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410B1 -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410B1
KR100257410B1 KR1019980013196A KR19980013196A KR100257410B1 KR 100257410 B1 KR100257410 B1 KR 100257410B1 KR 1019980013196 A KR1019980013196 A KR 1019980013196A KR 19980013196 A KR19980013196 A KR 19980013196A KR 100257410 B1 KR100257410 B1 KR 100257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craper
sewer
dredging body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160A (ko
Inventor
조성현
임병옥
Original Assignee
임병옥
조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옥, 조성현 filed Critical 임병옥
Priority to KR101998001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4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E03F9/005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ushing and rotating a cleaning device carried by the leading end of a cable or an assembly of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내에 퇴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방측에 하수관내의 슬러지가 흡입될 수 있게 개구되어 있는 준설 바디와; 상기 준설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 장치가 하수관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이동 가이드와; 방사형으로 다수의 날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준설 바디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준설 바디 내측으로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긁어 주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준설 바디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회전토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준설 바디의 전방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회전하면서 긁어낸 슬러지를 외부로 강제 흡수해내는 흡출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긁어냄과 동시에 흡출 호스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슬러지 제거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본 발명은 하수관내에 퇴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긁어냄과 동시에 흡출 호스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던 하수관의 슬러지 제거 장치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중에서 특수 고압 노즐을 이용한 제트 크리닝 준설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 제트 크리닝 준설기는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장치로, 하수관에 퇴적된 슬러지를 제거하여 맨홀 측에 퇴적시킨 후, 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트 크리닝 준설기를 포함한 종래 기술의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는 고압 분사된 물을 이용하여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제거하기 때문에 물의 유동과 함께 흘러나가는 슬러지가 많아져 다른 하수관에 다시 쌓이게 되어 결국 슬러지의 제거가 확실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수관에서 제거된 후, 맨홀에 퇴적된 슬러지를 사람이 직접 들어가서 외부로 파내거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빼내야 되기 때문에 이중 작업이 되어 슬러지 제거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레이퍼와 흡출 호스를 이용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평면도, 도 1c는 좌측면도, 도 1d는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와 연동되어 사용되는 보조 크레인 차량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하수관 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과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수관 A, B : 맨홀
10 :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11 : 준설 바디
11a : 개구부 13 : 스키 보드
15 : 유압 모터 15a : 유압 라인
16 : 체인 17 : 스크레이퍼
18 : 흡출 호스 18A : 흡출 장치
18B : 배출관 19 : 견인 와이어
20 : 보조 크레인 차량 21,22,23 : 롤러
25 : 유압 모터 26 : 크레인 프레임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는, 통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방측에 하수관내의 슬러지가 흡입될 수 있게 개구되어 있는 준설 바디와; 상기 준설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 장치가 하수관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이동 가이드와; 방사형으로 다수의 날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준설 바디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준설 바디 내측으로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긁어 주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준설 바디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회전토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준설 바디의 전방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회전하면서 긁어낸 슬러지를 외부로 강제 흡수해내는 흡출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평면도, 도 1c는 좌측면도, 도 1d는 우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후방측에 하수관(1)내의 슬러지가 흡입될 수 있게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는 준설 바디(11)와, 상기 준설 바디(11)의 하측에 두 개가 설치되어 본 장치가 하수관(1)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긴 막대형의 스키 보드(13)와, 방사형으로 다수의 날개(17a)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준설 바디(11)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준설 바디(11) 내측으로 하수관(1)내의 슬러지를 긁어 주는 스크레이퍼(17)와, 상기 준설 바디(11)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퍼(17)가 회전토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15,16)과, 상기 준설 바디(11)의 전방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17)가 회전하면서 긁어낸 슬러지를 외부로 강제 흡수해내는 흡출 호스(18)와, 상기 준설 바디(11)의 일측에는 설치되어 하수관(1)내에서 본 장치(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외부로 연결된 견인 와이어(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준설 바디(11)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측 내부에 구동 수단이 설치되며, 하측부에는 상기 스크레이퍼(17)에서 긁어낸 슬러지가 흡출 호스(18)로 유입되도록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준설 바디(11)의 하측에는 하수관(1)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안내 가이드인 스키 보드(13)가 설치되어 있고, 준설 바디(11)의 양측면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레이퍼(17)를 고정하는 고정대(17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본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키 보드(13)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롤러나 바퀴 등 본 장치가 하수관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다른 여러 기구들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퍼(17)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으로 도 1에서는 외부와 유압 라인(15a)으로 연결되어 이 유압 라인(15a)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1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압 모터(15)와 스크레이퍼(17) 사이에는 체인(16)이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스크레이퍼(17)가 회전되면서 하수관(1) 바닥에 퇴적된 슬러지를 긁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압에 의해 스크레이퍼(17)를 구동하는 방식은 슬러지 제거 과정에서 물에 의한 전기 누전의 위험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구동 수단은 방수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상기 예시한 유압 모터(15)와 체인(16)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 등의 사용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레이퍼(1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준설 바디(11)에 고정대(17b)를 통해 회전 가능토록 고정되어 있고, 다수의 날개(17a)가 도 1a에서 시계 방향(S)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스크레이퍼(17)가 회전하면서 긁어낸 슬러지를 준설 바디(11)의 개구부(11a) 쪽으로 쉽게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17)는 그 날개(17a)의 끝모양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하수관(1)이 통상적으로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닥에 퇴적된 슬러지를 보다 확실하게 긁어내기 위해서는 바닥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물론, 하수관의 바닥이 평면을 경우에는 스크레이퍼(17)의 날개 모양을 상기와 같이 원호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직선형으로 변형 실시하면 된다.
한편, 도 2는 상기한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보조 크레인 차량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크레인 차량(20)은 유압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 프레임(26) 하측에 유압 모터(25)가 구비되어 있고, 이 유압 모터(25)의 양측에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진 강선 및 도 1a의 유압 라인(15a)을 감을 수 있도록 롤러(22)(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량(20)의 뒤쪽에는 도 1a의 견인 와이어(19)를 감을 수 있는 롤러(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10)와 보조 크레인 차량(20)을 이용한 하수관의 슬러지 제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의 슬러지 제거 상태가 도시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맨홀 A와 맨홀 B 사이에 하수관(1)이 연결되어 있는 바, 이 하수관(1) 내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10)를 설치하여야 한다.
하수가 맨홀 B쪽에서 맨홀 A쪽으로 흐른다면, 먼저 맨홀 B쪽에서 맨홀 A쪽으로 보조 크레인 차량의 롤러(22)에 감아진 강선(미도시 됨)을 삽입시킨다. 이때 사용하는 강선은 소정의 직경을 가진 철선으로 한 쪽 맨홀에서 다른 쪽 맨홀로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는 강도 및 탄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맨홀 A쪽으로 나온 강선의 끝단에 흡출 호스(18), 유압 라인(15a), 견인 와이어(19)를 연결한 다음 강선을 맨홀 B쪽에서 당기게 되면 상기 흡출 호스(18), 유압 라인(15a), 견인 와이어(19)가 맨홀 A쪽에서 하수관(1)을 통해 맨홀 B쪽으로 나오게 된다.
이후, 맨홀 B쪽에서 본 발명의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10)에 흡출 호스(18), 유압 라인(15a), 견인 와이어(19)를 연결하고, 상기 보조 크레인 차량(20)과 연결된 유압 라인을 통해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10)의 유압 모터(15)를 작동시키게 되면 스크레이퍼(17)가 회전하면서 하수관(1)에 쌓인 슬러지를 긁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레이퍼(17)에 의해 제거된 슬러지는 준설 바디(11)의 개구부(11a)측에 쌓이게 되고, 동시에 흡출 장치(18A)와 연결된 흡출 호스(18)에서 슬러지를 강력한 힘으로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스크레이퍼(17)에 의해 긁어진 슬러지는 준설 바디(11) 및 흡출 호스(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출 호스(18)로 슬러지를 흡출하는 과정에서 슬러지는 물론 하수도 함께 흡입되게 되는 바, 상기 흡출 장치(18A)는 슬러지와 하수를 분리하여 하수는 다시 배출관(18B)을 통해 맨홀 A로 버리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과정으로 하수관(1)내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본 장치는 견인 와이어(19)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조 크레인 차량(20)에서 견인 와이어를 맨홀 A측으로 당기게 되면 준설 바디(11) 및 스크레이퍼(17)도 맨홀 A쪽으로 이동되면서 하수관(1)내의 슬러지를 차례대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준설 바디(11)의 하측에 스키 보드(13)가 설치되어 하수도 바닥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본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는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하수관 바닥에 퇴적된 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때문에 슬러지 제거 작업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스크레이퍼로 제거된 슬러지를 흡출 호스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슬러지 제거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빠르게 이루어지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통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후방측에 하수관내의 슬러지가 흡입될 수 있게 개구되어 있는 준설 바디와;
    상기 준설 바디의 하측에 설치되어 본 장치가 하수관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이동 가이드와;
    방사형으로 다수의 날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준설 바디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준설 바디 내측으로 하수관내의 슬러지를 긁어 주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준설 바디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회전토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준설 바디의 전방에서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레이퍼가 회전하면서 긁어낸 슬러지를 외부로 강제 흡수해내는 흡출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는 긴 막대형의 스키 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준설 바디의 일측에는 하수관내에서 본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외부로 연결된 견인 와이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외부의 유압 라인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모터와 스크레이퍼에 설치된 기어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그 날개의 끝면이 하수관의 밑면 모양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KR1019980013196A 1998-04-14 1998-04-14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KR100257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196A KR100257410B1 (ko) 1998-04-14 1998-04-14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196A KR100257410B1 (ko) 1998-04-14 1998-04-14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160A KR19990080160A (ko) 1999-11-05
KR100257410B1 true KR100257410B1 (ko) 2000-05-15

Family

ID=1953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196A KR100257410B1 (ko) 1998-04-14 1998-04-14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25B1 (ko) 2006-10-14 2007-05-14 주식회사 삼안 하수도 끝단부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87633B1 (ko) 2010-01-18 2010-10-13 김인식 차량탑재형 바켓준설기를 이용한 하수관거 준설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159B1 (ko) * 2003-09-16 2006-04-05 세대토건 주식회사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KR100733293B1 (ko) * 2004-04-19 2007-06-29 주식회사 티케이테크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1124689B1 (ko) * 2009-06-03 2012-03-19 리다산업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처리구조물
KR101365680B1 (ko) * 2013-08-16 2014-02-20 최재현 상, 하수도 노후관의 도막 제거장치 및 공법
KR102353080B1 (ko) * 2021-08-17 2022-01-19 (주)이왕코리아 관로의 준설장치 및 방법
CN116479992B (zh) * 2023-04-28 2023-10-03 广州市第二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污水管网淤泥清除机及其清理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25B1 (ko) 2006-10-14 2007-05-14 주식회사 삼안 하수도 끝단부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87633B1 (ko) 2010-01-18 2010-10-13 김인식 차량탑재형 바켓준설기를 이용한 하수관거 준설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16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7410B1 (ko)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CN213233598U (zh) 一种下水道清淤绞吸装置
JP2017051909A (ja) 管洗浄用ノズル装置及び管洗浄用ノズル装置を備えた排水縦管洗浄装置
KR100583427B1 (ko) 상하수도관 내부의 슬러지 제거 장치
KR20060083097A (ko) 관로의 세척장치
CN116971475A (zh) 一种排水管道清淤设备
CN110714526B (zh) 市政排水管道清理装置与清理方法
CN116180880A (zh) 一种用于市政污水管道的水下疏通装置及其疏通方法
GB1568680A (en) Method for reclaiming cased wells
CN214022404U (zh) 一种不锈钢管清洗装置
JP2002192094A (ja) 深井戸管内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CN114876051A (zh) 一种建筑污水管道清渣防堵装置
JP3330251B2 (ja) 水底の汚泥取出装置
CN113417305A (zh) 一种水利工程施工防水排水装置
CN220658624U (zh) 一种供水管道的清管清淤设备
JPH10331248A (ja) 下水管付着物除去装置
CN212680173U (zh) 一种污水处理用高效收浆装置
CN214219925U (zh) 一种管道清淤设备
KR200179087Y1 (ko) 지하철 궤도 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CN209891368U (zh) 一种管道污泥清疏系统
CN218580825U (zh) 一种市政污水管道淤堵自动检测装置
CN219973468U (zh) 一种多功能管道清淤机器人
CN214833374U (zh) 一种市政给水管网冲洗装置
CN215053813U (zh) 一种清淤排污车的盘管装置
CN215161301U (zh) 一种污水处理用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