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118B1 -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118B1
KR100254118B1 KR1019970046091A KR19970046091A KR100254118B1 KR 100254118 B1 KR100254118 B1 KR 100254118B1 KR 1019970046091 A KR1019970046091 A KR 1019970046091A KR 19970046091 A KR19970046091 A KR 19970046091A KR 100254118 B1 KR100254118 B1 KR 10025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ower body
upper body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756A (ko
Inventor
송인선
Original Assignee
송인선
주식회사아이텍 테크널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선, 주식회사아이텍 테크널러지 filed Critical 송인선
Priority to KR101997004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118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68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connected to the cable shield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7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전송장치의 회로블록에 전송용 케이블이 용이하게 접속·분리되도록 전송케이블의 양단에 설치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2이상의 콘택부재를 수납하고 케이블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가 사출되도록 한다. 하부몸체에 케이블과 결선된 적어도 2이상의 콘택부재들이 가설된다. 다음으로, 상부몸체가 초음파융착공정에 의해 하부몸체에 융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어셈블리는 제조공정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불량율을 최소화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Cables Assembl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환기와 같은 대형전송장비(이하 "장비"라 함) 내의 회로블록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단일모드(Single Mode) 데이터 또는 차동모드(Differential Mode)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케이블 양단에 콘넥터를 설치하여 각 회로 블록에 전송용 케이블이 용이하게 접속·분리되도록 전송케이블의 양단에 설치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기와 같은 장비는 최초에 음성신호만을 중계하였으나 최근에는 텍스트 및 이미지정보를 포함한 2진 데이터도 중계할 수 있도록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다수의 가입자들간의 음성 및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해 많은 PBA(Printed Board Assembly; 이하 "PBA"라 함)을 포함하는 다수의 회로블록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비들은 정보가 대형화됨에 따라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고 가능한 많은 가입자들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초고속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능력이 요청되고 있다.
이 결과, 상기 장비들내의 회로블록들과 PBA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일정한 주파수(예를 들면, 240 MHz) 이상의 대역까지 점유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장비는 점유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크기가 축소되고 있다. 즉, 하드웨어(Hardware)에 의한 공간적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이다.
상기 장비에서 회로블록들 및 PBA들은 전송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송케이블은 케이블 어셈블리에 의해 회로블록 또는 PBA와 접속 또는 분리된다. 즉, 케이블 어셈블리는 전송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되어 전송케이블이 장비의 회로블록 또는 PBA에 쉽게 접속되거나 그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케이블 어셈블리는 대형전송장비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최소화되도록 요청 받고 있고 아울러 장비의 회로블록 및 PBA에서 처리되는 240MHz 이상의 고주파 신호를 왜곡 없이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제한에 부응하기 위하여, 2mm 의 피치(Pitch)를 가지는 언쉬일드형(Unshield Type) 케이블 어셈블리가 제안되었다. 이와 더불어, 고주파 신호가 왜곡 없이 전송되도록 하는 쉬일드형 케이블 어셈블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케이블 어셈블리들은 1차 사출에 의해 형성된 부품에 케이블이 연결된 접점들(Contacts)을 삽입한 다음 다시 2차 사출을 진행함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불량 율이 높다. 또한, 쉬일드형과 언쉬일드형 케이블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형태로 설계되므로 혼용이 곤란하였다. 더 나아가, 종래의 케이블 어셈블리는 적층(Stacking)시 공차를 발생시키므로 적층 구조로 사용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된 구조로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하부몸체의 외면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상부몸체의 내면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하부몸체의 외면을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상부몸체의 내면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60 : 하부몸체 12, 62 : 상부몸체
14, 64 : 세로벽 14A, 64A : 결합대
14B, 64B : 안내턱 14C, 64C : 콘택고정돌기
16, 66 : 콘택부재 18A, 68A : 접지구멍
20, 70 : 접지판 22 : 단일모드 케이블
24A, 74A : 케이블수납공간 26A, 76A : 리드안내홈
28A, 78A : 후단날개편 28B, 78B : 중앙날개편
28C, 78C : 전단날개편 32, 82 : 판고정돌기
34, 84 : 판고정홈 36, 86 : 결합홈
38, 88 : 스택플러그 40, 90 : 측벽
42, 92 : 수납공간 44, 94 : 세로홈
50, 100 : 스택홈 52, 102 : 결합밴드
72 : 차동모드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케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2이상의 리드선들 각각에 체결될 적어도 2이상의 콘택부재들을 가지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의 분산 배치되어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에서는 하부몸체의 저면에 적어도 2이상의 결합홈들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들에 삽입되기 적합한 스택플러그가 상부몸체의 윗면에 형성됨으로써 다른 케이블 어셈블리와의 결합공차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적어도 2 이상의 콘택부재를 수납하고 케이블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를 사출하는 단계와, 하부몸체에 케이블과 결선된 적어도 2이상의 콘택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하부몸체에 상부몸체를 결합하는 단계와, 결합된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를 초음파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첨부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된 상부몸체의 내면부와 하부몸체의 외면부를 도시한다. 도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일모드용 케이블 어셈블리는 하부몸체(10)와 결합될 상부몸체(12)를 구비한다.
하부몸체(10)의 앞쪽 전반부에는 6개의 세로벽돌(14)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들 6개의 세로벽들(14)은 5개의 콘택부재들(16)이 각각 수납될 수 있는 5개의 콘택수납공간(18)을 형성한다. 세로벽(14)에는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신장되어진 결합대(14a)와, 앞단부에 형성된 안내턱(14b)과, 양쪽벽면의 뒤쪽부분에서 블룩하게 돌출되어진 콘택고정돌기들(14c)을 존재한다. 안내턱(14b)은 대형 전송장비의 회로블록 또는 PCB에 설치된 단자핀(도시하지 않음)을 콘택수납공간(18)의 내부로 안내하게 된다. 콘택고정돌기들(14C)은 콘택수납공간(18)에 수납되는 콘택부재들(16)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를 위해 콘택고정돌기들(14C)은 세로벽(14)의 우측벽면에는 하나 그리고 좌측벽면에는 두개씩 형성된다. 중앙의 콘택수납공간(18)의 중앙에는 제1 접지구멍(18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접지구멍(18A)은 제1 접지판(20A)을 콘택부재(1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다.
그리고 하부몸체(10)의 후반부에는 각각 하나씩 단일모드용 전송케이블(22)을 수납하기 위한 두개의 제1 케이블수납공간(2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일모드용 전송케이블(22)은 하나의 내부도체가 테프론으로 된 절연체에 의해 절연 처리되고, 절연되지 않은 외부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는 서로 꼬이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시켜, 일정한 임피던스(즉, 50Ω 또는 70Ω)를 유지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외부는 알루미늄 차폐막으로 전체가 감겨져 있다. 이 제1 케이블 수납공간(24A)의 전단에는 케이블(22)에 포함되어진 3개의 리이드선들(22A)을 세개의 콘택수납공간들(18)쪽으로 안내하는 제1 리드안내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5개의 콘택수납공간들(18)중 중앙에 위치한 콘택수납공간(18)은 자신의 후단으로부터 두개의 제1 케이블 수납공간들(24A)의 전단으로부터 각각 신장되어진 두개의 제1 리드안내홈들(26A)과 연결된다. 즉, 중앙의 콘택수납공간(18)은 두개의 케이블(22)로부터의 각각 하나씩의 리드선(22A), 즉 두개의 리이드선(22A)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하부몸체(10)의 양측면 각각에는 3개씩의 제1 날개편들(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하부몸체(10)의 측면 전단, 중앙부 및 후단 각각에 날개편(28)이 설치된다. 하부몸체(10)의 양측벽면의 제1 후단날개편(28A)과 제1 중앙날개편(28B) 사이의 위치에는 제1 접지판(20A)을 고정하기 위한 제1 판고정돌기(32A)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전단날개편(28C)의 뒤쪽과 제1 중앙날개편(28B)의 앞쪽에는 제1 판고정홈(3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판고정홈들(34A)과 제1 판고정돌기들(32A)은 제1 접지판(20A)이 유동하지 않도록 제1 접지판(20A)을 고정하게 된다. 제1 후단날개편들(28A)과 제1 중앙날개편들(28B), 두개의 제1 케이블 수납공간들(24A) 사이의 표면 그리고 제1 케이블수납공간들(24A)과 제1 후단날개편들(28B) 사이의 표면에는 하나씩의 결합홈(3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후단날개편들(28A)의 저면과 제1 중앙날개편들(28B)의 저면에는 도2 에서와 같이 스택플러그(38)가 형성된다. 이 스택플러그(38)는 하부에 위치하게 될 다른 케이블 어샘블리의 상부몸체에 형성된 스택홈에 삽입되어 하부의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공차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적층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부몸체(12)의 앞쪽 전반부에는 도3에서와 같이 양측단에 위치한 측벽들(40)에 의해 오목한 수납공간(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수납공간(4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4개의 세로홈들(44)이 형성되고, 측벽들(40)의 상부면에도 세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세로홈들(44)은 하부몸체(10)의 결합대들(14A)을 수납함으로서 상부몸체(12)를 하부몸체(10)와 결합시킨다. 중앙의 두개의 세로홈들(44) 사이에는 제2 접지구멍(4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접지구멍(42B)은 제2 접지판(20B)을 하부몸체(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콘택부재(16)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몸체(10)에는 후반부에는 각각 하나씩의 전송케이블(22)을 수납하기 위한 두개의 제2 케이블수납공간(2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케이블수납공간(24B)의 전단에는 케이블(22)에 포함되어진 3개의 리이드선들(22A)을 세로홈들(44) 사이의 위치까지 안내하는 제2 리이드안내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의 두개의 세로홈(44)들 사이의 위치에는 두개의 제2 케이블수납공간들(24B)의 전단으로부터 각각 신장되어진 두개의 제2 리드안내홈들(26B)과 연결된다. 케이블(22)은 제1 및 제2 케이블수납공간(24A, 24B)사이에 수납·압압되므로 상부몸체(10) 및 하부몸체(12)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몸체(12)의 양측면 각각에는 3개씩의 제2 날개편들(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상부몸체(12)의 측면 전단, 중앙부 및 후단 각각에 제2 날개편(46)이 설치된다. 상부몸체(12)의 양측벽면의 제2 후단날개편(46A)과 제2 중앙날개편(46B) 사이의 위치에는 제2 접지판(20B)을 고정하기 위한 제2 판고정돌기(32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전단날개편(46C)의 뒤쪽과 제2 중앙날개편(46B)의 앞쪽에는 제2 판고정홈(3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판고정홈들(34B)과 제2 판고정돌기들(32B)은 제2 접지판(20B)이 유동하지 않도록 제2 접지판(20B)을 고정하게 된다. 제2 후단날개편들(46A)과 제2 중앙날개편들(46B), 두개의 제2 케이블수납공간들(24B) 사이의 표면 그리고 제2 케이블수납공간들(24B)과 제2 후단날개편들(46B) 사이의 표면에는 하나씩의 결합돌기(48)가 형성된다. 이 결합돌기들(48)은 하부몸체(10)의 결합홈들(36)에 삽입됨으로써 상부몸체(12)를 하부몸체(10)에 결합시킨다. 제2 후단날개편들(46A)의 윗면과 제2 중앙날개편들(46B)의 윗면에는 도1 에서와 같이 스택홈(50)이 각각 형성된다. 이 스택홈(50)은 상부에 위치하게될 다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하부본체에 형성된 스택플러그(38)를 수납·고정함으로써 상부의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공차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적층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콘택부재(16)는 리드(22A)를 수납하기 적합한 U자형 본체부(16A)와, 이 본체부(16A)의 측벽의 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신장되어진 한쌍의 날개부(16B)를 구비한다. 이 한쌍의 날개부(16B)는 대형전송장치의 회로블록 또는 PCB에 설치된 도전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본체부(16A)의 양측벽의 후단 상단부에는 고정편들(1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본체부(16A)의 좌측벽에는 두개의 고정편(16C)이 그리고 후측벽에는 하나의 고정편(16C)이 존재한다. 본체부(16A)의 좌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고정편(16C)은 가로벽(14)의 우측벽면에 형성된 하나의 콘택고정돌기(14C)의 전후에서 가로벽(14)쪽으로 구부러짐으로서 콘택부재가 앞뒤로 유동하지 않게 한다. 본체부(16A)의 우측벽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편(16C)은 가로벽(14)의 좌측벽면에 형성된 두개의 콘택고정돌기(14C) 사이에서 가로벽(14)쪽으로 구부러짐으로서 콘택부재(16)가 앞뒤로 유동하지 않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및 제2 접지판(20A, 20B)은 각각 직사각형의 도전판(20C)과, 이 도전판의 양측의 후단부에는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걸림편(20D)을 구비한다. 이 걸림편들(20D) 각각에는 제1 또는 제2 판고정돌기(32A 또는 32B)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관통구멍(20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20E)에 제1 또는 제2 판고정돌기(32A 또는 32B)가 관통됨으로서 걸림편(20D)은 도전판(20C)을 하부몸체(10)의 저면 또는 상부본체(12)의 윗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도전판(20B)의 양측의 전단부에는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유동방지편(20F)이 존재한다. 이 유동방지편(20F)은 상부몸체(12)의 제2 판고정홈(34B) 또는 하부몸체(10)의 제1 판고정홈(34A)에 끼이어 도전판(20C)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전판(20C)의 중앙에는 접지편(20G)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전판(20C)의 중앙에는 접지편(20G)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접지편(20G)은 하부몸체(10)의 제1 접지구멍(38A) 또는 상부몸체(12)의 제2 접지구멍(38B)을 통과하여 콘택부재(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렇게 콘택부재(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진 접지판들(20A, 20B)은 고주파 잡음성분을 바이패스(Bypass)시킴으로써 고주파 신호가 왜곡 없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모드용 케이블 어셈블리는 결합밴드(52)에 의해 적층될 수 있다. 이 결합밴드(52)는 판고정홈들(34A, 34B)에 끼이기에 적합한 폭과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결합밴드(52)에는 걸림편(20D)의 끝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52A)이 형성된다. 이 결합밴드(52)상의 관통구멍(52A)을 통과하는 걸림편(20D)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두개 이상의 케이블 어셈블리가 밀착·적층되도록 한다. 또한, 결합밴드(52)에서는 체결편(52B)이 관통구멍(52A)의일측으로부터 신장되어져 있다. 이 체결편(52B)은 결합밴드(52)가 관통구멍(52A)을 관통하여 상하로 부러진 걸림편(20D)의 끝단부를 압착시킴으로써 결합밴드(52)가 적층된 케이블 어셈블리들의 측면에 단단하게 밴딩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각각 도4에 도시된 상부몸체의 내면부와 하부몸체의 외면부를 도시한다.
도4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동모드용 케이블 어셈블리는 하부몸체(60)와 결합될 상부몸체(62)를 구비한다.
하부몸체(60)의 앞쪽 전반부에는 5개의 세로벽들(6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들 5개의 세로벽들(64)은 4개의 콘택부재들(66)이 각각 수납될 수 있는 4개의 콘택수납공간(68)을 형성한다. 세로벽(64)에는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신장되어진 결합대(64A)와, 앞단부에 형성된 안내턱(64B)과, 양쪽벽면의 뒤쪽부분에서 블룩하게 돌출되어진 콘택고정돌기들(64C)을 존재한다. 상기 안내턱(64B), 콘택고장돌기(64C)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부몸체(60)의 후반부에는 하나의 차동모드용 전송케이블(72)을 수납하기 위한 한 개의 제3 케이블수납공간(7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동모드용 전송케이블(72)은 두개의 내부도체가 테프론으로 된 절연체에 의해 절연 처리되고, 절연되지 않은 외부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는 서로 꼬이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그 외부는 알루미늄 차폐막으로 전체가 감겨져 있다. 또한, 일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 진다. 이때 도선의 임피던스는 50Ω 또는 70Ω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제3 케이블수납공간(74A)의 전단에는 케이블(72)에 포함되어진 4개의 리이드선들(72A)을 세개의 콘택수납공간들(68)쪽으로 안내하는 제3 리드안내홈(7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4개의 콘택수납공간들(78) 중 중앙에 위치한 콘택수납공간(68)은 자신의 후단으로부터 제3 케이블수납공간(74A)의 전단으로부터 각각 신장되어진 한 개의 제3 리드안내홈들(76A)과 연결된다.
또한, 하부몸체(60)의 양측면 각각에는 3개씩의 제3 날개편들(78)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몸체(60)의 측면 전단, 중앙부 및 후단 각각에 날개편(78)이 설치된다. 하부몸체(60)의 양측벽면의 제3 후단날개편(78A)과 제3 중앙날개편(78B) 사이의 위치에는 제3 접지판(70A)을 고정하기 위한 제3 판고정돌기(82A)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전단날개편(78C)의 뒤쪽과 제3 중앙날개편(78B)의 앞쪽에는 제3 판고정홈(8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3 후단날개편들(78A)과 제3 중앙날개편들(78B), 두개의 제3 케이블수납공간들(74A) 사이의 표면 그리고 제3 케이블수납공간들(74A)과 제3 후단날개편들(78B) 사이의 표면에는 하나씩의 결합홈(86)이 형성된다. 또한, 제3 후단날개편들(78A)의 저면과 제3 중앙날개편들(78B)의 저면에는 도5에서와 같이 스택플러그(88)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판고정홈들(84A)과 스택플러그(88)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몸체(62)의 앞쪽 전반부에는 도6에서와 같이 양측단에 위치한 측벽들(90)에 의해 오목한 수납공간(9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수납공간(92)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3개의 세로홈들(94)이 형성되고, 측벽들(90)의 상부면에서도 세로홈(9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로홈(94)들 사이에는 제4 접지구멍(92B)이 형성 되어있다. 상기 세로홈(94) 및 제4 접지구멍(92B)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부몸체(60)에는 후반부에는 하나의 전송케이블(72)을 수납하기 위한 한 개의 제4 케이블수납공간(7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케이블수납공간(74B)의 전단에는 케이블(72)에 포함되어진 4개의 리이드선들(72A)을 세로홈들(74) 사이의 위치까지 안내하는 제4 리이드안내홈(7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의 세로홈(94)들 사이의 위치에는 한 개의 제4 케이블수납공간들(74B)의 전단으로부터 각각 신장되어진 한 개의 제4 리드안내홈들(76B)과 연결된다.
또한, 상부몸체(62)의 양측면 각각에는 3개씩의 제4 날개편들(96)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상부몸체(62)의 측면 전단, 중앙부 및 후단 각각에 제4 날개편(96)이 설치된다. 상부몸체(62)의 양측벽면의 제4 후단날개편(96A)과 제4 중앙날개편(96B) 사이의 위치에는 제4 접지판(70B)을 고정하기 위한 제4 판고정돌기(82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4 전단날개편(96C)의 뒤쪽과 제4 중앙날개편(96B)의 앞쪽에는 제4 판고정홈(8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4 후단날개편들(96A)의 윗면과 제4 중앙날개편들(96B)의 윗면에는 도4 에서와 같이 스택홈(10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4 판고정홈들(84B), 제4 판고정돌기들(82B) 및 스택홈(100)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콘택부재(66)는 리드(72A)를 수납하기 적합한 U자형 본체부(66A)와, 이 본체부(66A)의 측벽의 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신장되어진 한쌍의 날개부(66B)를 구비한다. 이 한쌍의 날개부(66B)는 대형전송장치의 회로블록 또는 PCB에 설치된 도전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본체부(66A)의 양측벽 후단 상단부에는 고정편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하면 본체부(66A)의 좌측벽에는 두개의 고정편(66C)이 그리고 후측벽에는 하나의 고정편(66C)이 존재한다. 상기 고정편(66C)들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3 및 제4 접지판(70A, 70B)은 각각 직사각형의 도전판(70C)과, 이 도전판의 양측의 후단부에는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걸림편(70D)을 구비한다. 이 걸림편들(70D) 각각에는 제3 또는 제4 판고정돌기(72A 또는 72B)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관통구멍(70E)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70E)에 제3 또는 제4 판고정돌기(82A 또는 82B)가 관통됨으로서 걸림편(70D)은 도전판(70C)을 하부몸체(60)의 저면 또는 상부본체(62)의 윗면에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도전판(70B)의 양측의 전단부에는 바깥쪽으로 신장되어진 유동방지편(70F)이 존재한다. 또한, 도전판(70C)의 중앙에는 접지편(70G)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편(70F), 접지편(70G) 및 접지판들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결합밴드(102)에 의해 적층될 수 있다. 이 결합밴드(102)는 판고정홈들(84A, 84B)에 끼이기에 적합한 폭과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결합밴드(102)에는 걸림편(70D)의 끝단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102A)이 형성된다. 이 결합밴드(102)상의 관통구멍(102A)을 통과하는 걸림편(70D)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두개 이상의 케이블 어셈블리가 밀착·적층되도록 한다. 또한, 결합밴드(102)에서는 체결편(102B)이 관통구멍(102A)의 일측으로부터 신장되어져 있다. 상기 체결편(102B)의 기능은 상기 제1 실시예에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조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부몸체(10, 60)와 상부몸체(12, 62)는 사출공정에 의해 상기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부몸체(10, 60)에는, 콘택부재들(16, 66)이 설치된 다음 두개의 전송용 케이블(22, 72)이 콘택부재들(16, 66)과 결선된다. 이어서, 하부몸체(10, 60)에 상부몸체(12, 62)가 결합되고, 이들 하부몸체(10, 60)의 저면 및 상부몸체(12, 62)의 윗면에 제1 및 제2 접지판(20A, 20B)/또는 제3 및 제4 접지판(70A, 70B)이 체결된다. 이렇게 결합된 몸체들(10, 12 또는 60, 62)과 접지판들(20A, 20B 또는 70A, 70B)은 초음파 융착에 의해 압착된다. 이들 공정에서 접지판들(20A, 20B 또는 70A, 70B)은 접지기능이 요구된 경우에만 몸체들(10, 12 또는 60, 62)에 결합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진 상·하부 몸체에 케이블을 결선한 다음 초음파융착공정에 의해 상·하부몸체를 압착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케이블 결선 후에 진행되었던 사출공정이 제거됨으로써 제조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불량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접지판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쉬일드형 및 언쉬일드형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저면 및 윗면에 각각 형성되어진 결합홈들과 스택플러그들에 의해 위쪽 또는 아래쪽에 중첩된 다른 케이블 어셈블리와의 결합공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는 적층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다.

Claims (4)

  1. 케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2이상의 리드선들 각각에 체결되어 적어도 2이상의 콘택부재들을 가지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의 분산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수단과,
    상기 하부몸체의 표면에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와의 결합공차를 방지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에 형성된 적어도 2이상의 결합홈들과,
    상기 결합홈들에 삽입되기 적합하게 상기 상부몸체의 윗면에 형성되어 다른 케이브 어셈블리와의 결합공차를 방지하는 스택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이상의 콘택부재들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하부몸체의 저면 및 상기 상부몸체의 위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접지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단일모드 및 차동모드 신호들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기 적합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4.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수단의 일부, 표면에 형성되어진 체결홈, 저면에 형성되어진 적어도 2이상의 결합홈들을 가짐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케이블에 포함된 적어도 2이상의 리이드선들 각각에 체결될 적어도 2 이상의 콘택 부재들을 실장하기에 적합한 하부 몸체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체결돌기 및 결합홈들에 삽입되기 적합하게 자신의 윗면에 형성되어 다른 케이블 어셈블리와의 결합공차를 방지하는 스택플러그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기 적합하게 형성되어진 상부몸체를 사출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몸체에 케이블과 결선된 적어도 2 이상의 콘택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몸체에 상부몸체를 결합하는 단계와,
    결합된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를 초음파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19970046091A 1997-09-06 1997-09-06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25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91A KR100254118B1 (ko) 1997-09-06 1997-09-06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091A KR100254118B1 (ko) 1997-09-06 1997-09-06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56A KR19990024756A (ko) 1999-04-06
KR100254118B1 true KR100254118B1 (ko) 2000-04-15

Family

ID=1952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091A KR100254118B1 (ko) 1997-09-06 1997-09-06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93B1 (ko) 2008-03-19 2010-03-25 차경완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케이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391B1 (ko) * 2000-08-30 2002-06-12 이처술 조립식 통신단자핀 집적유니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609B1 (ko) * 2006-12-22 2008-01-21 차경완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와 그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640A (en) * 1992-05-29 1993-08-17 Telco Systems, Inc. Guide for an optical fiber cable having minimum bend radius
KR950007219A (ko) * 1993-08-25 1995-03-21 양승택 다심 광케이블 접속을 위한 광섬유 보호 지지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7640A (en) * 1992-05-29 1993-08-17 Telco Systems, Inc. Guide for an optical fiber cable having minimum bend radius
KR950007219A (ko) * 1993-08-25 1995-03-21 양승택 다심 광케이블 접속을 위한 광섬유 보호 지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93B1 (ko) 2008-03-19 2010-03-25 차경완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에 사용되는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56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383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JP4098725B2 (ja) 改善された接地を備えた高速ケーブルコネクタ
US469786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US6238235B1 (en) Cable organizer
US8650750B2 (en) Process for assembling a data cable connector module
US4632486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EP0607920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ower and signal contacts
GB2273397A (en) Electrical connectors
US6210230B1 (en) Cable connector
US7867045B2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assemblies having socket members
SK282787B6 (sk) Svorkovnica na vysoké prenosové priepustnosti
US10608382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alien crosstalk reduction devices
CN115428275A (zh) 高速连接器
CN112928550A (zh) 电缆连接器和电子设备
KR19990023430A (ko) 하이브리드 플러그 커넥터
GB2268842A (en) Contact blank an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s
KR100254118B1 (ko) 케이블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US11502446B2 (en) Data transmission connector and a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electric cable and use thereof
US11888255B2 (en) Single pair ethernet connector
CN110808493B (zh) 电连接器
US20020016107A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particularly for local area networks
CN216903605U (zh) 屏蔽板及母端连接器
CN213816537U (zh) 电连接器组件
CN220439929U (zh) 线缆连接器组件、组织器以及端子组件
US20240170893A1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