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324B1 -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324B1
KR100261324B1 KR1019970040600A KR19970040600A KR100261324B1 KR 100261324 B1 KR100261324 B1 KR 100261324B1 KR 1019970040600 A KR1019970040600 A KR 1019970040600A KR 19970040600 A KR19970040600 A KR 19970040600A KR 100261324 B1 KR100261324 B1 KR 10026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data
product
databas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326A (ko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주식회사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주식회사수성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101997004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324B1/ko
Publication of KR97007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L 설계 및 생산에 있어서 일정 한도의 설계표준화 및 규격화를 실시하여 자동화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AUTOCAD에 의한 설계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미 분석된 설계업무에 맞추어 주문사양 접수에서부터 생산용 제작 설계까지 일괄된 시스템 운용체계에 의해 설계자동화에 의한 도면 자동 설계 기능과 각종 자재 소요량 산출, 그리고 B.O.M에 의한 제품 원가 산출등 설계업무 및 사무관리 전반에 걸쳐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본 발명은 고객의 옵션 사항에 따라 특정 제품을 설계하기 위한 제품 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계를 위한 CAD시스템과 데이터 관리를 위한 EXCEL 시스템을 연계시켜 도면의 드로잉 및 자재산출, 가격산출등 기존의 수작업으로 발생되는 비능률 및 에러에 의한 생산력 손실 등을 지양하고 설계자동화와 사무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의 기업경영 환경은 자유화, 세계화, 고객욕구의 다양화 등으로 급변하고 있으며, 급속한 산업 발전에 따른 기업간의 경쟁심화, 제품의 다품종 소량생산, 고객의 다양한 욕구 등을 인하여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고객에 대하여 빨리 대응해야 하는 설계부서에 설계기간을 단출해야 하는 과제를 주게 되고 이는 설계운영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현재 급속한 컴퓨터의 보급과 각종 프로그램의 발달로 인하여, 모든 제조 업체에서 과거 수작업으로 인한 각종 비능률을 일거에 해소하고자 많은 시설투자와 교육비를 투자하여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으나 투자비에 비하여 그에 해당하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단지 전산적 지식으로만 각종 자동화를 추구하는데서 발생하는 요류라고 본다.
특히 제조업에 있어서는 각종 설계 및 데이터관리를 개인의 경험이나, 능력에 의존하고 있는 부분을 줄이고, 이미 보급되어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중복작업을 줄이고 각 공정을 일괄처리하여 에러를 최소한으로 해야한다.
T/L에 한해서 본다면, 고객의 주문에 의거해서 설계 및 자재산출과 생산이 이루어지는 주문제작방식이기 때문에 매 주문마다 설계사양이 바뀌고 있으며, 항상 최적의 부품선정과 자재선정을 기대하기가 어렵고, 적절한 압력이 걸리는 실린더의 사양과 위치를 결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있다. 따라서 원가계산이 정확하게 나오는 것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고도의 숙련된 요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를 위한 CAD 시스템과 데이터 관리를 위한 EXCEL 시스템을 연계시키며 도면의 드로잉 및 자재산출, 가격산출등 기존의 수작업으로 발생되는 비능률 및 에러에 의한 생산력 손실등을 지양하고 설계자동화와 사무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설계 시스템의 동작 순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CAD 2 : 설계로직 데이터 베이스
3 : 승인/제작도 자동설계부 4 : 데이터 정합부
5 : EXCEL 6 : 설계자재 데이터 베이스
7 : 소스 데이터 발생부 8 : 고객관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설계에 따른 기준 데이터들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기준 데이터들에 따라 실질적인 제품설계에 따른 패턴의 드로잉을 수행하는 제품 설계부와, 고객이 주장하는 설계의 옵션 스펙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제품 설계부 측에 설계스펙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품 설계부 측에서 실질적인 제품의 설계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해당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제품 설계부와 데이터 관리부 간에는 서로간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져야 함으로, 상기 제품 설계부의 각 구성과 데이터 관리부의 각 구성간에 설계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정합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배경적 요소를 설명하면, 각종 설계업무를 분석한 결과, 제품의 수주에 의한 설계업무에 있어 CAD 시스템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관리는 현재 사용 프로그램 시스템중에 EXCEL이 가장 안정되고 파워풀하기 때문에 이를 연계하여 사용한다면, 주문사양에 의한 견적서를 입력하여 각종 승인 도면을 자동으로 설계처리하여 승인에 소요되는 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으며, 주문사양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계승인이 완료되면 생산용 부품도면까지 표준화 및 규격에 의한 설계자동화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판단된 것이다.
한편, 설계자동화에 의해 생성된 도면으로부터 소요자재의 물량을 직접 산출하여, B.O.M을 자동산출하여 원자재 및 구매품에 의한 제품 제작원가를 즉시 산출할 수 있어서 제품 수주 및 생산에 이르는 업무 전반의 효율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발명 취지에 의해 제안되어진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의 구성 및 그 동작을 첨부한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 옵션에 따른 설계옵션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설계 시스템의 동작 순서 예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설계옵션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은 크게 제품 설계부와 데이터 관리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제품 설계부는 실질적인 제품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설계패턴의 드로잉을 수행하는 ACAD(1)와, 상기 ACAD(1)에서 패턴의 설계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로서 데이터 베이스(2)와, 제품의 설계에 따른 승인이나 제작에 관련된 도면을 제작하기 위한 승인/제작도 자동설계부(3)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는 B.O.M 및 자재산출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EXCEL(5)과, 상기 EXCEL(5)에서 수행되는 관리에 따라 변경되는 자재산출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계자재 데이터 베이스(6)와, 고객으로부터 수주받은 레고(Lego)에 따른 정보 및 각종 영수/영업 관리를 수행하는 고객 관리부(8)와, 상기 고객관리부(8)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EXCEL(5)에서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소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스 데이터 발생부(7)로 구성된다.
반면에, 상기 제품 설계부와 데이터 관리부 간에는 서로간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져야 함으로, 상기 제품 설계부의 각 구성과 데이터 관리부의 각 구성간에 설계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정합부(4)가 구비되어 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옵션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의 대표적인 기능을 살펴보면, 주문사양에 의한 견적용 스펙 작성과 설계사양 입력에 따른 승인도 자동설계와 승인사양의 데이터를 이용한 생산용 제작도면 드로잉과 B.O.M 자동산출, 및 LAN망을 이용한 설계통합관리를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주요기능중 자재산출 자동화에 따른 관점에서의 주요기능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설계 자재산출 및 원가관리를 들 수 있는데, 설계부서에서 AUTOCAD를 이용한 도면 자동생성을 실현하고 자재산출이 이루어지면 단품별, 소재원가계산을 처리하여 사전 원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설계부서에서 작성된 자재리스트를 기초로 구매자재내역을 산출하고 대외 구매업무를 수행하는 구매현황을 메인 호스트(MAIN HOST)로 데이터 이관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각 구성에 따른 주요 동작 기능중 우선, 승인도에 관련된 동작을 살펴보면, 마이크로소프트 액셀을 이용해서 주문사양을 입력하면 액셀상에서 사양에 맞는 각종 자재내역들이 곧바로 선정되고, 필요하다면 설계자가 약간의 튜닝을 거치고 나면 AUTOCAD와 엑셀간의 상호 데이터교환이 이루어지고 바로 조립도면이 생성된다.
엑셀에서 설계사양을 변경하면 AUTOCAD에서 그대로 적용되고, 설계사양은 데이터베이스로 생성되어 제작용 도면설계에 통합 운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술한 승인도의 관리에 따른 입출력관계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kpo00001
또한, 제작도에 관련된 동작은 상술한 승인도 동작 사양에 의거한 제작도면이 설계된다.
반면에, B.O.M 산출과정을 살펴보면, 승인도 및 제작도에 의한 각종 자재내역이 도면의 설계 치수와 동일하게 산출된다. 이를 B.O.M으로 연결하여 제품의 설계원가를 즉석에서 계산처리한다.
또한, 고객관리에 관한 기능을 살펴보면, 영업의 수주에 의하여 발생된 주문 내역 및 진행현항을 LAN을 이용하여 통합관리하여 설계처리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설계사양 및 설계현황을 집중관리하여 T/L설계 및 생산 진행현황을 설계부서 중심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어서 업무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운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부품의 자재를 자동산출하면 설계원가가 바로 계산되므로 설계단계에서 원가절감에 의한 최적설계를 실현할 수 있으며, 직접 구매의뢰처리가 가능하여 획기적인 업무효율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의 연계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텝 S100과 스텝 S200에서 캐드 시스템과 EXCEL 시스템이 동시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후, 캐드 시스템에서는 스텝 S101의 과정을 통해 응용프로그램(TL.ARX)을 로딩하게 되며, EXCEL 시스템 측에서는 스텝 S201의 과정을 통하여 엑셀의 환경에서 설계자 또는 주문자에 의해 셋업 데이터 설계스펙에 따른 데이터로 입력 받는다.
이때 스텝 S102에서 캐드 시스템은 EXCEL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정합부와 기타 시스템운영을 위한 데이터 교한을 위해 오픈시킬 채널이 세팅된다. 또한, 스텝 S202에서 상기 스텝 S201에서 입력된 스펙에 대응하는 메터리얼(meterial)을 선택한 후 스텝 S203으로 진행하여 상기 스텝 S102의 과정을 통하여 세팅된 DDE 채널을 통하여 캐드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캐드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스텝 S204에서는 현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형태가 변화하였는가를 판단하여 형태의 변화가 있다면 상기 스텝 S202로 진행하여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합한 메터리얼을 선택한 후 상술한 동작을 재 수행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스텝 S204에서 데이터의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스텝 S205로 진행하여 메터리얼을 변화시키고 스텝 S206으로 진행하여 B.O.M.을 산출하게 되면 스텝 S207에서는 산출된 B.O.M.을 기준으로 보고서를 작성한다.
이후, 스텝 S208에서는 DDE채널을 폐쇄시켜야 하는 가를 판단하는데, 폐쇄시키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203으로 진행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므로써 상술한 과정을 재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208에서 DDE채널을 폐쇄시켜야한다고 판단되면 스텝 S209에서는 현재 까지의 진행으로 인해 발생된 모든 파일을 보관하고 이를 프린틴하게 된다.
상술한 EXEL시스템의 동작에 연계하여 캐드 시스템은 상기 스텝 S102에서 DDE 채널이 세팅된 이후, 스텝 S103으로 진행하여 DDE 채널을 통해 상기 EXCEL시스템으로 제품의 설계를 위한 TL 데이터를 요구하게 된다.
이때, 상기 EXCEL 시스템에서는 상기 스텝 S203에서 이 요청에 응답하여 TL 데이터를 송출하게 되고, 캐드 시스템에서는 스텝 S104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EXCEL 시스템에서 송출한 TL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04에서 TL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스텝 S105에서는 제품의 설계를 위한 각 부분의 위치를 계산하게 되고, 스텝 S106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스텝 S105에서 계산되어진 위치가 최적의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 S106에서 상기 스텝 S105에서 계산되어진 위치가 최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03으로 재 진행하여 상술한 과정을 재 수행함으로써, 최적 위치를 산출하게 된다. 만약, 상기 스텝 S106의 판단과정에서 최적의 위치가 산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7로 진행하여 상기 스텝 S105에서 산출된 위치에 따라 제품 설계에 따른 드로잉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07에서 제품 설계에 다른 드로잉의 수행이 완료되면, 제품설계에 따른 최적의 상태에 대응하는 TL데이터를 스텝 S108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EXCEL 시스템측으로 송출한다.
이후, 스텝 S109에서는 현재까지의 진행으로 인해 발생된 모든 파일을 보관하고 이를 프린틴하게 되고, 스텝 S110에서는 DDE 채널을 폐쇄시키고 TL.ARX를 언 로딩하게 된다.
즉, 주화면이 액셀 환경인 상태에서 설계스펙이 결정되면 주화면을 ACAD로 옮겨서 드로잉 명령을 내리면 통신채널을 통해 설계데이타가 입력되어 도면이 자동으로 드로잉된다.
따라서, 액셀에서 처리되는 내용은 설계 스펙에 따른 각종 자재를 자동선정하고, ACAD로부터의 설계데이터를 입수해서 B.O.M에 적용하며, 액셀에서 가공된 각종 설계데이터를 읽어들여서 조립도 및 제작도를 자동설계하고 설계데이터를 다시 액셀로 넘겨주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을 제공하면, 분석된 설계업무에 맞추어 주문사양 접수에서부터 생산용 제작 설계까지 일괄된 시스템 운용체계에 의해 설계자동화에 의한 도면자동설계기능과 각종 자재소요량 산출, 그리고 B.O.M에 의한 제품원가 산출등 설계업무 및 사무관리 전반에 걸쳐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3)

  1. 설계에 따른 기준 데이터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기준 데이터들에 따라 실질적인 제품설계에 따른 패턴의 드로잉을 수행하는 제품 설계부와; 고객이 주장하는 설계의 옵션 스펙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제품 설계부 측에 설계스펙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품 설계부 측에서 실질적인 제품의 설계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전달받아 해당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부; 및 상기 제품 설계부와 데이터 관리부 간에는 서로간의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 져야 함으로, 상기 제품 설계부의 각 구성과 데이터 관리부의 각 구성간에 설계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설계부는 실질적인 제품설계를 수행하기 위한 설계패턴의 드로잉을 수행하는 ACAD와; 상기 ACAD에서 패턴의 설계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설계로직 데이터 베이스; 및 해당 제품의 설계에 따른 승인이나 제작에 관련된 도면을 제작하기 위한 승인/제작도 자동설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B.O.M 및 자재산출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EXCEL과; 상기 EXCEL에서 수행되는 관리에 따라 변경되는 자재산출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계자재 데이터 베이스와; 고객으로부터 수주받은 레고(Lego)에 따른 정보 및 각종 영수/영업 관리를 수행하는 고객관리부; 및 상기 고객관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EXCEL에서 데이터 베이스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소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스 데이터 발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KR1019970040600A 1997-08-25 1997-08-25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KR10026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600A KR100261324B1 (ko) 1997-08-25 1997-08-25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600A KR100261324B1 (ko) 1997-08-25 1997-08-25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326A KR970071326A (ko) 1997-11-07
KR100261324B1 true KR100261324B1 (ko) 2000-07-01

Family

ID=1951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600A KR100261324B1 (ko) 1997-08-25 1997-08-25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3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452A (ko) * 2000-12-28 2002-07-09 오길록 주문형 맞춤 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공유형 제품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5441B1 (ko) * 1998-02-27 2003-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판금 부품 데이터의 전송 및 편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00511B1 (ko) * 2000-08-22 2003-10-08 주식회사 모아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
KR100798294B1 (ko) 2006-06-21 2008-01-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설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441B1 (ko) * 1998-02-27 2003-05-27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판금 부품 데이터의 전송 및 편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00511B1 (ko) * 2000-08-22 2003-10-08 주식회사 모아바 컴퓨터를 이용한 건축도면 분석 및 처리방법
KR20020055452A (ko) * 2000-12-28 2002-07-09 오길록 주문형 맞춤 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공유형 제품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8294B1 (ko) 2006-06-21 2008-01-2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레인 설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326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lone et al. Electronic markets and electronic hierarchies
McCutcheon et al. The customization-responsiveness squeeze
CN113344338A (zh) 生产排程方法、系统、设备及介质、生产排程管理平台
US20060129462A1 (en) Automated planning and manufacturing systems
Lee A Recent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anufacturingSystem: A Hybrid of MRP and JIT
KR20020055452A (ko) 주문형 맞춤 설계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공유형 제품 설계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29461A1 (en) Data entry and system for automated order, design, and manufacture of ordered parts
Williamson Target and kaizen costing
KR20210082919A (ko) 고객정보 연계 및 활용에 의한 생산물류 erp 자동화 시스템
CN110796416A (zh) 一种基于工业联网订单处理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KR100261324B1 (ko) 설계 옵션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공유형 설계 시스템
US7493184B2 (en) Available to promise allocation optimization tool
US20060129270A1 (en) Processes and systems for creation of machine control for specialty machines requiring manual input
Chick et al. A descriptive multi‐attribute model for reconfigurable machining system selection examining buyer‐supplier relationships
Grijota et al. Product development methodology" scalability"
US20220335354A1 (en) Integrating and automating supply and demand chains
CN109034609A (zh) 快速交付的软件产品设计方法及系统
Sozinova et al. MARKETING QUALITY MANAGEMENT IN INDUSTRY 4.0 IN TRANSBORDER MARKETS.
JP7392725B2 (ja) 交渉システム、交渉方法および交渉プログラム
Rambabu et al. Gap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process involved in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by integrat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KR100800593B1 (ko) 금형생산공정관리장치 및 그 방법
Chin et al. Designing Automated Batch-Processing Production Planning for Manufacturing based on Asset-Oriented Modelling
Troutt et al. Multi-stage efficiency tools for goal setting and monitoring in supply chains
KR102063113B1 (ko) 운영방식을 개선시킨 가방 생산원가산정 통합 관리시스템
JP2001243292A (ja) ネットワーク受注および製造情報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