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684B1 -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684B1
KR100247684B1 KR1019970047884A KR19970047884A KR100247684B1 KR 100247684 B1 KR100247684 B1 KR 100247684B1 KR 1019970047884 A KR1019970047884 A KR 1019970047884A KR 19970047884 A KR19970047884 A KR 19970047884A KR 100247684 B1 KR100247684 B1 KR 10024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low frame
base member
pick
pickup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986A (ko
Inventor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684B1/ko
Priority to CN98810157A priority patent/CN1276084A/zh
Priority to PCT/KR1998/000282 priority patent/WO1999016071A1/en
Publication of KR1999002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18Incorporating means for passive damping of vibration, either in the turntable, motor or moun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에 충격감쇄수단을 설치하여 감속기어군의 갑작스런 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과부하 및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씨디 플레이어의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에 치합되는 기어부(42)를 형성한 유동 프레임(40)과, 상기 유동 프레임(40)을 스프링(70)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안착시킨 베이스 부재(60)를 픽업 베이스(10)에 결합시킨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송출모터(30) 및 감속기어군(32)이 갑자기 구동하거나 정지하여 급속한 동력 전달의 변화가 있더라도 유동 프레임(40)과 베이스 부재(6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0)이 충격을 완화하여 베이스 부재(60) 및 픽업 베이스(10)에 충격을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픽업 베이스(10)가 안정되어 액츄에이터(12)의 픽업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유동 프레임(40)의 충격 완화작용에 의해 송출모터(30) 및 감속기어군(32)과 픽업 베이스(10)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각 기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A PICK-UP BASE FEEDING DEVICE OF CD PLAYER}
본 발명은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크에 설치된 송출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어군과 픽업 베이스의 사이에 충격감쇄수단을 설치하여 감속기어군의 동력이 픽업 베이스에 전달될 때 갑작스런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액츄에이터의 진동발생 및 감속기어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디플레이어는 광픽업 액츄에이이터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 광의 초점을 형성하고, 반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을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씨디 플레이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12)가 디스크(140)의 외측으로부터 점차 내측으로 이동하며 디스크(140)에 나선형으로 기록된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112)를 픽업 베이스(110)에 장착하고, 이 픽업 베이스(110)를 이동시키는 송출모터(130)를 설치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씨디 플레이어에 있어서 종래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는, 먼저 픽업 베이스(110)의 이동 경로를 정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두 개의 가이드축(120)을 데크에 설치하고, 이 가이드축(120)을 따라 픽업 베이스(110)가 이동하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송출모터(130)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그 속도를 줄이고 회전력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송출모터(130)에 연동되는 다수의 감속기어로 된 감속기어군(132)을 설치하고, 이 감속기어군(132)의 종동기어(134)에 치합되는 랙기어(114)를 픽업 베이스(110)의 일단에 고정하여 송출모터(130)의 동력이 감속되어 픽업 베이스(110)를 저속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픽업 베이스(110)는 송출모터(130)가 구동함에 따라 디스크(140)의 하방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이드축(120)으로 따라 이송되고, 이와 함께 픽업 베이스(110)에 장착된 액츄에이터(112)에서 디스크(140)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한다. 그리고 픽업 베이스(110)의 귀환시에는 송출모터(130)가 역회전하여 픽업 베이스(110)를 디스크(140)의 내측 하방에서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픽업 베이스(110)의 일측에 고정된 랙기어(114) 및 이 랙기어(114)에 치합된 감속기어군(132), 그리고 이 감속기어군(132)에 치합되는 송출모터(130)가 모두 밀착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송출모터(130)의 동력을 손실 없이 픽업 베이스(11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픽업 베이스(110)가 씨디롬 또는 디브이디롬 등에 설치된 경우 액츄에이터(112)가 디스크(140)에 기록된 데이터를 찾기위해 고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송출모터(1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을 개시하거나 동작중에 정지하면, 픽업 베이스(110) 및 감속기어군(132)에 갑작스런 동작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픽업 베이스(110) 및 감속기어군(132)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각 기어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픽업 베이스(110)가 갑작스럽게 동작하거나 정지할 경우, 픽업 베이스(110)에 장착된 액츄에이터(112)에 진동이 발생하여 각 부품의 고유기능을 저하시키므로, 액츄에이터(112)의 재생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업 베이스에 충격감쇄수단을 설치하여 감속기어군의 갑작스런 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과부하 및 진동을 감소시켜 픽업 베이스 및 감속기어군의 손상을 방지하고, 픽업 베이스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의 재생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충격감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충격감쇄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픽업 베이스 12 : 액츄에이터
20 : 디스크 30 : 송출모터
32 : 감속기어군 34 : 종동기어
40 : 유동 프레임 42 : 기어부
44 : 걸림편 46 : 결합홈
48 : 장공 52 : 캡
60 : 베이스 부재 62 : 가이드
64 : 안내홈 66 : 지지대
70 : 스프링 72 : 보스
상기의 충격감쇄수단은, 감속기어군의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부를 형성한 유동 프레임; 상기 유동 프레임이 스프링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탄지되게 안착되고, 픽업 베이스에 결합된 베이스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격감쇄수단은, 감속기어군의 갑작스런 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과부하 및 진동을 감소시켜 픽업 베이스 및 감속기어군의 손상을 방지하고, 픽업 베이스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의 재생기능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의 평면 개락도를 도 2에 도시하고, 충격감쇄수단의 분해 사시도를 도 3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를 장착한 픽업 베이스(10)의 이동 경로를 정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두 개의 가이드축(14)을 데크에 설치하고, 이 가이드축(14)을 따라 픽업 베이스(10)가 이동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픽업 베이스(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출모터(30)를 설치하는데, 이 송출모터(30)는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그 속도를 줄이고 회전력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송출모터(30)에 연동되는 다수의 감속기어로 된 감속기어군(3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의 동력이 픽업 베이스(10)에 전달될 때 갑작스런 동작의 변화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픽업 베이스(10)와 종동기어(34)의 사이에 충격감쇄수단을 설치한다.
이러한 충격쇄수단은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에 치합되는 기어부(42)를 형성한 유동 프레임(40)과, 유동 프레임(40)을 스프링(70)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안착시켜 픽업 베이스(10)에 결합시킨 베이스 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60)의 상면 중심에는 양측 방향으로 제 2걸림돌기(68)를 갖는 지지대(66)를 형성하고, 유동 프레임(40)에는 지지대(66)가 삽입되는 장공(48)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 제 1걸림돌기(50)를 각각 형성하여 지지대(66)의 양측 제 2걸림돌기(68) 및 대향되는 장공(48)의 양측 제 1걸림돌기(50)에 한쌍의 스프링(70)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킨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60)의 양측 상면에는 안내홈(64)을 갖는 가이드(62)를 각각 형성하고, 유동 프레임(40)의 양측에는 가이드(62)의 안내홈(64)에 삽입되는 걸림편(44)을 각각 형성하여 유동 프레임(40)이 베이스 부재(60) 상에서 이동 경로가 일정하게 한다.
또 베이스 부재(60)의 상면에는 한 쌍의 보스(7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40)에는 베이스 부재(60)의 보스(72)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46)을 각각 형성하며, 베이스 부재(60)의 보스(72)에 캡(52)을 결합시켜 유동 프레임(40)이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60)의 일측에는 다수의 결합공(76)을 형성하여 픽업 베이스(10)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미도시)를 삽입시켜 베이스 부재(60) 및 이에 결합되는 유동 프레임(40)이 픽업 베이스(10)에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충격감쇄수단을 픽업 베이스(10)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유동 프레임(40)의 양측 걸림편(44)을 베이스 부재(60)의 양측 가이드(62)에 형성된 안내홈(64)에 삽입된 상태로 베이스 부재(60)의 보스(72)가 유동 프레임(40)의 결합홈(46)에 삽입되게 하고, 베이스 부재(60)의 지지대(66)가 유동 프레임(40)의 중심에 형성된 장공(48)에 삽입시켜 유동 프레임(40)을 베이스 부재(6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유동 프레임(40)의 결합홈(46)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한 쌍의 보스(72)에 캡(52)을 결합하여 유동 프레임(40)이 베이스 부재(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캡(52)은 상면에 걸림턱(54)을 형성하여 유동 프레임(40)을 상측으로부터 가이드하도록 하고, 이 캡(52) 내에 홀을 형성하여 보스(72)가 캡(52)의 홀 내로 삽입되도록 한 다음, 접착제나 캡(52)의 재질에 따른 용융 등의 방법으로 캡(52)을 보스(72)에 고정한다.
이어서 유동 프레임(40)의 장공(48) 내로 삽입된 지지대(66)의 양측 제 2걸림돌기(68)에 한 쌍의 스프링(70)의 일단을 각각 끼우고, 이 스프링(70)의 타단을 장공(48)의 양단에 형성된 제 1걸림돌기(50)에 끼움으로써, 스프링(70)의 탄성으로 유동 프레임(40)이 베이스 부재(60) 상에서 위치가 지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유동 프레임(40)이 이동할 때 베이스 부재(60) 및 픽업 베이스(10)는 다소 시간차를 가지며 함께 유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충격감쇄수단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쇄수단이 장착된 픽업 베이스(10)가 씨디롬 또는 디브이디롬에 설치될 경우, 픽업 베이스(10)에 장착된 액츄에이터(12)는 디스크(20) 상에서 원하는 기록을 찾기 위하여 기록 트랙을 가로질러 신속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이 때 만약 액츄에이터(12)가 도 4에 도시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송출모터(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송출모터(30)에 연동되는 감속기어군(32)이 회전속도를 감소시킨 다음 종동기어(34)를 통하여 회전력을 유동 프레임(40)의 기어부(42)에 전달한다. 이러한 감속기어군(32)은 짝수개의 감속기어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종동기어(3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유동 프레임(40)의 기어부(42)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유동 프레임(40)은 갑작스럽게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지만, 이 유동 프레임(40)과 결합된 베이스 부재(60)는 동시에 이동하지 않고, 유동 프레임(40)의 장공(48) 우측에 고정된 스프링(70)이 베이스 부재(60)의 지지대(66)에 접촉하여 미는 힘에 의해 서서히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에서 갑작스런 동력이 유동 프레임(40)에 전달되더라도 베이스 부재(60)는 지지대(66)에 고정된 우측 스프링(70)의 완충 작용에 의해 유동 프레임(40)과 미세한 시간차를 두고 부드럽게 이동함으로써, 갑작스런 속도변화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때 유동 프레임(40)의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편(44)은 베이스 부재(60)의 가이드(62)에 형성된 안내홈(64)에 삽입되어 유동 프레임(4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여 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베이스 부재(60)에 형성된 보스(72)에 고정된 갭은 유동 프레임(40)의 결합홈(46)에 삽입되어 걸림턱(54)이 유동 프레임(40)의 상측을 가이드(62) 함으로써, 유동 프레임(40)이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픽업 베이스(10)에 장착된 액츄에이터(12)가 디스크(20)의 하방에서 기록의 위치를 찾으면 픽업 베이스(10)가 정지하여야 하는데, 이 때에는 송출모터(30)가 급정지하고, 이에 따라 감속기어군(32)의 기어들이 급정지한다. 이와 동시에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에 치합된 충격감쇄수단의 유동 프레임(40)이 급정지하게 되지만, 이 유동 프레임(4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베이스 부재(60)는 지지대(66)에 고정된 우측 스프링(70)의 탄성에 의해 이동이 제지되어 부드럽게 정지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60)와 결합된 픽업 베이스(10)가 충격 없이 정지하여 픽업 베이스(10)에 장착된 액츄에이터(12)에서 디스크(20)의 기록을 재생한다.
이와 같이 송출모터(30) 및 감속기어군(32)이 갑자기 구동하거나 정지하여 급속한 동력 전달의 변화가 있더라도 충격감쇄수단의 유동 프레임(40)의 장공(48)에 고정된 스프링(70)이 충격을 완화하여 베이스 부재(60) 및 픽업 베이스(10)에 충격을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픽업 베이스(10)에 장착된 액츄에이터(12)가 보호되므로 픽업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감쇄수단의 충격 완화작용에 의해 송출모터(30) 및 감속기어군(32)과 픽업 베이스(10)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각 기어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에서는 픽업 베이스(10)가 정지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 및 정지할 때의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픽업 베이스(10)가 우측으로 이동을 개시하거나 정지할 때에도 동일한 충격감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씨디 플레이어의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에 치합되는 기어부(42)를 형성한 유동 프레임(40)과, 상기 유동 프레임(40)을 스프링(70)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안착시킨 베이스 부재(60)를 픽업 베이스(10)에 결합시킨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로서, 송출모터(30) 및 감속기어군(32)이 갑자기 구동하거나 정지하여 급속한 동력 전달의 변화가 있더라도 유동 프레임(40)과 베이스 부재(6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70)이 충격을 완화하여 베이스 부재(60) 및 픽업 베이스(10)에 충격을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픽업 베이스(10)가 안정되어 액츄에이터(12)가 보호되므로 각 부품의 고유기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동 프레임(40)의 충격 완화작용에 의해 송출모터(30) 및 감속기어군(32)과 픽업 베이스(10)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각 기어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감속기어군(32)의 종동기어(34)에 치합되는 기어부(42)를 형성한 유동 프레임(40);
    상기 유동 프레임(40)이 스프링(70)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탄지되게 안착되고, 픽업 베이스(10)에 결합된 베이스 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60)의 상면 중심에는 양측 방향으로 제 2걸림돌기(68)를 갖는 지지대(66)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프레임(40)에는 상기 지지대(66)가 삽입되는 장공(48)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 제 1걸림돌기(50)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양측 제 2걸림돌기(68) 및 상기 양측 제 1걸림돌기(50)에 한쌍의 스프링(70)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60)의 양측 상면에는 안내홈(64)을 갖는 가이드(6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동 프레임(40)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홈(64)에 삽입되는 걸림편(44)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60)의 상면에는 한 쌍의 보스(7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유동 프레임(40)에는 상기 보스(72)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홈(46)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보스(72)에 결합되어 상기 유동 프레임(4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캡(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60)의 일측에는 상기 픽업 베이스(10)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7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 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KR1019970047884A 1997-09-20 1997-09-20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KR100247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884A KR100247684B1 (ko) 1997-09-20 1997-09-20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CN98810157A CN1276084A (zh) 1997-09-20 1998-09-16 光碟机的读出装置座的移动装置
PCT/KR1998/000282 WO1999016071A1 (en) 1997-09-20 1998-09-16 Pickup base transferring device for disc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884A KR100247684B1 (ko) 1997-09-20 1997-09-20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86A KR19990025986A (ko) 1999-04-06
KR100247684B1 true KR100247684B1 (ko) 2000-05-01

Family

ID=1952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884A KR100247684B1 (ko) 1997-09-20 1997-09-20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6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289A (ko) * 1990-03-20 1991-11-05 정용문 마이컴의 제어에 의한 메모리 라이트 방지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289A (ko) * 1990-03-20 1991-11-05 정용문 마이컴의 제어에 의한 메모리 라이트 방지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86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968B1 (ko) 완충장치 및 완충장치를 이용한 원반형상의 기록매체용 기록 또는 재생장치
KR100550481B1 (ko) 디스크 장치
EP0814477B1 (en) Disc drive
US6922841B2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nd driving optical pick-up
KR100247684B1 (ko)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KR100247685B1 (ko) 씨디플레이어의 픽업 베이스 이송장치
US20060190953A1 (en) Disk recording/reproducer and method for fixing pickup of disc recorder/reproducer
KR100601462B1 (ko) 대물렌즈 보호수단이 구비된 광디스크 장치
US6081500A (en) Head feeding apparatus
KR200370072Y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 이송장치
WO1999016071A1 (en) Pickup base transferring device for disc player
KR19980056990U (ko) 디스크 드라이브
US6643250B1 (en) Disk playback device
JP2008057727A (ja) 電子機器の駆動力伝達装置及び電子機器並びにディスク再生/記録装置
KR0132073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충격완화장치
KR0126842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충격 완화장치
KR200374587Y1 (ko) 디브이디의리드스크류안내장치
KR200155042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이송장치
KR19980050230U (ko) 디브이디용 슬라이딩 액츄에이터의 댐핑구조
KR100371160B1 (ko) 디스크드라이버의 픽업 이송장치
JP4198078B2 (ja) 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KR100529124B1 (ko) 광픽업 이송장치
KR100206839B1 (ko) 광디스크 재생기의 픽업 구동부 방진 장치
JPH07272288A (ja) 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KR200249214Y1 (ko) 광디스크장치의대물렌즈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