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982B1 - 인공 후두 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후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982B1
KR100262982B1 KR1019980013521A KR19980013521A KR100262982B1 KR 100262982 B1 KR100262982 B1 KR 100262982B1 KR 1019980013521 A KR1019980013521 A KR 1019980013521A KR 19980013521 A KR19980013521 A KR 19980013521A KR 100262982 B1 KR100262982 B1 KR 10026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ime constant
pressure sensor
signal outpu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344A (ko
Inventor
김광문
최홍식
박용재
Original Assignee
김광문
최홍식
박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문, 최홍식, 박용재 filed Critical 김광문
Priority to KR101998001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982B1/ko
Priority to PCT/KR1999/000180 priority patent/WO1999053867A1/en
Publication of KR1999008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0Epiglottis; Larynxes; Tracheae combined with larynxes or for use therewi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4Details of speech synthesis systems, e.g. synthesiser structure or memory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0Epiglottis; Larynxes; Tracheae combined with larynxes or for use therewith
    • A61F2002/206Speech aids with external actuators, e.g. electrical laryn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1Mean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to implants
    • A61F2250/0002Mean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to implants for data transf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공 후두 장치는 인체의 경부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인공 후두로 환자들이 입을 움직여 말을 하면서 음의 고저 및 음의 세기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들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발진신호의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발진신호에 따라 펄스신호의 폭을 가변시켜 출력하는 것으로서 환자들이 전원 스위치를 누르는 압력을 검출하여 저항 값이 가변되는 제1 및 제2압력 센서로 제1 시정수부 및 제2 시정수부를 구성하고, 발진기의 발진 시정수를 제1 시정수부로 설정하여 제1 압력 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에 따라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가변되게 하며, 발진기의 발진신호에 따라 트리거되는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의 시정수를 제2 시정수부로 설정하여 제2 압력 센서가 검출하는 압력에 따라 펄스신호의 폭이 가변되게 하며, 제1 및 제2 압력 센서의 검출 압력에 따라 주파수 및 폭이 가변되어 출력되는 펄스신호로 진동을 발생시켜 인체의 경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입 및 구강을 통해 나오는 말의 고저 및 말의 세기가 조절된다.

Description

인공후두장치{artificial larynx device}
본 발명은 후두 적출로 후두의 기능이 모두 손실된 환자들이 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후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부형(脛部型 neck type) 전기 인공후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후두암 환자의 증가로 말미암아 후두 적출술을 받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후두는 상부와 하부의 호흡 기관의 사이에 있는 것으로서 사람이 호흡할 경우에 호흡하는 바람이 성대를 진동시키게 되어 후두는 발성 기관이 된다.
즉, 호흡을 통하여 외부로배출되는 바람이 성문(聲門)을 억지로 통과함으로써 성대를 진동시키게 된다.
후두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홀소리이다. 그리고 닫소리는 입의 천장, 혀, 치아 및 입술의 도움으로 발생하게 된다.
음의 고저는 초당 발생되는 진동수에 따라 가변되는 것으로서 성대가 팽팽하고 짧을수록 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후두 적출술을 받은 환자들은 성대가 없으므로 큰소리로 말할 수 없게 된다.
다만 환자의 입술과 혀로서 무성음인 닫소리만 발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무성음의 닫소리를 매우 힘들여 발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주위 사람들은 후두 적출술을 받은 환자들이 말을 귀로 듣기보다 눈으로 보고 이해하여야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발성도 오랜 연습을 한 후에 환자와 가까이 생활하는 사람들만이 알아들을 수 있을 뿐으로서 환자와 처음 만나는 사람이나 이따금씩 만나는 사람들은 환자들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는 실정이다.
정상인의 말소리는 후두에 있는 성대의 진동과 입, 입술 및 혀의 도움으로 구강을 통하여 나오게 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진동은 여러 가지로 조절되는 것으로서 후두 적출술을 받은 사람들은 후두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것으로 대치되어야 말을 할 수 있다.
후두를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환자 자신이 식도를 통하여 소리를 내거나 또는 인공후두를 사용해야 된다.
환자들이 후두 적출술을 받은 후 식도음 발성을 연습하여 간단한 표현을 하고 있다.
식도음은 식도 입구의 점막 주름이 성대 역할을 하게 되는 데 바람이 통과할 때 진동하여 깊은 쉰소리를 내게 된다.
환자가 식도음을 내기 위해서는 혓바닥을 뒤로 움직여 식도음에 필요한 공기를 뱃속에 수직으로 들이 마셨다가 배의 근육의 압력으로 공기를 내쉬게 한다.
이 때, 사용할 만큼의 공기를 마셨다가 내보내면서 식도점막이 진동하여 식도음을 내게 되는 것으로서 가능한 많은 공기를 식도로 삼켜야 된다.
그러나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공기를 수회정도 속히 들이마심으로써 식도에 공기가 가득 차게 만들었다가 그것을 갑자기 내보내게 되어 트림같은 음이 발생하게 된다.
처음에는 트림같은 소리가 나지만 반복하여 연습함에 따라 사람 목소리에 가까운 소리를 낼 수 있다.
그러나 후두 적출술을 맏은 환자들 중에서 약 30%정도만 식도음을 내게되는 데 매우 힘이 들어 장시간동안 말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전기인공후두를 사용하여 발성하는 방법이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
전기인공후두는 외부 부착용과인체내 부착용으로 대별되고, 외부 부착용은 구강형(口腔型 mouth type) 및 경부형(脛部型 neck type)으로 구분된다.
상기 구강형은 진동체에 연결된 작은 튜브를 구강내에 삽입하여 구강내에서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서, 말을 하면서 음의 고저(pitch) 및 음의 세기(intensity)를 조절하기가 어렵고, 또한 작은 튜브가 입을 통해 구강 내로 들어가야 되므로 조음 장애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경부형은 진동 기구를 경부에 대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환자들이 진동 기구를 경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말을 하지 않고, 입만 말을 하듯이 움직이게 되면,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이 입의 모양에 따라 공명되면서 입 및 구강을 통하여 말소리가 나오게 하는 것인 바, 구강형에 비하여 조음장애가 없고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공되어 있는 경부형 인공후두장치의 대부분은 그 기본적인 구성으로, 주파수 및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발진신호 출력부와,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가 출력하는 펄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진동되면서 인체의 경부를 진동시켜 진동이 입의 모양에 따라 공명되면서 말소리가 목 및 구강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하는 진동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수적으로 진동기구의 특성에 맞추어 적정의 주파수 와 펄스신호 폭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진신호 출력부에 주파수 및 펄스신호의 폭을 가변되는 시정수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경부형 인공후두장치에서, 발진신호 출력부에 구비된 주파수 및 펄스신호의 폭을 조절하는 가변수단은, 사용자에 따라 달리 형성되는 적정의 진동범위에 진동기구의 진동상태를 맞추기위한 구성으로서, 이 가변수단은 음의 고저에 관계되는 주파수 발진기 측과, 음의 세기에 관계되는 펄스신호 발진기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변수단에 의하여 발진신호 출력부의 주파수 및 펄스신호의 폭을 가변시키면, 최종적으로는 진동기구의 진동상태를 가변시켜 음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에 구비되는 주파수 및 펄스신호의 폭을 조절하는 가변수단은 주파수발진기 회로측과 펄스신호 발진기 회로측에 각각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시정수부를 구비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 시정수부는 저항소자의 저항값에 따라서 주파수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가변시키고, 또한 펄스신호 발진기의 펄스신호폭을 가변시키는 바, 가장 최근의 경부형 인공후두장치에서 상기 시정수부의 저항소자들은 반고정식이나 슬라이드 저항등의 가변저항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같이 발진신호 출력부의 가변수단으로 각각의 시정수부들의 저항소자들을 반고정식이나 슬라이드 저항등의 가변저항을 채택한 경부형 인공후두장치는,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임의의 값으로 가변시킴에 따라서 발진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와 펄스신호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말소리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가변저항의 설치구조 및 작용특성상 저항값의 가변은 장치의 제조자가 제조시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도, 사용자가 인공후두장치를 사용하여 말을 하는 동안에는 용이하게 가변할 수 없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말을 하는 동안에 임의적으로 말소리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특정의 인공후두장치에서는 상기 시정수부의 가변저항을 슬라이드저항으로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저항의 노브를 인공후두장치의 본체 외측으로 일부 노출시켜서 사용자가 노브를 돌려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말을 하는 동안에 노브를 돌려 가면서 말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하게 되면 원하는 시점에서 신속하게 변화시키기가 어렵고, 따라서 자연스러운 말소리를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아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여, 후두 적출술을 받은 환자들이 경부형 인공후두장치를 사용하여 말을 하는 동안에도 임의적으로 음의 고저 및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고품질의 경부형 인공후두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인공후두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인공후두장치의 제어 회로도.
도 3은 도 1의 인공후두장치의 구성중 압력 센서 및 전원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3-3선상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인공후두장치 전체
11 : 인공후두장치의 본체 17,17a : 눌룸노브
21 : 발진신호 출력부 23 : 증폭기
25 : 진동발생기 27 : 전원공급부
29,29a : 전원스위치 291,291a : 전원스위치의 눌룸버튼
211 : 주파수 발진기 213 : 제1 시정수부
215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17 : 제2 시정수부
C21,C23 : 콘덴서 FSR1 : 제1 압력센서
FSR2 : 제2 압력센서 R21 : 저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주파수 발진기 및 펄스신호 발진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주파수 발진기 및 펄스신호 발진기에는 저항값에 의하여 시정수가 가변되는 시정수부를 가변수단으로 구비한 발진신호 출력부와,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가 출력하는 펄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진동되면서 인체의 경부를 진동시켜 진동이 입의 모양에 따라 공명되면서 말소리가 목 및 구강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하는 진동기구로 구성되는 공지한 경부형 인공후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의 구성중 주파수 발진기 및 펄스신호 발진기에 구비되는 시정수부의 가변수단을, 주파수 발진기의 시정수부에는 인공후두장치의 본체케이스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1 눌룸수단에 의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는 저항소자로 제1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펄스신호 발진기의 시정수부에는 인공후두장치의 본체케이스 외면에서 상기 제1 눌룸수단과 반대방향에서 설치된 제2 눌룸수단에 의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는 저항소자로 제2 압력센서를 구비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의 눌룸수단을 눌러주는 압력정도에 의해서, 제1 및 제2 눌룸수단을 인공후두장치의 본체 외측면에 위치시켜 설치하면, 사용자가 손으로 경부형 인공후두장치를 잡고 사용할 때에 엄지와 검지등에 의하여 제1 및 제2 눌룸수단을 각각 눌러 조작하면서, 말을 하는 동안에도 각각 주파수 발진기의 주파수와 펄스신호 발진기의 펄스신호 폭을 가변시켜서, 최종적으로는 진동기구의 진동판의 진동특성을 가변시켜서 말소리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의 눌룸수단에 전원개폐수단을 복합시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의 눌룸수단의 구성을, 스위치 윗면에는 눌룸노브가 있고 하단에는 상기 눌룸노브에 연동하여 상하로 출몰하면서 전원단자를 단속하는 눌룸봉을 구비한 전원스위치를 채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스위치에 의하면, 눌룸노브를 일정압력으로 눌렀을 때에 상기 하단의 눌룸봉이 상기 제1 및 제2의 압력센서들의 표면에 눌러서 일차적으로 전원을 온시켜서 전원개폐수단으로 작용시키고, 그 이상으로 눌러주면 하단의 눌룸봉이 상기 제1 및 제2의 압력센서들의 표면을 압박하여 상기 압력센서들의 저항값을 눌룸압박력에 상응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눌룸수단으로 작용시켜서 인공후두장치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인공후두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인공후두장치(10)의 구성에서 부호 11은 인공후두장치의 본체이고, 본체(11)의 상부에는 캡(13)이 구비된다.
상기 캡(13)에는 후술하는 진동발생기(25)가 내장되고, 진동발생기(25)의 진동판(15)이 상기 캡(13)의 선단부에 노출되어 인체의 경부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외측면에는 인공후두장치의 사용자들이 엄지와 검지등으로 누리기 편한 위치에서, 본체(11)의 내부에 얼마간의 거리에서 이동자유롭게 설치된 전원스위치(29)(29a)의 눌룸노브(17)(17a)가 각각 좌우 양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 인공후두장치(10)의 제어 회로도이다.
여기서, 부호 21은 발진신호 출력부로써, 주파수 발진기(211)와, 제1 시정수부(213)와 제2 시정수부(217) 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시정수부(213)는 저항(R21), 제1 압력센서(FSR1) 및 콘덴서(C21)를 구성요소로 하여, 상기 제1 압력센서(FSR1)의 저항 값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 발진기(211)의 발진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211)의 발진신호에 따라 트리거되어 소정 폭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2 시정수부(215)는 제2 압력센서(FSR2) 및 콘덴서(C23)를 구성요소로하여, 상기 제2 압력센서(FSR2)의 저항 값에 따라서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215)가 발생하는 펄스신호의 폭을 가변시키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가 트리거되어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은 주파수 발진기(211)가 발진하여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1주기보다 매우 짧게 되도록 제2 시정수부(217)의 시정수가 설정되어 있다.
부호 23은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21)가 출력하는 발진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이고, 부호 25는 상기 증폭기(23)에서 증폭된 발진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판(15)을 진동시키는 진동발생기이고, 부호 27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이다.
제3도는 제1도 구성중에서 3-3선상의 확대단면도로써 제1압력센서(FSR1)와 제2 압력센서(FSR2)들과 전원스위치(29)(29a)들 및 눌룸노브(17)(17a)들의 설치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전원스위치(29)(29a)들은 그 눌룸노브(17)(17a)들이 본체(11)의 외측면에서 각각 좌우 양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스위치 몸체 전체가 본체(11)의 내부에서 본체케이스의 직교방향으로 얼마간 이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29)(29a)들을 하단에 각각 출몰식으로 설치된 눌룸봉(291)(291a)들을 구비하여, 이 눌룸봉(291)(291a)들은 본체케이스의 내부에서 수선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제1압력센서(FSR1)와 제2 압력센서(FSR2)들의 중앙부 압력면에 대하여 각각 직교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전원스위치(29)(29a)들의 눌룸노브(17)(17a)들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전원스위치(29)(29a)들이 본체케이스 내부로 일정깊이 눌려지면서 상기 눌룸봉(291)(291a)들이 각각 제1압력센서(FSR1)와 제2 압력센서(FSR2)들의 중앙부 압력면에 눌려지게 된다.
전원스위치(29)(29a)들의 눌룸봉(291)(291a)들이 눌려지면 전원스위치(29)(29a)들은 온 상태로 되어, 전원공급부(27)의 전원을 상기 발진신호출력부(21) 및 증폭기(23)에 공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원스위치(29)(29a)들의 온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눌룸노브(17)(17a)들을 보다 강하게 눌러주면, 눌룸봉(291)(291a)들은 전원스위치(29)(29a)들을 온 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압력센서(FSR1)와 제2 압력센서(FSR2)의 중앙부 압력면을 압박하게 되어 그 저항 값들을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인공후두장치(10)는 후두 적출로 후두의 기능이 모두 손실된 환자들이 말을 할 경우에 손으로 본체(11)을 잡고, 캡(13)의 선단부에 구비된 진동판(15)을 인체의 경부에 접촉시킨 후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들을 각각 눌룸노브(17)(17a)들에 위치시키고,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면서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들이 상기 눌룸노브(17)(17a)들을 일정압력으로 누르게되면, 전원 스위치(29)(29a)들이 본체케이스의 내부로 눌리면서 그 하단의 눌룸봉(291)(291a)들이 제1 및 제2 압력센서(FSR1)(FSR2)들에 눌리게되어 전원스위치(29)(29a)들을 온 시켜 전원공급부(27)의 전원을 발진신호 출력부(21) 및 증폭기(23)에 공급되어 인공후두장치(10)는 정상 작동상태로 된다.
인공후두장치(10)가 정상 작동상태로 되면, 발진신호 출력부(21)의 주파수 발진기(211)가 제1 시정수부(213)의 시정수에 따라 발진하여 발진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발진신호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에 트리거신호로 인가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는 트리거되어 제2 시정수부(217)의 시정수에 의한 일정 폭의 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진신호 출력부(21)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가 출력하는 펄스신호는 증폭기(23)에서 충분한 크기로 증폭되어 진동발생기(25)로 출력된다.
그러면, 진동발생기(25)는 펄스신호에 따라서 진동판(15)을 진동시켜 인체의 경부를 진동시키게 되는 바, 환자들은 소리는 내지 않고 말을 하듯이 입만 움직이면, 상기 경부로 전달된 진동판(15)의 진동이 입의 모양에 따라 공명되면서 말소리가 입 및 구강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되어 말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공후두장치(10)가 정상 작동상태로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눌룸노브(17)(17a)들의 압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면, 제1압력센서(FSR1)와 제2 압력센서(FSR2)들의 중앙부 압박면에 작용하는 눌룸봉(291)(291a)들의 압박력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1 시정수부(213) 및 제2 시정수부(215)의 시정수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시정수부(213)의 시정수에 의하여 주파수 발진기(211)에서 발생하는 주파수도 일정하게 발생되고, 제2 시정수부(215)의 시정수에 의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에서 발생하는 펄스신호의 폭도 일정하게 유지되어, 최종적으로 진동발생기(25)의 진동판(15)의 진동도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환자의 입에서 공명되어 발생하는 발소리의 고저 및 세기도 일정하게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공후두장치(10)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환자들이 말소리의 고저를 조절하고져 할 경우에는 제1 압력센서(FSR1)를 누르는 일측 눌룸노브(17)의 눌룸 압력을 가변시켜 실시한다.
그러면, 제1 압력센서(FSR1)의 저항 값이 일측 눌룸노브(17)의 조작 압력에 따라 가변되어 제1 시정수부(213)의 시정수가 가변되므로 주파수 발진기(211)의 발진 주파수가 가변되고, 이어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가 출력하는 소정 폭의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가변되므로 진동발생기(25)의 진동판(15)의 진동 주파수가 가변되어, 환자의 목 및 구강을 통하여 나오는 말소리의 고저를 가변시킬 수 있게된다.
여기서, 제1 압력센서(FSR1)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주파수 발진기(211)에서 가변되는 발진 주파수의 범위는 약 70-140Hz의 범위로 가변시켰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인공후두장치(10)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환자들이 말소리의 세기를 조절하고져 할 경우에는 제2 압력센서(FSR2)를 누르는 타측 눌룸노브(17a)의 눌룸 압력을 가변시켜 실시한다.
그러면, 제2 압력센서(FSR2)의 저항 값이 타측 눌룸노브(17a)의 조작 압력에 따라 가변되어 제2 시정수부(217)의 시정수가 가변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가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이 가변되고, 이어서 진동발생기(25)의 진동판(15)이 지동되는 세기가 가변되어, 환자의 입 및 구강을 통하여 나오는 말소리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2 압력센서(FSR2)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의 범위에서 가변된다.
여기서, 제2 압력센서(FSR2)의 저항 값 변화에 따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15)가 출력하는 펄스신호의 폭은 약 0.5∼2.5msec의 범위로 가변시켰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인공후두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경부형 인공후두장치중에서 사용하기전에 선택적으로 음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하는 형식이나, 또는 슬라이드방식이나 회전형 노브방식의 저항을 사용하여 말을 하는 도중에 음의 고저 및 세기를 조절하는 형식등에 비하여,
인공후두장치를 사용하여 말을 하는 도중에도 사용자가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된 눌룸식 노브의 눌룸압력 조정에 의하여 말의 고저 및 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말소리의 질 및 명료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우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낼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일 실시예의 인공후두장치의 구성중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두 개의 전원스위치들은 좌우 대칭된 위치로의 설치는 물론 사용자가 본체케이스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 또는 그외의 손가락으로 누르기 쉬운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주파수 발진기 및 펄스신호 발진기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주파수 발진기 및 펄스신호 발진기에는 저항값에 의하여 시정수가 가변되는 시정수부를 가변수단으로 구비한 발진신호 출력부와,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가 출력하는 펄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진동되면서 인체의 경부를 진동시켜 진동이 입의 모양에 따라 공명되면서 말소리가 목 및 구강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하는 진동기구로 구성되는 공지한 경부형 인공후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진신호 출력부의 구성중 주파수 발진기 및 펄스신호 발진기에 구비되는 시정수부의 가변수단을, 주파수 발진기의 시정수부에는 인공후두장치의 본체케이스 외면 일측에 설치된 제1 눌룸수단에 의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는 저항소자로 제1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펄스신호 발진기의 시정수부에는 인공후두장치의 본체케이스 외면에서 상기 제1눌룸수단과 반대방향으로 설치된 제2 눌룸수단에 의하여 저항값이 가변되는 저항소자로 제2 압력센서를 구비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인공후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눌룸수단의 구성은, 윗면에는 눌룸노브가 있고 하단에는 상기 눌룸노브에 연동하여 상하로 출몰하면서 전원단자를 단속하는 눌룸봉을 구비한 전원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인공후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눌룸수단의 구성은, 인공후두장치의 본체케이스 내에서 압력면이 외측을 향하여 서로 대향지게 수선상으로 설치된 상기 제1압력센서와 제2 압력센서에 대하여 중앙부 압력면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이동 접속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인공후두장치.
KR1019980013521A 1998-04-16 1998-04-16 인공 후두 장치 KR10026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21A KR100262982B1 (ko) 1998-04-16 1998-04-16 인공 후두 장치
PCT/KR1999/000180 WO1999053867A1 (en) 1998-04-16 1999-04-15 Artificial larynx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521A KR100262982B1 (ko) 1998-04-16 1998-04-16 인공 후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344A KR19990080344A (ko) 1999-11-05
KR100262982B1 true KR100262982B1 (ko) 2001-11-22

Family

ID=1953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521A KR100262982B1 (ko) 1998-04-16 1998-04-16 인공 후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62982B1 (ko)
WO (1) WO19990538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2639B1 (en) * 1999-12-30 2007-05-01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Electro-larynx
CN116778888B (zh) * 2023-08-21 2023-11-21 山东鲁南数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仿生发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8144A1 (de) * 1978-04-26 1979-11-08 Kuhn Dr & Co Sprechhilfevorrichtung fuer kehlkopfoperierte
US4338488A (en) * 1979-08-29 1982-07-06 Luminaud Company Electronic artificial larynx
US4627095A (en) * 1984-04-13 1986-12-02 Larry Thompson Artificial voice apparatus
US4612664A (en) * 1985-04-22 1986-09-16 Dacomed Corporation Artificial speech aid tone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3867A1 (en) 1999-10-28
KR19990080344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6349A (en) Artificial larynx
JP5827723B2 (ja) 発声補助システム
US4223411A (en) Internal laryngeal prosthesis
US5123922A (en) Speaking tube
JP3498705B2 (ja) 電気式人工喉頭
US9129595B2 (en) Artificial larynx
WO2021214065A1 (en) Voice grafting using machine learning
KR100262982B1 (ko) 인공 후두 장치
WO1997016134A1 (en) Artificial larynx with pressure sensitive frequency control
JP2007020757A (ja) 発声補助装置
US3066186A (en) Electronic voice box
Choi et 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new electrolarynx “Evada” having a force sensing resistor sensor
Damstéa Methods of restoring the voice after laryngectomy
Heaver et al. Rehabilitation of alaryngeal aphonia
US11076950B2 (en) Electrolarynx devices and uses thereof
JP4940408B2 (ja) 電気式人工喉頭
JP2005150884A (ja) 電気人工喉頭
KR101778499B1 (ko) 전자식 인공 후두 장치
Russell et al. The artificial larynx: A review of current technology and a proposal for future development
Yule The Mechanism of opening and closing the Eustachian Tube
Ooe et al. Development of the compact control system using of neck emg signal for welfare applications
US1840112A (en) Artificial larynx
JP2001086583A (ja) 代用原音発生器とその制御方法
ES2956959A1 (es) Sistema de fonación para pacientes laringectomizados
Krishna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 new electrolarynx and voice amplifier for laryngectom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