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126B1 -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126B1
KR100253126B1 KR1019970059637A KR19970059637A KR100253126B1 KR 100253126 B1 KR100253126 B1 KR 100253126B1 KR 1019970059637 A KR1019970059637 A KR 1019970059637A KR 19970059637 A KR19970059637 A KR 19970059637A KR 100253126 B1 KR100253126 B1 KR 100253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arriage
chamber
remnant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577A (ko
Inventor
히로미쓰 기미노
히데오 아사미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8006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5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 B65H2301/41858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by collecting cores in container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잔심받이대에 재치된 잔심의 축방향 치우침을 수정하여 상기 잔심을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의 잔심수용실로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잔심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의 잔심수용실(4) 바닥부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캐리지(5)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 상에 잔심받이대(6)가 승강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잔심수용실의 캐리지 이동방향의 적어도 한 쪽의 끝단부 위쪽에는 잔심받이대 상에 재치된 잔심(C)의 끝단면을 잔심위치수정면(9A,10A)에 접촉시켜 잔심받이대에 대한 잔심의 재치위치를 축방향으로 수정하기 위한 잔심접촉부재(9,1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본 발명은 윤전기(輪轉機)에서 사용되는 신문권취지나, 가공기에서 가공되는 합성수지필름이나 포(布), 금속스트립등과 같은 권취시트 형상물의 사용을 마친 권심(잔심)을 윤전기나 가공기등으로부터 회수하는 무인반송차(AGV)등의 이동체에 탑재되는 잔심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윤전기에서 사용되는 신문권취지는 그 중심부인 중공원통상의 권심의 양끝단에 윤전기측 한 쌍의 아암 각각에 설치된 콘이 끼워져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권심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한 쌍의 콘 중에 한 쪽의 콘은 그 축방향위치가 고정되고, 다른 쪽의 콘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신문권취지가 없어진 후의 잔심은, 상기 이동가능한 콘을 바깥쪽으로 후퇴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방되고, 무인반송차에 설치되어 있는 잔심회수장치의 승강자유로운 잔심받이대 위로 옮겨지게 되며, 상기 무인반송차에 의하여 잔심적재장소로 반송되어 회수된다.
도 3은 신문권취지를 윤전기로 공급함과 동시에 잔심의 회수를 행하기 위한 종래의 무인반송차의 정면도로서, 바닥면(G) 위를 주행하는 무인반송차(21)의 차체(22) 상에는 승강자유로운 받이대(23)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신문권취지(P)가 탑재된다.
상기 받이대(23)는, 무인반송차(21)의 주행시에는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하강위치에 있고, 윤전기로 신문권취지(P)를 공급하거나 윤전기로부터 사용한 신문권취지(P')를 도중에 회수하는 경우에는 실선으로 나타낸 상승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차체(22)의 신문권취지(P) 탑재위치 측방에는, 사용을 마친 잔심(C)을 윤전기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잔심회수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잔심회수장치(24)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잔심받이대(25)가 승강하는 위치의 차체(22) 내부에는 잔심수용실(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잔심수용실(26)의 바닥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캐리지(27)가 차체(22)의 전후방향(주행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캐리지(27)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잔심받이대(25)는, 캐리지(27) 상에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장치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터그래프기구(28)를 통하여 승강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잔심회수장치(24)에 의하여 윤전기로부터 잔심(C)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무인반송차(21)를 윤전기측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콘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C)의 측방향 소정위치에 횡방향 고정상태로 정지시키고, 잔심(C)의 길이에 대응하여 캐리지(27)을 잔심받이대(25)가 상기 한 쌍의 콘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C)의 축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다.
다음에, 잔심받이대(25)를 상승위치로 이동시킨 후, 한 쪽의 콘을 축방향 바깥쪽으로 후퇴이동시켜 잔심(C)을 한 쌍의 콘 사이로부터 개방하고, 잔심받이대(25)쪽으로 옮겨 심는다. 그 후, 잔심받이대(25)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그 하강위치에서 윤전기로부터 회수된 잔심(C)은 잔심받이대(25)와 함께 상기 잔심수용실(26) 내로 격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잔심회수장치(24)에 의하여 윤전기로부터 잔심을 회수하는 경우, 잔심받이대(25)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전기측의 한쌍의 콘(29,30)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는 잔심(C)의 중앙을 지지하도록 미리 위치결정되지만, 도 5b에서와 같이 이동측의 콘(30)이 축방향 바깥측으로 후퇴이동을 개시할 때에 콘(30)의 바깥둘레면과 잔심(C)의 안쪽둘레면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잔심(C)이 이동측의 콘(30)에 당겨져 도 5c에서와 같이 잔심받이대(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치우쳐 재치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잔심(C)이 한 쪽으로 치우쳐 재치되는 있는 잔심받이대(25)를 그대로 하강시키게 되면, 도 5d에서와 같이 잔심받이대(25)로부터 길게 돌출된 쪽의 잔심(C)의 끝단부가 무인반송차(21)의 차체(22) 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잔심수용실(26) 주위의 가장자리에 올라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잔심수용실(26) 내의 적정한 위치에 잔심(C)을 수용할 수 없고, 따라서 잔심(C)은 경사진 불안정한 상태로 잔심받이대(25)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대로 무인반송차(21)를 발진시키면 주행중에 차체(22)의 외부로 비어져 나온 잔심(C)이 낙하하기도 하고 무인반송차(21)의 주행로 주위에 있는 물품등에 접촉하여 잔심(C)이나 이들의 물품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잔심받이대에 재치된 잔심의 축방향의 치우침을 수정하여 상기 잔심을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의 잔심수용부로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잔심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무인반송차에 탑재되어 있는 잔심회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잔심회수장치의 잔심받이대에 잔심이 치우쳐 재치된 경우의 동작설명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잔심회수장치를 탑재한 무인반송차의 정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무인반송차에 탑재되어 있는 잔심회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도는 종래의 잔심회수장치의 잔심받이대에 잔심이 치우쳐 재치된 경우의 동작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인반송차 2 : 차체
3 : 잔심회수장치 4 : 잔심수용실
5 : 캐리지 6 : 잔심받이대
7,8 : 잔심받이판 7A,8A : 잔심안내면
9,10 : 잔심접촉부재 9A,10A : 잔심위치수정면
11,12 : 타이밍풀리 13 : 타이밍벨트
14 : 팬터그래프기구 15 : 위치센서
C : 잔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는,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에 설치되어 위쪽이 개방된 잔심수용실과, 상기 잔심수용실의 바닥부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 상에 승강자유롭게 지지되어 상승위치에서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을 그 축선이 캐리지의 이동방향을 향한 자세로 받아들이고 하강위치에서 상기 잔심과 함께 잔심수용실내에 수용되는 잔심받이대와, 상기 잔심수용실의 캐리지 이동방향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끝단부 위쪽에 배치되어 잔심받이대 상에 재치된 잔심의 끝단면을 접촉시켜 잔심받이대에 대한 잔심의 재치위치를 축방향으로 수정하는 잔심위치수정면을 갖는 잔심접촉부재를 구비한다.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이 잔심받이대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치우쳐 재치된 경우에 한 쪽으로 치우쳐 돌출되어 있는 쪽의 잔심 끝단면을 잔심접촉부재의 잔심위치수정면에 대향하는 높이까지 잔심받이대를 이동시키고 나서 캐리지를 잔심접촉부재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잔심위치수정면에 잔심의 한 쪽 끝단면을 접촉시켜 잔심(C)을 정지시킨 후, 잔심받이대의 중앙으로부터 잔심위치수정면까지의 거리가 잔심 길이의 약절반이 될 때까지 캐리지를 더욱 이동시키면, 잔심은 그 축방향 중앙부에서 잔심받이대에 지지되는 위치로 재치위치가 수정된다.
다음에 캐리지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잔심받이대의 위치를 잔심수용실의 중앙으로 위치시킨 후, 잔심받이대를 잔심과 함께 잔심수용실내에 수용되는 하강위치까지 하강시켜 이동체로의 잔심 수용동작을 종료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도시하지 않은 윤전기로 신문권취지를 공급하기 위한 무인반송차(AGV)에 탑재된 잔심회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무인반송차(1)의 차체(2)에는 도시하지 않은 윤전기로부터 잔심(C)을 회수하기 위한 잔심회수장치(3)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잔심회수장치(3)는 차체(2)내에 윤전기로부터 회수한 잔심(C)을 수용하기 위한 위쪽이 개방된 잔심수용실(4)과, 그 바닥부를 도시하지 않은 리니어가이드기구에 안내되어 차체(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설치된 캐리지(5)와, 상기 캐리지(5)에 승강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잔심받이대(6)와, 잔심수용실(4)내의 전후끝단부근에 설치되어 잔심(C)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잔심받이판(7,8) 위쪽의 전후방향 양쪽 바깥측에 연이어 설치된 잔심접촉부재(9,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리지(5)는 잔심수용실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타이밍풀리(11,12) 사이에 연결된 타이밍벨트(13)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한 쪽의 타이밍풀리(11)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모터에 의하여 타이밍벨트(13)가 구동되어 캐리지(5)가 차체(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잔심받이대(6)는 팬터그래프기구(14)에 의하여 캐리지(5) 위로 승강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팬터그래프기구(14)에 연결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장치에 의하여 잔심(C)을 윤전기로부터 받아들이는 상승위치와, 상기 잔심(C)와 함께 잔심수용실(4)내에 수용되는 하강위치의 사이로 승강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5)의 이동방향을 따라 차체(2)측에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위치센서(15)에 의하여 캐리지(5)의 위치가 검지되고, 상기 캐리지(5)를 복수의 위치로 위치결정하여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윤전기측의 한 쌍의 콘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잔심(C)을 무인반송차(1)로 회수하는 경우에는, 통상은 무인반송차(1)를 상기 잔심(C)에 접근한 소정위치로 위치결정하여 정지시키고, 잔심받이대(6)를 상승시켜 잔심(C)을 받아들이지만, 사용되어지는 잔심(C)의 길이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 것이므로 잔심(C)의 축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의 바로아래로 잔심받이대(6)가 위치하도록 캐리지를 이동시킨다.
회수하는 잔심(C)의 길이에 관한 데이터는, 이미 무인반송차(1)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장치에 기억된 것이므로 상기 제어장치는 캐리지(5)를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위치센서(15)가 검지할 때 까지 이동시켜 정지된 후 잔심받이대(6)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잔심받이대(6)의 재치면 중앙위치에는 잔심검지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잔심받이대(6)가 한 쌍의 콘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잔심(C)의 하면에 도달하여 상기 잔심검지센서가 잔심(C)을 검지하면, 그 검지신호에 의하여 잔심받이대(6)의 상승동작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잔심검지센서로부터 검지신호를 받아들이면, 잔심(C)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한 쌍의 콘의 한 쪽을 축방향 바깥쪽으로 후퇴이동시키는 지령신호를 윤전기쪽에 출력하고, 잔심(C)을 개방시켜 잔심받이대(6) 상에 올려놓는다.
상기 한 쪽의 콘의 후퇴이동이 완료되면 윤전기쪽에서 무인반송차(1)의 제어장치로 잔심(C)을 개방한 것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신호를 받으면 무인반송차(1)의 제어장치는 잔심받이대(6)를 하강시켜 회수한 잔심(C)을 잔심받이대(6)와 함께 차체(2)의 잔심수용실(4)내부로 수용한 후, 캐리지(5)를 중앙위치까지 되돌린다.
이때, 사이즈가 긴 잔심(C)은, 잔심수용실(4)내의 전후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진 잔심받이판(7,8)의 잔심안내면(7A,8A)으로 안내되어 그 양끝단이 잔심받이판(7,8)상에 지지된다. 또한 이들의 잔심받이판(7,8) 간격보다 짧은 잔심(C)은, 그 중앙부만을 잔심받이대(6)로 지지된 상태에서 잔심수용실(4)내에 수용된다. 무인반송차(1)측의 제어장치와 윤전기측 사이의 신호 주고받음은 광통신등의 수단에 의하여 행해진다.
여기에서 회수하는 잔심(C)의 사이즈가 긴 잔심(C)을 윤전기측의 한 쌍의 콘으로부터 빼낼 때에 잔심(C)이 이동측의 콘에 의해 당겨져 축방향으로 심하게 치우져 잔심받이대(6)상에 놓여진 경우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심받이대(6)가 하강하는 도중에 잔심(C)의 일끝단이 차체(2)의 잔심수용실(4)의 개구부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쪽의 잔심접촉부재(10)의 상단에 부딪침으로써 잔심받이대(6)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술한 잔심받이대(6)의 재치면 중앙에 설치된 잔심검지센서로부터 검지신호가 제어장치로 출력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는 잔심받이대(6)가 하강도중에 있을 때에 잔심검지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단절되면,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심받이대(6)를 소정거리 상승시킨 뒤에 도 2c에서와 같이 잔심접촉부재(9)쪽으로 단거리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잔심받이대(6)를 이동시키는 방향은 상기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시켜 놓아도 좋지만, 윤전기측의 콘으로부터 개방된 잔심(C)이 잔심받이대(6)에 대하여 축방향 전후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 미리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잔심접촉부재(9,10)의 상단에 각각 잔심(C)이 접촉될 때를 검지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잔심(C)과의 접촉이 검지된 잔심접촉부재측의 반대쪽으로 잔심받이대(6)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면 좋다.
이어서, 도 2d에서와 같이 잔심받이대(6)를 잔심(C)이 한 쌍의 잔심접촉부재(9,10) 사이에 위치할 때 까지 하강시킨 후, 도 2e에서와 같이 잔심받이대(6)를 잔심접촉부재(10)쪽으로 이동시켜 잔심접촉부재(10)의 잔심위치수정면(10A)에 이것과 대향하는 잔심(C)의 끝단면을 접촉시킨다.
그리고 잔심받이대(6)를 잔심위치수정면(10A)으로부터 잔심(C)의 길이(L)의 절반의 거리(S)에 그 중앙이 위치할 때 까지 더욱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잔심받이대(6)를 정지시키는 위치는 제어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잔심(C)의 길이 데이터로 결정된다. 이 때, 도 1에서 복수의 위치센서(15)중 한 개가 상기 거리(S)에 대응하여 있고, 잔심받이대(6)가 상기 위치로 오도록 캐리지(5)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하여 잔심(C)의 축방향 중앙에서 잔심받이대(6)에 지지되도록 재치위치가 수정된 후, 도 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심받이대(6)는 잔심수용실(4)의 중앙위치까지 잔심접촉부재(9)쪽으로 이동하고, 그 뒤 최하위치까지 내려가면 도 2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잔심(C)의 양끝단은 한 쌍의 잔심받이판(7,8)상에 지지된다.
한편, 잔심(C)이 잔심접촉부재(9)의 상단으로 부딪치도록 치우친 경우에는 도 2c, 도 2e, 도 2f의 동작에서의 잔심받이대(6)의 이동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에 의하여 도 1에 나타낸 잔심접촉부재(9)의 잔심위치수정면(9A)에 의하여 잔심받이대(6)로의 잔심(C)의 재치위치를 마찬가지로 수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잔심접촉부재를 잔심수용실의 전후방향 양끝단부에 설치하고 있지만, 윤전기측에서 잔심받이대 상으로 진심을 받아드릴 때 잔심(C)의 치우침 방향이 일방향으로만 생기는 경우에는 잔심수용실의 전후끝단부의 어느 한 쪽에만 잔심접촉부재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잔심접촉부재를 잔심받이판과 일체로 설치하였지만, 잔심접촉부재는 독립시켜 설치하여도 좋고, 또한 잔심수용실내의 하방위치까지 잔심이 하강하여 격납되는 경우에는 잔심수용실의 전후끝단부의 수직한 벽면의 위쪽부분을 잔심접촉부재로서 겸용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잔심회수장치를 윤전기에서 사용되는 신문권취지의 잔심을 회수하는 무인반송차에 탑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공기에서 가공되는 합성수지필름이나 포, 금속스트립등과 같은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을 회수하기 위한 무인반송차나 바닥면에 부설된 레일 위를 주행하는 대차등의 이동체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잔심회수장치에 의하면, 잔심받이대상에 잔심이 한 쪽으로 치우쳐 재치된 경우에도 잔심의 축방향 중앙을 잔심받이대가 지지하도록 잔심회수동작의 도중에 잔심의 재치위치를 수정하여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의 잔심수용실내에 확실하게 수용하도록 한 것이므로 주행중에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의 외부로 잔심이 비어져 나와 낙하되거나, 이동체의 주행로 주위에 있는 물품등에 접촉되어 잔심이나 주위의 물품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무인반송차등의 이동체에 설치되고 위쪽이 개방된 잔심수용실과, 상기 잔심수용실의 바닥부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 상에 승강자유롭게 지지되고 상승위치에서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을 그 축선이 캐리지의 이동방향을 향한 자세로 받아들이고 하강위치에서 상기 잔심과 함께 잔심수용실내에 수용되는 잔심받이대와, 상기 잔심수용실의 캐리지 이동방향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끝단부 위쪽에 배치되어 잔심받이대 상에 재치된 잔심의 끝단면을 접촉시켜 잔심받이대에 대한 잔심의 재치위치를 축방향으로 수정하는 잔심위치수정면을 갖는 잔심접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KR1019970059637A 1996-12-25 1997-11-13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KR100253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333 1996-12-25
JP08346333A JP3130817B2 (ja) 1996-12-25 1996-12-25 巻取シート状物の残芯回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577A KR19980063577A (ko) 1998-10-07
KR100253126B1 true KR100253126B1 (ko) 2000-04-15

Family

ID=1838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637A KR100253126B1 (ko) 1996-12-25 1997-11-13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30817B2 (ko)
KR (1) KR100253126B1 (ko)
TW (1) TW3508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7023B2 (ja) * 2010-06-03 2014-06-18 株式会社Ihi ロール体搬送台車
CN104192647B (zh) * 2014-08-30 2016-08-17 济南大学 一种具有绳盘输送及自动调节定位功能的辅助装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30817B2 (ja) 2001-01-31
TW350829B (en) 1999-01-21
KR19980063577A (ko) 1998-10-07
JPH10181960A (ja) 199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649B1 (en) Tire chuck apparatus and method
US4854806A (en) Device for loading or unloading paper rolls onto or from a roll stand of a web-fed rotary printing press
US50336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a textile package
US6264417B1 (en) Flexible roll chucking assemblage and method
KR100253126B1 (ko)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US6176670B1 (en) Roll handling and transport assemblage
CN116296485B (zh) 一种轨道交通动力轮对检测试验装置
JP5365876B2 (ja) ロール体用自動搬送車
JP3096908B1 (ja) ターレツト用原反受渡設備
US4768727A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pallet-mounted electric motor armature to an armature winding formation station
KR100253125B1 (ko) 권취시트 형상물 무인반송차의 잔심회수장치
KR200186032Y1 (ko) 코일 센터링 조정장치
EP16475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unwinding rolls of web material and lifting device for the rolls
JPH08113311A (ja) ストリップコイル搬送用無人搬送車のコイルクランプ装置
US5232173A (en) Strip winding machine
CA1180001A (en) Filament winding machine
KR100269577B1 (ko) 권취시트 형상물의 잔심회수장치
CA2082753C (en) Strip winding machine
KR100858126B1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CN112390061A (zh) 一种精密卷到卷自动化上下料装置
CN220641890U (zh) 包装材料提取装载装置
CN217920613U (zh) 卷料上下料装置
KR100864440B1 (ko) 간지두루마리의 감속 정지장치
CN113772141B (zh) 一种自动化丝锭套袋系统
CN219195288U (zh) 一种编织袋圆织机的布卷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