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080B1 - 개선된주머니를갖는턱받이 - Google Patents

개선된주머니를갖는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080B1
KR100263080B1 KR1019980700961A KR19980700961A KR100263080B1 KR 100263080 B1 KR100263080 B1 KR 100263080B1 KR 1019980700961 A KR1019980700961 A KR 1019980700961A KR 19980700961 A KR19980700961 A KR 19980700961A KR 100263080 B1 KR100263080 B1 KR 10026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ib
pocket
extending
bod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293A (ko
Inventor
리차드 니콜라스 쥬니어 라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1999003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41B13/103Bibs with a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52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disposable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를 제공한다. 주머니는 몸체부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된 주머니 패널에 의해 형성된다.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은 주머니 패널과 몸체부 패널중 하나이상에 위치된다. 한 양태에서는, 턱받이는 주머니가 중력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용이하게하는 에이프런 패널을 포함한다. 에이프런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널의 주름은 전체적으로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
일회용 턱받이는 당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이런 턱받이는 식사하는 동안 유아에게 사용하기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회용 턱받이는 다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회용 턱받이는 엎질러진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흡수지 상면시이트, 및 엎질러진 액체가 턱받이를 통해 유아의 의류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 배면시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다층 턱받이 구조가 또한 공지되어 있다.
종래 분야는 또한 수용하지 못하면 착용자의 의류를 오염시키는 고체 또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주머니 구조를 갖는 턱받이를 개시한다. 이런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의 예는 노엘(Noel)에게 1984년 5월 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445,2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노엘은 중력에 의해 개방되는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를 개시한다.
노엘은 턱받이에 사용하기 위한 주머니 구조물의 개선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노엘은 중력이 에이프런 패널에 작용하여 턱받이 주머니가 개방 형태를 유지한다고 믿었다. 이런 디자인의 효과는 착용자 및/또는 턱받이의 수직 배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엎질러진 고체 및 액체 음식물을 수용 및 보유시키기위해 개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주머니를 갖는 저렴한 일회용 턱받이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이런 턱받이가 개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주머니를 제공하기위해 추가의 구성 요소 또는 물질을 필요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리하게 착용자에게 고정될 수 있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엎질러진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주머니 구조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턱받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된 주름(crease)를 이용하여 개방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주머니 구조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일회용 턱받이를 제공한다. 턱받이는 턱받이 몸체부, 및 목 삽입구를 한정하는 턱받이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어깨 연장부를 포함한다. 턱받이 몸체부는 종방향 길이, 종방향 중심선 및 측방향 폭을 가질 수 있다.
턱받이 몸체부는 몸체부 패널, 및 몸체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사이에 주머니 공간을 제공하기위해서 몸체부 패널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주머니 패널을 포함한다. 몸체부 및 주머니 패널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주머니 패널 및 몸체부 패널 각각은 하나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포함한다. 주머니 패널 및 몸체부 패널의 주름은 둘 모두 턱받이 몸체부의 종방향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일렬일 수 있다. 주머니 패널 및 몸체부 패널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에 의해 한정되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변형되어 주머니 거싯(gusset)을 형성한다. 주머니 거싯은 몸체부 패널의 일부 및 주머니 패널의 일부의 사이를 연장시켜 주머니를 개방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턱받이는 주머니 패널의 상부로부터 치렁치렁하게 매달린 에이프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 패널, 몸체부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은 각각 턱받이 몸체부를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에 따라 절첩하여 형성된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 턱받이, 보다 구체적으로 엎질러진 액체 및 고체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개선된 주머니를 갖는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명확하게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종결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여기서, 동일한 명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적하는데 사용된다)과 함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턱받이의 사용중 투시도이다.
제2도는 턱받이가 평평하게, 전체적으로 평면 배향되어 지지될 때의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의 전방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회용 턱받이의 후방 평면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선 4-4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제5도는 잠근 형태를 갖는 목 삽입구의 확대된 부분 개략도이고, 이 도면은 턱받이를 평평하게, 전체적으로 평면 배향으로 지지시켰을 때의 측방향 비대칭율 및 각(B)의 측정을 나타낸다.
제6도는 풀린 형태를 갖는 목 삽입구의 확대된 부분 개략도이다.
제7도는 턱받이 몸체부를 절첩하여 주머니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을 형성하기 전의 턱받이의 외부 둘레 및 몸 삽입구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턱받이의 전방 평면도이다.
제8도는 주머니 패널이 턱받이 몸체부 패널의 일부에 겹쳐지도록 턱받이 몸체부의 일부가 절첩되어 있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턱받이의 전방 평면도이다.
제9도 에이프런 패널이 주머니 패널에 겹쳐지도록 턱받이 몸체부의 일부가 절첩되어 있는, 턱받이의 전방 평면도이다.
제10도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을 갖는 에이프런 패널, 바깥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갖는 주머니 패널 및 바깥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갖는 몸체부 패널을 나타내는, 제9도의 선a-a를 따른 몸체부 패널, 주머니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의 횡단면도이다.
제11도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따라 주머니 및 몸체부 패널의 일부분이 변형되어 주머니 거싯을 제공하는 턱받이의 투시도이다.
제12도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을 갖는 에이프런 패널,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을 갖는 주머니 패널 및 바깥쪽으로 오목한 주름을 갖는 몸체부 패널을 나타내는, 제11도와 유사한 몸체부 패널, 주머니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의 횡단면도이다.
제13도는 턱받이 주머니의 삽입구 가장자리로부터 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갖는 에이프런 패널이 이격되어 있는 턱받이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제14a도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턱받이가 제1의 포개진 형태로 배열된 재료 시이트의 평면도이다.
제14b도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턱받이가 제2의 포개진 형태로 배열된 재료 시이트의 평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일회용 턱받이(20)를 나타낸다. 턱받이(20)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측면(32) 및 (34), 종방향 길이(L), 종방향 중심선(21),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가장자리(36) 및 측방향 폭(W)을 갖는 턱받이 몸체부(22)를 포함한다. 용어 "종방향"은 턱받이 몸체부(22)의 길이를 따라 측정된, 턱받이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머리에서 착용자의 허리로 연장되는 선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방향 또는 축을 의미한다. 용어 "측방향" 및 "횡방향"은 종방향 중심선(21)에 수직이고, 턱받이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가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선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방향 또는 축을 의미한다.
턱받이(20)는 또한 근위 말단(24A), (26A)및 원위 말단(24B), (26B)를 갖는 한 쌍의 어깨 연장부(24),(26)을 포함한다. 어깨 연장부(24),(26)은 근위 말단으로부터 원위 말단까지 턱받이 몸체부(22)로부터 연장되어 턱받이가 평평한 수평면에서 지지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를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는 전방 목 부분(210), 후방 목 부분(230), 및 전방 목 부분(210)과 후방 목 부분(230) 사이에 위치한 최대 폭 부분(220)을 갖는다. 목 삽입구(200)는 또한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되는 종방향 길이(240)를 갖는다(제2도).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는 턱받이를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종방향 중심선(21)과 같은 종방향 축에 대해 대칭이고, 종방향 길이(240)의 중간점(242)을 통과하는 측방향 축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이다. 목 삽입구(200)의 측방향 비대칭성은, 벗겨짐없이 다양한 목 크기 및 형태에 부합하는 것을 촉진시키며, 턱받이를 착용자에게 고정시키기위해 어깨 연장부(24),(26)을 착용자의 목 뒤쪽에서 겹칠 때 착용자의 가슴으로부터 턱받이 몸체부(22)가 뜨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턱받이(20)는 또한 음식물 입자를 포착하여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턱받이(20)의 전체 측방향 폭으로 연장되는 주머니(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턱받이 몸체부(22)는 몸체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에이프런 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 패널(70)은 턱받이 몸체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에 의해 주머니 패널(105)과 구별되고, 주머니 패널(105)은 턱받이 몸체부에서의 또다른 평행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에 의해 에이프런 패널(150)과 구별된다.
턱받이가 착용자에게 고정되는 경우 몸체부 패널(70)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주머니 패널(105)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고, 몸체부 패널(7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몸체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사이에 주머니 공간을 형성한다. 주머니 패널(105)은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120)로부터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주머니 패널(105)은 턱받이 측면 가장자리(32) 및 (34)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닥 가장자리(120)와 삽입구 가장자리(110)는 둘모두 실질적으로 종방향 중심선(21)에 수직이고, 실질적으로 가상의 횡방향 축에 평행하다.
에이프런 패널(150)은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에서 턱받이 바닥 가장자리(3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에이프런 패널(150)은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로부터 치렁치렁한 현채로 매달려 주머니(100)가 중력에 의해 개방되도록 한다. 몸체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에이프런 패널(150)은 물질의 연속 시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재료 시이트는 하나이상의 적층물을 포함한다. 1984년 5월 1일자로 노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45,231호, "중력에 의해 개방가능한 포켓을 갖는 턱받이"는 주머니 및 에이프런 패널을 갖는 턱받이를 형성하기 위한 턱받이 구조를 나타낼 목적으로 참고로 본원에 인용된다.
몸체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에이프넌 패널(150)중 하나 이상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는, 패널(70),(105) 및 (150)은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570),(505) 및 (550)을 포함한다(제10도). 주름(570),(505) 및 (550)은 각각 실질적으로 턱받이 몸체부(22)의 종방향 중심선(21)에 평행하고 실질적으로 일렬이다. 주머니 패널(105) 및 몸체부 패널(70)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의 선으로 변형됨으로써, 주머니 거싯(600)을 형성한다(제11도). 주머니 거싯은 엎질러진 액체 및 고형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주머니(100)를 개방 형태로 유지시킨다.
턱받이(20)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어깨 연장부(24) 및 (26)을 겹치는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여 턱받이(20)를 착용자에게 고정시키기위한 고착 조립체를 포함한다. 고착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어깨 연장부상에 위치한 요소를 갖는 기계적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요소는 다른 어깨 연장부의 랜딩(landing)면에 투과하여 물리적으로 맞물린다. 한 양태에서는, 패스너는 어깨 연장부(26)에 연결된 기재(312)로부터 연장된 돌출부(310)의 열(305)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0)는 랜딩면과 맞물릴 수 있고, 랜딩면은 적어도 어깨 연장부(24)의 일부에 위치된다.
한 양태에서는, 돌출부(310)는 갈퀴를 포함할 수 있고, 랜딩면은 어깨 연장부(24)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부직 웹(352)인 표적 표면(350)을 포함할 수 있다(제2도 내지 제4도). 도시된 양태에서는, 웹(352)은 어깨 연장부(24),(26) 둘 모두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목 주위에 부드러운 비마찰성 표면을 제공한다.
턱받이(20)의 구성 요소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20)는 다중 적층을 갖는 복합체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턱받이(20)는 흡수체 외부 상면시이트 층(40), 및 상면시이트(40)에 비해 액체 불투과성인 가멘트 대향 배면시이트 층(80)의 적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는 엎질러진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제1외부면(42), 및 제2내부면(44)을 갖는다. 배면시이크(80)는 제 1 가멘트 대향면(82)및 제 2면(84)을 갖는다. 배면시이트(80)의 표면(84) 및 상면시이트(40)의 표면(44)은 마주보는 대향면이고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어 적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어깨 연장부(24),(26), 턱받이 몸체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에이프런 패널(150)은 상면시이트(40) 및 배면시이트(80)의 적층의 단일, 연속 시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상면시이트(40)는 3000피트2당 약 10 내지 약 50 파운드의 기저 중량을 갖는 종이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미국 특허는 상면시이트(40)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티슈 페이퍼의 제조를 개시할 목적으로 참고로 인용된다 : 미국 특허 제 4,191,609호 ; 제 4,440,597 호; 제 4,529,480 호 ; 제 4,637,859 호 ; 제 5,223,096 호 및 제5,240,562 호. 적합한 상면시이트(40)는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에 의해 제조되는 바운티 페이퍼 타월(Bounty Paper Towel)과 같은 단일 겹 또는 다중 겹 종이 타월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배면시이트(80)는 폴리올레핀 필름과 같은 액체 불투과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배면시이트(80)는 약 0.0076 내지 약 0.0508m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배면시이트는 약 1밀 두께를 갖고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트레데가 필름 프로덕츠(Tredegar Film Products)에서 상표명 CPC-2(P-9703) 로 제조되는 FS-II 엠보싱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는 접착제 결합, 기계적 결합 및 초음파 결합과 같은 방법을 포함하는(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배면시이트(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면시이트(40)와 배면시이트(80)를 연결하는 적합한 접착제는 고온용융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고온 용융 접착제이다. 상면시이트(40)를 배면시이트(80)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한가지 특정한 접착제는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B Fuller Co.)에 의해 제조되는 HL-1258 접착제이다. 다른 적합한 접착제는 위스콘신주, 엘그로브 소재의 핀들리 어드헤시브즈(Findley Adhesives)의 핀들리 어드헤시브즈 H2031 및 H2120이다.
기계적 패스너는 폴리올레핀 기재(312)로부터 연장된 폴리올레핀 갈퀴(310)의 열(305)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에서는, 갈퀴(310)는 기재(312)에 근접한 갈퀴기부로부터 갈퀴 몸체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갈퀴 말단(330)으로 연장된 갈퀴 몸체(320)를 포함한다. 열(305)은 평방 인치당 약 600 내지 약 3600개의 갈퀴(31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갈퀴 몸체의 전체 원주 주위로 갈퀴 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갖는 갈퀴 말단(330)을 갖고, 갈퀴 말단(330)은 전체적으로 둥근 가장자리를 갖는다. 이런 갈퀴(310)의 열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비마찰성 표면을 제공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감소시킨다.
한 양태에서는, 열(305)은 평방 인치당 약 900개의 갈퀴(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갈퀴(310)의 열은 후크 형태의 요소의 방향에 따라 특정한 방향성을 갖는 후크 형태 요소의 일부 배열과 비교하면 방향성 없이 배향될 수 있다. 기재의 제1표면에 위치한 감압성 접착제 및 기재의 제2의 대향면으로부터 연장된 갈퀴(310)의 비향향성 열(305)을 갖는 기재(312)를 포함하는 적합한 패스너는 상표명 XPH-4152로서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3M 캄파니에 의해 제조된다.
다른 양태에서는, 갈퀴(310)의 열(305)은 평방 인치당 약 2500개의 갈퀴를 포함할 수 있고, 상표명 XPH-4182로서 3M 캄파니에 의해 제조되는 패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패스너는 후크 형태 요소의 열(305)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형태의 요소를 포함하는 적합한 패스너는 상표명 KNO513으로 3M 캄파니에 의해 제조된다.
하기 문헌은 방향성 및 비-방향성 열을 포함하고, 후크 형태 및 비-후크 형태의 표적에 맞물리는 요소를 포함하는, 표적 표면 맞물림 요소의 적합한 열을 개시할 목적으로 참고로 혼입된다: 1980년 8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16,257 호 ; 1989년 7월 11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46,815호 ; 1990년 1월 16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894,060 호; 1995년 2월 2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92,498호 ; 1994년 7월 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26,612호 ; 및 1995년 4월 18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407,439호 ; 및 1994년 10월 27일자로 공개된 PCT 공개 공보 제 WO 94/23610호.
표적 표면(350)은 어깨 연장부(24) 및 (26)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상면 시이트(40)의 표면(42)의 상부 일부를 피복하는 부직 웹 섬유의 표면(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에서 도시된 양태에서는, 표적 표면(350)은 어깨 연장부(24) 및 (26)의 외부면의 대부분으로 연장되고 하부 가장자리(354)에서 종결된다. 가장자리(354)는 최대 폭 목 부분(220)을 포함하면서,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의 이음매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부직 웹은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에 의해 경계를 갖는 어깨 연장부(24) 및 (26)의 일부로서 착용자의 피부와 잡촉하게되는 어깨 연장부의 일부에 연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고 비-자극성인 표면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부직 웹은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의 둘레(201) 하부로 연장되어, 몸체부 패널(70)의 전체 또는 부분을 피복할 수 있다. 부직 웹(352)은 액체를 흡수 상면 시이트 층(40)으로 통과시키지만, 표면(350)은 착용자가 만지기에 상대적으로 건조한 채로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직 웹(352)은 부직 웹(352)과 상면시이트(40) 사이의 공간을 생성시킴으로써 턱받이의 흡수성에 기여할 수 있다.
부직 웹(352)은 갈퀴(310)가 웹(352)의 섬유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한 양태에서는, 표적 표면(350)은 스펀적층되고, 열적으로 점 결합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웹(352)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웹은 ㎡당 약 22g의 기저 중량을 갖고 섬유는 섬유 길이 900m당 약 3.0g 미만의 평균 데니어를 갖는다. 적합한 부직 웹(352)은 상표명 셀레스트라 유니콘(Celestra Unicorn)으로 사우쓰캐롤라이나주 심슨빌 소재의 파이버웹 코포레이션에 의해 제조된다. 이런 섬유 웹은 상기 열거된 갈퀴(310)에 의해 고정되게 맞물릴 수 있는, 부드럽고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이 없는 표적 표면을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긴 형태, 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린, 뒤쪽으로 수렴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든지, 삽입구(200)의 최대 측방향 폭은 전방 목 부분과 후방 목 부분 사이에 위치한 최대 폭 부분(220)에 위치한다. 최대 폭 부분(220)에 위치한 최대 측방향 폭은 전방 및 후방 목 삽입구 부분에서 측정된 측방향 폭보다 더 크다. 대조적으로, U 형 및 V형 목 삽입구는 뒤쪽으로 수렴되어, 전방 목 삽입구 부분과 후방 목 삽입구 부분사이에 위치한 최대 폭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삽입구(200)의 최대 폭 부분(220)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종방향 길이(225)(예를 들면 부분(22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를 갖거나, 또는 다르게는 최대 폭 부분(220)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폭의 선일 수 있다. 최대 폭 부분(220)의 종방향 길이(225)는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하였을 때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의 종방향 길이(215)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목 삽입구가 잠긴 형태를 가지면, 길이(240)는 삽입구(200)의 둘레(201)상의 대향하는 점 사이에서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한다. 목 삽입구(200)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풀린채로 뒤쪽으로 수렴하는 형태를 가진다면, 후방 목 삽입구 부분에서 어깨 연장부(24) 및 (26)의 가장자리를 분리시키는 최소 측방향 폭(246)을 먼저 확인한다. 그런 다음, 종방향 길이(240)는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으로부터 측방향 폭(246)의 중간점까지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측정한다. 최소 측방향 폭(246)을 갖는 부분이 후방 목 부분(230)에서 여러 곳에 존재하는 경우, 길이(240)는 전방 목 삽입구(210)로부터 전방 목 삽입구 부분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한 최소 측방향 폭(246)의 중간점까지 측정한다.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삽입구의 중심에 대해 전체적으로 오목한(즉, 턱받이를 착용하였을 때 위쪽으로 오목한) 형태를 포함하는 둘레(201)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목 부분(210)의 둘레(201)는 달걀형, 원형, 포물선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하는(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임의의 수의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전방 목 부분(210)의 둘레는 하나이상의 직선 부분, 하나이상의 곡선 부분, 또는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슬릿(211)의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의 둘레(210)로부터 전체적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릿(211)은 착용자의 목에 대해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의 둘레(210)를 밀접하지만 편안하게 부합시킨다. 슬릿(211)의 어깨 연장부(24),(26)이 겹쳐짐에 따라 결과로 생성된 슬릿(211)사이의 턱받이의 꽃잎 모양의 부분이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게 한다. 이리하여 슬릿(211)은 목 삽입구(200)가 착용자의 목에 부합될 때 턱받이 몸체가 뒤틀리고 사이가 뜨는 것을 감소시키도록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211)은 목 삽입구(200)의 형태와 함께 착용자의 목 둘레에 턱받이가 부합되는 것을 개선시키고 어깨 연장부(24),(26)이 특정한 목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 겹쳐질 때 턱받이 몸체가 뒤틀리고 사이가 뜨는 것을 감소시킨다. 이런 슬릿, 또는 분지부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모렛(Moret)의 미국 특허 제 4,416,025 호에 일반적으로 개시된다.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은 직선 부분, 곡선 부분, 또는 직선 부분과 곡선 부분의 조합을 포함하는 둘레(201)를 가질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서는, 후방 목 부분(230)의 둘레가 전체적으로 어깨 연장부(24) 및 (26)의 내부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되는 전체적으로 직선 부분을 포함한다. 이들 직선 부분은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이 최대 폭 부분(220)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서 수렴하여(꼭 교차할 필요는 없다).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은 최대 폭 부분(220)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점점 가늘어진다.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의 오목한 둘레 및 점점 가늘어지는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눈물방울 모양의 목 삽입구(200)를 제공한다. 제6도는 절단된 눈물방울 형태의 삽입구(200)를 나타낸다.
후방 목 삽입구 부분(23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방 목 삽입구 부분(210)의 종방향 길이(215)보다 더 긴 종방향 길이(235)를 가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종방향 길이(235)는 종방향 길이(215)의 약 1.2배이상이고, 다른 양태에서는 , 약 1.5배이상아고, 또다른 양태에서는, 약 2.0배이상이다. 예를 들면, 한 비한정 양태에서는, 길이(215)는 약 1.2인치일 수 있고, 길이(225)는 약 0.64인치일 수 있고, 길이(235)는 약 2.7인치일 수 있고, 최대 폭 부분(220)의 측방향 폭은 약 3.4인치일 수 있다.
최대 폭 부분(220)보다 더 짧은 측방향 폭을 갖는 다양한 목 크기 및 형태는 어깨 연장부(24) 및(26)을 다양한 각도로 겹쳐서 수용될 수 있다. 어깨 연장부(24) 및(26)을 서로 겹쳐서 착용자의 목 뒤로 어깨 연장부를 이형가능하게 고정 시키면 전체적으로 턱받이 몸체부(22)가 약간 뒤틀리고, 이는 턱받이 몸체부(22)가 착용자의 가슴으로부터 사이가 뜨게 한다. 이 뒤틀림은 어깨 연장부가 더 큰 각도로 겹쳐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본 발명의 턱받이는 삽입구(200)의 주어진 최대 측방향 폭 및 둘레에 대해 상기 언급된 뒤틀림 및 사이가 뜨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광범위한 목 크기 및 형태에 고정되게 부합되는 목 삽입구(200)를 제공한다. 턱받이를 전체적으로 평면 배향시켰을 때 목 삽입구의 가장자리가 원형인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원형 삽입구의 직경보다 훨씬 더 작은 목에 부합되기 위해 어깨 연장부를 겹칠 때 전체적으로 높은 뒤틀림을 나타낸다. 측방향으로 연장된 달걀 형태(주축이 측방향으로 배향됨)인 목 삽입구를 갖는 턱받이도, 또한 어깨 연장부가 보다 작은 목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 서로 겹쳐질 때 상당한 뒤틀림을 나타낸다.
턱받이를 전체적으로 평면 배향시켰을 때 목 삽입구의 가장자리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달걀 형태(종방향으로 배향된 주축)인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삽입구를 갖는 턱받이보다 적은 뒤틀림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런 목 삽입구 형태는 턱받이가 착용자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슬롯(slot)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턱받이를 전체적으로 평면 배향시켰을 때, 목 삽입구의 가장자리가 U 또는 V형인 어깨 연장부를 갖는 턱받이는, 어깨 연장부를 서로 겹쳤을 때, 과다한 뒤틀림을 나타낼 수 있고, 또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턱받이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목 크기를 수용하기위해 겹쳐짐이 증가하였을 때 다른 경우에는 발생하는 턱받이 몸체부(22)의 뒤틀림 양을 감소시키면서 어깨 연장부(24) 및 (26)이 광범위한 목 크기를 수용하기위해 다양한 각으로 겹쳐지면서 착용자의 목의 후방 부분에 맞물리는 장점을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는 1.0보다 큰 측방향 비대칭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는 비율은 약 1.15이상, 다른 경우에서는 약 1.25이상, 또다른 양태에서는 약 1.5이상일 수 있다. 1.0보다 큰 종방향 대칭 및 측방향 비대칭율을 갖는 턱받이 삽입구(200)는 후방 목 삽입구 부분의 둘레(201)가 턱받이 몸체부(22)의 뒤틀림 및 사이가 뜨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다양한 크기의 목의 후방 부분에 맞물릴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5도 및 제6도를 설명하자면, 측방향 비대칭율은 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턱받이(20)를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를 제공하기위해 평평한 수평면에 지지시킨다.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은 어깨 연장부(24), (26) 및 몸체부 패널(7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이고 어깨 연장부(24),(26)이 서로 겹쳐지지않는 형태를 갖는 경우 제공된다. 그런 다음, 길이(240)의 중간점(242)을 그이 가장자리가 턱받이상에 놓이도록 하고, 중앙선(21)을 따라 위치한 자와 함께 놓는다. 중간점의 위치는 평평한 수평면에서 표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목 삽입구의 종방향 길이(240)의 중간점(242)을 통해 연장되고 두점에서, 즉 제1 교차점 및 제2교차점에서, 목 삽입구(200)의 둘레(201)와 교차하는 가상선을 그린다. 이때, 제1교차점(261)은 후방 목 부분(230)의 둘레에 위치시키고 제2교차점(262)은 목 삽입구의 둘레의 반대 부분에 위치한다(점 261, 262 및 242는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점(261)의 위치는 거리(264)(중간점(242)으로부터 제2점(262)까지 측정한다) 대 거리(263)(중간점(242)으로부터 제1점(261)까지 측정한다)의 비가 최대가 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거리(264)를 거리(263)로 나누어서 수득된 이 비율이 목 삽입구(200)의 비대칭율이다.
한 양태에서는, 전체적으로 평명인 목 삽입구(200)는 각(B)으로 한정된 바와 같이, 목 삽입구(200)의 특정한 각진 부분내에서 측방향 비대칭율을 갖는다. 전체적으로 평면인 목 삽입구(200)가 목 삽입구의 특정한 각진 부분내에서 1.0을 초과하는 측방향 비대칭율을 가져서 착용자에 대해 턱받이가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힘의 성분을 갖고 목 삽입구가 착용자의 목의 후방 부분에 고정되게 맞물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 및 제6도를 설명하자면, 각(B)은 중간점(242)을 통과하여 측방향 축으로부터 측정된다. 한 양태에서는, 목 삽입구(200)는 약 1.15이상, 다른 양태에서는 약 1.25이상, 또다른 양태에서는 약 1.5이상의 비대칭율을 갖고, 이때 비대칭율은 15°〈B〈80°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30°〈B〈75°으로 한정되는 목 삽입구의 각진 부분 이내에 위치한다.
턱받이를 사용하기전에, 어깨 연장부(24) 및 (26)은 점선(270)의 선택적인 선을 따라 원위 말단(24B),(26B)등에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턱받이를 사용하는 경우, 어깨 연장부는 점선(270)의 선택적인 선을 따라 분리되며, 어깨 연장부는 찢어지거나 달리 턱받이의 다른 부분에 손상을 주지않고 분리될 수 있고 고착 조립체에 의해 서로 겹치는 방식으로 함께 이형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점선(270)의 선택적인 선은 종방향 중심선(21)과 일련이고, 다수의 이격된 천공(271)을 포함한다. 천공(271)은 턱받이(200)의 두께를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된다. 천공은 천공 나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배면시이트(80), 상면시이트(40) 및 부직 웹(352)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인 점선(270)은, 사용하기 전에 어깨 연장부의 원위 말단이 떨어져 있지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전에 턱받이를 취급하기가 더 쉽다. 또한, 점선인 선택적인 선을 이용하면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예를 들면, 턱받이(20)는 배면시이트(80) 물질, 상면시이트(40) 물질 및 부직(352) 물질의 연속 웹을 함께 연결하여 연속 다중 적층 시이트를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다중 적층 시이트를 각각의 턱받이의 바람직한 위치에 상응하는 소정의 위치에서 천공하여 시이트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턱받이를 소정의 패턴을 따라 시이트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하는 동안 어깨 연장부의 떨어진 원위 말단을 위치 또는 지지할 필요가 없다. 제14a도는 재료 시이트의 기계 방향 이동에 대한 제1의 포개진 형태로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를 갖는 시이트를 도시하고, 이때 턱받이의 외부 둘레 및 목 삽입구가 도시된다. 다중 적층 시이트는 턱받이의 목 삽입구가 절단되는 제1 다이 절단 스테이션과 턱받이의 외부 둘레가 절단되어 시이트로부터 개별적인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를 유리시키는 제2다이 절단 스테이션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패널(105) 및 (150)을 형성하도록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를 절첩하는 것은 절단하기 전에, 절단 조작사이에 또는 모든 절단 조작이 종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4a도에서는,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의 길이 치수가 횡-기계 방향에 평행하도록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를 배열하여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의 바닥 가장자리(36)가 이동하는 시이트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제14a도에 도시된 배열은 발생하는 부스러기 물질을 감소시키고 어깨 연장부의 외부 둘레를 따라 부스러기 트리밍 조작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제14b도는 재료 시이트의 기계 방향 이동에 대해 제2의 포개진 형태의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를 갖는 시이트를 나타낸다. 제14b도에서는, 부분적으로 완성된 턱받이의 길이 치수는 이동 시이트의 기계 방향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본 발명의 턱받이(20)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하나이상의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주름은 포장하기위해 턱받이(20)를 절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름은 주머니(100)를 개방하고 주머니(100)가 개방 형태로 유지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위치될 수 있다.
제7도는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 구조물을 나타낸다. 제7도에서는, 목 삽입구(200) 및 턱받이의 외부 둘레를, 배면시이트(80)층에 접착제로 연결된 상면시이트(40) 층을 포함하는 재료 시이트로부터 절단하였다. 또한, 부직 웹(352)은 어깨 연장부(24) 및 (26)을 피복하도록 고정되었다. 제7도에서는, 주머니(100)는 아직까지 형성되지 않았다.
제7도에서는, 접착제(99)는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된다. 그런 다음,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를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선(410)을 따라 절첩하여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120)를 생성하고 몸체부 패널(70)에 인접하게 주머니 패널(105)을 위치시켜, 주머니 패널(105)이 몸체부 패널(70)의 바닥 부분에 겹쳐질 수 있다. 접착제(99)는, 주머니 패널(105)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를 몸체부 패널(105)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의 바닥 부분에 연결하여, 주머니(100)가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120) 및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폐쇄된다.
주머니 패널(105)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사이에 봉합이 없어서, 주머니 패널(105)은 그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장자리 사이에서 단일 일체형 패널로서 연장된다. 접착제를 이용하여 물질의 조각의 2개의 가장자리를 함께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것과 같은 봉합은, 추가의 구측 단계를 필요로 하고 봉합이 절첩에 의해 패널에서 형성된 주름의 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머니 패널(105)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 다음,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를, 제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축에 평행한 절첩선(420)에 따라 절첩하여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를 형성하는 주름을 생성하고 에이프런 패널(150)이 주머니 패널(105)에 겹쳐지도록 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몸체부 패널(70)은 또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절첩선(430)을 따라 접첩될 수 있다. 절첩선(430)은 전체적으로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에 평행하고 이의 하부에 위치한다. 몸체부 패널(70)을 절첩선(430)을 따라 절첩하여, 턱받이(20)가 전체적으로 평면 형태일 때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고 이의 하부에 놓인 몸체부 패널(70)에 주름(530)(제11도)를 생성 시킨다.
그런 다음, 턱받이 몸체부 패널(70)은 절첩선(440)을 따라 절첩되어 어깨 연장부(24),(26)이 턱받이 몸체부 패널 및 주머니 패널(105)의 일부에 겹쳐질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턱받이가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때 턱받이 몸체부 패널을 몸체부 패널을 절첩선(440)을 따라 절첩하여, 패널(105) 및(150) 둘 모두의 일부가 어깨 연장부(24),(26)에 직접적으로 하부일 수 있다. 다르게는, 턱받이가 제9도에서 도시된 형태일 때 턱받이를 절첩선(440)에 따라 절첩하여, 패널(150)이 어깨 연장부(24),(26)의 하부에 놓이고, 패널(105)이 패널(150)의 하부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턱받이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절첩선(460)을 따라 접첩되어 몸체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 및 에이프런 패널(150)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주름이 주머니(100)를 개방 형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선(460)을 따라 절첩될 때 턱받이의 형태에 따른 몸체부 패널(70), 주머니 패널(1050) 및 에이프런 패널(150)에서 생성된 주름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바깥쪽으로 오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턱받이가 제8도에서 도시된 형태이면 절첩선(460)을 따라 절첩되는 경우, 턱받이는 턱받이의 가장자리가 제8도의 평면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턱받이를 절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턱받이를 제9도에서 도시된 형태로 풀었을 경우, 종방향 주름은 제9도의 선a-a를 따라 취한 턱받이의 패널을 통한 단면도이니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0도를 설명하자면, 이런 절첩은 에이프런 패널(150)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550)를, 주머니 패널(105)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505)를, 및 주머니 패널 하부에 놓인 몸체부 패널(570)의 일부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주름(570)를 제공한다. 주름(550)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고 주름(505) 및 (570)은 바깥쪽으로 오목하다(바깥쪽은 턱받이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어서, 에이프런 패널(150)의 주름(550)의 볼록함은 주머니 패널(105)의 주름(505)의 볼록함과 반대이다).
주름(550),(505) 및 (570)은 주머니(100)가 개방된 채로 유지되게 돕는다. 제11도를 설명하자면, 턱받이(20)가 착용자에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550)는 패널(150)을 엄지 및 검지 등으로 움켜쥐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에이프런 패널을 바깥쪽 및 아래쪽으로 잡아당겨서 주머니(1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론에 의해 제한되지않고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550)는 또한 가장자리(110)의 바깥쪽의 중심선(21)을 따라 에이프런 패널(150)의 일부를 이격시켜, 중심선(21)에 따른 에이프런 패널의 일부의 중량이 주머니(100)를 개방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게 한다.
에이프런 패널(150)이 바깥쪽 및 아래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120)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중앙 점에서 위쪽으로 변형되어 패널(105)이 주름(505)를 따라 변형되고 몸체부 패널(70)이 주름(570)를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주름(505) 및 (570)에 의해 한정되는 소정의 방향을 따른 주머니 패널(105) 및 몸체부 패널(70)의 이런 변형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형태로 주머니(100)를 유지시키기위한 주머니 거싯(600)을 형성할 수 있다. 거싯(600)의 형성은 주름(550)를 따라 에이프런 패널(150)상에서 바깥쪽 및 아래쪽으로 동시에 잡아당기면서 가장자리(120)의 중심에서(검지 등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주머니 거싯은 몸체부 패널(70)과 주머니 패널(105) 사이로 연장된다. 거싯(600)은 주름(505)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주름(570)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거싯(600)은 몸체부 패널(70)의 일부로부터 주머니 패널(105)의 일부를 분리시킬 수 있고, 패널이 함께 뭉쳐서 주머니(100)를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 거싯(600)의 형성은 거싯의 장점에서 주름(610)를 생성시킬 수 있다. 주름(610)는 몸체부 패널(70)과 주머니 패널(105)사이로 연장된다. 주름(610)는 적어도 주름(570) 및 (505)중 하나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는, 거싯(600)이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의 높이 위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턱받이 몸체부가 절첩되어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530)를 생성시키는 경우, 주름(530)는 거싯(600)이 주머니 삽입구 가장자리(110)의 높이 위로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몸체부 패널(70)은 거싯(600)이 주머니 삽입구(110)의 높이 위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 패널(105) 및 몸체부 패널(70)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단일 종방향 주름을 포함한다. 주머니 패널(105)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505)와 턱받이의 각각의 턱받이 측면 가장자리(32),(34)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실질적으로 없다. 유사하게는, 몸체부 패널(70)에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570)와 턱받이의 각각의 턱받이 측면 가장자리(32),(34)사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실질적으로 없다. 이런 추가의 주름은 패널(70) 및 (105)를 과도하게 보강시켜 패널이 변형되어 거싯(600)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제13도에 도시된 양태에서는, 에이프런 패널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595)를 포함한다. 주름(595)는 주머니 패널의 가장자리(110)와 바닥 가장자리(36) 사이에 위치하고, 가장자리(110) 및 주름(595)는 둘 모두 횡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주름(595)는 주머니 패널(105)의 가장자리(110)로부터 이격되어 지렛대 효과를 제공한다. 주름(595)는 에이프런 패널(150)의 일부를 가장자리(110)로부터 바깥쪽으로 이격시켜 에이프런 패널(150)의 중량이 주머니(100)를 개방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이 된다. 주름(595)는 가장자리(110)로부터 약 0.5 내지 약 1.5인치정도 이격되어 에이프런 패널(150)에 선반(595)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는, 제7도에서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는 먼저 절첩선(430)을 따라 절첩되어 선(430) 아래의 표면(42)이 선(430)위의 표면(42)에 겹치고 대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를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따라 절첩시켜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550),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505) 및 바깥쪽으로 오목한 주름(57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분적으로 구축된 턱받이를 종방향으로 연장된 선을 따라 제7도에 도시된 형태가 되게 풀 수 있다. 그런 다음 주머니 패널(105)을 절첩하고 접착시키고, 에이프런 패널(150)을 절첩하여 턱받이 구축물을 완성할 수 있다. 결과로 생성된 패널 주름은 제12도에 도시된다.
제12도의 주름 형태는 엎질러진 물질을 주머니(100)로 보내는 장점을 제공한다. 바깥쪽으로 오목한 주름(570)는 엎질러진 물질을 종방향 중심선(21)으로 향하게하는 형태를 턱받이 몸체에 제공한다. 바깥쪽으로 볼록한 주름(505)와 함께 바깥쪽으로 오목한 주름(570)는 특히 종방향 중심선(21)을 따라 주머니 패널(105)을 몸체부 패널(7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촉진시킨다.
주름(550),(505) 및 (570)이 모두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 모두 바깥쪽으로 오목하거나 ;(550) 및(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고(505)는 바깥쪽으로 오목하거나;(550)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505) 및 (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 (550) 및 (505)는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570)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거나;(550) 및 (570)은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505)는 바깥쪽으로 볼록한, 다른 주름 배열도 또한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태가 예시되고 개시되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 분야에 숙련된 이들에게 명확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인 모든 이런 변화 및 변형을 포함하고자 한다.
내용없음.

Claims (24)

  1. 몸체부 패널 ; 및
    몸체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사이에 주머니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부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턱받이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는 봉합이 없는 주머니 패널을 포함하며,
    이때 봉합이 없는 주머니 패널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과 일렬인,
    종방향 중심선, 측방향 폭 및 종방향으로 연장된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2. 제11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3. 제11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이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가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인 일회용 턱받이.
  4. 제13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인 일회용 턱받이.
  5. 제12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의 일부가 몸체부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의 일부와 일렬이고 겹치는 일회용 턱받이.
  6. 제15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이 종방향 중심선과 일렬인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과 각각의 턱받이 측면 가장자리 사이에서 주름을 갖지 않는 일회용 턱받이.
  7. 제15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의 주름 및 몸체부 패널의 주름이 둘 모두 절첩에 의해 형성되는 일회용 턱받이.
  8. 제15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의 주름이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주머니 패널의 주름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일회용 턱받이.
  9. 제14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의 주름이 바깥쪽으로 오목하고 주머니 패널의 주름도 바깥쪽으로 오목한 일회용 턱받이.
  10. 몸체부 패널 ;
    몸체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사이에 주머니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부 패널의 말단에 인접하게 위치한 주머니 패널 ; 및
    주머니 패널의 상부 부분에 치렁치렁하게 매달린 에이프런 패널을 포함하고,
    이때 몸체부 패널, 주머니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중 하나 이상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11. 제20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 몸체부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 중 2개 이상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12. 제21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이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고,
    이때 에이프런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주머니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의 일부와 일렬이고 겹치는 일회용 턱받이.
  13. 제22항에 있어서,
    주머니 패널, 몸체부 패널 및 에이프런 패널 각각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14. 제23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 에이프런 패널 및 주머니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각각 일회용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과 일렬인 일회용 턱받이.
  15. 제23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 에이프런 패널 및 주머니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각각 절첩에 의해 형성되는 일회용 턱받이.
  16. 제22항에 있어서,
    에이프런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주머니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과는 반대되는 볼록함을 갖는 일회용 턱받이.
  17. 제26항에 있어서,
    에이프런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고, 주머니 패널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은 바깥쪽으로 오목한 일회용 턱받이.
  18. 제27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이 바깥쪽으로 오목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름을 포함하는 일회용 턱받이.
  19. 제20항에 있어서,
    에이프런 패널이 주머니 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에이프런 패널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치렁치렁하게 매달려 있고, 측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을 포함하며, 이때 측방향으로 연장된 주름이 주머니 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가장자리와 바닥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며 주머니 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일회용 턱받이.
  20. 몸체부 패널 ; 및
    몸체부 패널과 주머니 패널 사이에 주머니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부 패널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주머니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몸체부 패널에 연결되고 턱받이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는 주머니 패널 ; 및
    턱받이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주머니 패널과 몸체부 패널사이로 연장되는 주머니 거싯(gusset)을 포함하는,
    종방향 중심선, 측방향 폭 및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일회용 턱받이.
  21. 제30항에 있어서,
    주머니 거싯이 주머니 패널로부터 몸체부 패널로 연장되는 정점을 포함하는 턱받이.
  22. 제31항에 있어서,
    주머니 거싯 정점이 일회용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상에 위치한 턱받이.
  23. 제31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이 종방향 축에 평행한 주름을 포함하고, 주머니 거싯 정점이 몸체부 패널의 주름으로부터 주머니 패널로 연장되는 턱받이.
  24. 제33항에 있어서,
    몸체부 패널의 주름이 턱받이의 종방향 중심선과 일렬인 턱받이.
KR1019980700961A 1995-08-10 1996-07-30 개선된주머니를갖는턱받이 KR100263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349695A 1995-08-10 1995-08-10
US8/513496 1995-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293A KR19990036293A (ko) 1999-05-25
KR100263080B1 true KR100263080B1 (ko) 2000-08-01

Family

ID=2404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961A KR100263080B1 (ko) 1995-08-10 1996-07-30 개선된주머니를갖는턱받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58506A (ko)
EP (1) EP0843522B1 (ko)
JP (1) JPH11510571A (ko)
KR (1) KR100263080B1 (ko)
CN (1) CN1196662A (ko)
AU (1) AU724150B2 (ko)
BR (1) BR9609968A (ko)
CA (1) CA2228110C (ko)
DE (1) DE69621808T2 (ko)
ES (1) ES2175118T3 (ko)
MX (1) MX9801097A (ko)
WO (1) WO1997005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311A (en) * 1997-06-27 1999-07-06 The Procter & Gamble Co. Bib having improved pocket opening
US6128780A (en) * 1997-11-14 2000-10-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CA2328712A1 (en) * 1998-03-09 1999-09-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pocket openable at the point of use
US6061827A (en) * 1998-03-09 2000-05-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side edges with stress relief means
US6334220B1 (en) 1999-07-13 2002-01-01 Greg M. Frye Adjustable disposable garment protector
US6381751B1 (en) * 2001-08-17 2002-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US6499140B1 (en) 2001-08-17 2002-12-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US20030074710A1 (en) * 2001-10-19 2003-04-24 Sanders Donald J. Clothing shield with opening mechanism
US7100211B2 (en) 2003-04-21 2006-09-05 Bruffett Lynda L Bib having an internal pocket for storing items
WO2005053446A1 (en) * 2003-11-05 2005-06-16 Paul Brown Neoprene bib with material face
CA2531872C (en) 2006-01-09 2013-11-26 Rea E. Cymbol Bib with a pocket
US7143448B1 (en) 2006-03-24 2006-12-05 Gottehrer Jonathan M Bib for catching waste
US7237271B1 (en) 2006-05-17 2007-07-03 Mclandrich Andrew Barber Disposable protective bib
US7278171B1 (en) 2006-09-11 2007-10-09 Louise Willard Besch Clothing protector system
US7904968B2 (en) * 2009-07-24 2011-03-15 Darci Fletcher Apron with a bendable pocket-forming device
USD661845S1 (en) * 2009-09-02 2012-06-12 DMJ Group, Inc. Pet towel
US9289015B2 (en) * 2012-08-31 2016-03-22 Ellen Kassis Bib apparatus for containing liquid or other debris
US10390570B2 (en) * 2016-04-20 2019-08-27 Christie Petersen Portable self-feeding bib
USD833715S1 (en) * 2016-09-08 2018-11-20 Bibsaroo, Llc Bib
USD882213S1 (en) * 2018-11-01 2020-04-28 Lindsay King Bib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985A (en) * 1884-05-20 Gboege b
US2164369A (en) * 1937-05-19 1939-07-04 Pioneer Wrapper And Printing C Bib
US2244656A (en) * 1939-11-09 1941-06-10 Asch Sunny Child's bib
US2424000A (en) * 1944-05-12 1947-07-15 Meyer W Shanker Protecting and restraining garment
US2424680A (en) * 1945-01-11 1947-07-29 Mary R Doyle Paper bib
US2469835A (en) * 1946-05-27 1949-05-10 Florence H Mcmartin Bib
US2523565A (en) * 1947-01-27 1950-09-26 Helen L Gardner Bib
US2468841A (en) * 1947-04-23 1949-05-03 Siegel Sigmund Chest protector
US2552462A (en) * 1949-12-30 1951-05-08 Savrin Anna Bib
US2629870A (en) * 1950-12-16 1953-03-03 Esther N Hudson Infant's bib
CH314300A (de) * 1955-02-17 1956-06-15 Frei Otto Arbeitsschürze
US2857599A (en) * 1955-12-15 1958-10-28 Rachel M Wallace Protective garment
US2803574A (en) * 1956-04-10 1957-08-20 Remi J Payant Napkin
US2902734A (en) * 1957-08-06 1959-09-08 Bruce G Walters Napkin fastening means
US3023948A (en) * 1958-06-06 1962-03-06 Bemis Bro Bag Co Bags
US3001646A (en) * 1959-02-09 1961-09-26 Jack A Cooper Disposable bib and package
US3010111A (en) * 1959-03-03 1961-11-28 Harold J Ralph Bib with pocket
US3146464A (en) * 1961-06-28 1964-09-01 Gerber Prod Disposable bib
US3093829A (en) * 1962-03-02 1963-06-18 De Witt C Maine Protective apron construction
US3196511A (en) * 1963-07-15 1965-07-27 Mikldred M Kintner Fastening means
US3286279A (en) * 1964-04-01 1966-11-22 Maudestean C Brown Disposable baby bibs
US3328807A (en) * 1965-02-04 1967-07-04 Strauss Kurt Disposable protective bib
US3332547A (en) * 1965-06-15 1967-07-25 Kimberly Clark Co Disposable bib
US3329969A (en) * 1965-07-15 1967-07-11 Scott Paper Co Bib
US3416157A (en) * 1966-03-08 1968-12-17 Colgate Palmolive Co Disposable bib
US3407407A (en) * 1966-09-22 1968-10-29 Blum And Company Inc Bib construction
US3488773A (en) * 1968-06-06 1970-01-13 Sally A Stemmer Dental towel
US3608092A (en) * 1969-12-24 1971-09-28 Glen Designs Inc Infant's garment bib
US3783871A (en) * 1972-02-14 1974-01-08 R Sabee Diaper with thickened fastening areas
US3916447A (en) * 1972-04-24 1975-11-04 Kimberly Clark Co Low cost, absorbent, clinging, aqueous liquid barrier protective covering
US3871027A (en) * 1974-01-22 1975-03-18 Holsopple Herman L Combination burp pad and bib
US3995231A (en) * 1974-01-30 1976-11-30 Harris-Intertype Corporation Mode-locked cavity-dumped laser
US3945048A (en) * 1975-03-25 1976-03-23 Janet Shearer Disposable bib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3979776A (en) * 1975-05-05 1976-09-14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Disposable bib
US3999221A (en) * 1975-10-01 1976-12-28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Disposable bib
US3995321A (en) * 1976-04-28 1976-12-07 Lawrence Peska Associates, Inc. Disposable protective bib
US4038697A (en) * 1976-09-27 1977-08-02 Sylvia Levitt Sheet-and-bib combination
US4114199A (en) * 1977-03-30 1978-09-19 Mabel Malan Disposable bib tray
SE410548B (sv) * 1978-03-06 1979-10-22 Duni Bila Ab Engangshaklapp samt forfarande for tillverkning av densamma
US4186443A (en) * 1978-08-21 1980-02-05 Agnita Britzman Disposable bib
US4233688A (en) * 1979-01-09 1980-11-18 Jonna Hjerl Bib
DE7908132U1 (de) * 1979-03-23 1979-06-28 Bosch Gmbh Robert Zweikammerbeutelpackung
US4441212A (en) * 1982-09-30 1984-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US4495658A (en) * 1983-02-10 1985-01-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ib having a duplex refastenable tape-tab fastener
US4445231A (en) * 1983-04-19 1984-05-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gravitationally openable pocket
US4416025A (en) * 1983-04-22 1983-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b having segmented neck-aperture perimetric edge
US4523334A (en) * 1983-11-04 1985-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bib having fibrous topsheet wherein mother's-bond zone is impregnated with bonding material
US4523333A (en) * 1983-11-04 1985-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bib having tape-tab fastener
US4884299A (en) * 1985-03-08 1989-12-05 Connie Rose Disposable bibs, packaging and affixing tabs
US4601065A (en) * 1984-08-06 1986-07-22 Kimberly-Clark Corporation Bib with crumb catcher
US4622698A (en) * 1985-04-19 1986-11-18 Eleanor Heyman Disposable bib
DE8600092U1 (de) * 1986-01-04 1986-03-27 Paul Hartmann Ag, 7920 Heidenheim Einmal-Lätzchen
US4733411A (en) * 1986-02-24 1988-03-29 Foti Cynthia S Disposable bib
US4660226A (en) * 1986-04-11 1987-04-28 Marlys M. Quilling Bib
WO1988009629A1 (en) * 1986-04-24 1988-12-15 Mary Williams Hair cutting cape with clippings catch
US4649572A (en) * 1986-05-27 1987-03-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improved pocket formed with an accordion fold
US4706303A (en) * 1986-07-16 1987-1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elasticized neckband
US4646365A (en) * 1986-07-16 1987-03-0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bib with an integral, elasticized neckband
US4769024A (en) * 1987-04-06 1988-09-06 Century Adhesives Corp. Repositional adhesive garment closure tabs and components therefor
US4811428A (en) * 1987-09-02 1989-03-14 International Paper Company Washable and disposable bib and fabric for manufacturing same
US4797952A (en) * 1987-09-15 1989-01-17 Grace Petrini Throwaway bib
US4787099A (en) * 1987-10-26 1988-11-29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osable limited reusable bib
US4779288A (en) * 1987-10-26 1988-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Reusable bib having material-receiving pocket
US4846822A (en) * 1988-01-25 1989-07-11 Medtex Products, Inc. Liquid impervious barrier member
US4793004A (en) * 1988-02-05 1988-12-27 Unico Products, Inc. Disposable bib construction
US4951318A (en) * 1988-11-14 1990-08-28 Sage Products, Inc. Protective gown with integral tie straps
US4891846A (en) * 1988-12-16 1990-01-09 Sager Annette M Medical absorption garment
US4924527A (en) * 1989-01-23 1990-05-15 Hintermeyer Marian G Garment protector
US5100710A (en) * 1989-08-30 1992-03-31 Apix International, A Division Of Worzalla Publishing Co. Disposable bib
US5218721A (en) * 1990-07-27 1993-06-15 Jeanette Mathews Air inflatable bib
US5074013A (en) * 1990-09-25 1991-12-24 Douglas W. Arnold Releasable shear-resistant fabric joining apparatus
SE9301697L (sv) * 1993-05-17 1994-05-02 Andersson Goesta Konsult Ab Engångshaklapp, förfarande samt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engångshaklappar
US5493734A (en) * 1993-11-30 1996-02-27 Commonwealth Of Puerto Rico Neck shield attachment for helmet
US5530968A (en) * 1995-04-11 1996-07-02 Crockett; Wendy P. Commuter's apr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4150B2 (en) 2000-09-14
MX9801097A (es) 1998-11-30
EP0843522A1 (en) 1998-05-27
DE69621808T2 (de) 2003-01-16
ES2175118T3 (es) 2002-11-16
CN1196662A (zh) 1998-10-21
KR19990036293A (ko) 1999-05-25
BR9609968A (pt) 1999-02-02
EP0843522B1 (en) 2002-06-12
CA2228110C (en) 2004-05-25
US6058506A (en) 2000-05-09
DE69621808D1 (de) 2002-07-18
AU6683596A (en) 1997-03-05
WO1997005793A1 (en) 1997-02-20
JPH11510571A (ja) 1999-09-14
CA2228110A1 (en) 199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3080B1 (ko) 개선된주머니를갖는턱받이
EP1052913B1 (en)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KR100263081B1 (ko) 목삽입구를갖는턱받이
JP4118806B2 (ja) 耐久性のあるポケット構造を有するよだれ掛け
US6381751B1 (en) Bib having a durable pocket structure
EP0991331B1 (en) Bib having improved pocket opening
KR100263082B1 (ko) 개선된패스너를갖는턱받이
AU742073B2 (en) Bib having an improved fastener
MXPA00004728A (en) Bib having an improved pocket structure
CA2328712A1 (en) Bib having pocket openable at the point of use
MXPA98001114A (en) Bib that has a better b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