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928B1 -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928B1
KR100256928B1 KR1019970006842A KR19970006842A KR100256928B1 KR 100256928 B1 KR100256928 B1 KR 100256928B1 KR 1019970006842 A KR1019970006842 A KR 1019970006842A KR 19970006842 A KR19970006842 A KR 19970006842A KR 100256928 B1 KR100256928 B1 KR 10025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arms
additional
positioning
cabl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036A (ko
Inventor
오설리반 마이클
엘. 다위드크지크 다니엘
쥬니어 조셉 더블류. 넬리간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7006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7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combined with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4Connection of shield to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3Co-axial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79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metal fusion bon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의 노출된 부분을 갖춘 케이블과, 복수의 위치 설정 아암들을 갖는 전도성 종단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아암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형가능하다. 금속성 차폐부들은 아암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위치 설정 아암에 납땜된다. 각각의 아암은 고속 케이블들을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폐쇄 위치로 변형된다.

Description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케이블의 금속성 브레이드 (braid)와 같은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고속 케이블은 관형 내부 유전체에 의해 포위되는 중심 도체 또는 코어를 포함한다. 내부 유전체의 외측에는 케이블을 차폐 및/또는 접지하기 위한 차폐부가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차폐부는 관형 금속성 브레이드이다. 그러나, 통상 "드레인 와이어(drain wire)"라고 불리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전도성 와이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절연 재킷(jacket)이 차폐부의 외측에서 복합 케이블을 포위한다.
각종 형태의 커넥터가 고속 케이블을 종단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커넥터들은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중심 도체 또는 코어에 종단 접속되는 접점들을 구비한다. 이 커넥터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접지를 목적으로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하나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의 종단 접속 부재를 구비한다. 그러한 커넥터에서의 통상적인 시스템은 납땜에 의해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 부재에 종단 접속한다. 기타 다른 시스템들은 공통적인 목적으로 종단 접속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금속성 브레이드에 견고하게 크림프(crimp)하기 위한 크림핑 과정을 사용한다.
컴퓨터 및 원격 통신 산업과 같은 각종 산업에서의 전자 장치의 소형화와, 그에 수반된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가 끊임없이 증대하면서, 소형 고속 케이블을 종단 접속함에 있어서, 특히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함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점에 봉착되었다. 예를 들면, 소형 동축 케이블의 외경은 약 2.286mm (0.090inch)정도 될 수가 있다. 도체/코어를 포위하는 내부 유전체의 외경은 약 1.2954mm (0.051inch) 정도 될 수가 있으며, 중심 도체/코어의 직경은 약 0.3048mm (0.012inch) 정도 될 수 있다. 훨씬 더 작은 치수 변수를 갖는 동축 케이블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매우 소형인 동축 케이블들의 종단 접속 시의 문제점은 흔히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의 종단 접속과 관련된다. 예를 들면, 납땜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금속성 차폐부에 바로 근접해서 (납땜에 필요한) 열을 인가함으로써 하부에 놓인 내부 유전체에 대한 열 손상이 야기될 수 있으며, 사실상 내부 유전체가 붕괴되거나 또는 열화될 수 있다. 종래의 크림프형(crimp-type) 종단 접속을 사용하는 경우에, 통상적인 크림핑력은 흔히 케이블의 중심 도체/코어를 포위하는 내부 유전체를 파괴시키거나 변형시킨다.
상술한 문제점들은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가 원통성 종단 접속 부재에 종단 접속되지 않고 그 차폐부가 평탄한 종단 접속 부재 또는 접점에 종단 접속될때 더욱 복잡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의 관형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를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평탄한 접지 회로 패드에 종단 접속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동축 케이블의 관형 금속성 브레이드를 비틀린 스트랜드(strand) 또는 "피그테일(pigtail)" 형태로 단순히 수집한 다음, 이를 회로 기판 상의 평탄한 접지 패드에 납땜함으로써 가장 흔하게 달성된다.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를 평탄한 접지 부재에 종단 접속시키는 다른 예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1994년 4월 19일자 미국 특허 제5,304,06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브레이드는 고속 신호 전송 단자 모듈의 접지판에 종단 접속된다. 동축 케이블의 도체/코어는 모듈의 신호 단자에 종단 접속된다.
고속 케이블의 관형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를 인쇄 회로 기판에서와 같은 평탄한 접지 접점 패드, 또는 상술한 미국 특허에서와 같은 평면 접지판, 또는 임의의 다른 평탄한 또는 비관형 종단 접속 부재에 종단 접속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각종 설계 고려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관형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에 의해 도체/코어가 완전히 포위되는 "제어 환경(controlled environment)"으로 부터 비관형 종단 접속 부재에 종단 접속하기 위해 그 도체/코어로부터 브레이드가 전개된 "비제어 환경(uncontrolled environment)"으로 고속 케이블의 중심 도체/코어가 이행하는 지점에 천이 영역이 생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천이 영역은 가능한 한 작은 면적 또는 가능한 한 (케이블의 종방향으로) 짧은 길이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는 케이블의 중심 도체/코어에 대해 약 180°이격된 구역 위에 (또는 적어도 2개의 지점에서) 종단 접속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종단 접속 부재는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가 케이블의 도체/코어를 포위하는 관형 구성으로부터 분리된 지점까지 중첩되거나 또는 적어도 그 지점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더욱이, 소정의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 또는 브레이드는 케이블의 중심 도체/코어와 동일한 평탄한 종단 접속 부재 측면 상에서 종단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지판과 같은 종단 접속 부재에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개량된 시스템에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가능한 한 많이 상술한 설계 변수들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량된 방법뿐만 아니라, 동축 케이블의 종단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고속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의 노출된 부분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변형가능한 복수의 위치 설정 아암들을 갖는 전도성 종단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금속성 차폐부들은 아암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위치 설정 아암에 납땜된다. 그 다음에, 각각의 아암은 고속 케이블들을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폐쇄 위치로 변형된다.
양호하게는, 금속성 차폐부는 납땜 단계 이전에 케이블의 내부 유전체로부터 벌려진다. 이는 납땜 공정으로부터의 열이 유전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전도성 종단 접속 부재에는 한 쌍의 동축 케이블들을 사이에 위치 설정하기 위해 블레이드부의 대향 에지들에 한 쌍의 대향 위치 설정 아암드리을 갖고 있는 블레이드부가 형성된다. 블레이드 부분의 각각의 대향 측면에는 한 쌍의 대향 위치 결정 아암들이 제공된다. 블레이드부는 대체로 평탄하고, 위치 결정 아암들은 아암들의 개방 위치에서 아암들과 대체로 공통 평면 상에 놓여진다. 납땜 후에, 아암들은 최종적으로 동축 케이블들이 위치 결정되는 채널들을 한정하도록 평탄한 블레이드부에 대체로 수직인 폐쇄 위치들로 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2-2를 따라 일반적으로 취해진 부분 수직 단면도.
제3도는 종단 접속 부재 또는 접지판이 형성되는 스탬핑된 금속 블랭크의 사시도.
제4도는 개방 위치에서 위치 설정 아암들을 갖고, 그 아암들 중의 하나에 동축 케이블들 중의 하나의 금속성 차폐부가 납땜되는 접지판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금속성 차폐부가 종단 접속 부재의 동일 측면 상의 제2위치 설정 아암에 납땜되어 있는 제2동축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종단 접속된 동축 케이블을 함께 이송시키는 폐쇄 위치로 구부려지는 두개의 위치 설정 아암들을 보여주는 도면.
제7도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두개의 부가적인 동축 케이블들의 금속성 차폐부들을 종단 접속 부재의 대향 측면 상의 남은 두개의 위치 설정 아암들에 납땜하기 위해 젖혀진 종단 접속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남은 두개의 위치 설정 아암들이 종단 접속 부재의 상방으로 구부려져 있음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부조립체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종단 접속 모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12 : 유전성 하우징
16 : 차폐부 30 : 고속 신호 전송 단자 모듈
32 : 종단 접속 부재 또는 접지판 38 : 단자
40, 40', 40" : 동축 케이블 50 : 아암
52 : 도체/코어 54 : 내부 유전체
56 : 금속성 차폐부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그리고 먼저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저속 데이터 전송 라인의 도체와 고속 또는 고주파 전송 라인의 도체를 모두 종단 접속하기 위한 하이브리드(hybrid) 전기 커넥터인, 차폐형 전기 커넥터(10)에서 구체화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커넥터(10)는 복수의 데이터 전송 단자(14)(제1도 참조)를 장착하는 유전성 하우징(12)(제2도 참조)을 포함한다. 도전성 차폐부(16)는 유전성 하우징 (12)을 사실상 포위하며, 데이터 전송 단자(14)의 정합 단부들 둘레에서 전방 돌출한 시라우드부(shroud portion, 18)를 구비한다. 1994년 10월 25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58,428호에 도시된 것과 사실상 일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이체형 백셀 (two-piece backshell)이 하우징(12) 및 차폐부(16)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오버몰드형(overmolded) 부트(20)는 데이터 전송 라인과 고속 또는 고주파 전송 라인을 모두 포함하는 복합 전기 케이블(24)과 결합 상태에 있는 일체형 케이블 스트레인 경감부 (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썸(thumb) 스크류(26)는 오버몰드형 부트를 통해 돌출하고, 상보적인 정합 커넥터, 패널 또는 다른 구조체에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외부 나사형 전방 말단부(26a)를 포함한다.
제2도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신호 전송 단자 모듈(30)이 유전성 하우징(12)의 후방으로부터 그 통로(31) 내로 삽입된다. 단자 모듈은 접지판(32)을 그 사이에 클램핑하는 한 쌍의 동일 단자 블록(30a, 30b)을 포함한다. 각 단자 블록은 지주(post, 34) 및 리세스를 포함한다. 각 단자 블록으로부터의 지주는 각 단자 블록으로부터 접지판 내의 구멍 또는 슬롯(44)(제3도 참조)을 통해 다른 단자 블록의 리세스 내로 연장되어 부조립체로서의 접지판(32)에 단자 블록(30a, 30b)을 고정시킨다. 이 부조립체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 내의 통로(31) 내로 삽입되면, 단자 블록은 그 사이에 접지판을 효과적으로 클램핑한다. 단자 모듈은 각 단자 블록 상의 경사형(ramped) 래치(36)에 의해 유전성 하우징 내에 보유된다.
각 단자 블록(30a, 30b)은 적어도 하나의 고속 신호 단자(38) 둘레에서 오버 몰딩된다. 한 쌍의 단자(38)의 접촉 단부는, 접지판(32)의 전방 단부와 함께, 차폐부(16)의 포위 시라우드부(18) 내에서 제1도의 커넥터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단자 (38)의 후방 단부(38a)는 제2도의 복수의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코어(52)에 종단 접속된다. 본 발명은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56)의 접지판(32)으로의 종단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도는 전도성 금속판 재료로부터 스탬핑된 블랭크(B)를 도시하고 있는 데, 이 블랭크로부터 접지판(32)이 형성된다. 블랭크(B)는 대체로 T형이고, 접지판(32)을 위한 블레이드부를 형성하는 레그 또는 스템(stem) 부분(42)을 포함한다. 블레이드부는 단자 블록(30a, 30b)의 지주(34)(제2도 참조)가 연장하는 개구(4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윙(wing) 또는 아암(arm)(46)들이 그 각각의 대향 에지에서 일반적으로 레그(42)의 일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들 윙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지판의 위치 설정 아암들을 형성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우징 내에 접지판 및 단자 블록(30a, 30b)들의 부조립체를 보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레이드부(42)의 대향 에지들에 바브 또는 티이쓰(49)들이 스탬핑된다.
이제, 제3도의 블랭크 "B"의 윙(46)들이 두 쌍의 위치 설정 아암(50a, 50b)들로서 언급되는 제4도를 참조한다. 한 쌍의 위치 결정 아암(50a)들은 블레이드부(42)에 대향하는 접지판(32)의 말단부에 있다. 다른 쌍의 위치 결정 아암(50b)들은 아암 (50a)들의 약간 전방에 위치된다. 원한다면, 아암(50a, 50b)들은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56)가 내부 유전층(54)으로부터 분리되는 지점에서 케이블(40)을 따라 연장하도록 접지판(32)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접지판(32)은 접지판의 대향 에지들에 한 쌍의 동축 케이블들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한 쌍의 대향 위치 설정 아암(50a)들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접지판의 각각의 대향 측면에 대향 위치 설정 아암(50a, 50b)들을 제공하고 있다. 한 쌍의 위치 설정 아암(50a)들은 블레이브부(42)의 말단 후방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다른 쌍의 위치 설정 아암(50b)들은 제1쌍의 아암들의 전방의 종방향으로 약간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접지판은 커넥터의 명세에 따라 하나 내지 네개의 동축 케이블들을 종단 접속할 수 있다. 어떤 컴퓨터 용도에 있어서는, 모니터를 위한 적색 (red), 녹색(green), 청색(blue) 색채 신호들을 반송하기 위해 세개의 케이블들이 사용될 수 있다. 화소 클락 타이밍(pixel clock timing) 신호들을 반송하기 위한 평면 스크린 모니터용으로 제4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4도는 동축 케이블(40)들의 각각이 관형 내부 유전체(54)로 에워싸인 중심 도체 또는 코어(52)를 통상 포함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관형 금속 브레이드 (56) 형태의 금속성 차폐부는 내부 유전체(54)를 포위하고 있다. 플라스틱 등을 갖는 절연 재킷(58)은 전체적인 복합 동축 케이블(40)을 형성하도록 금속 브레이드(56)를 에워싼다. 동축 케이블(40)의 중심 도체/코어(52)는 고속 신호 전송 단자(38)(제2도)들 중의 하나의 내부 단부(38a)(제9도)에 납땜되는 소정 길이를 노출시키도록 벗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축 케이블의 외부 절연 재킷(58)은 또한 각각의 금속성 차폐부의 소정 길이를 노출시키도록 잘라내어져 있다. 따라서, 노출된 차폐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지판(32)의 그리핑 아암(50a 또는 50b)중의 하나에 납땜될 수 있다.
제4도를 다시 참조하면, 접지판(32)이 판금속 재료의 원료로부터 스탬핑된 후, 동축 케이블(40)들 중의 하나의 금속성 차폐부(56)가 유전체(54)로부터 잡아당겨지거나 벌려져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단부 위치 설정 아암(50a)들 중의 하나의 상부에 위치된다. 여기에 도시된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가 금속 브레이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드는 양호하게는, 아암의 원위 단부 또는 선단부로부터 대략 접지판(32)의 블레이드부(42)의 중심까지, 하나의 위치 설정 아암(50a)을 가로질러 벌려진다. 유전체(54) 및 도체/코어(52) 역시 금속 브레이드를 내부 유전체로 부터 더 분리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방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유전체는, "S"에서와 같이, 하나의 위치 설정 아암에 납땜된다. 내부 유전체로 부터 금속 브레이드를 분리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납땜 공정을 위해 요구되는 열이 내부 유전체로부터 격리되어, 내부 유전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는 그 공정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2동축 케이블(40')의 금속 브레이드(56)가 다른 최단부 위치 설정 아암(50a)에 납땜된다. 내부 유전체는 다시 상방으로 구부려지고, 금속성 차폐부는 납땜하기 전에 아암 위로 벌려진다.
동축 케이블(40, 40')의 금속성 차폐부(56)들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 아암(50a)에 납땜될 때, 내부 유전 부재(45)들은 그들의 본래 선형 형상으로 다시 직선화되고, 위치 설정 아암들은 접지판(32)의 블레이드부(42)에 대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구부려진다. 양호하게는, 위치 설정 아암들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들을 그 사이에 위치 설정하기 위해 대체로 U자형 채널을 형성하도록 블레이드부에 대체로 수직으로 구부려진다. 양호하게는, 아암(50)들은 내부 유전체(54)의 직경보다 약간 더 길다. 후방부에서 블레이드부(42)의 폭은 내부 유전체 (54)의 직경보다 적어도 두배만큼 크다. 그러므로, 두개의 케이블들은 블레이드부(42)의 각 측면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동축 케이블의 차폐부는 케이블의 중심 도체/코어를 중심으로 약 180°만큼 원주방향으로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납땜된 금속 브레이드의 대향 단부들 사이로 연장하는 선은 또한 중심 도체(52)를 대략 통과한다.
공정의 다음 단계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두개의 위치 설정 아암 (50b)들에 대해 두개의 부가적인 동축 케이블(40", 40"')들에 대한 제4도 및 제5도에 단계들을 반복하는 것이다. 특히, 접지판(32) 및 종단 접속된 동축 케이블(40, 40')들이 뒤집혀지고, 각각의 동축 케이블(40", 40"')들의 내부 유전체(54)는 상방으로 구부려지고, 동축 케이블(40", 40"')들의 금속성 차폐부(56)들은 제7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설정 아암(50b)들에 납땜된다.
동축 케이블(40", 40"')들의 금속성 차폐부(56)들이 위치 설정 아암(50b)들에 납땜된 후, 내부 유전체 부재들은 그들의 본래 선형 형상으로 다시 직선화되고, 위치 설정 아암들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판(32)의 블레이드부(42)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구부려진다. 위치 설정 아암(50a)과 마찬가지로, 위치 설정 아암(50b)들은 동축 케이블(40", 40"')들을 사이에 위치시키기 위해 대체로 U형 채널(42)을 형성한다. 양호하게는, 블레이드부(42)는 금속성 차폐부들이 재킷(58)들 내측에서 그들의 원통형 형상을 중단하고 아암(50a, 50b)들 위로 벌려지기 시작하는 지점을 지나 연장하거나, 적어도 그와 중첩된다.
일단, 납땜 공정을 포함하는, 제8도의 부조립체가 제작되면, 이러한 부조립체는 제9도에 도시되고 제2도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블록(30a, 30b) 및 고속 신호 전송 단자(38)들에 조립되어 단자 모듈(30)을 형성한다. 동축 케이블들의 중심 커넥터/코어(52)들은, 제2도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38)(제9도)의 내부 단부 (38a) 들에 납땜, 용접 또는 달리 고정함으로써, 접지판(32)의 블레이드부(42)를 사이에 클램핑하는 단자 블록(30a, 30b)과 연결된다. 그 다음에, 단자 모듈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 하우징(12) 내에 장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접지판(42) 형태의 종단 접속 부재(32)에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차폐부를 종단 접속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개개의 전기 단자와 같은 다른 형태의 종단 접속 부재에 금속성 차폐부(56)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것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중심 특징들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예 및 실시예들은 모든 관점에서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들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0)

  1. 내부 도체, 상기 내부 도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는 내부 유전체, 상기 내부 유전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는 금속성 차폐부 및 전기 커넥터의 유전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도성 종단 부재에 대해 상기 금속성 차폐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는 외부 절연 재킷을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케이블을 종단 접속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블레이드부의 대향 에지들로부터 연장하고 수납 위치로부터 보유 위치로 각각 변형가능한 한 쌍의 대향 위치 설정 아암들을 갖고 있는 전도성 종단 부재에 대해 상기 금속성 차폐부의 노출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금속성 차폐부 둘레로부터 제거된 상기 케이블들의 각각의 상기 외부 절연 재킷의 일부분과 상기 케이블들을 위치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케이블들의 각각의 상기 금속성 차폐부의 상기 노출부를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 중의 하나 상에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전도성 종단 부재에 대해 상기 케이블들을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을 상기 보유 위치들로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차폐부의 상기 노출부를 상기 위치 설정 아암에 접합시키기 전에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유전체로부터 상기 케이블들의 각각의 상기 금속성 차폐부를 벌리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들의 각각의 상기 금속성 차폐부의 상기 노출부는 상기 위치 설정 아암의 원위 단부 근처로부터 상기 블레이드부의 종방향 중심선 근처까지 연장하는 지역에 걸쳐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 중의 하나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들의 각각의 상기 금속성 차폐부의 상기 노출부는 상기 노출부를 상기 위치 설정 아암에 납땜함으로써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종단 접속 부재의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블레이드부와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공통 평면을 형성하도록 그 대향 에지들에서 상기 한 쌍의 아암들이 연장하는 대체로 평탄한 블레이드부이고,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의 상기 금속성 차폐부들의 상기 노출부들은,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그들 각각의 보유 위치들로 변형되기 전에,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의 상기 공통 평면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은 상기 한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블레이드부와 대체로 공통 평면인 평면에서 상기 블레이드부의 대향 에지들에서 연장하고, 상기 한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은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보유 위치로 변형될 때 각각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체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은 상기 케이블들의 상기 노출부들이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에 접합될 때 대체로 상기 블레이드부(42) 상에 위치되고,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은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체로 수직이 되도록 변형될 때 그 안에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과 보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종단 접속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대향 에지들로 연장하는 부가적인 쌍의 위치 설정 아암을 포함하여, 상기 블레이드부와 상기 부가적인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공통 평면의 대향 측면 상에 부가적인 공통 평면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케이블의 부가적인 금속성 차폐부의 부가적인 노출부는 상기 부가적인 위치 설정 아암들이 수납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블레이드부의 상기 부가적인 평면 상의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의 상기 부가적인 쌍 중의 하나 이상에 접합되고, 상기 부가적인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을 각각의 보유 위치들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은 상기 부가적인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블레이드부의 상기 부가적인 평면과 대체로 공통 평면에서 상기 블레이드부의 대향 에지들에서 연장하고, 상기 부가적인 쌍의 위치 설정 아암들은, 상기 부가적인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보유 위치로 변형될 때, 각각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체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케이블은 상기 부가적인 케이블의 상기 부가적인 노출부가 상기 부가적인 위치 설정 아암에 접합될 때 상기 블레이드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부가적인 위치 설정 아암들은 상기 위치 설정 아암들이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체로 수직이 되도록 변형될 때 그 안에 상기 한 쌍의 케이블들과 보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종단 접속 방법.
KR1019970006842A 1996-03-01 1997-02-28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KR100256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09,578 1996-03-01
US8/609,578 1996-03-01
US08/609,578 US5768771A (en) 1996-03-01 1996-03-01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036A KR970068036A (ko) 1997-10-13
KR100256928B1 true KR100256928B1 (ko) 2000-05-15

Family

ID=2444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842A KR100256928B1 (ko) 1996-03-01 1997-02-28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68771A (ko)
JP (1) JP3015945B2 (ko)
KR (1) KR100256928B1 (ko)
CN (1) CN1071500C (ko)
TW (1) TW3281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88B1 (ko) 2005-04-28 2008-03-2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동축 케이블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9693B2 (ja) * 1996-11-07 2005-1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加工品の製造方法
US6605783B1 (en) * 1997-10-14 2003-08-12 Fitel Usa Corp. Non-metallic transmission cables and method for terminating the same
JP3901855B2 (ja) * 1998-08-10 2007-04-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端子
US6323430B1 (en) 1999-07-28 2001-11-2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shaped cable holding clamp with grounding
TW539307U (en) * 1999-08-24 2003-06-21 Hon Hai Prec Ind Co Ltd Plug connector
TW433621U (en) * 1999-11-11 2001-05-01 Hon Hai Prec Ind Co Ltd Plug connector
JP3656187B2 (ja) * 2000-04-17 2005-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6380485B1 (en) 2000-08-08 2002-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wire termination for twinax wires
US6494739B1 (en) 2001-02-07 2002-12-17 Welch Allyn, Inc. Miniature connector with improved strain relief for an imager assembly
JP2003100399A (ja) * 2001-09-21 2003-04-04 Yazaki Corp コネクタ
GB0130635D0 (en) * 2001-12-21 2002-02-06 Gore W L & Ass Uk Cable connector
JP2005294056A (ja) * 2004-03-31 2005-10-2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同軸線はんだ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7564415B2 (en) * 2005-01-28 2009-07-21 Flextronics Automotive Inc. Antenna system for remote control automotive application
KR101497710B1 (ko) * 2007-03-20 2015-03-02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극세 동축선 하네스, 그 접속방법, 배선판 접속체, 배선판 모듈 및 전자기기
CN103904442A (zh) * 2014-03-08 2014-07-02 东莞讯滔电子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208045846U (zh) * 2018-01-03 2018-1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11095076B2 (en) * 2019-12-13 2021-08-17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832A (en) * 1985-03-06 1986-07-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Multi-row connector with ground plane board
US5473117A (en) * 1994-02-17 1995-12-05 Alcatel Network Systems, Inc. Flexible cable grounding scheme
FR2716580B1 (fr) * 1994-02-18 1996-04-12 Cegelec Boîte de raccordement pour une pluralité de câbles blindé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688B1 (ko) 2005-04-28 2008-03-2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동축 케이블의 접속에 적합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1561A (es) 1997-09-30
JP3015945B2 (ja) 2000-03-06
TW328185B (en) 1998-03-11
JPH10189149A (ja) 1998-07-21
US5768771A (en) 1998-06-23
CN1168553A (zh) 1997-12-24
KR970068036A (ko) 1997-10-13
CN1071500C (zh) 200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631B1 (ko) 고속케이블의차폐부접속시스템
US5718607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5711686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US5725387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KR100282634B1 (ko) 고속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US5716236A (en)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KR100256928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KR100282633B1 (ko) 고속케이블의차폐부접속시스템
MXPA97001560A (en) System to complete the protection of a cable dealta veloci
KR100282632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를 종단 접속하기 위한 시스템
US5203079A (en) Method of terminating miniature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21452A (ko) 동축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MXPA97001565A (en) System to complete the shield of a cable aalta veloci
MXPA97001557A (en) System for the termination of the protection of a high speed cable
MXPA97001563A (en) System to complete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MXPA97001559A (en) System for the termination of the protection of a high speed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