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142B1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142B1
KR100261142B1 KR1019980001576A KR19980001576A KR100261142B1 KR 100261142 B1 KR100261142 B1 KR 100261142B1 KR 1019980001576 A KR1019980001576 A KR 1019980001576A KR 19980001576 A KR19980001576 A KR 19980001576A KR 100261142 B1 KR100261142 B1 KR 100261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ashing
detergent
wat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997A (ko
Inventor
오득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0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1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6Arrangements for avoiding detergent wastage in the discharge condui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의 낭비를 막아 세탁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 및 세제를 담아두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좌우교반 또는 일방향 회전을 하면서 세탁/탈수를 수행하는 드럼과, 상기 세탁조에 연결되어 탈수시 배수를 수행하는 배수호스 및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의 입구부에 삽입 설치되어 세탁시 세탁수를 배수호스의 입구부에만 머물게 하는 세제 막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제가 세탁물의 세탁에 사용되지 않고 바로 배수호스를 통해 빠져나가는 현상을 없애기 위한 드럼세탁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드럼세탁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에 지지되어 있는 외조(2)와, 상기 외조(2)의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력에 의한 세탁을 실시하는 드럼(3)과, 세탁을 위한 세제(4) 및 세탁수의 급수 통로가 되는 세제통(5)과, 세탁이 끝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6) 및 배수펌프(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의 내측면에는 3개의 대형 세탁날개(8)가 구비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9는 세탁물이고, 10은 세탁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드럼세탁기는 드럼(3)의 내부에 세탁물(9)을 투입한 후 외조(2)에 세제(4)와 함께 세탁수(10)를 급수한다.
세제(4) 및 세탁수(10)가 채워진 후 드럼(3)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드럼(3)에 형성된 3개의 대형 세탁날개(8)가 드럼(2)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9)을 수면밖으로 끌고나오다가 세탁날개(8)가 일정각 위치가 되면 세탁물(9)이 중력에 의해 세탁수로 자유 낙하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세탁물(9)에 기계력을 전달하여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세탁을 수행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헹굼을 하고, 헹굼이 끝나면 드럼(3)을 일방향으로 고속회전시켜 탈수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드럼(3)은 세탁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좌우교반하게 되며, 탈수시는 일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드럼세탁기는 초기 급수가 시작될 때 세탁수와 함께 세탁기의 내부에 투입되는 세제 중 일부가 급수되는 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 배수호스에 가라앉게 되어 드럼의 좌우교반에 의한 세탁이 수행되는 동안 계속 배수호스 내에 머물러 있다가 세탁이 끝나고 탈수가 될 때 물과 함께 배수펌프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수되므로 세탁력이 저하되고, 세제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드럼세탁기의 배수구 입구에 세탁시는 폐쇄되고, 배수시는 개방되는 세제막음장치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세탁시 이 부위에 모이는 세제를 세탁에 활용하도록 하여 세제를 절약하고, 세탁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드럼세탁기의 동작도로서,
(가)는 초기 급수가 시작될 때.
(나)는 급수가 완료된 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세제 막음장치 구성도로서,
(가)는 평면도.
(나)는 측단면도.
(다)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제 막음장치의 동작도로서,
(가)는 배수펌프 작동 초기.
(나)는 배수펌프 작동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세제 막음장치 102 : 하우징
103 : 캡 103a : 오목홈
104 : 리브 105 : 오조립 방지홈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구성도로서, 케이스(1)의 내부에 세탁조(2), 드럼(3), 세제통(5), 배수호스(6), 배수펌프(7)가 구비됨은 종래와 동일하나 배수호스(6)의 입구부에 세제(4)의 낭비를 방지하는 장치를 삽입설치한 것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이 장치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부호는 종래와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이 장치를 세제 막음장치(101)라 칭한다.
상기 세제 막음장치(101)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호스(6)의 입구부에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캡(103)과, 상기 캡(103)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리브(104)로 구성된다.
상기 캡(103)의 일정 부위에는 물을 담아 하중이 하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배수호스(6)를 폐쇄하도록 오목홈(103a)이 형성되며, 리브(104)는 반원형으로서, 이 오목홈(103a)이 형성된 부위에서는 캡(103)의 하부에, 반대면에서는 캡(103)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캡(103)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 방지홈(105)이 하우징(102)의 일정부위에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물(9)이 드럼(3)에 투입되고, 세탁수(10)와 세제(4)가 세탁조(2)에 채워진 후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때, 세제(4)의 일부는 급수되는 물에 의해 하방향으로 씻기어 내려가 배수호스(6)의 입구부에 모이게 된다.
상기 배수호스(6)의 입구부에는 이미 세제 막음장치(101)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세제는 이 세제 막음장치(101)에 모이게 되며, 드럼(3)의 좌우교반에 따라 용해되어 세탁에 조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세탁이 완료되고 세탁조(2) 내의 세탁수(10)를 배수할 때에는 배수펌프(7)의 펌핑에 따른 흡입력이 작용하게 되고, 수평을 이루었던 세제 막음장치(101)의 캡(103)은 이 흡입력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배수가 진행된다.
배수 초기에는 도 4 의 (가)와 같이, 캡(103)의 오목홈(103a)에 담긴 물의 하중에 의해 조그만 경사각을 두고 물을 배수하게 되나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도 4 의 (나)와 같이, 캡(103)이 거의 90°로 완전 개방되어 세탁조(2) 내부의 물을 바깥으로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시에는 폐쇄되고, 탈수시에는 개방되는 세제 막음장치를 배수호스의 입구부에 삽입 설치하여 세탁수 투입시 물에 의해 씻기어 내려간 세제를 세탁 진행동안 세탁조 내에 머물게 함으로써 이 세제가 용해되어 세탁을 실시하게 되므로 세탁 성능이 향상되고, 세제의 낭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세탁수 및 세제를 담아두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좌우교반 또는 일방향 회전을 하면서 세탁/탈수를 수행하는 드럼과,
    상기 세탁조에 연결되어 탈수시 배수를 수행하는 배수호스 및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의 입구부에 삽입 설치되어 세탁시 세탁수를 배수호스의 입구부에만 머물게 하는 세제 막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막음장치는 세탁시는 폐쇄되고, 탈수시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막음장치는 배수호스에 삽입되는 하우징과,
    급수 및 배수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끼워진 캡과,
    상기 캡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정 부위에는 하방향으로 무게가 작용하여 배수구를 폐쇄하도록 물을 담을 수 있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캡의 오목홈이 위치한 부분에서는 캡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반대면에서는 캡의 상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반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정부위에는 캡의 정확한 조립 위치를 표시해주는 오조립 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KR1019980001576A 1998-01-20 1998-01-20 드럼세탁기 KR10026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576A KR100261142B1 (ko) 1998-01-20 1998-01-20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576A KR100261142B1 (ko) 1998-01-20 1998-01-20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997A KR19990065997A (ko) 1999-08-16
KR100261142B1 true KR100261142B1 (ko) 2000-07-01

Family

ID=1953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576A KR100261142B1 (ko) 1998-01-20 1998-01-20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1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997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664B1 (ko) 드럼세탁기
KR20070017732A (ko) 드럼 세탁기
KR20070063658A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10094413A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헹굼 방법
WO2019128470A1 (zh) 一种洗涤设备及洗涤水出水方法
KR100261142B1 (ko) 드럼세탁기
KR20030024577A (ko) 세탁기
JP200606840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787064B1 (ko) 배수펌프 어셈블리 및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를 구비하는드럼세탁기
KR20050086204A (ko) 드럼 세탁기
KR100263446B1 (ko) 2조식 세탁기
KR200154560Y1 (ko) 2조식세탁기의탈수조배수구조
KR100192452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제 용해 제어방법
KR101010692B1 (ko) 드럼 세탁기
KR100213065B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300574B1 (ko) 경사가변 세탁기
KR0147321B1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KR20040047231A (ko) 드럼 세탁기의 터브
KR19990011193U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00315772B1 (ko) 원심 배수형 세탁기
KR0128625Y1 (ko) 전자동 세탁기
KR100360430B1 (ko) 세탁기의 배수 장치
KR100231329B1 (ko) 절수형 세탁기의 배수장치
KR0126508Y1 (ko) 배수펌프를 이용한 낙하수류세탁기
KR100300576B1 (ko) 기울어지는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