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741B1 -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741B1
KR100262741B1 KR1019980004525A KR19980004525A KR100262741B1 KR 100262741 B1 KR100262741 B1 KR 100262741B1 KR 1019980004525 A KR1019980004525 A KR 1019980004525A KR 19980004525 A KR19980004525 A KR 19980004525A KR 100262741 B1 KR100262741 B1 KR 10026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water
water supply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940A (ko
Inventor
김윤훈
Original Assignee
김윤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훈 filed Critical 김윤훈
Priority to KR101998000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7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withou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 elements, e.g. fixed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필터를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에어의 필터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된 물 분사 시스템을 층마다 고정 설치하여 층마다 자유로이 물을 분사할 수 있게하여 에어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물분사로 인해 세정 재사용 할수 있으며 또한 필터 사용시 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터의 유지 관리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구동에 따른 하자 오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 세정과 교체로 인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공기 청정 능력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8)의 내측에 다단으로 경사지게 에어 필터(16)를 설치하고,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에어 필터(16)의 전면 중앙부에 한쪽 끝단부는 고정되고, 다른 일측부는 물 공급관(10)과 연결된 물 공급 호스(12)를 설치하되 이 공급 호스(12)으로 부터 수직으로 일정거리를 갖는 에어 필터(16)의 전면부를 향하는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14)를 설치하고, 상기 각층마다 물 공급 호스(12)와 물 공급관(10)의 연결 부위에 조절 밸브(20)를 장착하고 에어 필터의 각층 하부 전면에 세척수 가이드 판(22)과 이 세척수 가이드 판(22)과 연결된 세척수 수거 박스(24)를 하우징(18)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공기정화용 에어필터 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이다.

Description

충전층식 세정집진 및 에어 필터 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본 발명은 공기정화용 에어필터 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터널이나 지하철 및 공장 등의 산업용과 백화점, 병원 기타 업무용 건축물의 기름먼지(Mist), 수분, 분진 등의 제거에 사용되는 자동 세정과 재생을 에어 필터(Air Filter)를 경사시게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에어 필터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된 물 분사 시스템을 층마다 고정 설치하여 층마다 자유로이 물을 분사할 수 있게하여 에어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물분사로 인해 세정 재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필터 사용시 교체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터의 유지 관리를 자동으로 할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구동에 따른 하자 요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 세정과 교체로 인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공기 청정 능력이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분진이나 기름 먼지 등의 오염된 에어필터를 에어 필터의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켜 청소하거나 에어 필터 자체를 교체해 주는 방법과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진공 펌프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등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상기의 기술한 에어 필터의 청소 및 교체 방법은 각각의 에어 필터 분리 설치와 필터의 교체등으로 인한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것은 물론 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작업장 또는 설치 장소에는 에어 필터의 분리 설치에 의한 청소 및 고체를 자주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항상 존재하였다.
또한 제7도에 도시한 기계적 방법은 분리 설치를 하지 않고 모터 구동에 의한 방법으로 공기 흡입구(350)로 흡입된 공기는 모터(310)에 의해 작동되는 블로워(320)가 흡입관(330)으로 흡입되면 이때 집진기 본체(340)에 있는 필터(360)에 분진과 이물질이 포집되고 집진기 필터(360)에 포집된 분진이나 이물질은 콤프레셔(370)가 작동하여 본체(340)에 연결된 공기 분사 노즐(380)에서 공기를 분사시켜 필터(360)에 포집된 분진과 이물질을 하부로 낙하시켜 수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필터 본체(500) 상하 이동용 체인(420), 좌우 이동용 체인(430)과 기어드 모터(450), 진공 펌프(400), 콤프레셔(370), 집진기(410) 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장비 자체가 고가임으로 인해 구입시 경제적인 부담감을 주는 것은 물론 동력 소모가 심하고 필터상의 분진과 이물질을 제거할 때 소음이 발생하며 또한 진공 펌프의 흡입력에만 의존하므로 필터의 청소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에어 필터의 성능이 점차적으로 저하되며 장기적으로 3∼4년 단위로 필터 여재를 교환해 주어야 함으로 늘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 필터를 경사지게 다단으로 설치하고 상기 에어 필터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고정된 물분사 시스템을 층마다 고정 설치하여 층마다 자유로이 물을 분사할 수 있게하여 에어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분후에 에어 필터의 전면에서 오일을 분사시켜 오일의 점성에 의해 에어 필터의 이물질 집진 효율을 향상시킴으로 인해 반 영구적으로 에어 필터의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어 필터 세정과 교체로 인한 인건비와 필터 교체에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공기 정화 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의 내측에 다단으로 경사지게 에어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에어 필터의 전면 중앙부에 한쪽 끝단부는 고정되고, 다른 일측부는 물 공급관과 연결된 물 공급 호스를 설치하되 이 공급 호스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거리를 갖는 에어 필터의 전면부를 향하는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각층마다 물 공급 호스와 물 공급관의 연결부위에 조절 밸브를 장착하고 에어 필터의 각층 하부 전면에 세척수 가이드 판과 이 세척수 가이드판과 연결된 세척수 수거 박스를 하우징 측면에 설치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 분사 노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문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조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전체 구조 사시도.
제7도는 종래 자동재생식 에어필터 이물질 제거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 공급관 12 : 공급 호스
14 : 노즐 16 : 에어 필터
18 : 하우징 20 : 조절 밸브
22 : 세척수 가이드 판 24 : 세척수 수거 박스
26 : 케이블 베어 28 : 체인
30 : 스프로켓 32 : 세척수 가이드판
34 : 구동 스프로켓 36 : 롤러 베어링
38 : 모타 40 : 플렉시블 호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
제2도는 본 발명 분사 노즐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조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구조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전체 구조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하우징(18)의 내측에 다단으로 경사지게 에어 필터(16)를 설치하고,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에어 필터(16)의 전면 중앙부에 한쪽 끝단부는 고정되고, 다른 일측부는 물 공급관(10)과 연결된 물 공급 호스(12)를 설치하되 이 공급 호스(12)으로 부터 수직으로 일정거리를 갖는 에어 필터(16)의 전면부를 향하는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14)을 설치하고, 상기 각층마다 물 공급 호스(12)와 물 공급관(10)의 연결부위에 조절 밸브(20)를 장착하고 에어 필터의 각층 하부 전면에 세척수 가이드 판(22)과 이 세척수 가이드 판(22)과 연결된 세척수 수거 박스(24)를 하우징(18)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하우징(18)의 내부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에어 필터(16)를 설치하고, 모타(38)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스프로켓(34)을 체인(28)으로 상하게 장착된 스프로켓(30)에 연결시키고 에어 필터(16)의 전면에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물 공급 호스(12)를 설치하되 물 공급 호스(12)의 끝단 절곡부를 하우징(18)의 저면 플레이트에 배설된 케이블 베어(26)의 끝단에 결착하는것과 케이블 베어(26)의 하단부에 플렉시블 호스(40)를 배설하여 물 공급관(10)과 연결하고 하부 체인(28)을 롤러 베어링(36)으로 물 공급 호스(12)와 연결하여 롤러 베어링(36)이 체인(28)을 따라 구동이 되면서 물 공급 호스(12)를 좌우로 왕복 운동을 시키고 에어 필터(16)의 전면에 설치된 세척수 가이드 판(32)이 세척수를 모아 세척수 수거 박스(24)로 세척수가 유입되게 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공기 정화 및 조화기를 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킴으로 인해 하우징(18)내부에 설치된 에어 필터(16)에 분진 및 이물질이 집진되면 콤프레셔의 압력에 의해 유입되는 물이 물 공급관(10) 내측으로 밀려 하우징 (18) 내측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관(10)과 물 공급 호스(12)는 조절 밸브(2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물청소를 하고자 하는 층의 조절 밸브(20)를 오픈시키면 물이 공급 호스(12)에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물은 에어 필터(16)의 중앙부에 복수개 설치된 물 분사 노즐(14)을 통해 에어 필터(16)의 표면에 분사되어 에어 필터(16)를 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층마다 설치된 물 공급 호스(12)와 콤프레셔와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물 공급관(10) 사이에는 각각 조절 밸브(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오염이 심하지 않은 층은 세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절 밸브(20)를 오픈시키지 않고, 오염이 심한 층은 조절 밸브(20)를 오픈시킴으로 인해 물을 공급 호스(12)를 통한 물 분사 노즐(14)에 유입되게하여 에어 필터(16)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양의 물만 소비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물 분사 장치는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도 에어 필터(16) 전체 혹은 필요로하는 층만을 구분하여 세정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 필터를 세척한 세척수는 각층의 에어 필터 하부에 설치된 세척수 가이드 판에 수집이 되게 되고 이는 다시 세척수 가이드 판(22)을 따라 하우징(18)의 측면에 설치된 세척수 수거 박스(24)로 유입이 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하우징(18)의 내부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에어 필터(16)를 설치하고, 모타(38)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스프로켓(34)을 체인(28)으로 상하에 장착된 스프로켓(30)에 연결시킨다.
에어 필터(16)의 전면에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물 공급 호스(12)를 설치하되 물 공급 호스(12)의 하부 끝단 절곡부를 하우징(18)의 저면 플레이트에 배설되어 좌우 왕복 운동을 행하는 케이블 베어(26)의 끝단에 결착한다.
케이블 베어(26)의 하단부에 케이블 베어(26)와 같이 자유로이 왕복 운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40)를 배설하여 콤프레셔로부터 세척수를 하우징(18)으로 공급하는 물 공급관(10)과 연결한다.
하우징(18)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 체인(28)을 롤러 베어링(36)으로 물 공급 호스(12)와 연결하여 롤러 베어링(36)이 체인(28)을 따라 구동이 되면서 물 공급 호스(12)를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게하고 물 공급관(10)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물 공급 호스(12)에 유입되게 하고 또다시 물 공급 호스(12)의 끝단에 있는 노즐(14)을 통해 오염된 에어 필터(16)의 전면에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케이블 베어(26)가 하우징의 저면을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므로서 노즐(14)이 에어 필터(16)에 골고루 세척수를 분사하여 에어 필터(16)를 세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체인(28)과 물 공급 호스(12)를 로롤러 베어링(36)으로 연결하여 모타(38)가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되더라도 롤러 베어링(36)이 물 공급 호스(12)를 체인(28)과 교대로 탈착이 이루어져 항상 물 공급 호스(12)가 왕복 운동을 행함에 있어서 전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에어 필터(16)를 세척한 세척수는 에어 필터(16)를 타고 하부로 흘러 내리게 되며 세척수는 에어 필터(16)의 각층 하부에 형성된 세척수 가이드 판(32)에 유입이 되고 이는 다시 세척수 가이드 판(32)을 따라 하우징(18)의 측면에 부착 형성된 세척수 수거 박스(24)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즉 오염의 농도가 진하거나 개스 냄새 등의 제거 및 공기 냉각용으로서 물을 이용한 충전층식 집진 및 세정기로서 작용할 수 있어 환경 오염 방지 기능까지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자유로이 전체 혹은 오염된 층만 골라 적절한 물의 양으로 에어 필터를 세정 및 세척함으로서 오염된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 베어를 이용하여 물 공급 호스를 좌우 왕복시킴으로 에어 필터 전면을 세정 및 세척함으로서 에어 필터의 세정력의 향상은 물론 에어 필터의 교체없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세정 장치에 있어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하우징(18)의 내측에 다단으로 경사지게 에어 필터(16)를 설치하고,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에어 필터(16)의 전면 중앙부에 한쪽 끝단부는 고정되고, 다를 일측부는 물 공급관(10)과 연결된 물 공급 호스(12)를 설치하되 이 공급 호스(12)으로부터 수직으로 일정거리를 갖는 에어 필터(16)의 공기 유입측을 향하는 복수개의 물 분사 노즐을 설치한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층마다 물공급 호스(12)와 물 공급관(10)의 연결 부위에 조절 밸브(20)를 장착하고 에어 필터의 공기 유입측(각층) 하부 전면에 세척수 가이드 판(22)과 이 세척수 가이드 판(22)과 연결된 세척수 수거 박스(24)를 하우징(18)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층식 세정집진 및 에어 필터 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2. 하우징 (18)의 내부에 경사지게 다단으로 에어 필터(16)를 설치하고,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에어 필터(16)의 공기 유출측 전면에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물 공급 호스(12)를 설치한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모타(34)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 스프로켓(30)을 체인(24)으로 상하에 장착된 스프로켓(26)에 "⊂"자 형으로 연결시키고, 물 공급 호스(12)의 끝단 절곡부를 하우징(18)의 저면 플레이트에 배설된 케이블 베어(22)의 끝단에 결착하는 것과, 케이블 베어(22)의 하단부에 플렉시블 호스(36)를 배설하여 물 공급관(10)과 연결하고 하부 체인(24)을 롤러 베어링(32)으로 물 공급 호스(12)와 연결하여 롤러 베어링(32)이 체인(24)을 따라 구동이 되면서 물 공급 호스(12)를 좌우로 왕복 운동을 시키고 에어 필터(16)의 공기 유입측 하부 전면에 설치된 세척수 가이드 판(28)이 세척수를 모아 세척수 수거 박스(38)로 세척수가 유입되게 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층식 세정집진 및 에어 필터 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9980004525A 1998-02-16 1998-02-16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KR10026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525A KR100262741B1 (ko) 1998-02-16 1998-02-16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525A KR100262741B1 (ko) 1998-02-16 1998-02-16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940A KR19990069940A (ko) 1999-09-06
KR100262741B1 true KR100262741B1 (ko) 2000-08-01

Family

ID=1953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525A KR100262741B1 (ko) 1998-02-16 1998-02-16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7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8617A (ja) * 1987-04-16 1988-10-26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空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8617A (ja) * 1987-04-16 1988-10-26 Takasago Thermal Eng Co Ltd 空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940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55603U (zh) 一种机械加工用钢板表面除锈装置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101082309B1 (ko) 운전중에도 필터의 클리닝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집진기
KR101062155B1 (ko) 도로 및 터널 벽면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0262741B1 (ko) 충전층식세정집진 및 에어필터자동세정 재생식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22676B1 (ko) 글라스 울 생산 공장의 배가스 처리를 위한 수평형 습식 전기집진기
CN111659219A (zh) 一种节能环保型空气废气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20170020682A (ko) 전기집진기의 세척장치
KR200443514Y1 (ko) 집진기
CN207288236U (zh)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KR200278552Y1 (ko) 공기 정화용 자동 세정 및 재생형 에어 필터 장치
KR0140043Y1 (ko)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03798Y1 (ko) 공기 정화용 자동 세정 및 재생식 에어 필터의 이물질제거장치
KR20050116178A (ko) 공기정화용 에어필터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0546659U (zh) 一种便于清洁的超净工作台
JP2007263441A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用フィルタの塵埃除去装置、
CN217979080U (zh) 一种通风用新风除湿机
CN112023581A (zh) 一种湿式煤矿除尘装置及其应用方法
KR101186809B1 (ko) 터널 공사용 습/건식 겸용 이동식 집진기
KR102540164B1 (ko) 백필터 탈진장치를 구비한 집진기
CN218328571U (zh) 一种净化器
CN220194291U (zh) 高空过滤器用过滤网架结构
CN210871284U (zh) 一种工业用吸尘器
CN219701488U (zh) 一种粉尘过滤装置
CN220758420U (zh) 一种建筑工地用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07

Effective date: 200304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24

Effective date: 200404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