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456B1 -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456B1
KR100261456B1 KR1019930008608A KR930008608A KR100261456B1 KR 100261456 B1 KR100261456 B1 KR 100261456B1 KR 1019930008608 A KR1019930008608 A KR 1019930008608A KR 930008608 A KR930008608 A KR 930008608A KR 100261456 B1 KR100261456 B1 KR 10026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group
magnetic field
convergence
cathode ray
pol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022A (ko
Inventor
박진홍
최웅선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3000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456B1/ko
Publication of KR94002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4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4Arrangements for centr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과 셀프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편향요크 사이의 네크부 외주에 설치되어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시술에 의한 보정수단의 불가변성이나 제작 오차 및 고전류에 대한 내구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네크부(4) 외주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적어도 8개의 코일(51, 52)을 갖는 4극 자계용 코일군(50)과,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의 외측에 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적어도 12개의 코일(61,62)을 갖는 6극 자계용 코일군(60)과, 상기 코일군(50,60)을 둘러싸는 코어(7)를 설치하므로서, 화면상에 발생하는 미스 컨버젼스 특히, 다이나믹 컨버젼스를 보정하므로서, 화면의 전역에 걸쳐 제품의 해상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장치를 구성하는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
제3(a),(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컨버젼스 보정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4극 자계용 코일군에 의해 생성되는 4극 자계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다른 4극 자계용 코일군에 의해 생성되는 4극 자계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가 장착된 음극선관에 생성되는 6극 자계에 의한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가 장착된 음극선관에 생성되는 6극 자계에 의한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종래의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수단을 도시한 전개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수단을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네크부 50,50' : 4극 자계용 코일군
60,60' : 6극 자계용 코일군 7,71,72 : 코어
51,52,61,62 : 코일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크부의 편향요크 전에 부착하여 동기하는 별도의 보정 전류를 인가하므로서,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 기능을 강화하여 화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전역에 걸쳐 정확한 컨버젼스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신규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통상 인라인형 음극선관에 있어서, 스태틱 컨버젼스 보정은 음극선관의 네크부 외주에 취부되는 4극 링 자석과 6극 링 자석의 조정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그러나 상기한 컨버젼스 보정은 작업의 숙련을 요하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네크부 외주에 45도의 폭으로 8개의 전자석을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직류의 여자 전류를 조정하여 스태틱 컨버변스 보정을 행하는 것이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1-71323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컨버젼스 보정 방식에 의한 셀프 컨버젼스 편향요크를 사용하더라도, 양면 주변에 이르기까지 고도의 컨버젼스 즉,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을 행하는 것은 역시 곤란하였다.
이를 위하여 셀프 컨버젼스 편향요크로서 보정할 수 없는 잔류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수단이 필요해졌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버젼스보정장치가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58-223988호에 개재되어 있는 바, 제8도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수단(1)은, 얇은 가요성 절연기판(2)에 적어도 8개의 소용돌이 상의 코일(3)을 프린트 배선 수법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수단(1)은, 셀프 컨버젼스 기능이 있는 편향요크와 스태틱 컨버젼스 보정자석과 퓨리티 보정자석으로 이루어진 보정자석 어셈블리를 구비한 주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타에 부가하여, 상기 보정장치의 조정 조작을 곤란하게 하지 않도록 음극선관의 네크부 외주에 원통형으로 감아 장착된다.
한편,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수단(1)을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상기 컨버젼스 보정수단(1)은 플렉시블 시트에 인쇄된 코일군을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감아, 그 외주에 보정자석 어셈블리를 취부한 것으로서, 이러한 코일(3)에, 예를 들면 8개의 코일중에서 4개 또는 6개의 코일을 선정하여, 저마다 특정의 방향으로 특정치의 전류를 흐르도록 하므로서, 화면 각부에 대하여 최적으로 되는 컨버젼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상술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수반하는 문제점은, 화면 주변에 이르기 까지 고도의 컨버젼스 즉,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데 있다. 상기한 종래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얇은 가요성 절연기판에 소용돌이 상의 코일을 프린트하므로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단 제작된 컨버젼스 보정수단은 가변성을 갖지 못함은 물론, 플렉시블한 절연기판에 극미한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며, 실제 제작시 다수의 제작 오차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 상기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플렉시블 시트에 극미한 선상의 코일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높은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내구성을 갖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과 셀프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편향요크 사이의 네크부외주에 설치되어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4극 자계용 코일군과,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의 외측에 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6극 자계용 코일군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군을 외측에서 둘러 싸는 원통형의 코어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은 적어도 8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8개의 코일중에서 4개의 코일이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나머지 4개의 코일은 또다른 동기에 의해 구동되어 진다.
상기 6극 자계용 코일군은 적어도 12개의 코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12개의 코일중에서 8개의 코일이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나머지 8개의 코일은 또다른 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과 셀프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편향요크 사이의 네크부 외주에 설치되어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4극 자계용 코일군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의 외측에 원통형상의 코어를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과 동일 관축의 타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6극 자계용 코일군을 코어를 개재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권선된 다수개의 코일을 관축에 대하여 동일 거리상에 배열하므로서, 4극 또는 6극 자계용 코일군을 구성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코일군을 구성하는 8개 또는 12개의 코일중에서 4개 또는 6개씩의 코일을 동기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음극선관의 화면상에서 발생하는 미스 컨버젼스 특히, 다이나믹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저마다의 보정자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4극 또는 6극 자계용 코일군에 의해 생성된 보정자계는 전자총으로부터 사출된 사이드 빔 즉, R,B 전자빔을 그 성분에 따라 조정하여, 화면의 주변에 이르기 까지 정확한 컨버젼스 보정을 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한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다수 코일의 배열로 이루어진 코일군을 원통형상의 코어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서 문제시 되었던 제작된 후의 불가변성이나, 극미한 코일을 형성함에 따른 고도의 기술 및 제작 오차를 양호하게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코일을 권선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플렉시블 시트에 극미한 선상 코일을 형성하므로서 문제시 되었던 고전류에 대한 내구성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콘버젼스 보정장치는 전자총의 캐소우드에서 사출된 전자빔 특히, R, B 빔을 화면의 주변부에서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다이나믹 컨버젼스 기능을 강화하므로서, 전자빔이 결상되는 화면의 중심과 주변부에서 함게 정확한 컨버젼스를 형성하게 되어, 제품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편향요크와, 스태틱 컨버젼스 보정자석과 퓨리티 보정자석으로 이루어진 보정자석 어셈블리 사이의 네크부(4) 외주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네크부(4)의 외주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동일 위치에 배열된 4극 자계용 코일군(50)을 배치하고, 다시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의 외측에 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동일 거리상에 6극 자계용 코일군(60)을 배열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4극 및 6극 자계용 코일군(50, 60)의 외측에는 이들을 둘러 싸는 원통형의 코어(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은 적어도 8개의 코일(51, 5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8개의 코일중에서 4개의 코일(51)이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나머지 4개의 코일(52)은 또다른 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6극 자계용 코일군(60)은 적어도 12개의 코일(61, 62)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12개의 코일중에서 8개의 코일(61)이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나머지 8개의 코일(62)은 또다른 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장치를 구성하는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51,52,61,62)은 선상의 코일을 대략 직사각형으로 권선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관축 중심으로부터 동일 곡률(R)을 갖도록 권선되어 있다.
한편, 제3(a),(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컨버젼스 보정장치를 4극 자계용 코일군(50')과 6극 자계용 코일군(60')로 따로 분리하여 설치한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과 셀프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편향요크 사이의 네크부(4) 외주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동일 위치에 배열된 4극 자계용 코일군(50')을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의 외측에 원통형상의 코어(71)를 설치한 것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과 동일 관축의 타측 네크부(4) 외주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동일 위치에 배열되는 6극 자계용 코일군(60')을 코어(72)를 개재하여 네크부(4) 외주에 설치한다.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8개의 코일(53, 5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8개의 코일중에서 4개의 코일(53)이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나머지 4개의 코일(54)은 또다른 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또, 상기 6극 자계용 코일군(60')은 적어도 12개의 코일(63,6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12개의 코일중에서 8개의 코일(63)이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나머지 8개의 코일(64)은 또다른 동기에 의해 구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작용을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4극 자계용 코일군에 의해 생성되는 4극 자계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G는 중앙 전자빔을 R,B는 좌우 전자빔을 나타내고 있다.
4극 자계용 코일(51)에 소정 방향으로 전류를 인가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4극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4극 자계는 R, G, B 전자빔의 배열 선상에 수평축(8)을 갖는 것으로, 외측의 R, B 전자빔은 서로 역방향의 수평자계에 의해 저마다 상·하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다른 4극 자계용 코일군에 의해 생성되는 4극 자계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4극 자계용 코일(52)에 소정 방향으로 통전하게 되면, 수평축(8)에 대하여 45˚로 경사진 축(9)을 갖는 4극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4극 자계에 의해 외측 R, B 전자빔은 서로 역방향의 수직 자계 성분의 작용으로, 각각 좌·우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가 장착된 음극선관에 생성되는 6극 자계에 의한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6극 자계용 코일(61)에 임의의 양 및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R, G, B 전자빔의 배열 수평면상에 수평축(10)을 갖는 6극 자계가 생성되는 바, 외측의 R, B 전자빔은 동방향의 수평 자계 성분에 의한 작용으로, 상·하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가 장착된 음극선관에 생선되는 6극 자계에 의한 미스 컨버젼스 보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6극 자계용 코일(62)에 임의의 양 및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면, 도시된 수직축(11)을 갖는 6극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R, B 전자빔을 동방향의 수직 자계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화면을 몇 개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각 블럭에 해당하는 보정 자계용 코일에 임의의 방향으로 소정의 보정 전류를 인가하므로서, 화면 전역에 걸쳐 정확한 컨버젼스 특히, 다이나믹 컨버젼스 보정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네크부의 편향요크 전에 설치하여 동기하는 보정 전류를 인가하므로서 다이나믹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신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상의 코어 내측에 4극 또는 6극 자계용 코일군을 설치하여 음극선관의 화면상에서 발생하는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므로서, 화면의 전역에 걸쳐 제품의 해상도를 상승시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다수 코일의 배열로 이루어진 코일군을 원통형상의 코어에 장착하므로서, 종래 장치에서 문제시 되었던 제작후의 불가변성이나, 극미한 코일을 형성함에 따른 고도의 기술 및 제작 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컨버젼스 보정장치는 코일을 권선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플렉시블 시트에 극미한 선상 코일을 형성하였던 것과 달리, 고전류에 대한 내구성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과 셀프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편향요크 사이의 네크부 외주에 설치되어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4) 외주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4극 자계용 코일군(50)과,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의 외측에 관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6극 자계용 코일군(60)과, 상기 코일군(50, 60)을 둘러 사는 코어(7)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4극 자계용 코일군(50)은 같은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4개의 코일을 포함한는 적어도 8개의 코일(51, 52)을 구비하여 이루어짐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6극 자계용 코일군(60)은 같은 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6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12개의 코일(61, 62)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코일(51,52,61,62)은 직사각형으로 권선하되, 관축을 중심으로 동일 곡률로 권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5. 음극선관의 인라인형 전자총과 셀프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편향요크 사이의 네크부 외주에 설치되어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4) 외주에 관축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4극 자계용 코일군(50')을 코어(71)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상기 4극 자계용 코일군(50') 과 동일 관축의 타측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6극 자계용 코일군(60')을 코어(72)를 개재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과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30008608A 1993-05-19 1993-05-19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26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608A KR100261456B1 (ko) 1993-05-19 1993-05-19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608A KR100261456B1 (ko) 1993-05-19 1993-05-19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022A KR940027022A (ko) 1994-12-10
KR100261456B1 true KR100261456B1 (ko) 2000-07-01

Family

ID=1935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608A KR100261456B1 (ko) 1993-05-19 1993-05-19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4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022A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3345A (en) Deflection yoke with permanent magnet raster correction
US4145677A (en) Color misalignment correction device for color picture tube
EP0073005B1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KR940003047B1 (ko) 비디오 표시 장치
KR100261456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US3290534A (en) Eccentrically mounted beam position adjusting device
KR930002657B1 (ko) 음극선관내의 복수의 전자빔을 수속하는 장치
US3354336A (en) Ring magnetized across thickness with two diametrically opposed and oppositely oriented groups of magnetic pole pairs
US517741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5157302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static convergence adjuster
KR100299926B1 (ko) 코어신장부가마련된편향요크
FI106893B (fi) Värinäyttöjärjestelmä, joka sisältää itsekonvergoivan, rasterivääristymän korjauksella varustetun poikkeutuskelayksikön
KR100222773B1 (ko) 인라인빔형 crt 및 해상도 개선 장치
US7038368B2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having a pair of bar shaped magnet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due to the rotational shift of the electron beams
US3363127A (en) Permanent magnet beam control apparatus for a color television cathoderay tube
EP039946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20000007026U (ko) 편향요크
JPS6042445Y2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100338033B1 (ko)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KR200142903Y1 (ko) 편향요크
JPH06124664A (ja) 電子ビーム集束装置
JP3984605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JPH069260U (ja) 偏向ヨー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