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504B1 -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504B1
KR100251504B1 KR1019920018367A KR920018367A KR100251504B1 KR 100251504 B1 KR100251504 B1 KR 100251504B1 KR 1019920018367 A KR1019920018367 A KR 1019920018367A KR 920018367 A KR920018367 A KR 920018367A KR 100251504 B1 KR100251504 B1 KR 10025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hlorohydrin
trichloropropane
aqueous
solution
eff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872A (ko
Inventor
스티븐 존 크리스토퍼
리두스 페트루스 마리아 마스 빌프
Original Assignee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오노 알버어스
Publication of KR93000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07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ydrogen halides
    • C07C17/08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by addition of hydrogen halides to unsatur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6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OH groups and halogens
    • C07C29/6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OH groups and halogens by addition of hypohalogenous acids, which may be formed in situ, to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를 반응 구역내에서 반응시켜, 다른 염소화 유기 부산물과 함께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을 형성하고, 수성 반응구역 유출물과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접촉시켜 디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하는 수성 층 및 트리클로로프로판 과 상기 염소화 유기 부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얻고, 두층을 분리하며, 원한다면 자체로서 공지된 방식으로 디크로로히드린 함유 수성 용액을 정제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본 발명은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클로로히드린에 관한 것이다. 디클로로히드린은 이성체를, 1,2-디클로로-3-히드록시프로판 및 1,3-디클로로-2-히드록시프로판을 명명하도록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이다.
반응구역 내에서, 알릴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를 희석 수성 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디클로로히드린을 제조하는 것은 공지되었다.
디클로로히드린의 제조에 따른 문제점은 다른 염소화 유기 화합물이 또한, 부산물로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반응에 있어 다량의 물이 필요하며, 이는 많은 유출 스트림이 존재함을 의미하고, 환경 문제를 발생시킨다. 대부분의 염소화 유기 부산물은 독성, 비-생분해성 및 비-가수분해성이다.
본 방법은 디클로로히드린내 이들 불순물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알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를 반응 구역내에서 반응시켜, 다른 염소화 유기 부산물과 함께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을 형성하고, 수성 반응구역 유출물과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접촉시켜 디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하는 수성 층 및 트리클로로프로판과 상기 염소화 유기 부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얻고, 두층을 분리하며, 원한다면 자체로서 공지된 방식으로 디클로로히드린 함유 수성 용액을 정제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공보 359.331로 부터 알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를 반응구역에서 반응시켜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을 형성한후, 수성 디클로로히드린용액을 대기 비점 40℃-105℃를 갖는 물-비혼화성 용매로 추출시켜 염소화 유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디클로로히드린의 제조 방법이 공지되었다.
물-비혼화성 용매는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의 증기압에 비해 꽤 높은 증기압을 갖는다. 후자는 대기압에서 156℃의 비점을 갖는다.
이외에도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은 디클로로히드린 제조방법과 조화되지 않는 화합물이 아니라는 잇점을 갖는다. 즉, 이는 디클로로히드린 제조의 부산물로서 밝혀졌다.
사용된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의 양은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즉, 반응 구역 유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1.5-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2-4 중량%이다. 사용된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은 첨가될 수 있거나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내에 미리 제공된다.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수성 디클로로히드린과 순류 또는 역류로 접촉시킬 수 있다.
디클로로히드린의 제조 방법은 회분식, 반-연속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같은 방식이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의 추출에 적용된다.
일단,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이 1,2,3-트리클로로프로판으로 처리되고 부산물 (불순물)이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으로 부터 제거되면, 디클로로히드린을 자체로서 공지된 방식으로, 예컨대 증류에 의해 정제하거나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을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에 바로 사용한다.
디클로로히드린 제조로부터의 부산물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잇점이다. 다시 말해서, 수성 유출 스트림의 질을 향상시킨다.
염소화 유기 부산물을 함유하는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증류 구역으로 보내고, 여기서 1,2,3-트리클로로프로판 및 경 생성물을 오버헤드로서 증류시키고, 염소화 유기 부산물은 잔류물로서 회수한다. 잔류물은 태워 없앨 수 있다.
증류된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추출구역으로 재순환 시킬 수 있다.
추출 용매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은 특정 양의 디클로로히드린을 함유한다. 이 생성물을 증류구역에서 1,2,3-트리클로로프로판과 함께 오버헤드로서 증류시키고 추출구역으로 재순환시킨다. 또한,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이 시스템내에 축적되므로 방출 스트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에는 어떤 1,2,3-트리클로로프로판도 첨가되지 않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반응구역 유출물을 침강시키고, 1,2,3-트리클로로프로판(반응 부산물로서)을 포함하는 중 유기층을 수성 유출물로 부터 분리한다.
[실시예]
알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의 연속 스트림을 액체-액체 혼합기를 통해 히드로사이클론에 공급했다.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의 kg당 첨가된 1,2,3-트리클로로프로판 25g을 사용했다. 히드로사이클론은 혼합물을 디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하는 수성상 및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포함하는 유기상으로 분리시켰다.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의 추출효능은 1,2,3-트리클로로프로판으로 추출하기 전 및 후에,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의 1:1 부피 추출물의 헥산 층의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헥산층의 분석은, 염소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고 성분의 염소량에 대해 선형인 HALL-감지기가 장치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실시했다. 총 염소 함량은 비점이 디클로로히드린 (1,2-디클로로-3-히드록시프로판, 비점 183℃)보다 높은 헥산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모든 염소화 성분에 대한 감지기 반응의 합계에 의해 얻었다.
추출 효능은 1,2,3-트리클로로프로판으로 처리하기전 및 후에 얻어진 헥산 층의 측정된 염소 함량의 감소이다.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의 추출 효능은 90%이다.

Claims (8)

  1. 알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를 반응 구역 내에서 반응시켜 다른 염소화 유기 부산물과 함께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을 형성하고, 수성 반응 구역 유출물과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접촉시켜 디클로로히드린을 포함하는 수성 층 및 트리클로로프로판과 상기 염소화 유기 부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얻고, 두 층을 분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디클로히드린의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2,3-트리클로로프로판 10중량%미만을 사용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유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2,3-트리클로로프로판 1내지 8중량%을 사용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2,3-트리클로로프로판을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과 순류 또는 역류로 접촉시키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클로로프로판 및 염소화 유기 부산물을 함유하는 유기층을 증류 구역으로 보내고, 여기서, 트리클로로프로판은 상부를 통해 증류되고, 염소화 유기 부산물은 잔류물로서 남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증류된 트리클로로프로판의 일부를 추출 구역으로 재순환시키는 방법.
  7. 알릴클로라이드, 물 및 염소를 반응 구역 내에서 반응시켜 다른 염소화 유기 부산물과 함께 수성 디클로로히드린 용액을 형성하고, 반응 후 바로, 반응구역 유출물을 침강시켜 트리클로로프로판을 포함하는 중 유기층을 형성하고, 중 유기층을 수성 유출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디클로히드린의 생성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디클로로히드린 함유 수성 용액을 정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20018367A 1991-10-10 1992-10-07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KR100251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1202641 1991-10-10
EP91202641.6 1991-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872A KR930007872A (ko) 1993-05-20
KR100251504B1 true KR100251504B1 (ko) 2000-04-15

Family

ID=820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367A KR100251504B1 (ko) 1991-10-10 1992-10-07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92972A (ko)
JP (1) JP3311045B2 (ko)
KR (1) KR100251504B1 (ko)
DE (1) DE69209432T2 (ko)
SG (1) SG45341A1 (ko)
TW (1) TW2230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5719A3 (fr) * 1992-03-17 1993-12-28 Solvay Procede de production d'epichlorhydr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3525A (en) * 1976-11-01 1977-10-11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oduction of glycerine
US4620911A (en) * 1985-12-27 1986-11-04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chlorohydrin
US4665240A (en) * 1986-05-27 1987-05-12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chlorohydrin
US4657647A (en) * 1986-07-14 1987-04-14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chlorohydrin and the electrodialysis thereof
US4900849A (en) * 1988-09-09 1990-02-13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chlorohydr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21896A (ja) 1993-08-31
DE69209432T2 (de) 1996-09-19
US5292972A (en) 1994-03-08
DE69209432D1 (de) 1996-05-02
SG45341A1 (en) 1998-01-16
KR930007872A (ko) 1993-05-20
TW223052B (ko) 1994-05-01
JP3311045B2 (ja) 200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4126B1 (en) Process for the epoxidation of olefins
JPH069589A (ja) エピ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法
US4990321A (en) Method for recovering hydrobromic acid and methanol
US5883268A (en) Process stream purification
EP1971586B1 (en) Propylene oxide purification and recovery
KR100348942B1 (ko) 알릴클로라이드의정제방법
KR100251504B1 (ko) 디클로로히드린의 생성방법
EP0359331B1 (en) A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chlorohydrin
EP0537846B1 (en) Production of dichlorohydrin
KR950008887B1 (ko) 이소프로필 알콜 정제방법
US4263269A (en)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aqueous hydrochloric acid
JP3415841B2 (ja) ジ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方法
JPH0725796A (ja) 2,3−ジクロル−1−プロパノールの精製方法
JPH0782247A (ja) 第3級ブチルハイドロパーオキシド含有混合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