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145B1 - 화상데이타의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조합체 - Google Patents

화상데이타의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145B1
KR100252145B1 KR1019900012421A KR900012421A KR100252145B1 KR 100252145 B1 KR100252145 B1 KR 100252145B1 KR 1019900012421 A KR1019900012421 A KR 1019900012421A KR 900012421 A KR900012421 A KR 900012421A KR 100252145 B1 KR100252145 B1 KR 100252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encoding
circuit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89A (ko
Inventor
데쯔지로 곤도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0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8Adaptive-dynamic-range coding [ADR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04N1/41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for the transmission or storage or reproduction of two-tone pictures, e.g. black and white pictures
    • H04N1/413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 H04N1/415Systems or arrangements allowing the picture to be reproduced without loss or modification of picture-information in which the picture-elements are subdivided or grouped into fixed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 프레임들(n은 정수)간에서 샘플링 위상이 반전되도록 서브샘플링을 실행하고, 서브샘플링된 데이타를 2차원 블록 구조로 변환하고, 검출된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발생하고, 2차원 블록 데이타에 대해 압축 및 부호화를 실행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는 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호화 장치는 데이타를 복호하여 복호된 데이타를 발생하는 복호화 회로, 및 실제적으로 전송된 데이타를 사용하여 비전송 데이타를 보간하는 적응적 보간 회로를 구비한다. 보간 회로는 식별 코드에 응답하여 동일 프레임의 전송된 데이타 및 인접 프레임의 전송된 데이타 및 인접 프레임의 전송된 데이타를 적응적으로 사용하여, 비전송 화소를 보간한다.

Description

화상 데이타의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체를 도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서브샘플링의 패턴을 도시한 개략선도.
제 3 도는 블록화 회로의 일 예의 블록도.
제 4 도, 제 5 도 및 제 6 도는 블록화 회로의 동작 설명에 이용되는 개략선도.
제 7 도는 인코더의 인코더의 일 예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가변 길이 ADRC의 인코더 7 : 가변 길이 ADRC의 디코더
8 : 블록 분해 회로
9 : 비전송(non-transmission) 화소에 대한 보간 회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화상 데이타의 데이타량을 고능률 부호화에 의해 압축하여 전송 또는 기록하는 전송 장치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n(n 은 정수) 프레임간에서 샘플링 위상이 반전되는 서브샘플링을 행하고, 서브샘플링된 데이타를 2 차원 블록 구조로 변환하며, 2 차원 블록의 데이타에 대해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블록 단위로 압축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하는 회로와, 복호된 데이타를 블록 분해하는 회로 및, 블록 분해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비전송(non-transmission) 데이타를 보간하는 보간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보간 회로는 블록마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일 프레임 및 인접 프레임의 화소 데이타를 적응적으로 이용하여 비전송 화소를 보간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에 의해 고화질의 복원 화상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기술]
화상 데이타의 데이타량을 감소시키는 부호화의 하나로서, 화상 데이타를 2차원 또는 3 차원의 블록 구조로 변환하여 블록마다에 압축 부호화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2 차원 블록은 1 필드 또는 1 프레임을 세분함으로써 형성되고, 3 차원 블록은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복수 프레임에 각각 속하는 2 차원 블록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2 차원 블록의 부호화는 회로 크기가 작은 장점이 있으며, 3 차원 블록의 부호화는 효율이 좋고, 정지부에서의 복원회상이 고화질인 장점이 있다.
또한, 서브샘플링과 블록 부호화를 조합시킨 부호화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부호화에 의해 효율이 우수한 압축을 행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단위로 서브샘플링의 위상이 반전되는 방식은 정지부에서 시간 방향의 보간을 하는 것에 의해 해상도의 열화없이 압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의 송신측은 서브샘플링 회로와, 3 차원 블록 구조로 입력 데이타의 순서를 변환하기 위한 블록화 회로 및, 블록 부호화를 위한 인코더를 구비하며, 인코더에 관련하여 소정 기간(예를들면 1 프레임 기간)의 발생 데이타량이 전송로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버퍼링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수신측에는, 블록 부호화의 디코더와, 3 차원 블록의 구조를 주사 순서로 되돌리기 위한 블록 분해 회로 및, 서브샘플링에서 솎아진(thinned out) 비전송 화소를 보간하기 위한 보간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서브샘플링과 3 차원 블록의 부호화를 조합시킨 부호화 방식에서는, 블록화 회로가 2 프레임 메모리를 필요로 하며, 버퍼링 회로가 화소 데이타를 지연시키기 위한 2 프레임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수신측에서는, 블록 분해를 위한 2 프레임 메모리와, 보간을 위한 2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쪽과 수신쪽을 합하면 8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므로, 하드웨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 차원 처리로 기대되는 고화질과, 2 차원 처리의 하드웨어가 간단한 특징을 함께 갖는 화상 데이타의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n(n 은 정수) 프레임간에서 샘플링 위상이 반전하는 서브샘플링을 행하는 회로와, 서브샘플링이 이루어진 데이타를 2 차원 블록 구조로 변환하는 회로 및, 2 차원 블록의 데이타에 대해서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블록 단위로 압축 부호화된 데이타를 복호하는 회로(7)와, 복호된 데이타를 블록 분해하는 회로(8) 및, 블록 분해된 데이타를 사용해서 비전송 데이타를 보간하는 보간 회로(9)를 구비하며, 보간 회로(9)는 블록마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동일 프레임 및 인접 프레임의 화소 데이타를 적응적으로 사용해서 비전송 화소를 보간하도록 한 것이다.
[작용]
본 발명에서는 입력 데이타를 2 차원 블록 구조로 변환하므로 블록화 및 블록 분해를 위한 하드웨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브샘플링에서 솎아진(thinned out) 화소(비전송 화소)를 보간하기 위해, 블록마다의 동작에 따라서 적응적인 보간을 행하고, 정지부에서는, 이전 프레임의 전송 화소로 시간 방향의 보간이 행해진다. 이러한 3 차원 처리에 의해, 정지부의 복원 화상의 화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2 차원 처리와 3 차원 처리의 조합으로, 3 차원 처리만을 행하는 방식에 비해서 하드웨어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한 실시예의 전송 시스템의 전체를 도시한다. (1)로 표시된 입력 단자로부터 디지탈 화상 데이타가 공급되어, 서브샘플링 회로(2)에 공급된다. 디지탈 화상 데이타는 2 필드에 포함되는 화상이 동시화된 것이다. 서브샘플링 회로(2)에서는, 원래의 화소 데이타가 원래의 주파수의 1/2의 샘플링 주파수로 서브샘플링된다. 서브샘플링 회로(2)에는 에일리어싱(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한 프리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는 서브샘플링 패턴의 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도에 있어서, ○은 원래의 화소 데이터 중의 전송 화소이며, ×는 비전송 화소를 나타낸다. 각 프레임내에서는, 서브샘플링은 오엽배열(quincunx) 형태로 위치된 5개의 화소가 전송 화소로 되는 패턴으로 샘플링된다. 또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2 프레임 Fn과 Fn+1 사이에서 서브샘플링의 위상이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이 2 프레임의 서브샘플링의 패턴은 프레임 사이에서 상보적인 것이며, 정지 화상의 블록에서는, 비전송 화소가 이전 프레임의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 데이타에 의해 보간될 수 있고, 해상도의 열화가 생기지 않는다.
서브샘플링 회로(2)의 출력 신호가 블록화 회로(3)에 공급되어, 서브샘플링 회로(2)의 출력 신호가 2 차원 블록의 구조로 변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2 x 2)의 블록이 2 라인 메모리를 사용해서 형성된다.
제 3 도는 블록화 회로(3)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1)로 표시된 입력 단자로부터 서브샘플링된 데이타가 2 라인 메모리(12)에 기록된다. 2 라인 메모리(12)로부터의 블록 순서의 판독 데이타가 출력 단자(13)에 인출된다. 2 라인 메모리(12)의 판독(read-out) 및 기록(write-in)은 R/W 제어 회로(14)에 의해 제어된다.
이 블록화 회로(3)의 동작에 대해서 제 4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작의 설명에 있어서, 서브샘플링 후의 프레임내의 화소 데이타에 대해서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호를 병기한다. 즉, 1 라인중에는, 1 내지 n 의 각 번호가 붙여진 화소 데이타가 포함된다. 또한, 제 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 클럭 주기 Tc의 전반의 1/2 기간은 Tw이고 후반의 1/2 기간은 Tr로 되어, 2 라인 메모리(12)가 기록 동작과 판독 동작을 교대로 하도록, R/W 제어 회로(14)에 의해 제어된다.
제 6 도는 2 라인 메모리(12)의 내용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 6 도의 (A) 도는 최초 라인의 화소 데이타가 기록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제 1 라인의 n 개의 화소 데이타(1, 2, 3, . . . , ½ n, . . . , n)는 인접하는 2 개의 화소 데이타 단위로, 2 개의 화소 데이타 어드레스를 건너 띄어 2 라인 메모리(12)에 기록된다. 1 라인의 화소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된 후, 제 5 도에 도시하는 싸이클로, 기록된 데이타가 판독되며, 제 2 라인의 화소 데이타(n+1, n+2, . . . , 3/2 n, . . . , 2n)는 제 1 라인의 화소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어드레스에 기록된다.
제 2 라인의 화소 데이타의 기록과, 2 라인 메모리(12)의 판독 출력이 교대로 이루어지므로, 출력 단자(13)에는, (1, 2, n+1, n+2, 3, 4, n+3, n+4, . . . , n-1, n, 2n-1, 2n)의 블록의 순서로 변환된 제 1 라인 및 제 2 라인의 화소 데이타가 발생한다. 이하,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되어, 블록화 회로(3)로부터는 블록의 순서로 변환된 데이타가 발생한다.
이 블록화 회로(3)의 출력 신호는 동작 검출 회로에 공급되어, 블록마다에 동작 화상인지 정지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플래그가 형성된다. 이 플래그는 수신측에 전송된다. 또한, 블록화 회로(3)로부터의 화소 데이타가 버퍼링 회로(4)에 공급된다. 버퍼링 회로(4)에 관련하여 인코더(5)가 설치되어 있다. 인코더(5)는 가변길이 ADRC(encoding adaptive to a dynamic range) 인코더이다. 버퍼링 회로(4) 및 인코더(5)는 제 7 도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7 도에 있어서, (21)로 도시된 입력 단자에 블록화 회로(3)로부터의 데이타가 공급된다. 이 블록화 회로(3)의 출력 신호가 최대치 및 최소치 검출 회로(22) 및 지연 회로(23)에 공급된다. 검출 회로(22)는 각 블록의 최대치 MAX와 최소치 MIN을 검출한다. 지연 회로(23)는 최대치 MAX 및 최소치 MIN을 검출하고 발생 데이타량이 목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임계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시간동안 데이타를 지연시킨다. 이 예에서는, 2 라인 기간에 발생하는 데이타량이 목표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하므로, 지연 회로(23)의 지연 시간은 2 라인 보다 약간 길게 선정된다. 단, 1 라인 기간 중에는 유효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는 수평 블랭킹 기간이 존재하므로, 수평 블랭킹 기간내에 임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산 회로(24)에서 (MAX-MIN)이 연산되어, 감산 회로(24)로부터 동적 범위 DR가 얻어진다. 동적 범위 DR가 지연 회로(25 및 26), 버퍼링 회로(27)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지연 회로(23)를 통과한 화소 데이타가 감산 회로(28)에 공급된다. 감산 회로(28)에서는 화소 데이타로부터 최소치 MIN 가 감산되며, 최소치가 제거된 데이타가 감산 회로(28)로부터 발생한다.
이 최소치 제거후의 화소 데이타 양자화 회로(29)에 공급된다. 양자화 회로(29)에는 지연 회로(25)를 통과하는 동적 범위 DR와 비트수 결정회로(30)로 부터의 비트수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공급된다. 비트수 결정 회로(30)는 동적 범위 DR 및 ROM(31)로부터의 임계치 T1 내지 T4 로부터 그 블록의 양자화 비트수를 결정한다. ROM(31)은 버퍼링 회로(27)로부터 발생한 임계치 코드 Pi에 대응하는 임계치를 발생한다.
ADRC는 양자화 비트수를 b 라 하면, 동적 범위 DR 을 2b개로 분할하여 양자화 스텝폭 △를 구하고, 이 양자화 스텝폭 △로 각 화소 데이타의 최소치가 제거된 값을 제산하여, 그 몫을 정수화한 값을 새로운 코드 신호로 한다. 가변길이 ADRC 의 경우에는, 양자화 비트수 b가 동적 범위 DR 에 따라서 바뀌어진다. 이 비트수를 결정하기 위한 임계치를 T1, T2, T3, T4(단, T1<T2<T3<T4)로 하면, (DR<T1)의 블록에서는 (b=0)(즉, 코드 신호를 전송하지 않음)로 되며, (T1≤DR≤T2)의 블록에서는 (b=1)로 되며, (T2≤DR<T3)의 블록에서는 (b=2)로 되며, (T3≤DR<T4)의 블록에서는 (b=3)로 되며, (DR≥T4)의 블록에서는 (b=4)로 된다.
이와 같은 가변길이 ADRC에서는, 임계치 T1 내지 T4를 조정함으로써 발생 정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임계치의 조합은 무한히 있으므로, 복수개 예를 들면 임계치 코드 Pi(PO 내지 P31)로 구별되는 32 개의 임계치가 준비된다. 임계치들은 임계치 코드 Pi가 변화할 때마다 발생 정보량이 단조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설정된다.
버퍼링 회로(27)에서는, 2 라인 기간에 있어서 블록의 동적 범위 DR의 도수가 집계된다. 이 도수가 최대의 동적 범위로부터 최소의 동적 범위로 향하게 집계되는 것으로, 적산형의 도수 분포표로 변환된다. 동적 범위 DR를 RAM의 어드레스로서 공급하고 소정의 어드레스에 +1 을 기록하는 것으로 도수 분포표가 작성된다. 이 도수 분포표에서, 동적 범위가 큰 편의 어드레스로부터 도수를 판독 출력하여, 이전의 어드레스로부터 판독 출력된 값과 적산한 값을 동일 어드레스에 기록하는 것으로 적산형의 도수 분포표가 작성된다. 적산형의 도수 분포표에 대해서, 임계치 세트들을 차례로 적용하는 것으로, 발생 정보량을 연산할 수가 있다. 연산된 발생 정보량과 목표치가 비교되어, 데이타 량이 목표치를 초과하지 않고 화질의 열화가 최초로 시작되는 임계치 세트가 결정된다. 버퍼링 회로(27)로부터의 임계치 코드 Pi는 이러한 가장 적합한 임계치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가변길이 ADRC의 버퍼링은, 이미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일본 특원소 제 61-257586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단, 본원 실시예에서, 발생 정보량의 산출 및 제어가 프레임 기간이 아니라, 2 라인 기간으로 행해지는 점에서 상기 출원과 상이하다.
지연 회로(25 및 26)로부터의 동적 범위 DR 및 최소치 MIN와, 양자화 회로(29)로부터의 코드 신호 및 임계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코드 Pi가 프레임화 회로(32)에 공급되며, 출력 단자(33)에는 전송 데이타가 인출된다. 프레임화 회로(32)는 동적 범위 DR, 최소치 MIN, 코드 신호 및 파라미터 코드 Pi 가 직렬 바이트로 배열되어, 동기 신호가 부가된 전송 데이타를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화 회로(32)에서는, 부가적 코드(DR, MIN, Pi)와 코드 신호 각각에 대한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화 회로(32)에는 블록마다의 동작 검출 플래그가 공급되며, 동작 검출 플래그도 전송된다.
프레임화 회로(32)의 출력 단자(33)에 인출된 전송 데이타는, 파선으로 도시된 전송로(6)를 통해 수신측에 공급된다. 전송로(6)는, 예를들면, 자기 테이프와 회전 헤드로 구성된 기록 및 재생의 과정을 나타낸다.
수신측에서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코더(7)에 수신 데이타가 공급된다. 디코더(7)에는 상기 ADRC 인코더(5)에 대한 역 처리를 하는 프레임 분해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 분해 회로에서 분리된 파라미터 코드 Pi 및 동적 범위 DR로부터 블록마다의 비트 수가 검출되어, 이 비트 수와 동적 범위 DR와 코드 신호로부터, 그 블록내의 각 화소의 최소치를 제거한 후의 값이 복호된다. 이 복호치에 대해 최소치 MIN가 가산되어, 각 화소 데이타가 복원된다.
디코더(8)로부터의 복원치가 블록 분해 회로(8)에 공급된다. 블록 분해 회로(8)는 송신측의 블록화 회로(3)에 대한 역 처리로 블록 순서의 데이타를 주사 순서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이다. 블록 분해 회로(8)는 블록화 회로(3)와 같이 2 라인 메모리로 구성된다.
블록 분해 회로(8)의 출력 신호는 보간 회로(9)에 공급된다. 보간 회로(9)는 동작 검출 플래그를 참조하여, 동작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 데이타에 관해서는 프레임내의 복원 데이타를 사용한 공간적인 보간을 하며, 정지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에 관해서는, 이전 프레임의 복원 데이타를 사용한 시간 방향의 보간을 한다. 공간적인 보간의 예로서, 프레임내의 비전송 화소의 주위에 존재하는 전송 화소의 복원 데이타의 평균치로 비전송 화소가 보간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시간적인 보간은 이전 프레임과 서브샘플링의 위상이 상보적인 것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의 전송 화소의 복원 데이타를 현 프레임의 비전송 화소로 하는 것이다. 이 시간 방향의 보간을 위해, 프레임 메모리가 필요하다. 보간 회로(9)의 출력 단자(10)에는 복원된 화상 데이타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 부호화로서, ADRC에 한정되지 않고,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등의 변환 부호화, 벡터 양자화를 사용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2 차원의 블록을 구성하여 블록마다 압축 부호화하고, 3 차원의 처리로 비전송 화소의 보간을 행하므로, 3 차원 블록 구조로 압축 부호화하는 방식에 비해서, 블록화를 위한 메모리 용량이 작아지며, 하드웨어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3 차원 처리에 의해, 비전송 화소의 보간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복수의 프레임에 속하는 2차원 화소 그룹을 표현하는 화상 데이타의 압축을 허용하는 블록 포맷으로 디지탈 화상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부호와 장치(coding apparatus)와, 복호화 장치(decoding apparatus)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부호와 장치는 :
    두 개의 연속 프레임들 사이에서 샘플링 위상을 반전시켜서, 각각의 연속 프레임들내의 소정 위치의 화소들은 서브샘플링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내의 화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각 라인내에 n 화소 데이타를 갖는 솎아진(thinned out) 데이타 라인들을 형성하는 서브샘플링 수단과;
    상기 솎아진 데이타의 화소들을 시간 순차 블록들로 배열하는 블록 세그멘테이션 수단(block segmentation means)으로써, 2-라인 메모리 수단과, 상기 솎아진 데이타의 연속 라인 쌍들 중의 각각의 하나로부터의 n 화소 데이터를, 두 개의 연속적인 화소 데이터가 두 개의 인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록되며 상기 두 개의 인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 뒤에는 솎아진 데이터의 다음 연속 라인으로부터의 두 개의 연속적인 화소 데이터가 기록되는 두 개의 인접하는 메모리 어드레스가 후속하는 메모리 어드레스 패턴으로 상기 2-라인 메모리내로 기록하고, 상기 2-라인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를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터로써 판독하는 것을 교대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블록 세그멘테이션 수단과;
    상기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타를 수신하고 각각의 블록에서의 동작을 검출하며, 검출된 동작을 나타내는 식별 코드를 발생하는 동작 식별 수단(movement discriminating means)과;
    상기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타를 부호화하고, 상기 식별 코드 및 상기 부호화 된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타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호화 장치는:
    상기 부호화 된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타 및 상기 식별 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 된 데이타를 복호하여 복호된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타를 발생하는 복호화 수단과;
    상기 복호화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복호된 블록 세그먼트화 데이타를 주사 화소 데이터(scanning picture element data)로 변환하는 블록 디세그멘테이션 수단(block desegmentation means)과;
    상기 블록 디세그멘테이션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주사 화소 데이터가 공급되며, 원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도록, 상기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주사 화소 데이타의 공간 보간을 실행하는 적응적 보간 수단(adaptive interpolation means)을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조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보간 수단은 상기 식별 코드가 동작 블록임을 나타내면, 동일 프레임내에 포함된 주변 데이터(peripheral data)를 사용하여 상기 주사 화소 데이타를 보간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정지 블록임을 나타내면, 시간 방향으로 인접하고 공간적으로 대응하는 화소 데이타를 사용하여 상기 주사 화소 데이타를 보간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조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및 전송 수단은 ADRC(encoding adaptive to a dynamic range) 인코더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조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및 전송 수단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인코더를 포함하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의 조합체.
KR1019900012421A 1989-08-15 1990-08-13 화상데이타의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조합체 KR100252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44689A JP3251002B2 (ja) 1989-08-15 1989-08-15 画像データの受信装置及び方法
JP210446 1989-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89A KR910005689A (ko) 1991-03-30
KR100252145B1 true KR100252145B1 (ko) 2000-04-15

Family

ID=1658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421A KR100252145B1 (ko) 1989-08-15 1990-08-13 화상데이타의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조합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17914B1 (ko)
JP (1) JP3251002B2 (ko)
KR (1) KR100252145B1 (ko)
DE (1) DE6902568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867B2 (ja) * 1990-08-31 1999-11-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
JPH0614313A (ja) * 1992-06-29 1994-01-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AUPN399295A0 (en) * 1995-07-06 1995-07-27 Diginet Systems Pty. Limited Virtual broadband transmission
JP2007323479A (ja) * 2006-06-02 2007-12-13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2103147A4 (en) 2006-12-07 2011-01-19 Qualcomm Inc RATE CONTROL AND VIDEO COMPRESSION PER L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809B2 (ja) * 1986-07-30 1996-10-09 ソニー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7914A3 (en) 1992-07-15
EP0417914B1 (en) 1996-03-06
KR910005689A (ko) 1991-03-30
DE69025682D1 (de) 1996-04-11
DE69025682T2 (de) 1996-08-01
JPH0374986A (ja) 1991-03-29
EP0417914A2 (en) 1991-03-20
JP3251002B2 (ja) 200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003A (en) Apparatus for decoding digital video data with small memory requirement
KR950005665B1 (ko) 고능률 부호화 장치
JP3365771B2 (ja) ビデオ信号圧縮装置
EP0881835B1 (en) Interlaced video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conversion of periodically selected fields to progressive scan frames
US5049993A (en) Format conversion preprocessing method and circuit
CN100355291C (zh) 运动图象编码方法和运动图象编码装置
KR100601743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과, 전송 매체, 전송 방법 및 영상 포맷
JPS61118085A (ja) 画像信号の符号化方式およびその装置
KR100211774B1 (ko) 화상신호전송장치 및 방법
US4656511A (en) Video signal compressing and coding apparatus
US5418620A (en) Video signals recorder and player including interframe calculating means
JPH093724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KR100252145B1 (ko) 화상데이타의 부호화장치 및 복호화장치의 조합체
KR100256859B1 (ko) 동화상을 코딩/인코딩하는 장치와 방법 그리고동화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100238829B1 (ko) 화상신호 처리장치 및 화상신호 처리방법
JPH0363275B2 (ko)
EP094426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coding/decoding moving picture and storage medium storing encoded moving picture
JP3326828B2 (ja) ディジタル画像信号受信/再生装置
JP2827357B2 (ja) 画像信号の伝送装置及び方法
KR930006522B1 (ko) 영상신호의 대역압축 부호화장치
JP2814482B2 (ja) 高能率符号の復号装置及び復号方法
JP2832949B2 (ja) 高能率符号の復号装置
JP2910110B2 (ja) 画像データ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798244B2 (ja) 高能率符号の復号装置
JP2718034B2 (ja) 高能率符号の復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