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177B1 - 메시지 핸들링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핸들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177B1
KR100261177B1 KR1019980008781A KR19980008781A KR100261177B1 KR 100261177 B1 KR100261177 B1 KR 100261177B1 KR 1019980008781 A KR1019980008781 A KR 1019980008781A KR 19980008781 A KR19980008781 A KR 19980008781A KR 100261177 B1 KR100261177 B1 KR 10026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ddress
fat
allocation table
file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888A (ko
Inventor
이창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0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1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06F3/0611Improving I/O performance in relation to respons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7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avail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메모리 소자의 컴퓨터 보조기억장치의 데이터 관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즉, 보다 빨리 데이터 저장 장소에 억세스 할 수 있는 메시지 핸들링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메시지 핸들링방법은 각 블록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 복수개의 블록들이 베드(bad)블록인지 굿(good)블록인지 채킹하는 단계, 한 블록에 쓰여질 수 있는 파일할당테이블의 엔트리(entry) 개수를 채킹하는 단계,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단계, 굿블록일 경우 부트섹터와 상기 각각의 파일할당테이블이 위치할 어드레스를 최초의 파일할당테이블의 블록에 정의하는 단계, 굿블록일 경우에 어드레스가 정의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Tag bit)에 사용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단계, 베드블록일 경우에도 어드레스가 정의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에 상기 사용중이라는 표시와 동일한 표시를 한 후에 블록어드레스를 증가하는 단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찾는 단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찾아낸 최초의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부트섹터(boot sector)에 저장하고 상기 찾아낸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의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에 사용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단계, 데이터 최대 수용용량 개수와 동일개수의 디렉토리 성분들의 저장을 필요한 디렉토리수 만큼 반복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시지 핸들링방법
본 발명은 메시지 핸들링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소자의 컴퓨터 보조기억장치의 데이터 관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으로 즉, 보다 빨리 데이터 저장 장소에 억세스 할 수 있는 메시지 핸들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메시지 핸들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스(Disk Operating System:DOS)에서 쓰이는 데이터 처리기술은 디스크(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에 적용되어 왔다. 그리고 도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를 크게 두부분으로 나눈다. 하나는 디스크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시스템 영역 이고, 다른하나는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도스의 시스템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영역은 크게 부트섹터(Boot sector)와 파일할당 테이블(File Allocation Table:FAT)과 루트(Root)디렉토리 등록부를 기본 구조로 사용한다.
먼저 부트섹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가 포맷팅되면 디스크의 앞면 0번 트랙 1번 섹터에 도스를 메모리로 읽어들이는 일 즉, 부팅에 관한 정보를 수록한다. 여기서 부팅에 관한 정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어드레스(0h∼1FF번지)에 각각 도스버전, 섹터당 바이트수(512), 클러스터당 섹터수(1,2,4), 예비섹터수, FAT의 개수, 루트등록에 수록될 수 있는 파일의 최대갯수, 디스크의 총 섹터수, 디스크의 유형, FAT 1개당 섹터수, 트랙당 섹터수, 면의수(헤드수), 숨겨진 섹터수, 부트 스트랩루틴등과 같은 정보를 수록한다. 도스는 디스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데이터영역의 어느부분이 사용되고 있고, 어느 부분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지를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 각 부분의 상태를 기록하는 표와 같은 역할은 부트섹터 다음에 위치하는 FAT이 한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스는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을 클러스터(cluster)라는 단위로 관리하고 클러스터의 크기에 관계없이 디스크의 데이터 영역을 클러스터 단위로 나누어 저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는 FAT를 이용하여 통제된다. 이와 같이 FAT는 디스크상의 각 클러스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다. 각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FAT의 내용은 해당 클러스터가 사용중인가 아닌가를 의미한다. 만약 000h코드가 기록되어 있으면 해당 클러스터는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표시하며, 0이외의 값이 기록되어 있으면 사용중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FAT에 쓰이는 코드의 종류와 그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000h 코드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미사용 클러스터라는 것이고, 001h 코드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클러스터라는 것이고, 002h∼FF6h 코드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파일과 부등록부의 다음번 클러스터 번호라는 것이고, FF7h 코드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대응 클러스터에 불량 섹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FF8h∼FFFh 코드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대응 클러스터가 파일 또는 부등록부의 끝 클러스터라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도스는 데이터영역과 그 관리 장부인 FAT를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대비할 수 있다. 그리고 FAT는 데이터가 파괴될 경우를 생각하여 한 디스크에 두 개가 존재한다. 첫 번째 FAT은 실제로 사용되는 것이고, 두 번째 FAT은 비상시에 사용된다.
다음에 FAT의 다음에 위치하는 루트 디렉토리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디스크에 수록되어 있는 각 파일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여기서 파일에 대한 정보에는 파일명(File Name)과 화장자와 파일의 속성(Attribute)과 시간과 날짜와 시작 클러스터 번호와 파일의 크기(File size)와 같은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영역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를 켜면 롬바이오스의 파워 온 셀프 테스트(Power On Self Test:POST) 루틴이 실행되어 컴퓨터 스스로 이상유무를 채킹하고, 이어서 부트섹터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부트섹터 시작부분의 JMP 부트 스트랩(strap) 루틴 시작 어드레스 명령에 의해 부트섹터 시작부분의 부트 스트랩 루틴이 실행되어 해당 디스크로 컴퓨터를 부팅시킬수 있는지를 점검해서 부팅할 수 있으면 부팅하고 그렇지 못하면 에러 메시지를 내보낸다.
부팅이 되고 디스크 상의 데이터를 억세스 하려면 루트디렉토리로 이동하여 해당 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작 클루스터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FAT을 참조하여 디스크 상의 비연속적 데이터(클루스터)들을 찾아다닐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클루스터에 파일이 차례대로 수록되어 있다. 예를들어 첫 번째 클루스터와 두 번째 클루스터에 파일1(file1)의 데이터가 수록되고, 세 번째 클루스터에 파일2(file2)의 데이터가 수록되고, 네 번째 클루스터에 파일3(file3)의 데이터가 수록되고, 다섯 번째 클루스터에는 파일4(file4)의 데이터가 수록된다. 그리고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 클루스터에는 파일5(file5)가 수록된다. 그리고 여덟 번째 클루스터는 비어있다. 여기서 파일1과 파일5는 크기가 2클루스터이고 파일2와 파일3과 파일4는 크기가 1클루스터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파일이 수록된 복수개의 클루스터에서 파일2와 파일4를 삭제하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번째 클루스터와 다섯 번째 클루스터와 여덟 번째 클루스터가 비게된다.
이후에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3클루스터인 새로운 파일을 수록하려면 도 3의 (a)에서와 같이 FAT를 참조하여 비어있는 클루스터를 찾아내어 새로운 파일을 순차적으로 비어있는 클루스터에 수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메시지 핸들링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부트섹터와 파일 할당 테이블(FAT)과 루트 디렉토리등은 도스에 쓰이던 개념들로 속도에 있어서 데이터 서치(search) 및 억세스가 빠르지 않다. 그리고 상당히 많은 부분을 디스크의 헤더부분에 할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복잡한 헤더를 갖게되고 이용가능한 저장공간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보다 빠르게 데이터 핸들링을 할 수 있는 메시지 핸들링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디스크의 구조도
도 2는 종래 부트섹터의 내부구성도
도 3의 (a)와 (b) 종래 파일 할당 테이블(FAT)의 내부구성도
도 4는 종래 루트 디렉토리의 내부구성도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FAT에 파일이 수록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부트섹터의 내부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루트 디렉토리의 내부구성도
도 8의 (a)는 본 발명 파일 할당 테이블(FAT)의 내부구성도
도 8의 (b)는 본 발명 ARAM의 내부구성도
도 9는 FAT와 ARAM을 초기화시키는 플로우 챠트
도 10은 디렉토리를 초기화시키는 플로우 챠트
도 11은 메모리를 채킹하는 플로우 챠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메시지 핸들링방법은 각 블록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 복수개의 블록들이 베드(bad)블록인지 굿(good)블록인지 채킹하는 단계, 한 블록에 쓰여질 수 있는 파일할당테이블의 엔트리(entry) 개수를 채킹하는 단계,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단계, 굿블록일 경우 부트섹터와 상기 각각의 파일할당테이블이 위치할 어드레스를 최초의 파일할당테이블의 블록에 정의하는 단계, 굿블록일 경우에 어드레스가 정의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Tag bit)에 사용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단계, 베드블록일 경우에도 어드레스가 정의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에 상기 사용중이라는 표시와 동일한 표시를 한 후에 블록어드레스를 증가하는 단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찾는 단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찾아낸 최초의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부트섹터(boot sector)에 저장하고 상기 찾아낸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의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에 사용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단계, 데이터 최대 수용용량 개수와 동일개수의 디렉토리 성분들의 저장을 필요한 디렉토리수 만큼 반복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메시지 핸들링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 부트섹터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루트 디렉토리의 내부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8의 (a)는 본 발명 파일 할당 테이블(FAT)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 ARAM의 내부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9는 FAT와 ARAM을 초기화시키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10은 디렉토리를 초기화시키는 플로우 챠트이며, 도 11은 메모리를 채킹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 부트섹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 할당 테이블(File Allocation Table:FAT)의 어드레스들(FAT_ADDRs)과 디렉토리의 어드레스들(DIR_ADDRs)과, 여유 어드레스들(Free_block ADDRs)과, 총 데이터 번호(Total data number)를 저장하는 블럭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루트 디렉토리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DSP방식의 자동응답전화기용 핵심칩인 디지탈 전화 응답 소자(DTAD:Digital Tapeless Answering Device)의 메시지 핸들링을 할 경우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RSV라는 것은 파일의 속성과 같은 것으로 인컴밍(Incomming) 메시지 또는 출력(Outgoing)메시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RATE는 녹음된 압축률(고압축 또는 저압축)을 지정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파일 할당 테이블(FAT)은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내 여러개의 블록(수백워드)에 걸쳐서 위치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3개의 블록에 위치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FAT의 블록과 연결하여 ARAM을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된 복수개의 블록앞에 쓰여진 번호는 각 블록의 번호와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각 블록의 앞칸은 테그비트(Tag bit)로써 사용중이거나 배드(BAD) 블록일 경우에는 "1"이라고 기록되고, 사용되지 않거나 삭제된 블록일 경우에는 "0"이라고 기록된다. 예를 들어서 "1"이라고 기록된 것 중에 FAT는 첫 번째와 세 번째와 다섯번째 블록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와 네 번째와 열번째 블록은 배드(BAD)블록이다. 그리고 "0"이라고 기록된 것 중에 여섯 번째와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는 사용되지 않는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아홉번째와 열한번째와 열두번째와 열세번째 블록은 순서대로 디렉토리0(DIR0)와 디렉토리1(DIR1)과 디렉토리2(DIR2)와 디렉토리3(DIR3)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FAT를 이용하여 ARAM의 각 블록의 상태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 파일 할당 테이블(FAT)과 ARAM(Audio Random Access Memory)를 초기화하는 과정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메모리의 최초 8k 비트 영역까지는 배드비트(Bad bit)가 없기 때문에 최소블록(8k 비트)를 제외한 다음 블록부터 채킹하는데 채킹하기 전에 블록(Block)의 끝이면 FAT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멈추고, 블록(Block)의 끝이 아니면 블록 채킹 예를 들어 굿블록인지를 채킹한다.
다음에 굿블록(Good block)인지를 채킹하여 굿블록이면 다시 모든 블록에 대해서 초기화를 진행할지를 판별하여 모든 블록에 대하여 초기화를 수행하기를 원하면 블록 어드레스를 증가시키면서 다시 블록의 끝인지를 판별하는 동작을 여러개의 FAT 블록에 대해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모든 FAT에 대해 실행하지 않으려면 굿블록(Good block)으로 판별된 블록만을 FAT블록으로 쓴다. 이어서 굿블록으로 판별된 FAT 블록 어드레스를 부트섹터에 저장한다. 그리고 현재 찾아진 굿블록의 FAT에 지금의 블록이 그 FAT에 의해 점유되었음을 FAT의 테그 비트(Tag bit)에 저장한다. 다음에 블록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다시 블록의 끝인지를 판별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이에 반해서 블록채킹하여 배드블록(Bad block)일 경우에는 일시적인 FAT에 채킹된 블록 어드레스를 "USED"로 저장한다. 그리고 임시 FAT에 배드블록 표시를 한다. 이후에 블록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고 다시 블록의 끝인지를 판별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메모리 내의 모든 블록들을 처리할 때 까지 계속반복한다.
이어서 디렉토리를 초기화 시키는 과정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FAT를 참조하여 비어있는 블록을 찾아낸다. 그리고 FAT을 참조하여 찾아낸 최초의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부트섹터내의 DIR0(최초의 DIR)의 위치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부트섹터에 저장된 블록 어드레스는 DIR의 어드레스로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DIR도 메모리 내의 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FAT의 해당 블록(DIR이 위치할) 어드레스에 "USED" 표시를 한다. 그리고 찾아진 비어있는 블록의 FAT에 지금의 블록이 DIR에 의해 점유되었음을 FAT의 Tag bit에 저장한다. 다음에 필요한 수만큼 새로운 블록을 찾아내서 부트섹터와 FAT에 블록의 어드레스를 기입한다. 그리고 필요한 DIR 수 만큼 실행을 했으면 DIR 초기화 과정을 끝낸다.
다음에 FAT와 DIR을 초기화시킨 후에 메모리를 저장하고 재생시키는 과정을 메모리 채킹동작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모리를 저장하기 위한 동작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입력단을 통해 들어오면 FAT에 정의된 최초의 비어있는 블록(Block)을 찾아서 그 블록에서 부터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한 블록이상이 필요할 경우에는 FAT를 참조하여 다음의 비어있는 블록을 찾아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각 블록에 데이터를 입력한 후에 해당 FAT의 Tag bit에 "USED" 표시를 한다. 이후에 DIR 블록의 위치를 DIR 영역의 블록번호(블록어드레스)를 갖는 부트섹터와, FAT을 참조하여 찾아내어 입력된 순서대로 해당 데이터의 핵심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DIR이 복수개의 블록에 분포되었을 때는 그 위치와 점유여부를 표시해준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필요에 따라서 메모리저장부에서 데이터를 찾아내어 사용하려면 DIR단위로 검색을 하여 해당 DIR을 먼저 찾아낸다. 다음에 해당 DIR의 내용을 스캔하여 데이터가 시작되는 블록의 어드레스를 알아낸 뒤 데이터를 가져오고 다시 FAT의 정보를 참조하여 다음 블록에 액세스(access)함으로써 한 블록이상의 연속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메시지 핸들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FAT에 디램과 플래쉬 메모리 등의 컴퓨터 보조기억장치의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빠르게 데이터저장부에 액세스(access)할 수 있다.

Claims (3)

  1. 각 블록의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
    복수개의 블록들이 베드(bad)블록인지 굿(good)블록인지 채킹하는 단계,
    한 블록에 쓰여질 수 있는 파일할당테이블의 엔트리(entry) 개수를 채킹하는 단계,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단계,
    굿블록일 경우 부트섹터와 상기 각각의 파일할당테이블이 위치할 어드레스를 최초의 파일할당테이블의 블록에 정의하는 단계,
    굿블록일 경우에 어드레스가 정의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Tag bit)에 사용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단계,
    베드블록일 경우에도 어드레스가 정의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에 상기 사용중이라는 표시와 동일한 표시를 한 후에 블록어드레스를 증가하는 단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찾는 단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찾아낸 최초의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부트섹터(boot sector)에 저장하고 상기 찾아낸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의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에 사용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단계,
    데이터 최대 수용용량 개수와 동일개수의 디렉토리 성분들의 저장을 필요한 디렉토리수 만큼 반복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핸들링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을 참조하여 찾아낸 최초의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를 부트섹터내의 최초의 디렉토리의 위치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핸들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어있는 블록 어드레스의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에 지금의 블록이 디렉토리에 의해 점유되었음을 상기 파일할당테이블의 테그비트(Tag bit)에 표시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핸들링방법.
KR1019980008781A 1998-03-16 1998-03-16 메시지 핸들링방법 KR10026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781A KR100261177B1 (ko) 1998-03-16 1998-03-16 메시지 핸들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781A KR100261177B1 (ko) 1998-03-16 1998-03-16 메시지 핸들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88A KR19990074888A (ko) 1999-10-05
KR100261177B1 true KR100261177B1 (ko) 2000-07-01

Family

ID=1953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781A KR100261177B1 (ko) 1998-03-16 1998-03-16 메시지 핸들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6890A (zh) * 2019-11-28 2020-04-17 天脉聚源(杭州)传媒科技有限公司 基于索引表的图片数据存储方法、系统、装置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888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1696B2 (en) File system for nonvolatile memory
US8521790B2 (en) Increasing efficiency of data storage in a file system
US6823417B2 (en) Memory controller for memory card manages file allocation table
US5915129A (e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uncompressed data in a memory cache that is destined for a compressed file system
US5375233A (en) File system
US5481519A (en)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managing file data on a recording medium
US6353837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mass storage access from systems using different meta-data formats
US5774715A (en) File system level compression using holes
US71464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ccess to memory devices requiring block writing
US5734892A (en)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and storage of compressed data
EP0314186A2 (e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writable optical discs
JP2000515284A (ja) ツリー構造に分類されたファイルを含むicカード
WO2000019314A9 (en) Method and device for booting a cd-rom from a single disk image having multiple emulations
US20050144501A1 (en) Method for recovering data in EXT2 fil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corded with data-recovery program
JP2002202902A (ja) パーティション作成方法および削除方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
US6233105B1 (en) Method of disk formatting
KR20030031900A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US5608905A (en) DOS and Macintosh preformatted computer storage media
KR100261177B1 (ko) 메시지 핸들링방법
Zhang et al. The research of data recovery on Windows file systems
CN112905546A (zh) 已删除文件的恢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1056774A (ja) ファイル領域管理方法
JP2008134777A (ja) ファイル割当テーブルのキャッシュ方法
US7693920B2 (en) Recycle-free directory entry system and method
JPH02116936A (ja) 再編成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