 암반에 고정시킨다.
그후, 상기 지압판(5)의 외측에 앵커용 헤드(13)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앵커용 헤드(13)에 형성된 다수개의 쵸크삽입공(13a)에 강선(11)이 클램프된 쵸크(17)를 삽입하고 나서, 지지플레이트(15)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9)상에 당김용 고압실린더(21)를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당김용 고압실린더(21)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3)에 당김용 헤드(25)를 위치 고정한 후, 상기 당김용 헤드(25)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관통공(25a)내에 강선(11)을 클램프하그 있는 당김용 쵸크(27)를 삽입하여 위치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지압판(5)에 앵커용 헤드(13), 당김용 고압실린더(21) 및 당김용 헤드(25)를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행하는 종래의 흙막이 공사용 앵커작업은 상기 당김용 고압실린더(21)의 제1유압포트(29)를 통해 제1유압실(31)내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피스톤(23)이 도1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23)이 당김용 헤드(25)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당김용 헤드(25)에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퍼형상의 판통공(25a)내에 삽입되어 있는 당김용 쵸크(27)가 도1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당김용 쵸크(27)에 클램프되어 있는 강선(11)이 좌측으로 1mm 내지 7mm정도가 좌측으로 당겨진다.
이때, 상기 당김용 고압실린더(21)의 제2유압포트(33)를 통해서 제2유압실(35)에 유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1유압실(31)내의 유압을 상기 제1유압포트(29)를 통해서 배출하면, 인장된 상기 강선(11)이 도1에서 오른쪽으로 수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플레이트(15)가 상기 앵커용 쵸크(17)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앵커용 쵸크(17)가 앵커용 헤드(13)에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퍼형상의 쵸크삽입공(13a)내로 삽입되면서 강선(11)을 클램프하여 흙막이공사에서 앵커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흙막이 공사에서의 앵커작업은 상기 앵커용 헤드(13)에 형성된 다수개의 테이퍼형상의 쵸크삽입공(13a)내에 앵커용 쵸크(17)가 모두 균일하게 삽입되지 않아 20∼30%의 로스율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확실하게 앵커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흙막이공사에서 확실하게 앵커시킬 수 있는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하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원통부외주면과 상기 실린더내주면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및 하부커버의 원통부상부에 설치되어 강선을 배열하는 강선배열판과, 상기 강선배열판의 이동을 일정거리만큼 규제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합되는 커버와,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오일챔버와, 상기 오일챔버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통로를 구비한 흙막이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흙막이 공사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사용해서 흙막이 공사공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인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당김용헤드(또는 앵커용 헤드)의 사시도.
도4b는 도4a의 화살표(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실린더 50a : 나사부
50b : 나사부 53 : 하부커버
53a : 원통부 55 : 피스톤
57 : 강선배열판 59 : 커버
61 : 오일챔버 63 : 니플
65 : 오일통로 67 : 제1패킹부재
69 : 제2패킹부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당김용 헤드 및 앵커용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4b는 도4a의 화살표(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1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는 흙막이 공사에서 확실하게 앵커시키기 위하여 당김용 고압실린더(21)와 지압판(5)사이에 유압식 인장장치를 설치한 것이 도1에 도시한 종래의 흙막이공사와 다른점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흙막이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는 도2 및 도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하부에 형성된 나사부(50a)와 나합되는 하부커버(53)와, 상기 하부커버(53)의 원통부(53a)외주면과 상기 실린더(50)내주면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55)과, 상기 피스톤(55) 및 하부커버(53)외 원통부(53a)상부에 설치되어 강선(11)을 배열하는 강선배열판(57)과, 상기 강선배열판(57)의 이동을 일정길이(L)만큼 규제하도록 상기 실린더(50)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부(50b)와 나합되는 커버(5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는 상기 피스톤(55)을 도3에서 상·하동시키도록 오일챔버(6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오일챔버(61)에는 유압을 도입.배출하도록 니플(63)을 개재해서 제2유압포트(33)와 연통되는 오일통로(6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50)의 내주면과 하부커버(53)의 윈통부(53a)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오일챔버(6)내의 유압이 누설되지 않도록 제1패킹부재(6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55)의 내주면과 상기 하부커버(53)의 윈통부(53a)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오일챔버(61)내의 유압이 누설되지 않도록 제2패킹부재(5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저(50)의 내주면과 피스톤(55)의 외주면 사이에도 오일챔버(61)내의 유압이 누설되지 않도록 제3패킹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서, 제1 및 제2패킹부재(67,69)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테프론 또는 나일론 등으로 제조된 O-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 및 도4b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당김용 헤드(25) 또는 앵커용 헤드(13)는 같은 형상으로 제조되며, 테이퍼형상의 쵸크삽입공(25a,13a)은 2개 내지 20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0개 이상의 쵸크삽입공(25a,13a)을 상기 당김용 헤드(25) 또는 앵커용 헤드(13)에 각각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평 H빔(3)에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을 천설한 다음, 이 관통공외측에 관통공(5a)이 형성된 지압판(5)을 용접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지압판(5)에 형성된 관통공(5a)및 수평 H빔(3)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서 흙벽(7)을 향해서 공압드릴을 사용하여 일정깊이의 구멍(9)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천공한다.
다음에, 상기 구멍(9)내에 강선(11)을 투입하고, 상기 구멍(9)내의 장착장까지 시멘트몰탈을 투입하여 양생시킨 후, 강선(11)을 앵커용쵸크(17)로 클랠프하여 앵커용 헤드(13)에 형성된 쵸크삽입공(13a)내에 삽입시킨다.
상기 강선(11)을 본 발명의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의 강선배열판(57)에 형성된 관통공(57a)내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유압식 인장장치의 당김용 고압실린더(21) 및 당김용 헤드(25)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25a)내에 판통시키고 나서, 당김용 쵸크(27)에 의해 상기 강선(11)가닥 각각을 클램프하여 상기 관통공(25a)내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유압포트(29)를 통해 제1유압실(31)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피스톤(23)이 도2에서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당김용 쵸크(27)가 당김용 헤드(25)에 형성된 테이퍼형상의 관통공(25a)내로 긴밀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흙벽(7)에 형성된 구멍(9)내에 삽입되어 있는 강선(11)의 자유장부분이 인장된다. 상기 강선(11)의 인장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1유압포트(29)를 도시하지 않은 밸브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제2유압포트(33)를 통해서 유압을 공급한다.
이때, 유압통로(32)를 통해 제2유압포트(33)에 공급되는 유압은 상기 제1유압포트(29)가 폐쇄되어 있으므로, 피스톤(23)이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니플(63) 및 오일통로(65)를 통해서 유압식 인장장치의 실린더(50)와 하부커버(53)의 원통부(53a)가 형성하는 오일챔버(61)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55)이 도2에서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강선배열판(57)이 앵커용 쵸크(17)를 압압하여 앵커용 헤드(13)에 형성된 테이퍼형상의 쵸크삽입공(13a)내에 긴밀하게 압입시키며, 이에 따라 강선(11)이 쵸크(17)내주면에 형성된 클릭에 의해 견고하게 클램프되어 흙막이공사의 앵커작업이 완료된다.
그 후, 상기 당김용 고압실린더(21)의 제1유압포트(29)를 개방하여 제1유압실(31)내의 유압을 드레인시키면, 상기 피스톤(23)이 도2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당김용 쵸크(27)를 상기 당김용 헤드(25)로부터 좌측으로 잡아당겨서 제거한 후, 상기 당김용 헤드(25), 당김용 고압실린더(21) 및 본 발명의 유압식 인장장치를 좌측으로 끌어낸다.
본 발명은 유압식 인장장치를 당김용 고압실린더(21)와 앵커용 헤드(13)사이에 설치해서 흙막이 공사에서 상기 앵커용 헤드(13)에 형성된 톄이퍼형상의 쵸크삽입공(13a)내에 상기 유압식 인장장치의 강선배열판(57)에 의해 앵커용 쵸크(17)를 압압하여 밀어넣음으로써 강선(11)이 앵커용 쵸크(17)에 의해서 타이트하게 앵커되므로, 확실하게 앵커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흙막이 공사에서 앵커작업을 고효율로 행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에 의하면 당김용 고압실린더와 앵커용 헤드사이에 설치되어서 강선 배열판을 피스톤의 작용에 의해 밀어서, 상기 강선배열판에 의해 앵커용 쵸크를 앵커용 헤드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삽입공내에 긴밀하게 압압하여 삽입함으로씨 흙막이공사에서 확실하게 앵커용 강선을 앵커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앵커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통형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하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합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원통부외주면과 상기 실린더내주면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및 하부커버의 원통부상부에 설치되어 강선을 배열하는 강선배열판과, 상기 강선배열판의 이동을 일정거리만큼 규제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합되는 커버와,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오일챔버와, 상기 오일챔버에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통로를 구비한 흙막이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KR1019970061470A 1997-11-20 1997-11-20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KR10026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470A KR100265178B1 (ko) 1997-11-20 1997-11-20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470A KR100265178B1 (ko) 1997-11-20 1997-11-20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950A KR19990040950A (ko) 1999-06-15
KR100265178B1 true KR100265178B1 (ko) 2000-09-15

Family

ID=1952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470A KR100265178B1 (ko) 1997-11-20 1997-11-20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39B1 (ko) 2012-02-23 2012-07-23 삼진스틸산업(주) 다용도 강연선 인장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899A (ko) * 2000-12-11 2002-06-20 창 훈 이 해체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0453882B1 (ko) * 2002-06-20 2004-10-20 보강기술주식회사 보강 밴드의 인장기
KR100986028B1 (ko) * 2008-02-29 2010-10-07 김창근 정착 피씨강연선의 단독인장장치
CN103967009B (zh) * 2014-04-29 2016-03-30 福建华东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锚索接长张拉的方法
KR101945698B1 (ko) * 2018-01-29 2019-02-11 삼진스틸산업(주) 강연선 인장기
KR102435942B1 (ko) * 2020-10-30 2022-08-24 주식회사 비엠테크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와 인장재 시공방법과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의 처킹 가압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39B1 (ko) 2012-02-23 2012-07-23 삼진스틸산업(주) 다용도 강연선 인장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950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0834B (zh) 巷道顶板富水破碎条件下引流慢渗注浆控制工艺
US4655643A (en) Rockbolt and installer wand
KR100265178B1 (ko)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인장장치
CN105178979A (zh) 偏压溶腔环境下的隧道支护结构及施工方法
WO2014182074A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KR100415809B1 (ko)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20180103776A (ko) 강관과 철근을 이용한 사면 보강구조 및, 그 방법
KR20070022995A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KR100613046B1 (ko) 유압식 연선 인장장치
KR100329727B1 (ko) 정압 연선 인장 실린더
KR100498536B1 (ko) 고압 그라우팅을 이용한 지중에의 앵커 시공방법
US20230094882A1 (en) Basalt fiber anchoring system with accurate sectioned grouting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2028393B1 (ko) 파형관 보강 앵커의 시공방법
JP2006009401A (ja) 地盤注入工法
KR100665594B1 (ko) 영구앵커의 와이어 인장장치
KR101189944B1 (ko) 가압식 쏘일 네일링장치 및 공법
KR100441627B1 (ko) 말뚝공사용 가압식 그라우트액 주입장치
KR101841048B1 (ko) 강관과 철근을 이용한 사면 보강구조 및, 그 방법
KR20090130530A (ko) 가압 그라우팅용 이중패커 및 이를 이용한 비탈면 보강공법
CN217679158U (zh) 深基坑支护结构
SU11136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олнени трещин и каверн в стенках шпура при нагнетании
JP7349906B2 (ja) 地下構造物の周囲岩盤の圧縮装置及び圧縮方法
JP2838479B2 (ja) ケーシングパッカー及び同パッカーを用いたケーシング引抜き方法
CN211360051U (zh) 一种土壤和地下水修复用的注射装置
KR100682555B1 (ko) 프리스트레스를 통한 지반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