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994B1 - 전동밸브 - Google Patents

전동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994B1
KR100249994B1 KR1019970013048A KR19970013048A KR100249994B1 KR 100249994 B1 KR100249994 B1 KR 100249994B1 KR 1019970013048 A KR1019970013048 A KR 1019970013048A KR 19970013048 A KR19970013048 A KR 19970013048A KR 100249994 B1 KR100249994 B1 KR 10024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nnular
valve body
seat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히사 칸노
아키라 야스이
히토시 우메자와
Original Assignee
요코야마 다카요시
가부시키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야마 다카요시, 가부시키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요코야마 다카요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9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밸브의 밸브체부분을 통과하는 유체의 조정에 있어서, 그 미소한 조정이 정확하고 미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량이 많은 상태에서의 조정도 행할 수 있는 밸브체와 밸브시트 구조룰 구비한 전동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동밸브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본체내에 형성된 환형상 밸브시트부,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밸브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에 착좌하는 원판형상의 밸브폐쇄부재와 상기 밸브폐쇄부재의 외주에 위치하는 환형상 플랜지부를 가진 밸브폐쇄부재지지칼라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를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단부의 외주에 위치시켜서 상기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와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사이의 간극에서 유량조정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동밸브
본 발명은 펄스모터등의 전동기에 의해서 밸브체의 개폐조작을 행하는 전동 밸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미소유량의 조정이 가능한 전동밸브의 밸브체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예를들면 난방기기등의 온수유체의 배관계통의 도중에 개재되어, 그 온수유체의 유로의 개폐를 행하는 기기로서 전동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동밸브는 밸브본체에 장착된 펄스모터등의 전동기와 ,상기 밸브 본체내에 장착되어 상기 펄스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밸브스템, 상기 밸브스템의 일단에 부착고정되어 있는 밸브체 및 밸브본체내에 형성된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밸브개폐를 구비하고 있다.
제6도는 상기 종래의 전동밸브(50)의 밸브개폐부를 나타내는 것이며, 밸브본체(51)는 그 양측에 배관접속부(52, 53)를 구비함과 동시에, 하부에 플러그(59)를 나착하는 개구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본체(51)의 플러그(59)의 상부는 밸브실(55)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실(55)내에는 밸브체(5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57)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한 밸브스템(60)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배관접속부(52)내에는 입구측통로(52a)가 천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배관접속부(53)에는 출구측 통로(53a)가 천설되고, 양통로(52a, 53a)는 상기 밸브실(55)에 연통접속되어 있다.
상기 입구측 통로(52a)와 상기 밸브실(55)과의 접속부에는 밸브시트부(6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밸브체(57)는 상기 밸브시트부(61)에 접촉하는 밸브부재(57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부재(57a)는 상기 밸브시트부(61)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밸브실(55)방향으로 직경을 확대한 볼록한 환형상 테이퍼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한 환형상 테이퍼부가 상기 밸브시트부(61)에 형성된 오목한 환형상 테이퍼부와 면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51)의 상부에는 전동기(도시 생략)가 부착되고, 상기 전동기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밸브스템(60)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밸브시트부(61)에 대하여 밸브체(57)(밸브부재 57a)를 접리 자재케 밸브체(57)를 개폐동작한다. 상기 개폐동작에 의하여 상기 입구측 통로(52a)로 부터의 유체를 상기 밸브체(57)에서 차단, 혹은 유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밸브(50)를 난방기기등의 온수유체의 배관계통의 도중에 개재시켜서 사용할 경우, 통상, 상기 밸브스템(6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 즉, 상기 밸브시트부(61)에 대한 밸브체(57)의 슬라이딩 이동은, 예를들면 0 내지 3mm정도의 범위를 이동한다.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밸브시트부(61)와 상기 밸브체(57)사이의 개구간극을 조정하여 유체의 유량조정을 행하고 있으나, 유량을 더욱 적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밸브시트부(61)와 상기 밸브체(57)와의 사이의 간극을 예를들면 10μ-50μ정도의 미소간극으로 해서 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제6도의 종래의 진동밸브(50)의 밸브시트부(61)와 밸브체(57)의 구조에서는 상기 밸브스템(60)의 상하 슬라이딩이동(상기 밸브시트부(61)에 대한 밸브체(57)의 슬라이딩이동)과 조정유량과의 관계는 밸브체(57)의 개구 시작시점에서부터 대체로 직선형상으로 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체의 유량을 미소조정을 행할 경우에는, 그 미소조정을 정확하게 실시하기 어려운 것이였다. 즉, 상기 밸브스템(60)의 상하 슬라이딩 즉, 전동기를 부세하기 위한 출력신호인 펄스수에 대한 밸브시트부(61)와 밸브체(57)사이의 이간거리(유량조정간극)가 직선적으로 변화하고, 또한, 미소유량의 조정일지라도 대유량을 조정하는 것과 대략 같은 비율로 개구간극이 변화함으로써, 특히 미소유량의 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동밸브(50)의 밸브본체(51)(밸브시트부(61))는 놋쇠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밸브체(57)의 밸브부재(57a)는 테프론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그 사용재료를 달리함으로써 열팽창율이 달라지므로, 저온의 유체 대신에 온도차가 있는 고온의 온수를 통과시키면, 상기 밸브시트부(61)와 밸브체(57)의 밸브부재(57a)와의 양부재의 온도의 상승에 따라, 양부재가 모두 팽창하여 그의 직경을 확대하지만, 놋쇠보다도 테프론등의 합성수지의 열팽창율이 크기 때문에, 상기 밸브부재(57a)의 쪽이 팽창량이 커져서 그의 외경을 확대한다. 그 팽창량의 차에 의하여 상기 제6도와 같은 배치 상태에 있는 상기 밸브시트부(61)와 밸브체(57)의 밸브부재(57a)와는 상기 상(常) 온수의 상태에서 설정된 개구간극을 좁히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미소유량의 정확한 조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을 하는 것은, 전동밸브의 밸브체 부분을 통과하는 유체의 조정에 있어서, 상기 미소한 조정이 정확하고 미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량이 많은 상태에서의 조정도 할 수 있는 밸브체와 밸브시트부의 구조를 구비한 전동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동밸브는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밸브체가 밸브시트에 대하여 접리하고, 상기 밸브시트는 환형상 밸브시트부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밸브체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의 외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선단에 착좌함으로써, 유량을 차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시트단부의 외측부의 사이에서 유량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동밸브의 다른 태양으로서는, 상기 전동밸브가 밸브 본체, 상기 밸브본체내에 형성된 환형상 밸브시트부,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밸브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에 착좌하는 원판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밸브폐쇄부재와 상기 밸브폐쇄부재의 외주에 위치하는 환형상 플랜지부를 가진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의 하단부를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외주에 위치시켜서, 상기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 사이의 간극에서 유량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밸브의 구체적 태양으로서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가 그 단면형상을 반원형상 혹은 그 외주단면형상을 테이퍼형상으로 하고,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가 밸브폐쇄부재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내측에 모따기 코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동밸브는 상기 전동밸브의 입구측 통로를 거쳐서 유입된 유체가 환형상 밸브시트부와 밸브체 사이의 개구간극을 통과하고, 밸브실을 거쳐서 출구측 통로를 지나서 송출된다. 이때, 전동기를 펄스신호등에 의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회동에 의하여 밸브스템을 상하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펄스신호의 수량에 비례한 양만큼 상기 밸브체의 상하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개구간극을 조정하여 그 개구간극을 흐르는 유체의 유통량을 조정한다. 또한,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와 상기 밸브체 사이를 흐르는 유체를 완전하게 폐쇄차단을 하는 경우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선단에 상기 밸브체의 밸브폐쇄부재의 하부면을 착좌하여 두텁게 접촉시킴으로써 행한다.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와 상기 밸브체와의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조정은,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외주부 사이의 개구간극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유량을 조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동밸브는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서,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가 밸브폐쇄부재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내측에 모따기 코너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밸브체의 폐쇄위치로부터의 이동초기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체의 상하 이동거리에 대하여 상기 모따기 코너부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개구간극을 조금받게 그의 간극폭을 넓히지 않으므로 미소한 개구간극의 조정을 행할 수 있어, 유체유량의 미소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동밸브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전동밸브의 밸브체와 밸브스템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전동밸브의 밸브체와 환형상 밸브시트부와의 작동상태((a) 폐쇄, (b)개구)를 나타내는 작동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전동밸브의 유량 조정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작동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전동밸브의 열린밸브펄스와 유량과의 관계도.
제6도는 종래의 전동밸브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동밸브 11 : 밸브본체
14 : 환형상 밸브시트부 14a : 시트단부
15 : 밸브실 21 : 밸브스템
31 : 전동기 40 : 밸브체
41 : 폐쇄밸브부재 42 : 폐쇄밸브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
42a : 환형상 플랜지부 42b : 하단부
43 : 폐쇄밸브부재 지지용 내부 칼라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형태의 전동밸브(10)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2도는, 상기 전동밸브(10)의 밸브체(40)와 밸브스템(21)과의 분해사시도이다. 예를 들면, 놋쇠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밸브본체(11)는 상부에 홀더 접속부(19)를 입설하고, 상기 홀더 접속부(19)에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홀더(20)를 감합취부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홀더(20)의 상부에는 예를들면 합성수지제의 절연플랜지(32)를 개재해서 펄스 모터등의 전동기(31)를 재치고정하고 있다.
상기 밸브본체(11)의 양측에는 나사가 형성된 배관접속부(12, 13)가 상하로 그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밸브본체(11)의 하부(18)는 밀폐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11)내에는 밸브실(15)이 구성되고, 상기 밸브실(15)의 상부는 상기 홀더 접속부(19)에 감합하는 상기 홀더(2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상기 밸브실(15)내에는 밸브체(4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체(40)는 상기 홀더(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밸브스템(21)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11)의 배관접속부(12)내에는 입구측 통로(12a)가 천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배관접속부(13)에는 출구측 통로(13a)가 천설되고 양 통로(12a, 13a)는 상기 밸브실(15)에 연통접속되어 있다. 상기 밸브실(15) 상부의 홀더접속부(19)의 내공부(19a)에는 상기 홀더(20)가 외측 ○링(22)을 개재하여 삽입감합되고 록넛(23)을 상기 홀더접속부(19)의 외주에 형성한 나사에 비틀어 넣음으로서 상기 홀더(20)를 밸브본체(11)에 부착고정하고 있다.
상기 밸브스템(21)의 중간부는 한쌍의 ○링(29, 29)을 개재해서 상기 홀더(2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밸브스템(21)의 상단은 확대되어 구동축 지지부(21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동축지지부(21a)는 오목형상부(21b)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형상부(21b) 내에는 강구체(24)를 개재하여 구동축(25)의 하단부(25a)가 삽입접촉되고, 상기 구동축(25)의 상단부(25b)는 상기 전동기(31)의 회전축(26)에 계합하고 있다. 상기 구동축(25)의 중간부는 숫나사부(25c)가 형성되어서 상기 홀더(20)에 부착고정된 구동축 가이드(27)에 형성된 암나사(27a)에 나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지지부(21a)의 하부면과 상기 홀더(20) 통내의 상부면사이에는 코일스프링(30)이 개재되어 있어 밸브스템(21)를 항상 위쪽으로 부세하고 있다.
제3도는 상기 밸브체(40)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3(a)도는 상기 밸브체(40)의 폐쇄차단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3(b)도는 개구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3(a)도 및 제3(b)도에 나타내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구측 통로(12a)와 상기 밸브실(15)과의 접속부의 밸브실(15)측에는 환형상 밸브시트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일단부(14a)는 그의 단면형상이 반경 R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스템(21)은 그 하부에 상기 밸브체(40)을 부착 고정하는 축단부(21b)를 구비하고, 제2도,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40)는 3부재, 즉, 상기 밸브시트부(14)에 접촉해서 폐쇄되는 밸브폐쇄부재(41),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42) 및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내부 칼라(43)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3부재는 그 중심에 상기 밸브스템(21)의 축단부(21b)를 감합해서 상기 축단부(21a)의 끝을 코킹함으로써, 상기 밸브스템(21)에 부착고정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40)의 밸브 폐쇄부재(41)는 고무재, 테프론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탄성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판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칼라(42)와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내부칼라(43)와는 SUS등의 재료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양 칼라(42, 43)에서 상기 밸브 폐쇄부재(41)를 샌드위치 형상으로 협지하고 있다.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칼라(42)는 그 외주에 환형상 플랜지부(42a)를 구비하고 , 상기 환형상 플랜지부(42a)의 하단부(42b)는 상기 밸브 폐쇄부재(41)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뻗쳐있고, 상기 밸브체(40)가 폐쇄상태 제3(a)도로 있을 때에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외주면에 극히 미소한 간극을 두고 배치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40)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사이의 폐쇄 및 유량조정은 폐쇄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체(40)의 밸브폐쇄부재(41)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의 선단에 접촉해서 착좌함으로써 행하며, 유량조정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칼라(42)의 하단부(42b)의 내주부와 상기 환형상의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의 외측원호형상 사이의 간극(a)을 조정하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다.
제4도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와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42)의 하단부(42b)와의 유량조정시의 위치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칼라(42)의 하단부(42b)는 그 내주부가 모따기되어 있어 밸브가 폐쇄상태로 있을 때에는 상기 모따기 코너부(42c)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반원형상 시트단부의 외측면에 극히 미소한 간극을 두고 배치된 상태로 있지만, 상기 밸브체(40)를 전동밸브를 개구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승시키면, 상기 모따기 코너부(42c)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반원형상 시트단부의 외측면과의 간극폭(a)을 순차적으로 넓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밸브체(40)가 폐쇄상태의 위치 L0에서 거리 b 상승하여 개구상태의 위치 L1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42)의 모따기 코너부(42c)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와의 간극폭은 a1이 된다. 그리고, 다시 같은 거리 b상승하여, 개구상태의 위치 L2로 이동했을 때, 상기 모따기 코너부(42c)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의 간극폭은 a2가 되지만, 상기 간극 a2는 상기 밸브체(40)의 상승거리가 2b로 2배 이동한 것에 대하여 폭 a1, 예를 들면 2배이상으로 변화한다. 즉, 상기 밸브체(40)의 이동거리에 대하여 상기 모따기 코너부(42c)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의 간극폭(a)은, 직선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2차 곡선적으로 변화한다. 바꾸어 말한다면, 상기 밸브체(40)의 폐쇄위치에서의 이동초기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체(40)의 이동거리 L에 대하여 상기 모따기 코너부(42c)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와의 간극폭 a는 조금밖에 그의 간극폭을 넓히지 않고, 상기 간극의 미소한 조절을 할 수 있어, 유체 유량의 미소 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미소조정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환원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에서 그 단면형상이 반경R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상기 밸브체(40)의 이동위치가 L3이상으로 되면, 상기 유량의 조정은 상기 반원형상의 영향을 받는 것이 적어져서, 상기 밸브체(40)의 이동거리에 대하여 대략 직선상으로 변화하게 된다.
제5도는 상기 밸브체(40)의 이동거리, 즉, 상기 전동기(31)를 회전시키기 위한 열린 밸브 펄스수와 유량과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구한 그래프이며, 열린 밸브펄스수가 적은 영역(I)을 미소유량조정에 사용하고, 그 이상의 열린 밸브 펄스수가 많은 영역(II)을 통상의 유량 조정에 사용하는 것이다. 제5도에서 열린 밸브 펄스수가 적은 영역(I)에서는, 펄스수의 변화에 대하여 유량의 변화가 적어 미소유량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펄스수가 많은 영역(II)에서는 펄스수의 변화에 대하여 유량의 변화가 상기 영역(I)보다 크다는 것이 이해가 될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전동 밸브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난방기기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 혹은 온수등의 유체는, 입구측 통로(12a)에서 공급되고, 환형상 밸브시트부(14)와 밸브본체(40)사이의 간극을 통과한 후, 밸브실(15)을 거쳐 출구측 통로(13a)를 통하여 난방기등의 기기에 송출된다. 이때, 펄스 모터등의 전동기(31)를 펄스 신호등에 의하여 적절히 희동시키면, 상기 전동기(31)의 회전축(26)이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26)과 계합하고 있는 구동축(25)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축(25)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25)자체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밸브스템(21)을 상하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밸브스템(21)은 상기 펄스신호의 양에 비례한 양만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와 상기 밸브체(40)의 상기 모따기 모터부(42a)사이의 간극폭 a을 조정하여, 상기 폭 a의 간극을 흐르는 유체의 유통량을 조정한다. 또,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와 상기 밸브체(40)와의 완전폐쇄차단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시트단부(14a)의 선단에 밸브 폐쇄부재(41)가 접촉해서 착좌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유체의 유통량의 통상의 조정은 상기 밸브시트부(14)와 상기 밸브체(40)사이의 간극폭 a를, 예를 들면, 0-3mm의 범위에서 조정함으로써 행하는 것이지만, 유량을 교축해서 조정할 경우에는 상기 간극폭 a를 좁게한 상태의 상기 영역(I) 즉, 10-50μ정도의 미소 간격으로 해서 온수의 유통량을 조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형상 밸브시트부(14)와 밸브체(40)의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42)의 유량을 조정하는 하단부(42b)가 모두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내부로부터 유체가 외부의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외주에 위치하는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42)의 하단부(42b)아래쪽으로 향해서 제3도의 화살표와 같이 방사 스커트 형상으로 흐름으로써, 밸브체(40)에 구심력이 작동하여 상기 밸브체(40)자체가 진동이 적은 안정된 작동을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조정부를 구성하는 상기 모따기 코너부(42c)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14)의 반원형상 시트단부(14a)를 비교적 용이한 기계 가공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밸브체(40)는 폐쇄밸브부재(41)의 외주가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칼라(42)의 환형상부(42a)에 완전하게 덮여 있으므로, 상기 폐쇄 밸브부재(41)의 재질(테프론등)에 의거한 열팽창의 영향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밸브의 완전 폐쇄차단은 테프론등의 폐쇄양호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밸브폐쇄부재(41)로 행하고, 유량의 조정은 놋쇠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환형상 밸브시트부(14)와 SUS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42)의 열팽창율이 근사한 금속끼리에 의해 행하기 위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흐르는 유체에 온도변화가 생긴다해도, 유량조정에 있어서의 열팽창의 영향이 적은 밸브부를 구성할 수 있어, 유체의 미소유량의 조정에 호적한 전동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동밸브의 난방기기의 온수공급장치에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전동 밸브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매를 공급하는 관로에 배치되는 밸브 및 냉각액으로서 사용되는 오일 공급관로의 밸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형상 밸브시트의 시트단부는 그 단면형상을 반원형상으로 해서 나타냈지만,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시트단부의 외주부의 단면형상을 테이퍼형상으로 하는등, 미소한 유량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경사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 내측을 모따기 하고, 모따기 코너부를 구비하는 형상으로서 나타냈지만, 모따기를 하지 않고, 그 하단부의 내측 코너부를 유량 조정부로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전동밸브는 밸브체의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를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외주에 위치시켜서, 상기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와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와의 사이의 간극으로 유량조정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통상의 유량조정과 필요에 따라 행하는 미소한 유량조정과의 양쪽의 조정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밸브체가 환형상 밸브시트에 대하여 접리하는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의 시트단부의 선단에 착좌함으로써 유량을 차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시트단부의 외측부 사이에서 유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2.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내에 형성된 환형상 밸브시트부, 밸브체, 상기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밸브스템을 구비한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에 착좌하는 원판형상의 밸브 폐쇄부재와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칼라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폐쇄부재 지지용 외부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를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의 외주에 위치시켜서, 상기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와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 사이의 간극으로 유량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는 그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 밸브시트부의 시트단부는 그 외주단면형상이 테이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폐쇄부재 지지용 칼라의 환형상 플랜지부의 하단부는 밸브 폐쇄부재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내측의 모따기 코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KR1019970013048A 1996-05-01 1997-04-09 전동밸브 KR100249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10892 1996-05-01
JP11089296A JP3762809B2 (ja) 1996-05-01 1996-05-01 電動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9994B1 true KR100249994B1 (ko) 2000-04-01

Family

ID=1454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048A KR100249994B1 (ko) 1996-05-01 1997-04-09 전동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62809B2 (ko)
KR (1) KR100249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673B1 (ko) * 2015-03-25 2017-12-07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8712B2 (en) * 2002-07-17 2006-04-18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Skirt guided globe valve
JP2005325887A (ja) * 2004-05-13 2005-11-24 Fuji Koki Corp 電動弁
JP5022120B2 (ja) * 2007-07-03 2012-09-12 株式会社不二工機 冷暖房システム用の電動弁
JP5302517B2 (ja) * 2007-07-26 2013-10-02 株式会社不二工機 流量調整弁
JP5190228B2 (ja) * 2007-08-03 2013-04-2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流量調節バルブ
JP5726426B2 (ja) * 2010-03-17 2015-06-03 株式会社不二工機 三方電動弁及び該弁を備えたヒートポンプ装置
JP5875777B2 (ja) * 2011-03-31 2016-03-0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GB2521868A (en) * 2014-01-07 2015-07-08 Intelligent Energy Ltd Valv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673B1 (ko) * 2015-03-25 2017-12-07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62809B2 (ja) 2006-04-05
JPH09296868A (ja) 1997-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4792B2 (en) Temperature responsive 3-way line valve with shape memory alloy actuator
CA1100014A (en) Safety valve
KR100249994B1 (ko) 전동밸브
US5174324A (en) Ceramic valve
JP2012515276A (ja) 水道水のための電子制御可能な混合装置
CN109944955B (zh) 控制阀
US5356074A (en) Thermostatic mixing device
USRE35545E (en) Ceramic valve
US6676025B2 (en) Temperature-controlled mixer valve
RU2102646C1 (ru) Клапан со средствам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й регулировки
CN110657268A (zh) 控制阀
CN113544618A (zh) 具有补偿腔室的筒体流速调整组件和包括筒体流速调整组件的液压阀
JP2762920B2 (ja) 流量制御弁
KR890000449B1 (ko) 유체 조절 밸브
JP2652675B2 (ja) ボールバルブ
US7032883B2 (en) Hybrid butterfly fluid control valve
JP2005325887A (ja) 電動弁
CN114198535B (zh) 混合单元和包括这种混合单元的混合龙头
JPH11132351A (ja) 電動弁
JP4591860B2 (ja) 湯水混合栓
JP4583974B2 (ja) ニードルバルブ
KR100886223B1 (ko) 분배기용 난방 유량조절 밸브
JPH09257146A (ja) 電動弁
JPH03163273A (ja) 弁体
CN109313457B (zh) 混合单元和包括这种混合单元的混合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