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704B1 -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704B1
KR100251704B1 KR1019970078169A KR19970078169A KR100251704B1 KR 100251704 B1 KR100251704 B1 KR 100251704B1 KR 1019970078169 A KR1019970078169 A KR 1019970078169A KR 19970078169 A KR19970078169 A KR 19970078169A KR 100251704 B1 KR100251704 B1 KR 10025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pvcf
block
end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085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7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3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12Switch control, e.g. arbi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 예약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서비스가 가능할 시 대역폭 할당에 관한 제반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입력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입력 정보들 중 시작일 타이머 정보를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는 제4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감지할 시 다음 날도 서비스 기간인가를 검사하는 제5과정과, 상기 다음 날도 서비스 기간일 시 상기 다음날에 해당하는 타이머 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제4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피브이시(PVC;PermanentVirtual Connection) 예약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브이시의 주기적 예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PVC 예약 모드란 사용자가 서비스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신청하면 사용자가 상기의 시간동안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운용되게 하는 기능이다. 또한 상기 주기적 예약 모드란 매일 어느 고정된 시간에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상기 주기적 예약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의 자원에 큰 부하를 주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PVC 예약모드와 주기적 예약모드를 구분없이 동일하게 취급하였다. 즉, 상기 기존의 주기적 예약 모드의 일예를 살펴보면, 어떤 가입자가 1997년 12월 10일부터 1997년 12월 25일까지 매일 오후 1시에서 3시까지만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시스템 입장에서는 1997년 12월 10일부터 1997년 12월 25일까지의 전시간에 대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주기적 예약 모드의 문제점은 사용자가 매일 1시부터 3시까지만 서비스를 요구하였지만, 시스템은 전체 서비스 기간동안 내내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자원할당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가져왔다.
즉, 종래 기술은 단지 일반적인 예약 모드만이 가능하였다. 다시말해, 주기적 예약 모드를 신청한다 하더라도, 실지적으로 사용자가 시작시간부터 종료시간까지 계속해서 대역폭(bandwidth)를 점유하는 것으로 되어 사용자측면에서의 불이익을 초래했다. 만약, 상기의 문제점을 현재의 방법으로 해결하려면 ATM 시스템 운용자는 예약 모드 명령을 매일매일 반복적으로 시스템에 입력해 주어야 한다. 또한 시스템의 대역폭을 하나하나 계산하여 대역폭이 부족하지 않도록 작업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작업을 운용자에게 맡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TM 시스템에서 PVC 주기적 예약 모드에 대해 자원할당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M 시스템에서 PVC 주기적 예약 모드를 수행함에 있어, 사용자가 요구한 고정된 시간에만 자원할당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 예약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서비스가 가능할 시 대역폭 할당에 관한 제반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입력 정보들 중 시작일 타이머 정보를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는 제4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감지할 시 다음 날도 서비스 기간인가를 검사하는 제5과정과, 상기 다음 날도 서비스 기간일 시 상기 다음날에 해당하는 타이머 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제4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TM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블록 구성도이다.
SPVCF(Semi-permanent Point-to-Point Virtual Connection control Function) 블러111은 각 ALS의 CCCP범주 내에 위치하며,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통하여 입력된 운용자 명령어의 오류를 검증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른 제반 처리를 수행한다.
HANDF(Hmi Adaptation and Delivery Software function)블러112은 운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분석하여 IPC 메시지로 구성한 후 요구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로 상기 IPC 메시지를 전송하는 운용자 명령어를 처리하고, 입력한 명령어에 대한 출력메세지 및 시스템 출력 메시지를 운용자 콘솔(consol)에 출력되도록 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으로 OMP에 실장된다.
ULRHP(UNI Resource Handling function)블럭113은 각 ALS의 CCCP 범주내에 위치하며, UNI 링크상의 연결 식별자 할당 및 해제, 대역할당 및 해제를 수행하며, 시스템 내부 IMI 링크상에서의 대역 및 연결 자원을 관리한다.
NLRHF(NNI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블럭114은 각 ALS의 CCCP 범주 내에 위치하며 NNI 링크상의 연결식별자 할당 및 해제 대역할당 및 해제를 수행하며, 시스템 내부 IMI 링크 상에서의 대역 및 연결 자원을 관리한다.
SLRHF(Switch Link Resource Handling function)블럭115는 각 ALS의 CCCP 범주 내에 위치하며 발신측 ALS에서부터 착신측 ALS까지의 스위치 경로 설정 및 해제, 각 ALS와 ACS를 연결하는 링크들의 상태를 관리한다.
IMCF(Interface Module Control function)블럭116은 가입자 혹은 중계선 링크를 인터페이스하는 모듈의 폼웨어(firmware)로 실장되어 라우팅 정보를 CCCP의 SPVCF블럭111으로부터 전달받아 관리하며, UNI 링크 번호와 VPI/VCI를 대응시키는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관리하여 단방향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들어도는 셀에 스위치 내부 라우팅 경로를 찾기 위한 라우팅 태그(tag)를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기적 예약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기존의 예약 모드에 주기적인 것을 추가 기능으로 요구한다. 즉, 프로그램 측면에서 운용자시스템(OS;Operating System)의 타이머(Timer)를 사용하여 정해진 시간에 해당 가입자가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시간 관리를 요한다.
상기 주기적 예약 모드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면, 우선 운용자는 시스템에 서비스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입력값으로 준다. 상기 값은 서비스의 실제시간이 아닌 전체적인 서비스 기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기간도안 실지적으로 서비스가 수행되는 시간대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4월 1일 전체 서비스 시작시간 4월 1일 00:00
4월 1일 서비스 시작시간 12:00
4월 1일 서비스 종료시간 13:00
4월 2일 서비스 시작시간 12:00
4월 2일 서비스 종료시간 13:00
4월 3일 서비스 시작시간 12:00
4월 3일 서비스 종료시간 13:00
4월 3일 전체 서비스 종료시간 4월 3일 24:00
상기 표 1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체적인 서비스기간은 4월 1일부터 4월 3일까지이며, 서비스 시간대는 매일 12시부터 13시까지이다.
또한 입력 정보로는 사용자가 요구한 대역폭과 주기를 입력해야 한다. 상기 주기는 매일 서비스하는 것와 격일로 서비스하는 것과, 3일마다 서비스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주기는 구현의 복잡도를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상기 주기 적용 방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운용시스템(OS) 타이머의 사용방법 측면에서 볼때, 일예로서 12일간을 서비스 한다고 가정하자. 이럴 경우 12일간 매일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타이머시그널(Timer signal)을 사용하여 운용시스템에 등록한다면, 상기 운용시스템에 과부하를 주고, 나중에는 타이머시그널이 등록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어 이러한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첫째날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만을 운용자시스템에 등록하고, 상기 종료시간의 타이머시스널 동작시 그다음날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상기 운용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으로 구현한다. 즉, 상기의 방법을 사용하면 시스템이 수용하는 PVC 주기적 예약모드의 서비스 수용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그러면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VC 주기적 예약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PVCF블럭111은 211단계에서 PVC주기적 예약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등록에 제반되는 정보들(대역폭, 시작일, 종료일, 기간, 시작시간, 종료시간, 주기 등)을 입력받아 이에 해당하는 차일드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SPVCF블럭111은 213단계에서 상기 입력 정보들을 검사하고, 215단계에서 상기 입력 정보들이 정상적인 입력인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정보들이 정상임을 감지할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217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정보들이 비정상임을 감지할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233단계로 진행하여 운용자터이널로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한다.
상기 입력 정보들의 정상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217단계로 진행한 상기 SPVCF블럭111은 요구된 서비스 시간대에 기할당되어 있는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를 검사하고, 219단계에서 요구된 대역폭에 대하여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가 가능할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221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서비스가 불가능할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2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운용자터미널로 해당 에러메세지를 출력한다. 상기 서비스가 가능함을 인지하고 상기 221단계로 진행한 상기 SPVCF블럭111은 대역폭 할당에 관한 제반과정을 수행하고, 223단계에서 상기 입력정보들을 해당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SPVCF블럭111은 225단계에서 서비스 시작시간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해당 시작일의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를 운용시스템에 등록한다. 일예를 들 사용자가 4월 1일부터 4월 3일까지 매 12시부터 13시까지 서비스 사용을 요구하였다면, 타이머 등록은 4월 1일 1시와 4월 1일 13를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SPVCF블럭111은 227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종료시간(13시)이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종료시간이 되었을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229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서비스 종료시간이 되지 않았을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계속해서 상기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한다.
상기 서비스 종료시간을 감지하고 상기 229단계로 진행한 상기 SPVCF블럭111은 상기 다음 날(4월 2일) 또한 서비스 기간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기간일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23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서비스 기간이 아닐시 상기 SPVCF블럭111은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서비스 종료에 관한 해당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기간임을 확인하고 상기 231단계로 진행한 상기 SPVCF블럭111은 상기 다음날의 상기 서비스 시작시간 및 종료시간(4월 2일 12시 및 4월 2일 13시)을 운용자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227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한 실시예는 주기가 하루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주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상기 도 2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225단계에서의 시작일의 타이머 등록은 동일하게 수행하며, 227단계에서의 서비스 종료시간 검사도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때 상기 종료시간을 감지할 시 상기 SPVCF블럭111은 주기에 따른 다음 서비스 날짜를 산출하여 그때의 타이머를 상기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다시 등록한 종료시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227단계로 되돌아간다. 일예를 들어 사용자가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3일마다 매 12시부터 13시까지 서비스 받기를 요구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225단계의 시작일 타이머 등록은 4월 1일 12시 및 4월 1일 13시가 되며, 상기 227단계에서 종료시간(상기 4월 1일 13시)를 감지할 경우, 다음의 타이머 등록은 상기 주기에 따른 4월 4일 12시(시작시간) 및 4월 4일 13시(종료시간)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PVC 주기적 예약 기능은 다음과 같은 잇점을 제공한다. 첫째, 시스템 운용자가 매일 PVC 예약을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해 주었다. 둘째 PVC 예약모드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 시간을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셋째, PVC 의 서비스 대역폭을 시간별로 할당하여 자원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Claims (4)

  1.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 예약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서비스가 가능할 시 대역폭 할당에 관한 제반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입력 정보들 중 시작일 타이머 정보를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타이머 정보 중에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는 제4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감지할 시 다음 날도 서비스 기간인가를 검사하는 제5과정과,
    상기 다음 날도 서비스 기간일 시 상기 다음날에 해당하는 타이머 정보를 상기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제4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들이,
    서비스 시작일, 종료일, 시작시간, 종료시간, 주기, 대역폭 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3.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에 있어서,
    주기적 예약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정보들을 근거로 해당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서비스가 가능할 시 대역폭 할당에 관한 제반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입력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입력 정보들 중 시작일 타이머 정보를 운용시스템에 등록하고, 상기 운용시스템에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는 제4과정과,
    상기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감지할 시 주기정보에 따른 다음 서비스 날을 산출하여 상기 날에 해당하는 타이머 정보를 상기 운영시스템에 등록하고, 다시 등록된 서비스 종료시간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제4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들이,
    서비스 시작일, 종료일, 시작시간, 종료시간, 주기, 대역폭 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KR1019970078169A 1997-12-30 1997-12-30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KR10025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69A KR100251704B1 (ko) 1997-12-30 1997-12-30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69A KR100251704B1 (ko) 1997-12-30 1997-12-30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85A KR19990058085A (ko) 1999-07-15
KR100251704B1 true KR100251704B1 (ko) 2000-04-15

Family

ID=1952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169A KR100251704B1 (ko) 1997-12-30 1997-12-30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7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85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9690A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limiting frame reception and switching system with the same
US5805827A (en) Distributed signal processing for data channels maintaining channel bandwidth
US6804722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ing
EP0597569B1 (en) Communication system enabling external control of system terminals
KR970701986A (ko)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인도 시스템(service provision in communications networks)
JPH05122240A (ja) Atm伝送におけるvpi,vci割り当て方式
KR950002296A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망 접속 인터페이스의 트래픽 제어 장치 및 방법
KR980007200A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할당방법
JP3083540B2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を用いた交換制御方式
KR100251704B1 (ko) 비동기전송모드의 피브이시 주기적 예약 방법
US20010024442A1 (en) Control program structure of ATM swit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0261435A (ja) 最小帯域保証接続方法及び装置
KR100385468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의 전용선 자원 공유방법
KR100231699B1 (ko) 공중교환전화망 가입자 데이터 생성방법
KR100264084B1 (ko) 프로세서간 통신 통계 데이터 수집 방법
JPH0382244A (ja) プロセッサ間通信システム
US7114000B1 (en) Scheduling network traffic using multiple logical schedule tables
KR100405849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자원 관리 방법
Thilakam et al. The design and flow control of a high speed, integrated, packet switched network
KR100275509B1 (ko) 비동기식 전달 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안내방송 송출을 위한 스위치 제어방법
FI87716B (fi) Dubbleringsfoerfarande foer ett kopplingssystem, speciellt foer en telefoncentral
JPH05211517A (ja) 非同期転送モードセルバ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000025697A (ko) 사설망 노드 인터페이스 라우팅 기능을 분산시키는 방버버
KR100237450B1 (ko) 교환기의 폐쇄 사용자 그룹 관리 및 그 서비스방법
KR0153947B1 (ko) 집중형 광대역 망종단 시스템에서의 에이티엠 셀 수신 방법 및 그에 따른 유지보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