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174B1 -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174B1
KR100246174B1 KR1019960017056A KR19960017056A KR100246174B1 KR 100246174 B1 KR100246174 B1 KR 100246174B1 KR 1019960017056 A KR1019960017056 A KR 1019960017056A KR 19960017056 A KR19960017056 A KR 19960017056A KR 100246174 B1 KR100246174 B1 KR 100246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167A (ko
Inventor
홍익표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1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174B1/ko
Publication of KR97007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지국에 등록변경하도록 한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근접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정보와 근접한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 가능한 각 영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비교로써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거리 등록 정보로써 등록하여 기지국에서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방향과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기지국에서도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분실된 이동 단말기를 쉽게 찾을 수 있음으로 해서 도난 방지에도 매우 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디지탈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에 다른 동작 순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근접지역의 수신 전력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이동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이에 대한 위치정보를 기지국에 등록변경하도록 한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위치 이동하면서 통신을 수행하는데, 각 이동 단말기는 다수개의 기지국에 의해 형성되는 통화지역을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위치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안테나(ANT)를 통한 통화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듀플렉서(1)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상대방의 호출신호 및 통화 메세지를 수신처리하는 수신부(2)와, 상기 듀플렉서(1)를 통해 사용자의 호출신호 처리 및 전화 메세지를 송신처리하는 송신부(3)와, 상기 송신 및 수신 신호의 처리시 기준 주파수에 따라 송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합성하는 주파수 합성부(4)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본 시스템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1 메모리부(6)와, 본 시스템의 신호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2 메모리부(7)와, 한글 및 특수문자, 전화번호등이 저장되어 있는 제3 메모리부(8)와, 본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키부(9)와, 현재 셀룰라폰의 수신 및 발신 상태를 나타내주는 액정 표시부(10)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탈화 또는 아날로그화하여 신호처리하는 음성 처리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셀룰라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안테나(ANT)와 듀플렉서(1)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방의 수신신호는 수신부(2)에서 주파수 합성부(4)에 의해 입력 주파수가 맞춰지고 제어부(5)로 입력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신호는 음성 처리부(11)를 통해 아날로그화되어 스피커로 출력된다. 한편, 송신신호는 마이크를 통해 음성 처리부(11)에서 디지탈화 되어 제어부(5)를 통해 송신부(2)로 전달된다. 그리고나서, 듀프렉서(1)를 통해 안테나(ANT)로 출력된다.
여기서,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메세지들은 송수신부(2)(3)에서 각각 송수신되고 제어부(5)에서 처리된다.
이상과 같은 이동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알 수 없고, 단지 현재 위치가 통화 가능한 기지국 서비스 영역 내에 있다는 것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기지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유일하게 특정 단말기가 어느 지역에서 통화하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것은 각 기지국을 서로 연결해주는 기지국 교환기이다.
각 이동 단말기는 사용중인 이동국의 식별번호 및 호출번호 그리고 그 이외의 특성등을 기지국으로 알리도록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등록 정보는 8가지가 있다.
즉, 전원 온/오프에 따른 전원 가동 및 차단 등록, 신호 동기를 맞추기 위한 등록, 마지막 등록지점에서 일정한 거리를 벗어낫을 경우에 대한 거리기준 등록, 새로운 지역으로 전입할 경우에 대한 지역기준 등록, 파라미터 변경 등록, 주문등록, 간접등록등이 있다.
이와 같은 등록 방식들은 기지국에서 각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알기 위한 것으로, 기지국을 상호 접속하는 교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등록 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어느 기지국의 통화지역에서 통화 하는지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기지국을 상호 접속하는 교환기에서만이 이동 단말기가 어느 지역에서 통화하고 있는지 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근접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정보와 근접한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 제공 가능한 각 영역으로부터의 수신전력 비교로써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거리 등록 정보로써 등록하여 기지국에서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방향과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은,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시간에 대한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수신한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대한 송신시간과 수신시간의 차이로써 기지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후에 근접지역의 수신전력을 측정하여 이들을 비교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측정한 수신전력의 비교값과 상기 제2과정에서 측정한 기지국과의 거리 측정값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를 산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산출한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기지국에 등록사항 변경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에 따른 동작 순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근접지역의 수신 전력 상태도이다.
제2도에 따른 동작 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켜게 되면 이에 전원 가동상태에 대해 기지국으로 등록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통화 대기 상태에 있도록 연결해 주고, 이와 동시에 시스템 파라미터 메세지를 통해 기지국의 위도, 경도 및 거리 파라미터를 보낸다. 그리고, 상기 메세지가 전송된 시간도 함께 보낸다. 이와 같은 정보들은 GPS(Grobal Position System)수신기로부터 받아 각 이동 단말기로 보내는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위치정보와 시간을 수신하면 이를 수신한 시간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기지국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단계 S1~S2).
이렇게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중심으로 원형을 그리게 되면 제3a도와 같이 된다. 즉, 이 원형의 둘레중 한 위치에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으로 측정하는 것이 근접지역의 수신전력이다(단계 S3). 이 수신전력은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영역으로 발생하는 신호전력이다.
즉, 각 기지국은 서비스 가능한 영역을 일반적으로 제3a도와 같이 기지국을 중심으로 알파, 베타, 감마 영역으로 3등분하여 이들 각각의 영역으로 신호전력을 송출하도록 되어 있고, 해당 신호전력을 송출함과 함께 PN(Pilot Number)값을 송출하는데, 해당 PN값에는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기지국 정보와, 기지국을 중심으로 한 알파, 베타, 감마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섹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에 있는 이동 단말기는 해당 PN값을 수신해서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모든 영역의 신호를 구분하여 수신함으로써 자신이 있는 영역으로 송출되는 모든 영역의 신호전력을 측정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수 있게 된다. 즉, 이동 단말기는 이들 각 영역의 신호전력의 크기를 확인하여 큰 순서대로 나열하여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제3a도의 이동 단말기가 알파영역에서 이동할 때마다 달라지는 수신전력의 크기로 위치를 확인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가 ⓐ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해당 ⓐ 위치에서의 수신전력은 베타 수신전력과 알파 수신전력의 크기가 같고, 감마 수신전력이 작게 측정되므로, 이동 단말기는 해당 수신전력의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자신이 베타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해당 ⓑ 위치에서의 수신전력은 알파 수신전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베타 수신전력이 높고 감마 수신전력이 가장 낮게 측정되므로, 이동 단말기는 해당 수신전력의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자신이 알파영역 내에서 베타영역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가 ⓒ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해당 ⓒ 위치에서의 수신전력은 알파 수신전력이 가장 높고, 베타 수신전력과 감마 수신전력이 똑같은 크기로 낮게 측정되므로, 이동 단말기는 해당 수신전력의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자신이 알파영역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의 수신전력은 알파 수신전력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감마 수신전력이 높고 베타 수신전력이 가장 낮게 측정되므로, 이동 단말기는 해당 수신전력의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자신이 알파영역 내에서 감마영역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의 수신전력은 알파 수신전력과 감마 수신전력의 크기가 같고, 베타 수신전력이 작게 측정되므로, 이동 단말기는 해당 수신전력의 정보에 의거하여 현재 자신이 알파 경계선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 확인과 상기 단계(S2)에서 측정한 기지국과의 거리 측정값으로 제3a도의 원둘레중 한 위치가 산출되는데, 이 위치의 좌표가 바로 현재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된다(단계 S4).
이때, 상기 좌표는 위도와 경도로 표시된다.
이후, 상기 좌표값은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로 디스플레이되고, 동시에 기지국으로 등록사항 변경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S5).
결국, 기지국에서도 현재 어떤 이동 단말기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기지국에서도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분실된 이동 단말기를 쉽게 찾을 수 있음으로 해서 도난 방지에도 매우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위치정보와 시간에 대한 메세지를 수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수신한 기지국의 위치정보에 대한 송신시간과 수신시간의 차이로써 기지국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후에 근접지역의 수신전력을 측정하여 이들을 비교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측정한 수신전력의 비교값과 상기 제2과정에서 측정한 기지국과의 거리 측정값으로 현재 위치에 대한 좌표를 산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산출한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기지국에 등록사항 변경 메세지를 전송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이동 단말기에서 위치 확인 방법.
KR1019960017056A 1996-05-20 1996-05-20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KR100246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56A KR100246174B1 (ko) 1996-05-20 1996-05-20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056A KR100246174B1 (ko) 1996-05-20 1996-05-20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67A KR970078167A (ko) 1997-12-12
KR100246174B1 true KR100246174B1 (ko) 2000-04-01

Family

ID=1945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056A KR100246174B1 (ko) 1996-05-20 1996-05-20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1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167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330A (en) Portable telephone with current location display and network thereof
US5875405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bbreviated dialing numbers
US5802468A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alling areas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608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dialing sequence based on location
KR19990087316A (ko) 위치정보 검출시스템
US20030013462A1 (en) Position information notifying system and method
JP2002142254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移動体通信端末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方法
US6380872B1 (en) Method for issuing a destination arrival alarm in a radio terminal
JPH07177571A (ja) 移動無線通信方式およびその移動局装置
US5471643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6198938B1 (en) Dynamic associative terminating extension groups
KR100703297B1 (ko) 위치정보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246174B1 (ko) 디지탈이동단말기에서위치확인방법
JPH06315005A (ja) 無線電話装置
KR100319271B1 (ko) 휴대폰의 통화지역 위치 표시 제어방법
US6236858B1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KR20020054583A (ko) Gps 기능을 갖는 커플용 이동통신단말기
KR100237443B1 (ko) 디지털 셀룰라 무선 복합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 지역시각 표시방법
KR100515417B1 (ko) 수신자 위치를 통화 상대방 단말기에 표시하는 방법
JP3219622B2 (ja) 移動体通信装置
JPH09312883A (ja) 携帯電話機
JPH0738959A (ja) 無線電話装置
KR100677963B1 (ko)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와 그 동작 방법
JP2000209640A (ja) 位置情報確認機能付き簡易型携帯電話機及び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JPH11234727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