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677B1 -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677B1
KR100255677B1 KR1019970070284A KR19970070284A KR100255677B1 KR 100255677 B1 KR100255677 B1 KR 100255677B1 KR 1019970070284 A KR1019970070284 A KR 1019970070284A KR 19970070284 A KR19970070284 A KR 19970070284A KR 100255677 B1 KR100255677 B1 KR 10025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combustion chamber
pulley
rotar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049A (ko
Inventor
차선홍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7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6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8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 F02B31/085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having multiple air inlets having two inle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연소실에 연통되게 좌회전공이 관통된 흡기로와 우회전공이 관통된 배기로가 형성된 차량용 기관의 케이스와; 상기 좌회전공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 내로 유입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좌안내홈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1걸림돌기,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1풀리로 된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상기 우회전공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 외부로 배출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한 우안내홈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2걸림돌기,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2풀리로 된 배기용 로터리 밸브와; 상기 주 풀리 및 제 1,2풀리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일측단에는 한쌍의 작동돌기를 네 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하여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배기용 로터리 밸브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벨트와; 그 벨트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정하게 된 아이들 풀리로 구성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AN APPARATUS INLET AND OUTLET OF A AIR FOR A CAR ENGINE}
본 발명은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 풀리가 일단으로 결합된 크랭크축에 하단이 축설되어 상하 직진 운동되도록 커넥팅 로드가 설치되는 작동실과, 상기 커넥팅 로드의 상단이 축설된 피스턴의 상하 작동으로 혼합기가 유입 배출되는 연소실로 이루어진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게 좌회전공이 관통된 흡기로와 우회전공이 관통된 배기로가 형성된 차량용 기관의 케이스와, 상기 좌회전공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 내로 유입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좌안내홈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1걸림돌기,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1풀리로 된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상기 우회전공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 외부로 배출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우안내홈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2걸림돌기,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2풀리로 된 배기용 로터리 밸브와, 상기 주 풀리 및 제 1,2풀리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일측단에는 한 쌍의 작동돌기를 네 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하여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배기용 로터리 밸브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벨트와, 그 벨트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정하게 된 아이들 풀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기관은 피스턴의 왕복 운동에 의해 연소실에서 발생한 열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바꾸는 기관으로, 이는 피스턴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기 위해 피스턴과 크랭크축을 커넥팅 로드로 연결한 피스턴- 크랭크축 기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작동 방법에 따라 크랭크축 2회전에 1사이클을 완성하는 4행정 사이클 기관(Four stroke engine)과 크랭크축 1회전에 1사이클을 완성하는 2행정 사이클 기관(Two stroke cycle engine)으로 구분된다.
이중 4행정 사이클 가솔린은 흡기관의 도중에 설치된 기화기(또는 가솔린 분사장치: EFI)에 의해 공기와 연료의 균일한 혼합기가 만들어지고, 이 혼합기는 피스턴이 하강할 때의 흡입력에 의해 실린더 안으로 흡입되어 압축한 후 점화되고, 점화 플러그 부근에서 발생한 불꽃은 혼합기 전체로 전파되며 이때의 연소로 온도가 상승하고 실린더 안의 압력이 급격히 높아지고, 이 압력이 피스턴에 가해져 피스턴-크랭크축 기구를 통해 크랭크축(구동축)에 회전력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해, 상기 4행정 가솔린 기관은 흡입 행정(Intake stroke), 압축 행정(Compression stroke), 폭팔 행정(Power stroke), 배기 행정(Exhaust stroke)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4행정 가솔린 기관에서 흡기 및 배기용 밸브의 설치 구조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4b,4c,4d는 종래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의 4행정 사이클을 보인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부로 크랭크축(30)에 하단이 축설되어 상하 직진 운동 가능한 커넥팅 로드(40)가 설치된 작동실(22)과, 상기 커넥팅 로드(40)의 상단이 축설된 피스턴(50)의 상하 작동으로 혼합기가 압축 팽창되는 연소실(24)로 이루어진 차량용 기관(10)에 있어서, 그 차량용 기관(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흡기 밸브(60)로 개폐되는 흡기로(26)와 배기 밸브(70)로 개폐되는 배기로(28)가 연소실(24)에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었는 바, 도면 중 미설명 부호(80)는 상기 혼합기의 점화 플러그이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엔진(10)은 상기 크랭크축(30)이 좌회전됨에 따라 커넥팅 로드(40)가 움직여 상기 피스턴(50)이 연소실(24)에서 하강되게 하면, 상기 흡기 밸브(60)가 하강하여 흡기로(26)를 개방시켜 공기가 연소실(24)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흡입행정(IS)과; 그 흡입 행정(IS)에 연이어, 상기 크랭크축(30)이 좌회전됨에 따라 커텍틱 로드(40)가 움직여 상기 피스턴(50)이 연소실(24)에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흡기 밸브(60)은 처음에서와 같이 흡기로(26)를 막아 유입된 공기를 압압해주게 된 압축 행정(CS)과; 그 압축 행정(CS)에 연이어 상기 크랭크축(30)의 좌회전에 의해 이에 축설된 커넥팅 로드(40)가 피스턴(50)을 연소실(24)의 가장 상부에 위치될 때 점화 플러그(80)의 작동으로 혼합기가 점화된 다음, 그 연소 압력을 받아 상기 크랭크축(30)에 회전력을 가하게 된 폭팔 행정(PS)과; 그 폭팔 행정(PS)에 연이어, 상기 피스턴(50) 및 커넥팅 로드(40)이 하강하여 크랭크축(30)을 좌회전시킴에 따라 배기 밸브(70)가 하강하여 배기로(28)를 개방하게 되므로, 그 배기로(28)를 통해 혼합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행정(ES)의 과정으로 작동되었지만, 상기 흡기 밸브(60) 및 배기 밸브(70)가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 개폐 작동됨으로써,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제기 되었고, 이에 따라 배기 밸브(70) 및 흡기 밸브(60)가 쉽게 파손 되는 등 내구성에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용 기관의 흡기 및 배기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기존의 상하 이동식 밸브를 사용하는 대신 회전식으로 된 흡기용 로터리 밸브 및 배기용 로터리 밸브를 케이스 상부로 형성된 좌회전공과 우회전공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 풀리가 일단으로 결합된 크랭크축에 하단이 축설되어 상하 직진 운동되도록 커넥팅 로드가 설치되는 작동실과, 상기 커넥팅 로드의 상단이 축설된 피스턴의 상하 작동으로 혼합기가 유입 배출되는 연소실로 이루어진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게 좌회전공이 관통된 흡기로와 우회전공이 관통된 배기로가 형성된 차량용 기관의 케이스와; 상기 좌회전공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 내로 유입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좌안내홈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1걸림돌기와,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1풀리로 된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상기 우회전공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 외부로 배출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우안내홈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2걸림돌기와,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2풀리로 된 배기용 로터리 밸브와; 상기 주 풀리 및 제 1,2풀리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일측단에는 한쌍의 작동돌기를 네 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하여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배기용 로터리 밸브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 벨트와; 그 벨트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정하게 된 아이들 풀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a,3b,3c,3d는 본 발명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의 4행정 사이클을 보인 작동도이다.
도 4a,4b,4c,4d는 종래 흡기 및 배기용 밸브가 설치된 차량용 기관의 4행정 사이클을 보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차량용 기관 120 : 케이스
130 : 크랭크축 140 : 커넥팅 로드
150 : 피스턴 160 : 흡기용 로터리 밸브
170 : 배기용 로터리 밸브 180 : 벨트
190 : 아이들 풀리 200 : 실린더 블록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a,3b,3c,3d는 본 발명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의 4행정 사이클을 보인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용 기관(110)은 작동실(122)과 연소실(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실(122)에는 주 풀리(132)가 일단으로 결합된 크랭크축(130)에 하단이 축설되어 상하 직진 운동되도록 커넥팅 로드(140)가 설치된다.
상기 연소실(124)에는 상기 커넥팅 로드(140)의 상단이 축설된 피스턴(150)의 상하 작동으로 혼합기가 유입 배출된다.
상기 차량용 기관(110)은 케이스(120),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 크랭크축(130), 벨트(180) 및 아이들 풀리(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20)에는 연소실(124)에 연통되게 좌회전공(126a)이 관통된 흡기로(126)와 우회전공(128a)이 관통된 배기로(128)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는 상기 좌회전공(126a)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124) 내로 유입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한 좌안내홈(162)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1걸림돌기(166)와,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1풀리(164)로 된다.
상기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는 우회전공(128a)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연소실(124) 내로 유입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한 우안내홈(172)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돌기(176)와,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2풀리(174)로 된다.
상기 벨트(180)는 주 풀리(132) 및 제 1,2풀리(164,166)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일측단에는 한 쌍의 작동돌기(182)를 네 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하여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와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아이들 풀리(190)는 벨트(18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200)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장치의 설치 및 작용 상태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즉, 상기 차량용 기관(110)의 케이스(120) 내부에는 작동실(122)과 연소실(1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작동실(122)에는 크랭크축(130)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있고, 그 크랭크축(130)에는 커넥팅 로드(140)의 하단이 연결 접속된다. 이에 상기 크랭크축(130)이 회전됨과 동시에 이에 연결 접속된 커넥팅 로드(140)는 수직으로 승강 및 하강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팅 로드(140)는 케이스(120) 내부에 형성된 작동실(122)에 하단이 위치되면서, 상단은 연소실(124)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어, 상기 커넥팅 로드(140)의 상단은 피스턴(150)의 하부에 연결 접속된 후, 그 피스턴(150)을 연소실(124)에서 승강 및 하강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좌회전공(126a)이 연소실(124)에 연통된 흡기로(126)를 형성하는 한편, 우회전공(128a)이 연소실(124)과 연통된 배기로(128)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흡기로(126)의 좌회전공(126a)과 배기로(128)의 우회전공(128a)으로는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와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를 끼워 설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 및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를 별도의 구동 수단을 이용, 회전됨에 따라 흡기로(126) 및 배기로(128)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의 외주면으로는 좌안내홈(162)을 형성하고, 상기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의 외주면으로는 우안내홈(172)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 및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상기 좌안내홈(162)과 우안내홈(172)은 피스턴(150)이 설치된 케이스(120)의 갯수에 따라 수개소에 걸쳐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좌안내홈(162)과 우안내홈(172)은 상기 흡기로(126)의 좌회전공(126a)과 상기 배기로(128)의 우회전공(128a)으로 위치된다. 이에 덧붙여서 상기 벨트(180)의 소정 위치에는 아이들 풀리(190)를 접촉되게 설치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의 일단으로 연결 설치된 제 1풀리(164)의 좌측면에는 다수개의 제 1걸림돌기(166)를 돌출 형성하고, 각각의 제 1걸림돌기(166)는 45°로 이격된 채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의 일단으로 연결 설치된 제 2풀리(174)의 좌측면으로는 다수개의 제 2걸림돌기(176)를 돌출 형성하고, 각각의 제 2걸림돌기(176)는 서로 45°가 되게 이격된 채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130)의 일단에는 주 풀리(132)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주 풀리(132) 및 제 1,2풀리(164,174)에는 벨트(180)를 끼워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되, 그 벨트(180)의 일측단에는 한쌍의 작동돌기(182)를 네 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한다.
그 작동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해 보면,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차량용 기관(110)을 가동시켜 크랭크축(130)이 회전 자재될 수 있게 하면, 한편으로는 상기 크랭크축(130)이 연결 접속된 푸쉬로드(140)가 수직으로 작동됨에 따라 피스턴(150)을 차량용 기관(110)의 케이스(120)에 형성된 연소실(124)에서 상하로 반복 운동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크랭크축(130)의 주 풀리(132)가 회전됨에 따라 이를 연결하고 있는 벨트(180)에 의해 제1 풀리(164) 및 제 2풀리(174)를 회전시켜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 및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를 회전 자재되게 한다.
이러한 차량용 기관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 도 3을 토대로 흡입행정(IS), 압축 행정(CS), 폭팔 행정(PS), 배기 행정(ES)으로 구분하여 기술하기로 하는 바, 그 흡입 행정(IS)의 과정에 있어, 상기 크랭크축(130)의 회전으로 푸쉬로드(140) 및 이에 연설된 피스턴(150)이 차량용 기관(110)의 연소실(124)에서 하강하는 동시에, 상기 크랭크축(130)의 주 풀리(132)의 회전과 함께 벨트(180)로 연결된 제 1,2풀리(164,174)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주 풀리(132)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도록 된 벨트(180)의 작동돌기(182) 한 쌍은 제 1풀리(164)의 제 1걸림돌기(166)에 걸리게 되는 데, 이러한 작동돌기(182) 한 쌍중 상측에 있는 것이 제 1풀리(164)의 제 1걸림돌기(166) 중 하나를 밀게 되고, 이에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가 일 방향으로 회전 후 좌안내홈(162) 중의 하나가 흡기로(126)와 연소실(124)에 공기가 연통되게 한다. 이렇게 되면, 흡기로(126)를 따라 내려온 공기가 좌안내홈(162)을 통해 연소실(124)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는 고정된 상태 그대로 배기로(128)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를 보여준 것이 바로 도면 도 3a이다.
이어, 도면 3b에서와 같이 상기 크랭크축(130)이 계속 회전됨에 의해 커넥팅 로드(140)의 직진 운동으로 피스턴(150)이 연소실(124)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벨트(180)가 주 풀리(132) 및 제 1,2풀리(164,174)를 따라 움직이게 되면, 상기 벨트(180)에 돌출 형성된 작동돌기(182)는 상기 제 1풀리(164)의 제 1걸림돌기(166) 중 하나에 걸려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를 소정각도 회전시켜 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행정(IS)에서 개방되어 있던 흡기로(126)가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연소실(124)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앞서와 같이 피스턴(150)이 연소실(124)에서 상승되는 상태로 되어 유입된 공기가 압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피스턴(150)이 연소실(124)에서 더욱 상승하여 공기의 압축이 최대로 될 경우 차량용 기관(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던 점화장치가 작동됨에 따라 연소실(124)에 유입된 공기가 폭팔된 후, 그 힘에 의해 피스턴(150)이 아래 방향으로 밀려 내리기 때문에 커넥팅 로드(140)가 크랭크축(130)을 앞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시말해 이와 같은 폭팔 행정(PS)에 의해 크랭크축(1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면 3c에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크랭크축(130)에 결합된 주 풀리(132)의 회전력은 벨트(180)에 의해 제 1,2풀리(164,174)를 회전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벨트(180)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작동돌기(182) 중 앞서 위치된 것이 상기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에 돌출 형성된 여러개의 제2 걸림돌기(176) 중 하나를 밀어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 자체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의 우안내홈(172)은 배기로(128)와 연소실(124)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연소실(124) 내에서 폭팔된 공기가 배기로(12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도면 도 3d에서 보여주고 있는 배기 행정(ES)이다.
본 발명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에 따르면, 차량용 기관의 상부에는 좌회전공이 관통된 흡기로와 우회전공이 관통된 배기로를 형성한 후 상기 좌회전공으로는 제 1풀리와 제 1걸림돌기 그리고 좌안내홈이 형성된 흡기용 로터리 밸브를, 상기 우회전공으로는 제 2풀리와 제 2걸림돌기 그리고 우안내홈이 형성된 배기용 로터리 밸브를 끼워 설치하고, 주 풀리와 제 1,2풀리 및 아이들 풀리를 서로 연설하여 동력이 전달되게 한 벨트의 일측 단부에는 한 쌍의 작동돌기를 수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함으로써, 차량용 기관의 작동시 기존의 상하 이동식으로 된 흡기 및 배기를 위한 밸브 대신, 흡기용 로터리 밸브 및 배기용 로터리 밸브를 회전 자재될 수 있게 케이스의 좌회전공과 우회전공에 끼워 설치함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함을 방지하는 한편, 흡기용 로터리 밸브와 배기용 로터리 밸브의 회전 동작에 의해 케이스의 연소실 내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게 하여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발명이다.

Claims (1)

  1. 주 풀리가 일단으로 결합된 크랭크축에 하단이 축설되어 상하 직진 운동되도록 커넥팅 로드가 설치되는 작동실과, 상기 커넥팅 로드의 상단이 축설된 피스턴의 상하 작동으로 혼합기가 유입 배출되는 연소실로 이루어진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24)과 연통되게 좌회전공(126a)이 관통된 흡기로(126)와 우회전공(128a)이 관통된 배기로(128)가 형성된 차량용 기관(110)의 케이스(120);
    상기 좌회전공(126a)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상기 연소실(124) 내로 유입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좌안내홈(162)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1걸림돌기(166),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1풀리(164)로 된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
    상기 우회전공(128a)으로 끼워져 회전되면서 공기가 상기 연소실(124) 외부로 배출되게 외주연 일측에 형성된 우안내홈(172)과, 좌측 단부에는 45°가 되게 다수개 돌출 형성된 제 2걸림돌기(176), 외주면에 끼워져 회전 자재되는 제 2풀리(174)로 된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
    상기 주 풀리(132) 및 상기 제 1,2풀리(164,174)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일측단에는 한쌍의 작동돌기(182)를 네 개소에 걸쳐 돌출 형성하여 상기 흡기용 로터리 밸브(160)와 상기 배기용 로터리 밸브(17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수 있게 한 벨트(180);
    상기 벨트(180)의 일측에 접촉될 수 있도록 실린더 블록(200)에 설치되어 장력을 조정하게 된 아이들 풀리(19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관의 흡·배기 장치.
KR1019970070284A 1997-12-19 1997-12-19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KR10025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284A KR100255677B1 (ko) 1997-12-19 1997-12-19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284A KR100255677B1 (ko) 1997-12-19 1997-12-19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49A KR19990051049A (ko) 1999-07-05
KR100255677B1 true KR100255677B1 (ko) 2000-05-01

Family

ID=1952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284A KR100255677B1 (ko) 1997-12-19 1997-12-19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5774A (ko) * 1999-12-30 2001-07-11 정주호 자동차용 흡배기포트의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149A (ja) * 1992-10-28 1994-05-17 Toyota Motor Corp 渦流室付2サイクル内燃機関
KR970006853A (ko) * 1995-07-22 1997-02-21 김태구 자동차의 흡 . 배기펌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7149A (ja) * 1992-10-28 1994-05-17 Toyota Motor Corp 渦流室付2サイクル内燃機関
KR970006853A (ko) * 1995-07-22 1997-02-21 김태구 자동차의 흡 . 배기펌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4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48359A1 (en) O-ring type rotary engine
KR100255677B1 (ko) 차량용기관의흡·배기장치
KR20040086460A (ko) 직접 분사식 내연기관
KR100885464B1 (ko) 4행정 내연기관의 흡배기 장치
JP2001082157A (ja) 2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及びこれに用いる掃気ポンプ
KR20090060609A (ko) 이중피스톤이 구비된 내연기관 엔진
RU2397340C2 (ru) Двухтактны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на топливе
JP2005513344A (ja) シリンダ・ヘッド
KR100481692B1 (ko) 엔진 밸브구동장치
US20030200950A1 (en) Rotary valve structure for four-stroke engine
KR100248333B1 (ko) 자동차 기관의 흡배기 밸브장치
KR0132589Y1 (ko) 자동차용 이중 흡기밸브식 엔진
KR200259607Y1 (ko) 로터리 방식 수소내연기관
RU2267612C2 (ru) Роторно-поршневой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950005826B1 (ko) 자동차 엔진의 흡, 배기밸브 가변 개폐장치
KR100229382B1 (ko) 자동차의 피스톤
KR200231663Y1 (ko) 자동차엔진용일체형흡배기밸브의점화장치
KR20030076095A (ko) 축동 피스톤식 가솔린엔진
KR0164487B1 (ko) 디젤엔진의 흡입공기량 증대장치
KR100275157B1 (ko) 차량용 엔진의 흡배기밸브 윤활장치
CN1225975A (zh) 旋转式内燃发动机
KR100245877B1 (ko) 엔진의 밸브 장치
JPH08312314A (ja) 内燃ピストン機関における給排気弁装置
KR19990032019A (ko) 로터리식 밸브형 엔진
KR20010064295A (ko) 엔진의 흡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