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683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683B1
KR100263683B1 KR1019930027963A KR930027963A KR100263683B1 KR 100263683 B1 KR100263683 B1 KR 100263683B1 KR 1019930027963 A KR1019930027963 A KR 1019930027963A KR 930027963 A KR930027963 A KR 930027963A KR 100263683 B1 KR100263683 B1 KR 10026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disk
head slider
flexur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596A (ko
Inventor
쿠보다케시
에노모토켄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riority to KR101993002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683B1/ko
Publication of KR95002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미끄럼 운동으로 인한 오염이 적고, 부품 설치 위치의 정도가 높지 않아도 좋고, 언로딩시에 큰 리프트 업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N-CSS방식의 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서스펜션(8)의 플렉셔(10)의 설치위치를 넘은 단부에서 디스크(40)측으로 돌출하도록 구면 형상의 돌기(16)를 설치하고,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돌기(16)를 경사대(20)의 경사면(24)에 따라서 작동시킨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중 돌기 지지판을 확대해서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중 돌기지지판을 확대해서 도시한 평면도.
제6a도 내지 제6f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드 동작에 었어서 일련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7a도 내지 제7f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언로드 동작에 있어서 일련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8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저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저면도.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제8도의 플렉셔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종래 플렉셔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
제1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서스펜션, 플렉셔, 슬라이더 및 디스크면의 각도관계를 도시한 저면도.
제1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선단 및 종단과 디스크면과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제14도는 플렉셔의 슬라이더 설치면과 서스펜션과의 각도 즉 슬라이더의 설치시의 피치각(θp)을 변화시킬 때 서스펜션(8)에 고정된 AE센서의 출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1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제어부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16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드시 및 언로드시의 디스크 회전수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17도는 디스크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의 플라잉 최저 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18도는 디스크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의 플라잉 최저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19도는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0도는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1도는 제1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2도는 제1의 공지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서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3도는 제2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4도는 제2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5a도 내지 제25e도는 헤드피치각을 +O.135°로 하여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의 헤드로딩속도를 변화시킬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6a도 내지 제26e도는 헤드 피치각을 -0.235°로 하여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로딩속도를 변화시킬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한 그래프.
제27도는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 로딩속도의 추천 범위를 도시한 그래프.
제28도는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 언로딩 속도의 추천 범위를 도시한 그래프.
제29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제30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31도는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된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단면도.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된 단면중 플렉셔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제33도는 제29도의 선 B-B를 따르는 단면도.
제34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및 플렉셔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및 플렉셔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36도는 제34도의 선 F-F를 따르는 단면도.
제37도는 제34도에 도시된 플렉셔를 상세히 도시한 저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선 G-G를 따르는 단면도.
제3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언로드시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로드시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1도는 종래의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선단 및 종단과 디스크면과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2 : 강성아암
8, 8A, 8B : 서스펜션 1O, 1OA, 1OB : 플렉셔
12 : 헤드 슬라이더 14 : 돌기 지지판
16, 16A, 16B : 구면 형상 돌기 20 : 경사대
22 : 평탄면 24 : 경사면
26 : 오목부 36 : 보이스 코일모터
50 : 스핀들 모터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헤드를 지지는 아암을 움직여서 헤드를 디스크의 소요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기 하드디스크 장치에서는 CSS(콘택트 스타트 스톱)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는 자기 하드디스크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 자기 헤드가 디스크면에 접촉되어 있고, 디스크의 회전에 수반하여 자기 헤드가 부상한다.
미국특허 제4,933,785호에는 N-CSS(논콘택트 스타트 스톱) 방식의 자기 하드디스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헤드 지지용 서스펜션의 디스크측의 면의 헤드 슬라이더보다 내측(즉 액추에이터 코일측)에 부재를 설치해 디스크의 외주부 부근에 캠면 어셈블리를 설치해 언로드시에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디스크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부재를 캠면에 접촉시킨 후, 로터리 액추예이터 어셈블리를 캠면에 따라 움직여서 록크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미국특허 제5,027,241호에도 N-CSS방식의 자기 하드디스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헤드 지지용 서스펜션의 선단에 원통 형상의 로딩 탭을 설치해 디스크의 외주부 부근에 로딩 경사 구조체를 설치하고, 언로드시에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디스크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로딩 탭을 로딩 경사 구조체의 경사면에 접촉시킨 후,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를 경사면에 따라 움직여서 파킹 영역에서 정지시킨다.
일본 기회학회[No. 900-52] 강연회 강연논문집('90. 8. 23, 24, 도쿄, 정보기기에 있어서 메카트로닉스)의 204 The Load/Unload Dynamics for inline Type Flying Head Systems in Magnetic Disk Storage에는, NCSS시의 접촉 비접촉에 관한 측정예가 있다. 그러나, 이 측정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더의 로드/언로드 동작은 서스펜션을 받쳐주는 아암의 승강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과는 다르다. 또한 이 측정예에 있어서는 로드속도 80mm/s, 40mm/s 및 언로드속도 5mm/s에서 슬라이더 접촉의 유무를 측정한 예가 표시되고 있으나, 상세한 추천범위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다. 또한, 슬라이더의 자세에 대해서 0 또는 양의 피치각을 갖는 경우가 비접촉 로드에 유리하다는 기재가 있으나 구체적으로 양의 피치각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하등의 기재가 없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CSS방식의 자기 하드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내에 포함되는 액체가 디스크면에 부착하므로써 자기 헤드와 자기 디스크와의 흡착(stiction)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 디스크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조직(texture)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은 자기 헤드를 디스크의 자성막에 가급적 근접시키려는 자기 기록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에 역행하고 있으며, 특히 장래 실현하려고 하고 있는 더욱 높은 밀도의 기록에는 장해가 된다.
또한, 상기 미국특허 제4,933,785호에 개시된 N-CSS방식에서는 캠 종동 부재를 헤드 슬라이더보다 내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언로딩시에 헤드 슬라이더를 리프트업 하는데에 큰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미국특허 제5,027,24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딩 탭을 원통형으로 하면, 로딩 경사 구조체와의 미끄럼 운동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미끄럼 운동 가루등에 의한 오염이 생긴다. 또한, 로딩탭을 원통 형상으로 하면 로딩 경사 구조체의 설치 위치의 정밀도를 높게 해야 한다.
또한, 종래의 N-CSS 방식의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는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8p)에 플렉셔(10p)를 거쳐서 설치되는 헤드 슬라이더(12p)의 선단 LE가 종단 TE보다도 디스크(40)에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LE가 종단 TE보다도 먼저 디스크면에 꺼워넣는 각도/자세로 되어 있었다. 즉, 헤드 슬라이더(12p)의 선단 LE가 종단 TE보다 디스크(40)에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40)와 헤드 슬라이더(12p)와의 사이에 동압이 발생하기 어렵고 디스크(40)와 헤드 슬라이더(12p)와의 접촉(즉 충돌)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미끄럼운동에 의한 오염이 적고, 부품의 설치 위치의 정밀도가 높지 않아도 좋고, 언로딩시에 큰 리프트업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N-CSS방식의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서스펜션의 로딩 손실을 없앨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헤드 슬라이더와 디스크와의 접촉 가능성을 적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헤드 슬라이더와 디스크가 접촉을 해도 총돌 에너지를 적게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1디스크 장치는 헤드 슬라이더 예를들면, 제1도의 헤드 슬라이더(12)를 지지하는 아암(예를들면, 제1도의 강성 아암(2))을 움직여서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예를들면, 제1도의 자기 디스크(40))의 소요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디스크 장치로서 한 끝이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예를 들면, 제1도, 제29도 또는 제34도의 서스펜션(8, 8A 또는 8B))과 이 서스팬션의 다른 끝부근에 설치되어서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예를들면, 제1도, 제29도 또는 제34도의 플렉셔(10, 1OA 또는 1OB)와 서스펜션의 플렉셔 설치 위치를 넘는 단부에 있어서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 형상의 돌기(예를들면, 제1도의 돌기(16), 제29도의 돌기(16A) 또는 제35도의 돌기(16B)와, 디스크와의 거리가 디스크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커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대(예를들면, 제1도의 경사대(20))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돌기를 경사면에 걸어맞추어 움직이기 위해 아암을 움직이는 구동원(예를들면, 제1도의 보이스 코일 모터(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서스펜션과는 별개의 돌기 지지판(예를들면, 제1도의 돌기 지지판(14))에 형성되어도 좋고, 혹은 서스펜션에 직접 형성되어도 좋다(예를들면, 제29도의 돌기(16A)가 형성된 서스펜션(8A), 또는 제34도의 돌기(16B)가 형성된 서스펜션(8B)).
로딩시 및 언로딩시의 최소한 한 방향에 있어서 디스크 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의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속도는 10mm/sec이하 3mm/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디스크 장치는, 헤드 슬라이더(예를 들면, 제1도의 헤드 슬라이더(12))를 지지하는 아암(예를들면, 제1도의 강성 아암(2))을 움직여서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예를들면, 제1도의 자기 디스크(40))의 소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디스크 장치로서 한 끝이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예를들면, 제1도, 제29도 또는 제34도의 서스펜션(8, 8A 또는 8B))과 서스펜션의 다른 끝 부근에 설치되어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예를들면, 제1도, 제29도 또는 제34도의 플렉셔(10, 10A 또는 1OB))와, 디스크와의 거리가 디스크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커지는 경사면(예를 들면, 제1도의 경사면(24)) 및 헤드 슬라이더를 정지시켜 두기 위한 오목부(예를들면, 제1도의 오목부(26))를 갖는 경사대(예를들면, 제1도의 경사대(20))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경사대와 걸어맞추어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서스펜션에 설치된 돌기(예를들면, 제1도의 돌기(16), 제29도의 돌기(16A) 또는 제35도의 돌기(16B))를 구비하고, 돌기가 오목부에 위치할 때의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가 헤드 슬라이더가 디스크에 대해서 기록 또는 판독을 할때의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경사대의 오목부의 높이가 정해져 있는(제6a도 및 제6f도의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 및 제7a도 및 제7f도의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 참조)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디스크 장치는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요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디스크 장치로서 한 끝이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예를들면 제8도, 제32도 또는 제38도의 서스펜션(8, 8A 또는 8B)과, 서스펜션의 다른 끝 부근에 설치되어서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예를들면 제8도, 제32도 또는 제38도의 플렉셔(10, 1OA 또는 10B)를 구비하고 헤드 슬라이더의 선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격 거리가 헤드 슬라이더의 종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격거리보다도 커지도록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예를들면 제8도의 설부(tongue portion)(104) 또는 제32도 혹은 제38도의 라운드형 플렉셔(1OA) 혹은(1OB))에 각도가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의 각도는 약 0.3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디스크 장치는 헤드 슬라이더(예를 들면 제1도의 헤드 슬라이더(12))를 지지하는 아암(예를들면 제1도의 강성 아암(2))을 움직여서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요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디스크 장치로서, 한 끝이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예를들면 제1도, 제29도 또는 제34도의 서스펜션(8, 8A 또는 8B))과 서스펜션의 다른 끝부근에 설치되어서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예를들면, 제1도, 제29도 또는 제34도의 플렉셔(10, 1OA 또는 10B))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최소한 한 방향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의 플라잉 최저속도 이상으로서 정상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예를들면, 제15도의 스핀들 시퀀서(72) 및 스핀들 드라이버(81) 제16도 참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제1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서스펜션의 플렉셔 설치 위치를 넘는 끝부분에 있어서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형상의 돌기가 경사대의 경사면과 미끄럼 운동을 한다. 돌기는 서스펜션의 플렉셔 설치 위치를 넘은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언로딩시에 헤드 슬라이더를 리프트업하는 힘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돌기가 구면 형상이므로 경사면과는 점형상으로 접촉하므로 미끄럼 운동면적이 적어져 미끄럼 운동에 의한 오염이 적어짐과 동시에 미끄럼운동 저항이 적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가 구면 형상이므로 경사면과는 점형상으로 접촉하므로 경사대의 설치 정도를 높게할 필요가 없다. 다시, 서스펜션은 구면 형상 돌기를 거쳐서, 경사면에 걸어맞추어지므로 돌기에 관해서 롤운동을 할 수가 있으므로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 슬라이더의 자세를 디스크에 평행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서스펜션의 돌기가 오목부에 위치할 때의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는 헤드 슬라이더가 디스크에 대해서 기록 또는 판독을 할 때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와 같게 된다. 따라서, 통상 동작시 및 록크시(즉, 파킹시)에 서스펜션에 걸리는 하중은 같게 되므로 로드 손실을 없앨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에 각도가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는 항상 헤드 슬라이더 선단의 편이 종단보다도 크게 디스크에서 이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와 디스크면 사이의 공기막에 의한 동압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슬라이더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을때부터 부상력이 발생하므로 슬라이더와 디스크가 접촉하지 않아서 로딩 및 언로딩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4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로딩시 및 언로딩시의 최소한 한 방향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가 헤드 슬라이더의 플라잉 최저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제어된다. 이 범위내에서는 헤드 슬라이더와 디스크가 접촉하여도 충돌 에너지를 적게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1)의 강성 아암(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사용한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된다. 강성 아암(2)의 설치영역(6)에는 예를 들면 스톄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서스펜션(8)의 한 끝이 고정되어 있다. 서스펜션(8)의 양측부분의 소정영역에는 플랜지(9)가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8)중 플랜지(9)가 형성된 부분이 로드빔 부분이고, 플랜지(9)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탄성 스프링 부분이다. 서스펜션(8)의 다른 끝부근의 자기 하드디스크(40)측에는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슬라이더(12)가 플렉셔(10)를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8)의 자기 하드디스크(40)측과는 반대측에 돌기 지지판(14)이 고정되어 있다. 돌기 지지판(14)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딤플 형성에 의해 디스크(40)측으로 돌출하는 구면 형상 돌기(16)가 설치되어 있다. 구면 형상 돌기(16)는 지지판(14)의 길이 방향 중심축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판(14)은 그것의 길이 방향 중심축이 서스펜션(8)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일치하도록, 또한 구면 형상 돌기(16)가 서스펜션(8)에서 보아 헤드 슬라이더(12)보다 멀리 설치되도록, 서스펜션(8)에 용접(예를들면, 제5도의 파선의 둥근 표시로 표시한 위치의 용접)등에 의해 고정된다.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1)의 강성아암(2)의 허브부(4)는 베어링(32)을 통하여 고정축(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강성 아암(2)의 허브 부분(4)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고정축(30)에 관련된 서스펜션(8)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VCM(보이스 코일 모터)(36)가 설치된다. VCM(36)의 구동력에 의해 아암(2)이 고정 샤프트(30)의 중심축에 관련해서 회전 운동하는 헤드 슬라이더(12)를 자기 하드디스크(40)의 소요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경사대(20)는 디스크(40)의 외주 부근에 설치되고, 디스크(40)의 반경 방향에 따라서 외측으로 감에 따라 디스크(40)의 표면에서 멀어지는 경사면(24)과 이 경사면(24)으로 이어지는 디스크(40)의 면으로 평행한 평탄면(22)과 이 평탄면에 이어서 형성되고, 로터리 액추에이터 어셈블리(1)의 록크 위치를 결정하는 파킹용 오목부(26)를 갖는다. 경사대(22)의 오목부(26)의 높이는 들기(16)가 오목부(26)에 위치할때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가 헤드 슬라이더(12)가 디스크(40)에 대해서 기록 또는 판독할때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정해져 있다. 경사대(20)는 경사대 지지부재(28)에 의해 지지되고 경사대 지지부재(28)는 하우징 베이스(도시 않음)에 고정되어 있다.
제6a도 내지 제6f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드 동작에 있어서 일련의 상태를 도시한다. 최초에 돌기(16)는 제6a도에 도시된 있는 바와 같이 경사대(20)의 오목부(26)에 위치하고 록크된 상태에 있다(즉, 돌기(16)는, 대기 위치에 있다). 이때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는 헤드 슬라이더(12)가 디스크(40)에 대해서 기록 또는 판독을 할때의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와 같다. 다음에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M(36)에 의해 강성 아암(2) 및 서스펜션(8)이 디스크(40)의 내측 방향으로 움직이고 돌기(16)가 오목부(26)에서 평탄면(22)으로 이동한다. 이때, 헤드 슬라이더(12)의 디스크(40)로부터 리프트 업량은 200㎛이다.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6)가 평탄면(22)의 최후의 위치인 로드 개시 위치에 도달하면, VCM(36)은 일단 정지하고, 이어서 경사면(24)에 따라 돌기(16)를 움직인다(제6d도 참조). 다음에 제6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슬라이더(12)가 디스크(40)에서 공기막 압력을 받기 시작할 때까지 VCM(36)은 돌기(16)를 경사면(24)위에 유지한다. 헤드 슬라이더(12)가 디스크(40)에서 공기막 압력을 받기 시작하면, VCM(36)은 돌기(16)를 디스크(4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제6f도 참조). 이에 따라 헤드 슬라이더(12)는 부상하고 디스크(40)에 대해서 읽고 쓰기를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6a도에 도시된 대기 위치 즉 록크 위치에 있어서 헤드 슬라이더(12)의 디스크(40)에 대한 높이는 제6f도에 도시된 디스크(40)에 대해서 부상된 읽고 쓰기를 하는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와 같다. 따라서, 로드 손실은 생기지 않는다.
제7a도 내지 제7f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언로드 동작에 있어서 일련의 상태의 동작을 도시한다. 먼저,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VCM(36)은 디스크(40)의 위편의 경사대(20) 앞의 예비 위치에 있어서 서스펜션(8)(따라서 돌기(16) 및 헤드 슬라이더(12))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VCM(36)은 서스펜션(8)을 디스크(40)의 외주로 이동시켜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6)를 경사면(24)의 단부에 걸어맞춘다. 이 때의 위치가 언로드 개시 위치이다. 다음에, VCM(36)은 서스펜션(8)을 다시 디스크(40)의 외주로 이동시켜 이에 의해 돌기(16)는 경사면(24)위로 이동하여(제 7c도 참조) 다시 평탄면(22)위를 이동하고(제7d도 참조) 디스크(40)의 영역에서 벗어나(제7e도 참조) 오목부(26)(즉 대기 위치)에 도달하고, 여기에 록크된다(제7f도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제7a도에 도시된 예비 위치에 있어서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즉 디스크(40)에 대해서 부상한 읽고 쓰기를 하는 헤드 슬라이더(12)의 높이)는 제7f도에 도시된 대기 위치 즉 록크 위치에 있어서 헤드 슬라이더(12)의 디스크(40)에 대한 높이와 같다. 따라서, 로드 손실은 생기지 않는다.
제8도 및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고, 제1Oa도, 제1Ob도 및 제10c도는 제8도의 플렉셔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플렉셔(10)는 서스펜션(8)에 고정되는 고정부(101)와 서스펜션(8)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일치하는 길이방향 중심축을 가지며 디스크(40)측의 면에 헤드 슬라이더(12)가 설치되는 설부(104)와, 고정부분(101)에서 설부(104)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는 가소성 외측 핑거(108)와, 설부(104)와 핑거(108)를 단차 부분(106)을 통하여 연결하는 연결부(105)를 갖는다. 단차 부분(106)이 존재하므로서 설부(104)는 핑거(108) 보다도 디스크(40)에 가까운 위치에 온다. 설부(104)의 디스크 측과는 반대측 면에는 서스펜션(8)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하중 받이점을 구성하는 구면 형상의 돌기(102)가 형성되어 있다.
플렉셔(10)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 즉 설부(104)에는 헤드 슬라이더(12)의 선단 LE의 디스크에 대한 이격거리가 헤드 슬라이더(12)의 종단 TE의 디스크에 대한 이격 거리보다 커지도록 각도 θp가 주어져 있다. 즉, 설부(104)는 핑거(108)에 대해서 양의 설치시 피치각(θp)을 갖는다. 이와 같은 양의 피치각(θp)을 지우려면 층 부분(106)을 프레스 하는 형의 오목 볼록의 각각의 쪽에 θp의 각도를 주면된다.
제11a도, 제11b도 및 제11c도는 종래 플렉셔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11a도 내지 제11c도중 제1Oa도 내지 제1Oc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플렉셔와 동일 또는 대응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의 뒤에 「p」를 붙여서 도시하고 있다. 제11a도 내지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셔(10p)에 있어서는 설부(104p)에 핑거(108p)에 대해서 각도 θp가 붙여져 있지 않다.
제1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슬라이더(12)의 선단 LE 및 종단 TE와 디스크면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헤드의 설치 높이 위치(즉 아암의 설치 영역(6)의 높이)를 Z서스펜션(8)과 평행한 선을 b-b, 슬라이더(12)의 면 즉, 플렉셔의 설부(104)와 평행한 선을 c-c, 디스크면을 표시하는 선을 d-d로 하면, 선 c-c선과 선 b-b와 이루는 각도가 피치각(θp)이고, 선 b-b와 선 d-d가 이루는 각도 즉, 서스펜션(8)과 디스크면과 이루는 각도(θzD)로 하면 슬라이더(12)의 면과 디스크면과 이루는 각도(θp-D)는 (θp-D) = θp + (θz-D)이므로, θp + (θz-D) 〉 O로 되는 높이 위치 Z에 서스펜션(8)을 설치하므로서 (θp-D) 〉 O로 할수가 있다.
제1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슬라이더(12)의 선단 LE 및 종단 TE와 디스크면과의 관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θp 〉 O 및(θp-D) 〉 O로 하므로서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는 항상 헤드 슬라이더(12)의 선단 LE의 편이 종단 TE보다도 디스크(40)에서 크게 이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12)와 디스크(40)의 면과의 사이의 공기막에 의한 동압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슬라이더(12)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을때부터 부상력이 발생하므로 슬라이더(12)와 디스크(40)가 접촉하지 않고 로딩 및 언로딩을 할 수가 있다.
제14도는 플렉셔(10)의 슬라이더 설치면과 서스펜션(8)과의 각도 즉, 슬라이더의 설치시 피치각(θp)을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 서스펜션(8)에 고정된 AE(acoustic emission)센서 출력의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AE강도가 클수록 충돌에너지가 큰 것을 도시했다. 제1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플렉셔(10)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 즉 설부(104)의 각도는 약 0.3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해서 콘택트 스타트 스톱 경우의 AE센서 출력은 55mW 정도이다.
제15도는 제1도의 실시예중의 기계적인 구동 부분을 제어하는 부분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다. 이 제어 부분은 마이크로 프로세서(70) 및 1칩 드라이브 IC(80)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70)는 모드 컨트롤러(71), 스핀들 시퀀서(72), D/A컨버터(73) 버퍼(74) 및 A/D컨버터(75)를 구비하고 있다. 1칩 드라이브 IC(80)는, 스핀들 드라이버(81), 언로드 파워 검출기(82), VCM 드라이버(83), VCM BEMF 검출기(84) 및 VCM 속도 위치 검출기(85)를 구비하고 있다. VCM 속도 위치 검출기(85)는 VCM(36)의 위치 및 속도를 전용으로 검출하기 위해 설치된 속도 위치 검출 장치(90)에 대응하는 것이다. VCM 속도 위치 검출기(85) 및 속도 위치 검출 장치(90)를 설치하는 것은, VCM(36)의 초저속 제어를 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 컨트롤러(71)는 서보신호 및 스핀들 시퀀서(72) 및 A/D 컨버터(75)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VCM(36)의 동작 모드를 제어함과 함께 디스크(40)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50)의 회전의 스톱/스타트 및 스핀들 서보의 온/오프 등의 모드를 제어한다. 스핀들 시퀀서(72)는 모드 컨트롤러(71)의 출력 신호 및 스핀들 드라이버(81)로부터의 피이드백 신호를 받아서 스핀들 모터(50)의 회전 속도를 선택하고 그것을 표시하는 속도 신호를 출력한다.
스핀들 드라이버(81)는 스핀들 시퀀서(72)로부터 속도 신호를 받아서 스핀들 모터(50)를 구동한다. 이 예에서는 스핀들 모터(50)는 구상 전체파 센서 레스이고, 홀소자등의 위치 검출 소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언로드 파워 검출기(82)는 전원 오프시에 스핀들 모터(50)의 역 기전력을 정류해서 VCM드라이버(83) 및 속도 위치 검출 장치(90)에 공급한다.
D/A컨버터(73)는 모드 컨트롤러(7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버퍼(74)는 D/A 컨버터(73)의 출력 신호를 VCM 드라이버(83)에 입력하기 위한 전치 증폭기이다. 드라이브(83)는 버퍼(74)의 출력 신호를 받아서 VCM(36)을 구동한다.
BEMF검출기(84)는 VCM(36)의 코일로부터 역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신호 및 VCM 드라이버(83)의 출력신호로부터 VCM(36)의 위치 및 속도를 표시하는 아나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A/D컨버터(75)는 BEMF검출기(84) 또는 VXM속도 위치 검출기(85)로부터 출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해서 모드 컨트롤러(71)로 출력한다.
제15도의 제어부의 통상사용 상태 즉, 헤드에 의해 디스크(40)에 데이터의 읽기 쓰기를 할때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에 입력되는 서보 신호에 의해 모드컨트롤러(71), D/A컨버터(73), 버퍼(74) 및 VCM드라이버(83)를 통하여 VCM(36)이 제어되고 모드 컨트롤러(71), 스핀들 시퀀서(72) 및 스핀들 드라이버(81)를 거쳐서 스핀들 모터(50)가 제어된다.
제16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로드시 및 언로드시의 디스크 회전수의 한 예를 도시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5도의 스핀들 시퀀서(72) 및 스핀들 드라이버(81)는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 디스크(40)의 회전수가 헤드 슬라이더(12)의 플라잉 최저 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 보다 적은 값이 되도록 스핀들 모터(50)를 제어한다.
제17도는 디스크(40)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12)의 플라잉 최저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8)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18도는 디스크(40)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12)의 플라잉 최저 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8)에 고정된 AE센서의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19도는 디스크(40)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로딩을 하였을 때의 서스펜션(8)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20도는 디스크(40)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8)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21도는 제1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22도는 제1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23도는 제2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 회전수로 하여 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하고, 제24도는 제2의 공지 제품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정상회전수로 하여 언로딩할 때의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표시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VCM θ방향이란 디스크의 반경 방향을 의미하고, Z방향이란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제17도 내지 제2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디스크(40)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12)의 플라잉 최저 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하면, AE파 레벨 즉 층돌 에너지가 적어지니까, (a) 롤 각이나 피치각이 발생하여 헤드 슬라이더(12)의 자세가 나빠져도 헤드 슬라이더(12)와 디스크(40)와의 충돌에너지를 최소한 억제되고, (b) 부품 공차나 조립 공차에 기인하여 헤드 슬라이더(12)의 자세가 나빠져도 헤드 슬라이더(12)와 디스크(40)와의 충돌 에너지를 최소로 억제되고, (c)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헤드 슬라이더(12)의 자세가 나빠져도 헤드 슬라이더(12)와 디스크(40)와의 충돌 에너지를 최소로 억제되고, (d) 헤드 슬라이더(12)의 자세가 나빠지지 아니하면, 헤드 슬라이더(12)와 디스크(40)와의 충돌에너지는 0으로 된다.
제25a도 내지 제25e도는 헤드 피치각을 +0.135°로 하여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 로딩속도를 변화시킬 때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하고, 제26a도 내지 제26e도는 헤드 피치각을 -0.235°로 하여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 로딩 속도를 변화시킬때 서스펜션에 고정된 AE센서 출력의 한 예를 도시했다. 제25a도 내지 제25e도 및 제26a도 내지 제26e도의 실험 결과에서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 로딩 속도의 추전 범위는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mm/sec이하 3 mm/sec이상이다. 또한,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 방향의 헤드 언로딩 속도의 추천범위도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mm/sec이하 3mm/sec이상이다.
제29도 및 제30도는 본 발명을 자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31도는 제29도 및 제30도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따르는 단면도이고,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된 단면중 플렉셔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33도는 제29도의 선 B-B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제1도 내지 제5도 등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의 큰 차이점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는 구면 형상 돌기(16A)가 서스펜션(8A)에 직접 형성되어 있는 점, 플렉셔(10A)가 말하자면 라운드형인 점 및 서스펜션(8A)의 양측부에 형성된 플랜지(9A)가 꺽어접은 부분을 갖는 점에 있다.
플렉셔(10A)는 θp 〉 0로 되도록 서스펜션(8A)에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제8도의 예와 같이 플렉셔(10A)에 설치되는 슬라이더(12)의 면의 각도는 θp 〉 0로 되고, 슬라이더(12)의 면과 디스크면과의 각도도(θp-D) 〉 0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8도의 예와 같이, 슬라이더(12)와 디스크가 접촉하지 않고 로딩 및 언로딩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플렉셔(10A)의 서스펜션(8A)에 대한 각도 즉 헤드 슬라이더(12)의 설치시 피치각(θp)은 제8도의 예와 같이 약 0.3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4도 및 제35도는 본 발명을 자기 헤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한 경우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 및 플렉셔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36도는 제34도의 선 F-F에 따르는 단면도이고, 제37도는 제34도에 도시된 플텍셔를 상세히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제38도는 제37도의 선 G-G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제29도 내지 제33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는 구면 형상 돌기(16B)가 서스펜션(8B)에 직접 형성되고, 플렉셔(1OB)가 말하자면 라운드형이다.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서스펜션(8B)의 양측 부분에 형성되는 플랜지(9B)에 꺽어접은 부분이 없는 점이다.
플랙셔(1OB)는 제2실시예와 같이 θp 〉 O로 되도록 서스펜션(8B)에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플렉셔(1OB)에 설치되는 슬라이더(12)의 면의 각도도 θp 〉 O로 된다. 또한, 플렉셔(1OB)의 서스펜션(8B)에 대한 각도 즉 헤드 슬라이더(12)의 설치시 피치각(θp)은 제2실시예와 같이 약 0.3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언로드시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4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로드시의 서스펜션, 플렉셔 및 슬라이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2)의 면과 디스크면과의 각도도(θp-D) 〉 0로 할 수가 있으므로, 슬라이더(12)와 디스크가 접속하지 아니하므로 슬라이더(12)와 디스크가 접촉하지 않고 로딩 및 언로딩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헤드를 지지하는 아암이 자기 디스크의 위측에 배치되는 예이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암이 자기 디스크의 아래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가 1개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형상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다시, 본 발명은 자기 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 및 광 자기 디스크에도 적용이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경사대의 경사면과 걸어맞추어지는 돌기를 서스펜션의 플렉셔 설치 위치를 넘는 단부에 설치하였으므로 언로딩시에 헤드 슬라이더를 리프트업 하는 힘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돌기가 구면 형상으로 하였으므로 경사면과는 점형상으로 접촉을 하므로 미끄럼 운동면적이 적어져 미끄럼 운동에 의한 오염이 적어짐과 동시에 미끄럼 운동 저항이 안정된다. 또한, 돌기가 경사면과 점형상으로 접촉하므로 경사대의 설치 정밀도를 높게할 필요가 없다. 다시, 서스펜션은 구면 형상 돌기를 거쳐서 경사면에 걸어맞추어지므로 돌기에 관련해서 롤운동을 할수가 있으므로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 슬라이더의 자세를 디스크에 평행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서스펜션의 돌기가 경사대의 오목부에 위치할 때의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를 헤드 슬라이더가 디스크에 대해서 기록 또는 판독할 때의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하였으므로 통상 동작시 및 록크시(즉 파킹시)에 서스펜션에 걸리는 하중은 같아지므로 로드손실을 없앨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헤드 슬라이더의 선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격 거리가 헤드 슬라이더의 종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격거리보다도 커지도록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에 각도를 주었으므로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있어서는 항상 헤드 슬라이더의 선단의 편이 종단보다도 크고 디스크에서 이격하므로 슬라이더 디스크가 접촉하지 않고 로딩 및 언로딩을 할 수가 있다. 예컨대, 접촉을 하여도 약한 접촉이고, 슬라이더와 디스크의 훼손이 적고 손상이 발생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제4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최소한 한 방향에 있어서 디스크의 회전수를 헤드 슬라이더의 플라잉 최저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헤드 슬라이더와 디스크가 접촉하여도 충돌 에너지를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28)

  1. (정정)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한끝이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의 다른 끝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와, 상기 서스펜션의 플렉셔 설치 위치를 넘은 단부에서 상기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 형상의 돌기와, 상기 디스크와의 거리가 상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 커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대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상기 돌기를 상기 경사면에 걸어 맞춰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아암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는 별개의 돌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판이 상기 서스펜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깅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주변부에 플랜지를 갖추고 또한, 상기 플렉셔 설치 위치와 상기 구면형상 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가 없는 평탄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정정)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한끝이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의 다른 끝 부근에 설치되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된 플렉셔와, 상기 서스펜션의 플렉셔 설치 위치를 넘은 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디스크와의 거리가 디스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 커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대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경사면에 걸어맞추어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암을 움직이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로딩시 및 언로딩시의 최소한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의 헤드 슬라이더의 속도가 10mm/sec이하 3mm/sec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 형상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는 별개의 돌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판이 상기 서스펜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정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주변부에 플랜지를 갖추고, 또한 상기 플렉셔 설치위치와 상기 구면 형상 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가 없는 평탄한 영역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정정)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한끝이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의 다른 끝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와, 상기 디스크와의 거리가 상기 디스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커지는 경사면 및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정지시켜 두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경사대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상기 경사대와 걸어맞추어지는 상기 서스펜션에 설치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오목부에 위치할 때의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높이는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상기 디스크에 대해서 기록 또는 판독을 할 때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상기 경사대의 오목부의 높이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 형상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는 별개의 돌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판이 상기 서스펜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주변부에 플랜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플렉셔 설치위치와 상기 구면 형상 돌기와의 사이에 플랜지가 없는 평탄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5. (정정)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한끝이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의 다른 끝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선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간거리가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종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간거리보다 커지도록 상기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에 각도가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6. (정정)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드 설치면의 각도가 약 0.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7. (정정)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한끝이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의 다른 끝부근에 설치되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의 최소한 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회전수를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플라잉 최저속도 이상으로서 정상 회전수보다 적은 값으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8. 디스크와의 거리가 디스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커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대와,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걸어맞춤부를 상기 경사면에 걸어맞추어서 움직이게 하기 위하여 아암을 움직이는 구동수단과, 상기 로딩시 및 언로딩시에 상기 경사대와 걸어맞추는 서스펜션에 설치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디스크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 형상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는 별개의 돌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판이 상기 서스펜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서스펜션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주변부에 플랜지를 가지고 또한, 상기 플렉셔 설치 위치와 상기 구면 형상 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가 없는 평탄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3. (정정) 헤드 슬라이더를 지지하는 아암을 움직여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를 디스크의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시키는 디스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아암에 고정되는 아암 설치 영역과, 상기 아암 설치 영역의 다른 끝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플렉셔 영역과, 상기 플렉셔 영역을 넘는 상기 아암설치 영역의 다른 끝에 상기 디스크 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면 형상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플렉셔 영역과는 별개의 돌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 지지판이 상기 플렉셔 영역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플렉셔 영역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주변부에 플랜지를 갖고, 또한 상기 플렉셔 설치 위치와 상기 구면 돌기사이에 상기 플랜지가 없는 평탄한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27. (정정)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슬라이더 선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간거리가 상기 헤드 슬라이더의 종단의 디스크에 대한 이간거리보다 커지도록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에 각도가 주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28. (정정)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셔의 헤드 슬라이더 설치면의 각도가 약 0.3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KR1019930027963A 1993-12-16 1993-12-16 디스크 장치 KR10026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963A KR100263683B1 (ko) 1993-12-16 1993-12-16 디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963A KR100263683B1 (ko) 1993-12-16 1993-12-16 디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596A KR950020596A (ko) 1995-07-24
KR100263683B1 true KR100263683B1 (ko) 2000-08-01

Family

ID=1937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963A KR100263683B1 (ko) 1993-12-16 1993-12-16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596A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5514A (en) Disk Device
US6452753B1 (en) Universal load/unload ramp
US5005089A (en) High performance, high capacity micro-winchester disk drive
KR0164933B1 (ko) 디스크 드라이브 및 트랜스듀서의 속도 제어방법
US5084791A (en) Head position control system for fixed drive including position encoder, temperature sensor and embedded fine servo information
US6798605B2 (en) Magnetic disk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50174684A1 (en) Clamp retention apparatus for rotational disk drive components
US7268972B2 (en) Recording medium drive having rectifier plate integral to ramp member
US7733610B2 (en) Load/unload ramp for an actuator assembly in a data storage device
US20080007874A1 (en) Ramp structure with inclined contact surface
US5091808A (en) Two-motor servo mechanism system for a magnetic disk drive
US7072140B2 (en) Disk drive having airflow adjusting mechanism and thin-plate member incorporated therein
KR100263683B1 (ko) 디스크 장치
EP2109099A2 (en) Ramp to park read/write head and har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US6049442A (en) Multiply-written servo burst patterns for minimizing position error in servo disk drives
EP0959458B1 (en) Disk device
US20050157429A1 (en) Spacer ring for disk drive spindle with load/unload feature, latch feature, and tribological overcoat
US70991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oading in disk drive
JP3241127B2 (ja) ディスク装置
WO2003021596A1 (en) Disk drive having airflow adjusting mechanism and thin-plate member incorporated therein
EP2043090A1 (en) Actuator latching mechanism for magnetic disk drive
JP2002025211A (ja) ディスク装置
JP2001283547A (ja) ディスク装置
US200400759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acting an actuator
JPH0676509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