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934B1 -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934B1
KR100258934B1 KR1019970032916A KR19970032916A KR100258934B1 KR 100258934 B1 KR100258934 B1 KR 100258934B1 KR 1019970032916 A KR1019970032916 A KR 1019970032916A KR 19970032916 A KR19970032916 A KR 19970032916A KR 100258934 B1 KR100258934 B1 KR 10025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alphabet
english word
word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0218A (ko
Inventor
권재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9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8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ontext analysis, e.g. recognition aided by known co-occurr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2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 G06V30/1423Image acquisition using hand-held instruments;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struments the instrument generating sequences of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handwri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Abstract

본 발명은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장치는 단어 입력부, 군집 선택부 및 단어 인식부를 포함한다.
단어 입력부는 입력되는 영문단어의 궤적을 (x,y) 좌표 점열의 형태로 기록한다. 군집 선택부는 군집 ID가 부여된 알파벳 군집을 복수개 포함하는 군집그룹으로부터, 상기 단어 입력부에서 기록된 영문단어를 획별로 분류한 것에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을 복수개 선택한다. 단어 인식부는 상기 군집 선택부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군집 내에 포함된 각 알파벳을 분류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한다. 상기 장치는 기억장소의 유무에 따라 인식된 영문단어와 비교하기 위한 영어단어를 저장하는 영단어 사전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파벳을 군집으로 분류하여 단어를 인식하기 때문에 획 매칭 대상을 줄임으로써 인식속도를 높이고 영문단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nglish word on line by selecting alphabet from the alphabet groups}
본 발명은 문자인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인식은 디지타이저(Digitizer)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상에서 사용자가 펜으로 입력한 단어를 인식하여 컴퓨터가 인지할 수 있는 ASCII 코드로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HPC(Hand-held PC) 등의 초소형 컴퓨터의 입력방법으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필기한 영문단어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은 세 가지가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첫째 방법은, 알파벳 형태에 관한 정보 없이 단어를 알파벳으로 나누어 인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크게 낮다. 둘째 방법은, 모든 가능한 알파벳의 조합에 대하여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정확도는 높으나 복잡도가 커서 인식속도가 느리다. 셋째 방법은, 단어 전체에 대하여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인식하려는 단어 수가 많아지면 정확도 및 속도가 모두 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영문단어 인식장치(위 둘째 방법 사용)로 단어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영문단어는 patent를 예로 들었으며, 단어를 획별로 풀어서 쓴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은 기억장소 문제로 각 획까지의 후보문자를 n 개(도 1에서는 a에 대한 후보문자 d u q의 3개)로 제한하므로, 현재 후보(d u q)에 정답(a)이 없을 경우 이 후 정확한 인식을 수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영문단어 인식장치 및 방법은, 문자인식의 정확도가 낮고, 문자인식을 수행하는 속도가 느려 인식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알파벳 군집에 대하여 모든 획조합에 의한 인식을 수행하여 영문단어를 인식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영문단어 인식장치(위 둘째 방법 사용)로 단어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5의 제1군집그룹을 이용하여 patent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제1 내지 제3군집그룹의 군집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어 입력부, 군집 선택부 및 단어 인식부를 포함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가 제공된다.
단어 입력부는 입력되는 영문단어의 궤적을 (x,y) 좌표 점열의 형태로 기록한다. 군집 선택부는 군집 ID가 부여된 알파벳 군집을 복수개 포함하는 군집그룹으로부터, 상기 단어 입력부에서 기록된 영문단어 조합에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을 복수개 선택한다. 상기 단어 입력부에서 기록된 영문단어 조합은 영문단어를 획별로 분류하거나 영문단어를 알파벳으로 분류한 것이다. 단어 인식부는 상기 군집 선택부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군집 내에 포함된 각 알파벳을 분류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한다. 상기 장치는 기억장소의 유무에 따라 인식된 영문단어와 비교하기 위한 영어단어를 저장하는 영단어 사전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포함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방법이 제공된다.
제1단계는 입력된 영문단어 조합에 대응되는 군집의 순열을 복수개 선택한다.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군집 내에 포함된 각 알파벳을 분류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하여 출력한다. 상기 방법은 인식된 단어를 영단어 사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입력된 영문단어의 인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군집은 단어 인식시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잘못 인식될 수 있는 알파벳의 그룹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해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단어 입력부(10), 군집 선택부(12), 단어 인식부(14) 및 영단어 사전 저장부(16)를 포함한다. 단어 입력부(10)는 입력되는 영문단어의 궤적을 (x,y) 좌표 점열의 형태로 기록하여 군집 선택부(12)로 출력한다. 군집 선택부(12)는 군집 ID가 부여된 알파벳 군집을 복수개 포함하는 군집그룹으로부터, 단어 입력부(10)에서 기록된 영문단어를 획별로 분류한 것에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을 복수개 선택한다. 단어 인식부(14)는 군집 선택부(12)에서 선택된 복수개의 군집 내에 포함된 각 알파벳을 분류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한다. 단어 인식부(14)에서 인식된 데이터는 여러 가지 처리를 위해 다른 블록으로 출력된다. 영단어 사전 저장부(16)는 단어 인식부(14)에서 인식된 영문단어와 비교하기 위한 영어단어를 저장한다. 영단어 사전 저장부(16)는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기억장소의 문제가 있으므로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블록이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된 장치는 영문단어를 인식한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어 입력부(10)로 입력된 영문단어는 그 궤적이 (x,y) 좌표 점열의 형태로 기록되어 군집 선택부(12)로 입력된다. 군집 선택부(12)에서는 군집 ID가 부여된 알파벳 군집을 복수개 포함하는 군집그룹으로부터, 단어 입력부(10)에서 기록된 영문단어를 획별로 분류한 것에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이 복수개 선택된다.
도 3은 도 5의 제1군집그룹을 이용하여 patent를 인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가 - 자"는 각획의 번호이다. 제1군집 ID 순열을 예를 들어 단어 인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획(p의 첫획)은 l(군집 ID=5)과 유사하므로 가획의 군집 ID 는 5이다, 나획까지의 획조합은 p(군집 ID=2)이므로 나획의 군집 ID는 2이다. 다획까지의 획조합은 pa이므로 다획의 군집 ID는 21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획까지 획조합한 제1군집그룹의 군집ID 순열을 구하면 214124가 된다.
다음으로 제2군집 ID 순열의 경우를 설명한다. 가획의 경우 군집 ID가 3이 나온 것은 인식기에 따라서는 l(L의 소문자)을 c, o 및 s 중의 어느 하나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획의 군집 ID가 나온 것은 p를 l과 o를 합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자획까지 획조합한 제2군집 ID 순열은 2141253이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3군집 ID 순열은 2141223이다. 이론적으로는 군집그룹의 군집 ID의 개수는 1-26개(알파벳 개수)까지 가능하나 기억장소와 인식시간을 고려할 때 5-10개 까지의 군집ID를 가지는 군집그룹이 바람직하다. 군집 선택부(12)는 많은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든 가능한 알파벳의 조합에 대하여 인식을 수행하는 작업보다 알파벳을 군집으로 나누어 군집을 선택하는 작업이 훨씬 시간이 덜 걸리게 된다. 또한, 도 3과 도 1을 참조하여 본발명과 종래기술을 비교하면, 종래기술은 현재 후보(알파벳 하나하나)에 정답이 없으면 그 이후 정확한 인식을 수행할 수 없으나 본발명은 형태나 모양이 비슷한 여러 개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래기술 보다 인식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도 5는 제1군집그룹 외에도 5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제2군집그룹과 9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제3군집그룹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몇 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군집 인식기를 쓸 것인가는 기억장소나 요구되는 정확성의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단어 인식부(14)에서는 군집 선택부(12)에서 선택된 최종 획까지의 군집 ID 순열 즉 214124, 2141253 및 215324에 대해 차례대로 알파벳 분류를 수행하여 단어를 인식한다. 214124 순열의 경우 처음 2로부터 p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찾고, 다음 1로부터는 a에 해당하는 알파벳을 찾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patent 라는 단어를 인식하는 것이다. 하나의 군집 순열로 정확하게 영문단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복수개(도 3에서는 3개)의 군집 ID 순열을 선택하는 것이다. 단어 인식부(14)에서 잘못 인식하는 겅우, 예컨대 patent를 petant로 잘못 인식한 경우에는 영단어 사전 저장부(16)에 저장된 영어단어와 비교하여 보다 정확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한다. 제1단계(306-310)는 입력된 영문단어를 획별로 분류한 것에 대응되는 n개의 군집순열을 선택한다. 제2단계(312)는 선택된 복수개의 군집 내에 포함된 각 알파벳을 분류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하여 출력한다. 제3단계(314)는 인식된 영문단어와 영단어 사전 저장부에 저장된 영문단어를 비교하여 인식된 단어가 영단어 사전과 일치하지 않으면 영단어 사전의 단어를 출력한다. 제3단계(314)는 영단어 사전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소가 부족한 경우 생략할 수 있다. 제4단계(316)는 입력된 영문단어의 인식 여부, 즉 사용자가 입력한 영문단어가 인식이 되어 시스템이 동작을 하는지(입력 데이터가 처리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인식이 잘못 되어 시스템이 동작을 하지 않으면 영문단어를 입력하는 단계(300)로 가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군집선택부(12)는 단어를 획별로 분류한 것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군집순열을 선택하나, 영문단어의 각 알파벳으로 분류한 것과 대응하는 복수개의 군집순열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영문 소문자 군집을 예로 들었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대문자 및 대소문자 혼용 문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문자형태도 인쇄체, 필기체 및 양자의 혼용체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파벳을 군집으로 분류하여 단어를 인식하기 때문에 획 매칭 대상을 줄임으로써 인식속도를 높이고, 모든 가능한 알파벳의 조합에 대하여 인식을 수행하는 장치나 방법에 비해 영문단어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인식한 단어를 영단어 사전과 비교함으로써 후처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2)

  1. 입력되는 영문단어의 궤적을 기록하는 단어 입력부;
    각각에 군집 ID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파벳 문자를 포함하는 군집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기 위한 알파벳 군집 저장부;
    상기 단어 입력부에서 기록된 영문단어를 구성하는 각 알파벳 또는 그 조합 또는 상기 각 알파벳을 구성하는 획들에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을 선택하는 군집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각 알파벳 또는 상기 알파벳의 획들과 상기 군집 ID 순열을 비교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하는 단어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는
    현재까지의 영문단어 조합과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을 복수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의 군집그룹의 갯수는 요구되는 인식기에 따라 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의 알파벳 군집에 포함되는 알파벳은 소문자와 대문자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의 알파벳 군집에 포함되는 알파벳은 대문자와 소문자가 혼용된 문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의 알파벳 군집에 포함되는 알파벳의 형태는 인쇄체 및 필기체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의 알파벳 군집에 포함되는 알파벳의 형태는 인쇄체와 필기체가 혼용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인식된 영문단어와 비교하기 위한 영어단어를 저장하는 영단어 사전 저장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 선택부의 군집그룹은
    상기 알파벳 군집의 갯수가 5개, 6개, 7개, 8개, 9개 및 10개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10. 입력되는 영문단어의 궤적을 기록하는 단어입력부, 각각에 군집 ID가 부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파벳 문자를 포함하는 군집을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하기 위한 알파벳 군집 저장부를 구비한 영문단어 인식장치에서의 단어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어 입력부에서 기록된 영문단어를 구성하는 각 알파벳 또는 그 조합 또는 상기 각 알파벳을 구성하는 획들에 대응되는 군집 ID의 순열을 선택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각 알파벳 또는 상기 알파벳의 획들과 상기 군집 ID 순열을 비교하여, 입력된 영문단어를 인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현재까지의 영문단어 조합과 대응되는 군집의 순열을 복수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인식된 영문단어와 영단어 사전 저장부에 저장된 영문단어를 비교하기 위한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단어 인식방법.
KR1019970032916A 1997-07-15 1997-07-15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KR10025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916A KR100258934B1 (ko) 1997-07-15 1997-07-15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916A KR100258934B1 (ko) 1997-07-15 1997-07-15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218A KR19990010218A (ko) 1999-02-05
KR100258934B1 true KR100258934B1 (ko) 2000-06-15

Family

ID=1951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916A KR100258934B1 (ko) 1997-07-15 1997-07-15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505A2 (en) * 2009-03-30 2010-10-14 Synaptics Incorporated Recognizing handwritten wor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22A (ja) * 1991-08-01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英文字認識方法
JPH0573727A (ja) * 1991-09-17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英文字認識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22A (ja) * 1991-08-01 1993-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英文字認識方法
JPH0573727A (ja) * 1991-09-17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英文字認識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7505A2 (en) * 2009-03-30 2010-10-14 Synaptics Incorporated Recognizing handwritten words
WO2010117505A3 (en) * 2009-03-30 2011-01-27 Synaptics Incorporated Recognizing handwritten w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218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482B1 (ko) 수기입력의문자인식방법및장치
US67955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ten chinese characters
CN102449640B (zh) 识别手写单词
US4685142A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written letter recognition
EP0632403B1 (en) Handwritten symbol recognizer and method for recognising handwritten symbols
EP15646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digital ink query
US6731803B1 (en) Points base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6724936B1 (en) Handwriting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 single character set
US5659633A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utilizing compass directions and torsion points as features
Miller On-line recognition of hand-generated symbols
KR100258934B1 (ko) 군집화된 알파벳 추출에 의한 온라인 영문 단어 인식장치 및방법
KR940007345B1 (ko)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의 인식방법
EP0567836A2 (en) Writer style detection and automatic prototype creation for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EP0564826A2 (en) Resolution of case confusions by majority voting rule in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JPH0282380A (ja) 文字認識方法
JP3763262B2 (ja) 手書文字認識装置
Wehbi et al. Numeral characters and capital letters segmentation recognition in mixed handwriting context
Pao et al. An approximate string matching algorithm for on-line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KR100204618B1 (ko) 문자 또는 도형의 인식 방법 및 시스템
Maruyama et al. Cursive handwritten word recognition by integrating multiple classifiers
JPH05189621A (ja)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装置
KR100356503B1 (ko) 학습형문자인식장치
KR940001048B1 (ko) 온라인 필기체문자인식방법
Buchowski et al. OMNIREC: a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JPH012186A (ja) 手書き文字認識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