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33B1 - 진동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8733B1 KR100258733B1 KR1019970026531A KR19970026531A KR100258733B1 KR 100258733 B1 KR100258733 B1 KR 100258733B1 KR 1019970026531 A KR1019970026531 A KR 1019970026531A KR 19970026531 A KR19970026531 A KR 19970026531A KR 100258733 B1 KR100258733 B1 KR 1002587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output
- vibration generator
- power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해 흉곽(胸廓))과 횡경막을 이완시켜 긴장을 제거함으로써 가슴에 머물고 있는 호흡하여 조절하여 고르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턴온상태로 설정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하기 위한 시간설정수단과, 상기 시간설정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 증폭부와, 증폭된 출력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물리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출력 증폭부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속도/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와, 상기 진동발생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신체의 중단전과 하단전 부위에 순차적으로 착용하기 위한 착용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중단전과 하단전에 각각 순차적으로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의 조절에 의해 진동속도/강도를 고속해서 저속으로, 각각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동에 의해 인체의 흉곽(胸廓))과 횡경막을 이완시켜 긴장을 제거함으로써 가슴에 머물고 있는 호흡을 조절하여 고르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오랜시간 동안 앉아서 일을 하거나, 운전을 하거나, 신경을 많이 쓰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중에는 장시간 움직임이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장시간 몸을 움직이지 않고 있게 되면 몸의 근육이 긴장되고, 특히 가슴과 배가 근육긴장으로 굳어져서 호흡이 하단전, 즉 기해혈(氣海血) 또는 회음혈에 전달되지 못하고 가슴까지만 전달되어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흉식호흡을 주로하게 되는데, 흉식호흡시에는 호흡중의 산소가 하단전까지 전달되지 못하며, 가슴에 모인 공기압이 위로 상기되어 어께, 목, 머리 부위 등에 진동파가 전달되므로 피로와 뻐근함을 느끼게 된다. 그 결과 어께는 더욱 긴장되어 위로 올라가 굳어지고 아래배는 긴장되어 등에 붙게되므로 호흡이 길이가 짧고 흐름이 빨라지게 되어 가슴(흉부) 근육을 팽창시켜 주므로 가슴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호흡량이 작게 되면 몸의 각 부분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여 머리가 항상 맑지 못하고, 띵한 느낌을 받게 되며 얼굴혈색이 뜨게된다. 특히 소심증, 우울증, 울화통, 말더듬, 불면증, 신경쇠약 환자의 경우에는 가슴이 항상 답답하고 호흡의 흐름이 불규칙하게 되어 정신집중을 이루지 못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으로 호흡을 깊고 고르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인체의 흉곽과 횡경막의 긴장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도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시된 예가 실용신안 공고 제93-30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단전호흡 운동구"은 운동구의 좌대에 걸터 앉아서 다리를 받침구상에 올려놓고 양발을 한데 모은 상태에서 양 무릎을 옆으로 벌렸다 오므렸다 하는 동작을 연속 반복 운동을 하여 하반신의 골절과 다리근육을 자극시켜 튼튼하게 하고 특히 운동을 하면서 동양 고유의 기공 훈련방법인 단전호흡을 병행하여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할 수 있게 도와준다.
그러나 이러한 단전호흡 운동구는 단전호흡에 도달하는 기간의 단축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하체와 복근의 강화에만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목적은 순차적으로 중단전과 하단전에 가해지는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흉곽과 횡경막을 이완시켜 가슴에 머물고 있는 호흡을 조절하여 고르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 장치에 대한 회로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제2도에 채용 가능한 진동 발생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제1도에서 벨트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실시예.
제5a도 및 제5b도는 각각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를 중단전과 하단전에 착용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를 내장한 진동식 명상기의 명상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인체의 중요한 경혈부위를 나타낸 경혈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3 : 전원 스위치
5 : 속도 7 : 작동램프
9 : 시간설정 스위치 13 : 밴드
15 : 버클식 결합장치 17 : 매직 테이프
19 : 밴드 고정장치 20 : 정전압회로
201 : 정전압용 IC 21 : 밧데리
22 : 전원 스위치 23 : 시간 설정부
231 : 타이머 IC 24 : 출력 증폭부
241 : 파워 트랜지스터 IC 30 : 진동발생기
31 : 구동모터 33 : 언밸런스 웨이트
100 : 단전호흡 수련용 보조장치 TR1 : 스위칭 트랜지스터
X0 : 횡경막 X11 : 중단전
X12 : 하단전 Y : 임맥
Z : 정맥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턴온상태로 설정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하기 위한 시간설정수단과, 상기 시간설정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 증폭부와, 증폭된 출력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물리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출력 증폭부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속도/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와, 상기 진동발생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신체의 중단전과 하단전 부위에 순차적으로 착용하기 위한 착용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을 중단전과 하단전에 각각 순차적으로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의 조절에 의해 진동속도/강도를 고속에서 저속으로, 각각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진동발생장치를 먼저 중단전에 착용한 후 진동속도를 순차적으로 약 10000, 약 8500, 약 7000 rpm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각각 2-3분씩 작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장치를 하단전에 옮겨서 착용한 후 순차적으로 약 10000rpm에서 2-3분, 약 8500 rpm에서 2-3분, 약 7000 rpm에서 10-30분간 작동시킨다.
상기 진동발생기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된 언밸런스 웨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에미터 폴로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의 전원은 내장형 밧데리와, 차량용 시거잭과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장치의 진동속도/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중단전과 하단전에 순서적으로 착용하고 각 위치마다 단계적으로 진동속도를 고속, 중속, 저속으로 조절하면서 설정된 시간동안 호흡 조율을 반복함에 의해 중단전과 하단전에 가해지는 주기적인 진동에 의해 흉곽과 횡경막을 이완시켜 가슴에 머물고 있는 호흡을 조절하여 고르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장치에 대한 회로도, 도 3a 및 3b 는 도 2에 채용 가능한 진동 발생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 내지 4c는 도 1에서 벨트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실시예,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를 중단전과 하단전에 착용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이용한 명상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인체의 중요한 경혈부위를 나타낸 경혈도이다.
먼저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는 하우징(1)의 상측에 장치를 기동시키기 위해 택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 스위치(3)와, 진동속도, 즉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슬라이드식 속도조절 스위치(5)와, 진동발생기용 DC 모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램프(7)가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5)의 일측면에는 작동시간을 0-30분 사이로 설정하기 위한 회전식 시간설정 스위치(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양측에는 본 장치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중단전/하단전 부위에 착용하여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밴드(13)가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한 하우징(1)을 좀더 편리하게 착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한 고무 밴드(13) 이외에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3)의 일단과 하우징(1)의 일측 사이에 버클식 결합장치(15) 구조를 갖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밴드 양단에 매직 테이프(17) 결합 구조를 갖거나, 또는 밴드(13)의 양단을 일단에 다수의 길이 조절구멍이 형성되고 타단에 결합용 고리 또는 버클을 갖는 밴드고정장치 (19)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밴드(13)의 중간에 상기한 매직 테이프 (17)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밴드결합 구조는 간편하게 착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장치에는 진동발생원으로서 하나의 DC 모터(31)를 사용하여, 진동의 강도 조절을 모터(31)의 회전속도를 가변시켜 조절한다.
도 3에는 상기 DC 모터(31)를 이용한 진동발생기(3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진동발생기(30)는 모터(31)의 축에 언밸런스 웨이트(33)를 고정시킨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고 그밖에 다른 종류의 진동발생기도 채용 가능하다. 언밸런스 웨이트 방식에서는 모터(31)의 회전에 따라 언밸런스 웨이트(33)가 회전하여 하우징(1)을 진동시키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용 모터 제어회로는 전원으로서 DC 6-24V의 입력을 받아서 안정된 DC 5V 출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회로(20)가 정전압용 IC(UA7805)(201)과 다이오드(IN4004)(D1)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정전압회로(20)는 어댑터에 의해 상용교류전압 110 또는 220V 전압을 DC 6V로 변환하여 입력하거나 자동차의 시거잭에 직접 삽입하여 사용 가능한 전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또한 내장전원으로서 상기 정전압회로(20)의 출력에 병렬접속된 바람직하게는 재충전 밧데리(BAT)(21)를 구비하고 있다. 정전압회로(20)의 출력과 밧데리(21)사이에는 역방향 저지용 다이오드(D2)와 저항(R1)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밧데리(21)와 정전압회로(20)의 출력은 에미터 폴로워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연결되고, 동시에 저항(R2)을 통하여 택트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22)에 연결되며, 리셋 스위치 역할을 하는 전원 스위치(22)의 타단은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와 접지 사이에는 병렬접속된 저항(R3)과 캐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 스위치(22)가 온상태로 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킨다.
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의 출력은 에미터 저항(R4)으로부터 발생하며, 이 출력은 타이머로 이루어지는 시간설정부(23)로 인가된다.
시간설정부(23)는 타이머 IC(NE555)(231)과 그 주변회로로 구성되며, 주변회로에는 RC 시정수의 변경에 의해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가변저항(VR)과, 저항(R5)과, 캐패시터(C2)로 이루어진 직렬회로가 상기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가변저항(VR)의 가변에 의해 0-30분 범위의 시간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진동발생기 모터(31)의 작동시간을 회전식 가변저항(VR)으로 이루어지는 시간설정 스위치(9)의 설정에 의해 쉽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시간설정부(23)의 출력은 다이오드(D4)를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때에 발생되는 로우 레벨신호를 스위칭 트랜지스터(TR1)에 인가하며, 그 결과 스위칭 트랜지스터(TR1)를 턴오프시킨다.
또한 시간 설정부(23)의 출력은 저항(R6)를 통하여 역방향 저지용 다이오드 (D3)에 인가되고, 다이오드(D3)의 출력은 DC 모터(31)를 구동하는 출력 증폭부(24)의 파워 트랜지스터 IC(241)(LM317)에 인가된다.
이 경우 파워 트랜지스터(241)의 출력은 저항(R7)과 가변저항(VR2)에 의해 결정되며, 슬라이드식 가변저항(VR2)으로 이루어지는 속도조절 스위치(5)에 따라 DC 모터(31)의 회전속도가 7000-10000 rpm 범위로 가변된다.
도 2에서 DC 모터(31)에는 병렬로 저항(R8)과 발광다이오드(LED)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31)가 작동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작동램프(7)를 이루는 LED가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용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동발생기(30)는 속도조절 스위치(5)와 시간설정 스위치(9)를 각각 원하는 설정위치에 미리 설정하고 전원 스위치(3)를 동작시키면, 설정된 회전속도로 DC 모터(31)가 설정된 시간동안 회전 구동된다. 그결과 진동발생기(30)의 언밸런스 웨이트(33)가 회전하게 되어 하우징(1)에 진동이 전달되게 한다.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면 시간설정부(23)의 로우레벨 출력에 의해 스위칭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어 그 결과 시간설정부(23)와 출력 증폭부(24)가 오프되므로 DC 모터(31) 또한 정지된다.
이하에 상기한 진동발생장치를 사용하여 흉곽과 횡경막을 이완시켜 긴장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호흡을 고르게 하는 연습과정을 도 5a 및 5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진동발생기(31)를 내장한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100)를 벨트(13)를 사용하여 신체의 중단전(X11) 부분에 위치하도록 착용하고 앉은 자세를 취한다.
이어서 제1단계에서는 속도조절 스위치(5)를 최대, 즉 1000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9)를 2-3분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3)를 온(ON)시켜 작동시킨후 설정시간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2단계에서 속도조절 스위치(5)를 중간속도, 즉 8500 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9)를 2-3분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3)를 온(ON)시켜 작동시키며 작동이 완료되면, 계속하여 제3단계에서 속도조절 스위치(5)를 최저속도, 즉 7000 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 (9)를 2-3분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3)를 온(ON)시켜 작동시킨다.
상기한 중단전(X11)에 본 발명 장치(100)를 착용하고 단계적으로 진동발생기 (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 이에 따라 진동강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긴장되어 있는 횡경막(X0) 부위를 풀어주고 정신을 이완시켜 주게된다.
그후 본 발명의 장치(100)를 도 5b와 같이 하단전(X12), 즉 배꼽으로부터 4-5cm 부위에 위치하도록 착용한다.
이상태에서 제4단계에서는 긴장되어 있는 횡경막(X0) 부위를 완전하게 풀어주고 정신을 이완시켜 주기 위하여 속도조절 스위치(5)를 최대로 위치시켜 진동발생기(30)를 1000 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9)를 2-3분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몸과 마음을 편안히 갖고 전원 스위치(3)를 온(ON)시켜 작동시킨다.
그후 설정시간이 완료되면, 이어서 제5단계에서 속도조절 스위치(5)를 중간속도, 즉 8500 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9)를 2-3분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작동시킴에 의해 마음을 진정시킨다.
그후 마지막 제6단계에서 속도조절 스위치(5)를 최저속도인 7000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9)를 10-30분 범위에서 개인의 신체조건에 따라 적합한 시간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진동발생기(30)를 작동시키면서 호흡조율을 설정된 시간동안 반복한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진동발생기(5)의 진동파장과 호흡조율의 융합작용으로 가습부터 복부 전체가 이완되어 긴장되어 굳어져 있던 흉곽과 횡경막(X0)의 긴장이 풀리면서 중단전(가슴)(X11)에 머물고 있던 호흡이 천천히 하단전(X12)까지 전달되는 느낌을 준다.
이와 같은 훈련을 반복하면 흉곽과 횡경막의 긴장이 제거됨으로써 호흡을 깊고 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진동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심신상태를 안정된 상태로 이르게 할 수 있는 명상기로도 응용할 수 있다.
이하에 인체의 각종 경혈을 나타낸 도 6a-6c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명상기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명상을 수련할 경우는 명상의 효과를 촉진하도록 예비단계로서 앉은 자세에서 상반신과 팔을 사용한 각종 스트레칭 운동으로 상반신의 근육을 고르게 풀어준다.
그후 제1단계는 양쪽 어께와 양팔을 이완시키는 단계로서, 명상기의 진동강도가 최대로 되도록 진동발생기(30)의 회전속도를 최대인 10000 rpm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손으로 명상기를 잡고 양쪽 어께와 양팔의 각 경혈을 따라 약 30초씩 진동을 가하여 풀어줌에 의해 어께와 팔을 이완시킨다.
즉,어께는 견정혈(X1)에서 중부혈(X2) 순서로, 팔은 대장경혈(X3), 심포경혈 (X4), 심경혈(X5), 소장경혈(X6), 삼초경혈(X7) 순서로 풀어준다.
제2단계는 임맥(Y)에 해당하는 가슴 앞부위를 이완시키는 단계로서, 위경혈 (X8)의 천돌혈(X9)을 시작으로 유중혈(X10)을 지나 옆구리의 담경쪽으로 내려오면서 30초 간격으로 제1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명상기의 진동을 가한다.
제3단계는 동맥(Z)에 해당하는 등뒤 부위를 이완시키는 단계로서, 장강혈( X13), 명문혈(X14), 대추혈(X15) 순서로 상기 제1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명상기의 진동을 가한다.
이어서 제4단계는 임맥(Y)에 해당하는 중단전(X11)을 이완시키는 단계로서, 진동발생기(30)의 회전속도를 각각 최대(10000 rpm), 중간(8500 rpm), 최소(7000 rpm)로 각각 2-3분씩 시간을 설정하여 진동을 인가함에 의해 중단전을 풀어준다.
그후 제5단계로서 명상기를 벨트(13)를 사용하여 하단전(X12)에 착용하고, 먼저 진동강도를 최대, 중간으로 되게 진동발생기(30)의 회전속도를 각각 최대 (10000 rpm), 중간(8500 rpm)으로 각각 2-3분씩 시간을 설정하여 진동을 인가함에 의해 하단전(X12)을 풀어준다.
그후 명상기(100)의 진동강도가 최소로 되게 회전속도를 7000 rpm으로 설정하고, 시간설정 스위치(9)를 자신의 수련시간에 적합한 시간, 예를 들어 10-30분 사이에 설정한 상태에서 진동발생기(30)를 작동시키면서 명상을 수련한다.
이경우 설정된 작동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계속하여 완전한 명상에 잠긴상태를 유지하면서 명상을 수련한다.
도 6에서 미설명부호 X16은 백회혈, X17은 상단전, X18은 배꼽, X19는 회음혈을 각각 가리킨다.
이경우 천천히 정신을 진동파가 흐르는 명상기에 집중하면 긴장으로 상기되어 있던 기운(氣)이나 혈이 진동파와 융합하여 서서히 아래로 내려오게 되며 그 결과 심신이 안정상태로 이르게 되고 머리는 상쾌하고 맑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주기적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기의 속도와 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이를 중단전과 하단전에 순차적으로 착용하고 진동발생기의 속도와 세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면 중단전과 하단전에 가해지는 주기적인 진동으로 흉곽과 횡경막이 이완되어 긴장이 제거됨으로써 호흡을 깊고 고르게 해주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근육이 뭉쳐진 부위 또는 신경통이 있는 경우 각종 경혈부위에 일정시간동안 주기적인 진동을 인가하는 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온시킴에 따라 턴온상태로 설정된느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출력을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하기 위한 시간설정 수단과, 상기 시간설정수단의 출력에 접속되어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파워 트랜지스터와, 증폭된 출력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물리적인 진동을 발생하여 하우징에 전달하는 진동발생기와,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진동발생기의 진동속도/강도를 다단계로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을 신체의 중단전과 하단전 부위에 순차적으로 착용하기 위한 착용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된 언밸런스 웨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에미터 폴로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6531A KR100258733B1 (ko) | 1997-06-23 | 1997-06-23 | 진동 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26531A KR100258733B1 (ko) | 1997-06-23 | 1997-06-23 | 진동 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2819A KR19990002819A (ko) | 1999-01-15 |
KR100258733B1 true KR100258733B1 (ko) | 2000-06-15 |
Family
ID=1951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26531A KR100258733B1 (ko) | 1997-06-23 | 1997-06-23 | 진동 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5873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087897A1 (en) * | 2020-08-31 | 2022-03-2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Vibratory Expulsive Therapy For Urinary Stones |
US11607364B2 (en) * | 2016-05-16 | 2023-03-21 | Satina Medical UG | Stimulating device |
-
1997
- 1997-06-23 KR KR1019970026531A patent/KR10025873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07364B2 (en) * | 2016-05-16 | 2023-03-21 | Satina Medical UG | Stimulating device |
US20220087897A1 (en) * | 2020-08-31 | 2022-03-2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Vibratory Expulsive Therapy For Urinary Ston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2819A (ko) | 199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367432A1 (en) | Electromechanical tactile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 |
US20090076421A1 (en) | Frequency Stimulation Trainer | |
CN101623532B (zh) | 一种失眠、抑郁综合治疗仪 | |
US6959216B2 (en) | Electronic muscle pump | |
RU2721142C1 (ru) |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 высоте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ая лечебная подушка | |
WO2010032902A1 (en) | Massage apparatus | |
KR100258733B1 (ko) | 진동 발생장치 | |
KR100783468B1 (ko) | 벨트형 회전진동 운동기구 | |
CA2308154C (en) | Muscle strengthening tool | |
CN113069318A (zh) | 一种综合型帕金森患者康复训练装置 | |
KR100215497B1 (ko) | 진동식 하단전 이완장치 | |
JP2002085516A (ja) | 健康具 | |
CN2728476Y (zh) | 颈、脑按摩磁疗器 | |
RU103483U1 (ru) | Тренажерный комплекс | |
CN216060990U (zh) | 贴敷装置 | |
CN213430831U (zh) | 一种新型颈托仪 | |
JP2018089075A (ja) | 太極拳の演技と共に使用する電子治療器 | |
CN103462799A (zh) | 一种三阴穴及足三里穴直线电机按摩器 | |
CN113041123A (zh) | 缓解眼疲劳、预防近视的康复方法及穴位治疗贴敷装置 | |
KR200199875Y1 (ko) | 단전 호흡 연습기 | |
CN209769908U (zh) | 一种多功能颈椎修复枕 | |
JP6677836B1 (ja) | Ems装置 | |
RU2002135815A (ru) |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состояния кожи лица и шеи человека в косметологии методом "объемной релаксации" | |
KR20090005813U (ko) | 저주파 자극기 | |
KR200351592Y1 (ko) | 회전형 마사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