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640B1 -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640B1
KR100258640B1 KR1019980011599A KR19980011599A KR100258640B1 KR 100258640 B1 KR100258640 B1 KR 100258640B1 KR 1019980011599 A KR1019980011599 A KR 1019980011599A KR 19980011599 A KR19980011599 A KR 19980011599A KR 100258640 B1 KR100258640 B1 KR 100258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roup
alcoho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152A (ko
Inventor
이희동
이희성
윤대현
Original Assignee
이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동 filed Critical 이희동
Priority to KR101998001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6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C09D11/20Writing inks indeli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후 장기간 보존하여도 변색 또는 퇴색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필기 및 스탬프 잉크 용도의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수소이온농도 지수가 7.0 이상, 내광성이 4급 이상(Gray Scale)이며, 내열성,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및 내표백성이 우수한 증류수 30-50 중량부, 잉크흡수촉진제 10-20 중량부, 수용성 바인더 3-7 중량부, 부패방지제 3-8 중량부, 섬유소결합보조제 5-15 중량부, 염료 10-20 중량부, 염료결합제 3-7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은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표백성 등이 우수하여 중요정부 기록문서와 같이 장기적 기록보존이 요구되는 용도뿐만 아니라 유가증권과 같이 잉크의 변색 또는 퇴색에 의한 위조방지용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록후 장기간 보존하여도 변색 또는 퇴색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필기 및 스탬프용 잉크는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유성잉크와 물을 사용하는 수용성 잉크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유성잉크는 물에 잘 지워지지 않고 필기색감 등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사용하는 유기용제의 인체유해성이 비교적 크고 보존성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
반면, 수용성 잉크는 인체에 비교적 무해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내수성, 내후성 등의 품질 면에서 유성잉크보다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
특히, 잉크의 보존성은 장기간 보존해야만 하는 국가중요 문서에는 중요한 요소로서 기록물이 변색 또는 퇴색되어 원문을 알아보기가 힘든 경우는 심각한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후 장기간 보존하여도 변색 또는 퇴색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게 조절하여 만들어진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는 이미 본 발명인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의 기초가 되는 "불변성 잉크조성물"로 특허출원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8229호로 등록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 제18229호의 "불변성 잉크조성물"은 종래의 변경잉크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덱스트린을 염료에 가하여 불용성 염료가 되게 하여 염료분자와 전사체의 섬유분자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잉크가 지워지지 않게 하였다.
더욱이 내광성과 불변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산성잉크를 안식향산을 가하여 일염기산의 금속염을 만듦으로써 내광성 및 불변성이 우수한 불변잉크를 만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의 장점인 불변성뿐만 아니라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및 내표백성 등의 기록보존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불변성 잉크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증류수 30-50 중량부, 잉크 흡수촉진제 10-20 중량부, 수용성 바인더 3-7 중량부, 부패방지제 3-8 중량부, 섬유소결합보조제 5-15 중량부, 염료 10-20 중량부, 염료결합제 3-7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여 증류수 30-5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잉크흡수촉진제 10-30 중량부; 아밀로덱스트린, 에리트로덱스트린, 아크로덱스트린 및 말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염료결합제 3-7 중량부;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점조조절제 3-15 중량부; 석탄산, 살리실산 및 탄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부패방지제 3-8 중량부; 셀락, 수용성아크릴수지, 수용성우레탄수지, 수용성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용성 바인더 3-7 중량부; 셀룰로우즈에스테르와 안식향산으로 된 섬유소결합보조제 5-15 중량부 및 염료 10-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1)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알코올 10-30 중량부를 50℃ 이상 승온하는 단계;
2) 상기 알코올에 염료 10-20 중량부와 아밀로덱스트린, 에리트로덱스트린, 아크로덱스트린 및 말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덱스트린 3-7 중량부를 부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3) 1),2)단계와는 별도로 증류수 30-50 중량부 60℃ 이상 승온하는 단계;
4) 3)단계의 증류수에 석탄산, 살리실산 및 탄닌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 3-8 중량부를 부가하여 용해시키고 실온까지 서냉시키는 단계;
5) 2)단계 제조된 분산액과 4)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6) 5)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셀락, 수용성아크릴수지, 수용성우레탄수지, 수용성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변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수지 3-7 중량부와 셀룰로우즈에스테르 5-15 중량부를 부가하여 50℃이상 승온하는 단계; 및
7) 6)단계의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알코올 3-15 중량부를 부가하여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2)단계의 분산액은 바람직하게는 잉크흡수촉진제를 100℃ 이상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반응시킨 후 냉각시킨 다음, 염료 및 염료결합제를 충진하여 샌드밀 또는 볼밀 등을 사용하여 분산시켜 제조한다.
상기 4)단계의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끓인 증류수에 섬유소 결합보조제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제조하고 2)단계 분산액과 여기에 잉크퇴색성을 해결하기 위한 수용성 바인더를 혼합하여 일정시간과 일정온도에서 반응시킨다. 여기에 잉크조성물 사용시 필기감을 우수하게 하기 위한 점도조절 목적의 점도조절제와 장기 보존시의 부패방지를 위한 부패방지제를 적정량 첨가하여 본 발명의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잉크흡수촉진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흡수촉진제의 조성비는 필기용 및 스탬프용 등의 적용대상에 따라 각각 그 조성을 달리하여 선택해야 하나, 바람직한 조성비는 10-20 중량부이다. 잉크흡수촉진제의 조성비가 10 중량부 이하이면 흡수면으로의 흡수가 늦어 잉크건조 속도가 느려져서 연속적인 필기 및 날인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잉크 흡수촉진제의 조성비가 20 중량부 이상에서는 흡수면으로의 잉크흡수속도가 매우 빨라져 흡수면 뒷면에서의 잉크묻음 현상이 나타나서 뒷장으로 잉크전이가 일어나 잉크사용이 불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잉크 제조시 사용하는 염료로는 흑색염료일 경우에는 카아본블랙, 유다이블랙, 아이보리블랙, 다이렉트블랙, 시리우스스프라 브라운으로 된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색염료일 경우에는 프탈산시아닌블루, 내이비블루, 군청, 감청, 코발트블루, 솔루블블루, 브릴리안트블루, 에시드바이오렛 6, 메틸렌블루, 빅토리아블루로 된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색염료일 경우에는 밴가라, 은주, 연단, 카드뮴레드, 안티몬레드, 스카렛으로 된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염료의 조성은 요구되는 색상에 따라 각각 달리 선택 사용해야 하나, 10-20 중량부의 조성이 가장 바람직하다. 염료 사용량이 10 중량부 이하에서는 잉크농도가 낮아져서 필기 후 색상이 흐릿해져 판독이 힘들게 되며, 20 중량부 이상에서는 잉크농도가 높아 뚜렷한 판독은 가능하나 염료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잉크의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염료결합제로는 덱스트린이 적합하다. 특히, 아밀로덱스트린, 에리트로덱스트린, 아크로덱스트린, 말로덱스트린으로 된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염료결합제의 조성비는 3-7 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하다. 염료결합제의 사용량이 3 중량부 이하에서는 덱스트린이 염료와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어 염료의 불변성 부여가 힘들어지고, 7 중량부 이상에는 염료와의 최적결합량을 초과하게 되어 덱스트린이 불순물로 남게 되므로 잉크물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증류수는 증류수 제조기로 증류한 증류수 또는 역삼투압식 방식 또는 멤브레인 방식으로 미세여과한 순수 중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류수 또는 순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잉크조성물이 부패를 일으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사용되는 증류수의 조성은 30-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증류수의 양이 30 중량부 이하에서는 증류수 대신 사용하는 용액이 용제로 대체되므로 결국 환경 친화성을 상실하게 되며, 50 중량부 이상에서는 증류수가 흡수면의 흡수력을 저하시켜 잉크의 건조속도를 느리게 할 뿐만 아니라 내수성도 저하되어 사용하기가 불가능해 진다.
잉크의 보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용성 바인더로는 수용성 천연 및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수용성 바인더로는 셀락수지, 수용성아크릴수지, 수용성우레탄수지, 수용성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변성수지로 된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바인더의 사용량은 선택 사용하는 수지의 접착력에 따라 각각의 사용량이 달라지나, 바람직한 사용량은 3-7 중량부이다. 수용성 바인더의 사용량이 3 중량부 이하이면 염료와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잉크의 보존성을 얻지 못하게 되며, 7 중량부 이상이면 염료와의 접착력은 강하게 되나 잉크접성이 높아져 잉크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의 사용중 부패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부패방지제로는 석탄산, 살리실산 및 탄닌산으로 된 군에서 조합하여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패방지제의 사용량은 3-8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패방지제를 3 중량부 이하 첨가하면 부패방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어 잉크보존시 부패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8 중량부 이상 첨가하면 부패효과는 동일하나, 적정량 이상이 사용되면 잉크물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잉크품질이 떨어진다.
잉크조성물 중의 염료성분이 전사체인 종이흡수면의 섬유소내로 흡착된 후, 염기성산이 작용하여 강한 보존성 잉크로 착색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섬유소 결합보조제로는 안식향산 및 셀룰로우즈에스테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소 결합보조제의 첨가량은 5-1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소 결합보조제를 5 중량부 이하 사용하면 섬유소 내로의 결합력이 낮아져 결국 잉크의 보존성이 저하되게 되며, 15 중량부 이상 사용하면 섬유소 내의 결합량 이상이 되어 잔여염료분이 흡수면 외부로 나오게 되어 전사체인 종이흡수면 위로 번져나오게 되므로 잉크의 번짐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잉크사용이 불가능해진다.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의 필기적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잉크조성물의 점도조절이 필요하며, 여기에 사용되는 점도조절제로는 알코올류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알코올류로는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비교적 인체에 무해한 알코올 군에서 선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조절제가 3 중량부 이하 사용되면 잉크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사용이 불편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며 15 중량부 이상 사용되면 잉크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져 필기시 잉크가 필기구 외부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잉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 중 스탬프용 잉크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으며, 잉크조성물의 배합비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먼저, 교반기가 장치된 2,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에서 80분간 60℃로 냉각 유지시킨 내용물에 염료 18 중량부와 덱스트린 5 중량부를 부가하여 볼밀 또는 샌드밀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분산시킨다. 별도의 교반기가 장치된 3,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증류수 35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 가열한 다음, 탄닌산 2 중량부, 석탄산 2 중량부, 안식향상 3 중량부를 각각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서냉시킨다.
그 후 앞서 밀링하여 제조한 분산액과 수용성아크릴 바인더 5 중량부 및 셀루로우즈에스테르 5 중량부를 부가하여 3시간 동안 서서히 60℃까지 승온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서냉시킨다. 최종단계로 상기 반응물에 이소프로필알코올 10 중량부를 가하여 잉크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한 후에 제조완료한다.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의 성분 및 배합비
배합비(중량부)성분 스탬프용 필기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수용성아크릴바인더 5 5 - -
수용성우레탄바인더 - - 5 5
프로필렌글리콜 15 15 15 20
셀룰로우즈에스테르 5 5 2 5
안식향산 3 3 3 3
탄 닌 산 2 2 3 2
석 탄 산 2 2 3 3
염 료 18 20 15 20
덱스트린 5 2 5 5
이소프로필알코올 12 5 11 7
증 류 수 35 43 40 32
102 102 102 102
실시예 2
기록보존용 잉크 중 스탬프용 잉크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으며, 잉크조성물의 배합비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먼저, 교반기가 장치된 2,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에서 80분간 60℃로 냉각 유지시킨 내용물에 염료 20 중량부와 덱스트린 2 중량부를 부가하여 볼밀 또는 샌드밀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분산시킨다. 별도의 교반기가 장치된 3,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증류수 43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로 가열한 다음 탄닌산 2 중량부, 석탄산 2 중량부, 안식향상 3 중량부를 각각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서냉시킨다.
그후 앞서 밀링하여 제조한 분산액과 수용성 아크릴바인더 5 중량부 및 셀룰로우즈에스테르 5 중량부를 부가하여 3시간 동안 서서히 60℃까지 승온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서냉시킨다. 최종단계로 상기 반응물에 이소프로필알코올 3 중량부를 가하여 잉크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한 후에 제조 완료한다.
실시예 3
기록보존용 잉크 중 필기용 잉크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으며, 잉크조성물의 배합비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먼저, 교반기가 장치된 2,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에서 80분간 60℃로 냉각 유지시킨 내용물에 염료 10 중량부와 덱스트린 5 중량부를 부가하여 볼밀 또는 샌드밀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분산시킨다. 별도의 교반기가 장치된 3,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증류수 40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로 가열한 다음, 탄닌산 3 중량부, 석탄산 3 중량부, 안식향상 3 중량부를 각각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서냉시킨다.
그후 앞서 밀링하여 제조한 분산액과 수용성 우레탄바인더 5 중량부 및 셀룰로우즈에스테르 2 중량부를 부가하여 3시간 동안 서서히 60℃까지 승온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서냉시킨다. 최종단계로 상기 반응물에 이소프로필알코올 10 중량부를 가하여 잉크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한 후에 제조 완료한다.
실시예 4
기록보존용 잉크 중 필기용 잉크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으며, 잉크조성물의 배합비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먼저, 교반기가 장치된 2,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 20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에서 80분간 60℃로 냉각 유지시킨 내용물에 염료 20 중량부와 덱스트린 5 중량부를 부가하여 볼밀 또는 샌드밀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분산시킨다. 별도의 교반기가 장치된 3,000㎖ 용량의 3구 유리제 플라스크에 증류수 32 중량부를 충진하여 100℃로 가열한 다음, 탄닌산 2 중량부, 석탄산 3 중량부, 안식향상 3 중량부를 각각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까지 서냉시킨다.
그후 앞서 밀링하여 제조한 분산액과 수용성우레탄바인더 5 중량부 및 셀룰로우즈에스테르 5 중량부를 부가하여 3시간 동안 서서히 60℃까지 승온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서냉시킨다. 최종단계로 상기 반응물에 이소프로필알코올 5 중량부를 가하여 잉크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한 후에 제조 완료한다.
시험예
상기의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의 특성시험은 보존용 사무용품의 표준규격(안) 중 보존용필기잉크(안) 및 보존용스탬프잉크(안)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특성시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시편제조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잉크 1g을 유리판 위에 채취하여, 고무롤러(지름 40㎜, 길이 900㎜)에 균일하게 묻힌 다음, 시험용지 3∼4매를 겹쳐서 위에 놓고, 한 변이 5㎝인 사각용지 KS M 7108 A1호의 180㎏/연 위에 롤러를 1회 왕복시킨다. 이 작업 1회마다 유리판 상의 잉크를 롤러에 부착시켜 가로세로로 교차로 각 5회 합계 10회 왕복 전사하여 1g의 잉크를 소비한다. 이러한 작업을 마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시편으로 사용한다.
(2) 내번짐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필기구로 시험용지 위에 1회 굵기의 선을 약 20㎜ 필기한 시편의 선 나비를 필기후 계측 현미경으로 측정하여, 30±5℃의 실내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다시 선 나비를 측정해 선 나비의 증가율을 조사(%)한다.
(3) 수소이온농도지수(pH) 시험방법(필기용)
수성 잉크시료의 수소이온농도는 pH미터를 이용하여 전처리없이 직접 측정한다.
(4) 수소이온농도지수(pH) 시험방법(스탬프용)
잉크시료를 물 100배량(무게비) 가하고 10분간 가열하여, 다시 실온까지 식힌 다음 여과지로 분리하여 여과액을 pH미터로 측정한다.
(5) 내광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KS K 0700에 규정한 시험기 또는 이에 준하는 퇴색시험기를 사용하여 시편을 일정상태(온도 65℃, 상대습도:50%)에서 48시간 동안 광 조사하여 필적의 퇴색상태를 조사한다.
(6) 내열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필기구로 종이 위에 규일하게 칠한 시편을 80℃의 항온기에 넣고 25, 50 시간 경과마다 꺼내어 필적의 상태를 조사한다.
(7) 내수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시편을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침지한 후 건조하여 필적의 상태를 조사한다.
(8) 내유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시편에 피마자유를 한방울씩 적당히 떨어뜨려 3일간 방치한 후 필기선의 상태를 조사한다.
(9) 내알코올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시편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것을 95% 알코올 용액 중에 10분간 침지한 후 건조하여 필적상태를 조사한다.
(10) 내산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시편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하고 10% 염산용액 중에 24시간 침지한 후 10분간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필적상태를 조사한다.
(11) 내알칼리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시편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하고 10% 암모니아 용액 중에 24시간 침지한 후, 10분간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필적상태를 조사한다.
(12) 내표백성 시험방법(필기용, 스탬프용)
시편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것을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포화용액 중에 5분간 침지한 후, 건조하여 필적상태를 조사한다.
실시예 1은 스태프용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의 바람직한 조성비에 대한 한가지 예를 제시하여 잉크조성물을 제조하고, 특성 평가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배합비로 만들어진 스탬프용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은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및 내표백성 등 잉크의 기록보존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임에 따라 실제 적용시에도 필기후 변색 또는 퇴색현상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는 증류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물성비교를 위해서 증류수 43 중량부를 증량하였으며, 최종 잉크조성물의 점도조절을 위하여 이소프로필알코올 3 중량부 감소시켰다. 또한, 염료결합제의 효과를 알기 위하여 덱스트린의 첨가량을 3 중량부로 감소시키고 기타 성분은 실시예 1의 배합비와 동일한 조성으로 잉크조성물을 제조하고, 특성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증류수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내수성 및 내열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염료결합제인 덱스트린의 첨가량을 감소시키면 내광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은 필기용 기록보존용 잉크의 조성물 중 바람직한 조성비에 대한 예시를 한가지 나타내었으며, 특성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예시한 조성으로 제조된 잉크조성물은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표백성 등 잉크의 기록보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는 증류수의 첨가량이 감소함에 따른 필기용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조성물의 몰성비교를 위하여 증류수의 첨가량을 32 중량부 감소시키고, 염료첨가량을 20 중량부 중량시켰으며, 최종 잉크조성물의 점도조절을 위하여 이소프로필알코올의 첨가량을 5 중량부 감소시켜 잉크조성물을 제조하고, 특성평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증류수의 첨가량이 감소함에 따른 잉크의 기록보존성은 실시예 3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반면 필기용잉크의 실제 사용면에서 가장 큰 항목인 필기감은 실시예 4의 결과가 실시예 3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필기적성면에서 약간 저하되었다.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조성물의 보존성 평가결과
구분항목 스탬프용 필기용 비 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pH 7.3 7.2 7.8 7.9 7.0 이상일 것
내광성 4-5 3-4 4-5 4-5 4급 이상일 것
내열성 25시간 번짐과 색상의 변화가 없을 것
50시간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표백성
필기적성 필기감이양호할 것
(범례: ◎ 극히우수 ○ 우수 △ 보통 × 불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기록보존용 수용성 잉크조성물은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내표백성 등이 우수하여 중요 정부기록문서와 같이 장기적 기록보존이 요구되는 용도뿐만 아니라 유가증권과 같이 잉크의 변색 또는 퇴색에 의한 위조방지 용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증류수 30-5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잉크흡수촉진제 10-30 중량부; 아밀로덱스트린, 에리트로덱스트린, 아크로덱스트린 및 말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염료결합제 3-7 중량부;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점조조절제 3-15 중량부; 석탄산, 살리실산 및 탄닌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부패방지제 3-8 중량부; 셀락, 수용성아크릴수지, 수용성우레탄수지, 수용성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용성 바인더 3-7 중량부; 셀룰로우즈에스테르와 안식향산으로 된 섬유소결합보조제 5-15 중량부 및 염료 10-2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2. 1)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알코올 10-30 중량부를 50℃ 이상 승온하는 단계;
    2) 상기 알코올에 염료 10-20 중량부와 아밀로덱스트린, 에리트로덱스트린, 아크로덱스트린 및 말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덱스트린 3-7 중량부를 부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3) 1),2)단계와는 별도로 증류수 30-50 중량부 60℃ 이상 승온하는 단계;
    4) 3)단계의 증류수에 석탄산, 살리실산 및 탄닌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 3-8 중량부를 부가하여 용해시키고 실온까지 서냉시키는 단계;
    5) 2)단계 제조된 분산액과 4)단계에서 제조된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6) 5)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셀락, 수용성아크릴수지, 수용성우레탄수지, 수용성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변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수지 3-7 중량부와 셀룰로우즈에스테르 5-15 중량부를 부가하여 50℃이상 승온하는 단계; 및
    7) 6)단계의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알코올 3-15 중량부를 부가하여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80011599A 1998-04-02 1998-04-02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5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99A KR100258640B1 (ko) 1998-04-02 1998-04-02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599A KR100258640B1 (ko) 1998-04-02 1998-04-02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152A KR19990079152A (ko) 1999-11-05
KR100258640B1 true KR100258640B1 (ko) 2000-06-15

Family

ID=1953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599A KR100258640B1 (ko) 1998-04-02 1998-04-02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6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8322B2 (en) 2011-09-23 2016-10-04 Emerald Hilton Davis, Llc Self-assembled nano-structure p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US10988618B2 (en) 2011-09-23 2021-04-27 Dystar Hilton Davis Corp. Self-assembled nano-structured particle and methods for prepa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07B1 (ko) * 2001-12-04 2005-07-01 대한민국 휘발된 청색잉크 복원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12361A (ko) * 2002-08-02 2004-02-11 영동특산영농조합법인 감에서 추출된 탄닌을 포함하는 잉크젯 잉크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8322B2 (en) 2011-09-23 2016-10-04 Emerald Hilton Davis, Llc Self-assembled nano-structure p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US10442932B2 (en) 2011-09-23 2019-10-15 Dystar Hilton Davis Corp. Self-assembled nano-structure particle and method for preparing
US10988618B2 (en) 2011-09-23 2021-04-27 Dystar Hilton Davis Corp. Self-assembled nano-structured particle and methods for prep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152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0727A (en) Water base pigment ink composition for writing
US4308061A (en) Aqueous ink composition
CN101544864B (zh) 一种纯蓝中性墨水及其制造方法
DE2905825C3 (de)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US5203913A (en) Erasable aqueous ink composition
US3705045A (en) Ink marking compositions
DE60124826T2 (de) Umkehrbare thermochromische 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r Lichtechtheit und diese enthaltendes Erzeugnis
CN106589429B (zh) 一种多功能光子晶体纸及其制备方法
KR100258640B1 (ko) 기록보존용 잉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70503A (zh) 有机速干封片剂
EP2953797B1 (de) Wärmeempfindliches aufzeichnungsmaterial
EP0919396A2 (de) Farbentwickler für Selbstdurchschreibepapiere
DE4329341C2 (de) Schreibtinte, enthaltend ein mit Fluorgas oberflächenmodifiziertes, kohlenstoffhaltiges Pulve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 Schreibtinte
DE2931083C2 (de) Wärmeempfindliche Aufzeichnungsfolie
US6162531A (en) Marking fluids with reduced solvent evaporation
EP1037950B1 (de) Uv- und wasserbeständige tinte bzw. tusche
CA1306083C (en) Ink composition and a pressure sensitive reproducing material
KR840001679B1 (ko) 불변성 잉크조성물
DE102017117478A1 (de) Sensormaterial mit temperaturabhängiger Färbung
JPS63182384A (ja) 水性蛍光インキ
Daniels Factors influencing the wash-fastness of watercolours
JPH02147672A (ja) 水性インキ組成物
DE10059397A1 (de) Tintenzusammensetzung mit erhöhter Offenliegezeit
US4142738A (en) Base sheets for printing with reactive dyes
CN117050688A (zh) 一种可褪色固体胶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