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937B1 -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937B1
KR100244937B1 KR1019980005698A KR19980005698A KR100244937B1 KR 100244937 B1 KR100244937 B1 KR 100244937B1 KR 1019980005698 A KR1019980005698 A KR 1019980005698A KR 19980005698 A KR19980005698 A KR 19980005698A KR 100244937 B1 KR100244937 B1 KR 10024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heel
fixed
convey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705A (ko
Inventor
양준묵
노승무
Original Assignee
양준묵
노승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묵, 노승무 filed Critical 양준묵
Priority to KR101998000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9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81Abdominal wall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407Ratchet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복수술시 절개된 복부근육을 횡방향으로 당겨주어 수술공간을 확보해주는 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복수술시 절개된 복부근육을 효과적으로 당겨주어 수술 보조인원을 감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의 일단에 고정된 이송레일에 끼워져 이송레일을 타고 좌,우이동되는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에 있어서, 이송레일이 레일구멍에 끼워진 이송기의 내측에서 이송레일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바퀴를 설치하는 한편 이송레일에 접촉되는 바퀴를 설치하고 톱니바퀴와 바퀴는 삼각받침대로 고정시키되 삼각받침대의 방향이 반대가 되게 설치하며 상기 삼각받침대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씌워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본 발명은 개복수술시 절개된 복부근육을 횡방향으로 당겨주어 수술공간을 확보해주는 수술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복수술시 절개된 복부근육을 효과적으로 당겨주어 수술 보조인원을 감축시키는 것이다.
개복수술시 절개된 복부근육을 횡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기존의 견인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길이의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1)의 일단에 횡방향으로 이송레일(2)을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레일(2)을 타고 좌우유동되는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를 끼운 후 횡방향 견인지레(1)(3)의 선단 하방향에는 절개된 복부근육을 횡방향으로 당겨주는 갈고리(4)(5)를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며
이송레일(2)에 일정길이만큼 끼워진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는 이송레일(2)에 직각상태가 맞추어진 상태에서만 좌,우로 밀을 경우 이송레일(2)을 타고 좌,우유동되며 갈고리(5)부분을 횡방향으로 밀어 이송레일(2)에 직각상태가 틀어진 상태에서는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가 이송레일(2)을 타고 이동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개복수술시 절개된 일측 복부근육을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1)의 갈고리(4)로 밀어준 후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를 이송레일(2)에 직각상태를 유지시킨 채로 이동시켜 타측 복부근육을 갈고리(5)로 당겨준 상태에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를 놓게되면 갈고리(4)(5)가 복부근육에 의해 중앙으로 모아지려는 힘이 작용하여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는 이송레일(2)을 타고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절개된 피부 및 근육이 벌려 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견인장치는 개복수술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를 이동시켜 피부 및 근육을 벌려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수술시 복부근육을 횡방향으로 벌려주는 수술 보조요원을 감축시킬 수 있으나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의 좌,우이동이 이송레일(2)과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가 수직으로 놓인 상태에서만 이동 가능하므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의 좌,우이동이 불편하고 부드러운 좌,우이동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은 1997년 국내특허출원 제 42692 호로 도 2 와 같은 견인장치를 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선출원된 기술구성은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가 고정된 이송기(6)의 측면으로 이송레일(2)(2a)에 끼워지는 레일구멍(7)(8)을 형성시키고 이송기(6)의 몸체에 형성된 내측홀(9)에는 이송기축(10)에 형성된 톱니바퀴(11)를 삽입시켜 톱니바퀴(11)가 이송레일(2a)의 톱니와 치합되게 한 후 톱니바퀴(11)는 덮개(12)를 씌워 나사(14)로 이송기(6)에 고정시키며 이송기축(10)에는 손잡이(13)를 끼움으로써 손잡이(13)를 회전시킴에 따라 톱니바퀴(11)가 이송레일(2a)의 톱니를 타고 좌,우이송되어 결과적으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3)가 고정된 이송기(6)가 이송레일(2)(2a)을 타고 좌,우이송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된 선행기술에서 이송기(6)의 이송시 레일구멍(7)(8)과 이송레일(2)(2a)이 평행을 이루지 못하고 약간 틀어진 상태로 이동되게 되므로 레일구멍(7)(8)과 이송레일(2)(2a)사이에 마찰이 크게 발생하여 소망하는 대로의 부드러운 좌,우이송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송기의 손잡이 회전시 레일구멍과 이송레일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제거시켜 손잡이 회전에 의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가 부드럽게 좌,우유동되게 하고 손잡이 회전을 멈추면 좌,우이동이 정지되게 하므로써 힘들이지 않고도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를 좌,우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의 일단에 고정된 이송레일에 끼워지고 상기 이송레일을 타고 좌,우이동되는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에 있어서,
이송레일이 레일구멍에 끼워진 이송기의 내측에서 이송레일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바퀴를 설치하는 한편 이송레일에 접촉되는 바퀴를 설치하고 톱니바퀴와 바퀴는 삼각받침대로 고정시키되 삼각받침대의 방향이 반대가 되게 설치하고 상기 삼각받침대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씌워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손잡이로 톱니바퀴를 회전시켜 이송기를 좌,우이송시킬 때 마찰력이 발생되는 부분인 이송레일에 바퀴를 밀착시켜 주므로써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의 좌,우이동시 마찰력이 제거되어 적은힘으로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의 좌,우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 회전을 멈추면 이송기의 레일구멍과 이송레일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 은 기존 견인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기존 견인장치의 횡방향 이송기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견인장치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견인장치의 횡방향 이송기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 견인장치의 횡방향 이송기 평단면도
도 6 은 도 5 의 A-A선 단면도
도 7 은 도 5 의 B-B선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0 :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 112, 113 : 이송레일
120 :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 130 : 이송기
131, 132 : 레일구멍 133 : 상부덮개
134 : 하부덮개 140 : 톱니바퀴
141, 142 : 삼각받침쇠 143 : 이송기축
144 : 손잡이 146, 147 : 스냅링
150 : 바퀴 151, 152 : 삼각받침쇠
153 : 바퀴고정축 154, 155 : 스냅링
본 발명은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110)의 일단에 이송레일(112)(113)을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레일(112)(113)을 타고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좌,우이동되게 끼워진 견인장치에서,
일측에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고정된 이송기(130)에 이송레일(112)(113)이 내삽되는 레일구멍(131)(132)을 횡으로 뚫어주되 이송기(130)내측에서 이송레일(112)(113)이 노출되게 하고,
이송기(130)내측으로 이송레일(113)의 톱니(114)와 치합되는 톱니바퀴(140)를 설치하는 한편 이송레일(112)과 접촉되는 바퀴(150)를 설치하며
상기 바퀴(150)는 상하부에 삼각받침쇠(151)(152)를 대고 바퀴고정축(153)을 끼운 후 상기 바퀴고정축(153)이 상부덮개(133)와 하부덮개(134)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며
톱니바퀴(140)는 이송기축(143)에 형성시키되 상하부에 삼각받침쇠(141)(142)를 대고 상기 이송기축(143)이 상부덮개(133)와 하부덮개(134)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이송기축(143)선단에는 손잡이(144)를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톱니바퀴(140)에 끼워진 삼각받침쇠(141)(142)와 바퀴(150)에 끼워진 삼각받침쇠(151)(152)는 톱니바퀴(140)에 바퀴(150)상하부에 각각 삼각받침쇠(151)(152)를 ㄷ자형으로 꺽어주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삼각받침쇠(151)(152)는 이송기(130)내측에서 바퀴(150)가 이송레일(112)에만 접촉되고 이송레일(113)에는 접촉되지 않게 잡아주며 삼각받침쇠(141)(142)는 반대로 톱니바퀴(140)가 이송레일(113)의 톱니(114)에만 치합되고 이송레일(112)에는 접촉되지 않게 잡아준다.
상,하부덮개(133)(134)에는 바퀴고정축(153)과 이송기축(143)을 끼우기 위한 고정홀(135)(136)이 형성되며
상,하부덮개(133)(134)외측에서 바퀴고정축(153)과 이송기축(143)에 스냅링(146)(147)(154)(155)을 끼워 상,하부덮개(133)(134)를 이송기(130)에 고정시킨다.
이송기축(143)의 상부는 결착구(145)가 형성된 손잡이(144)에 끼워져 손잡이(144)회전시 톱니바퀴(140)가 회전되게 한다.
이같이 손잡이(144)를 좌,우회전시킴에 따라 톱니바퀴(140)가 이송레일(113)의 톱니(114)에 물려 회전하게 되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이송레일(112)(113)을 타고 좌,우이송될 때 이송기(130)의 레일구멍(131)(132)과 그에 끼워진 이송레일(112)(113)과의 마찰력을 없애주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부드럽게 좌,우이동되게 한 것이다.
두 개의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110)와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구성된 견인장치는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가에 관계없이 항시 갈고리(111)(121)쪽이 서로 모아지려는 힘을 받게 되며 그 힘의 크기는 서로 같다.
따라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는 레일구멍(131)(132)에 끼워진 이송레일(112)(113)과 틀어지려는 힘 즉 이송기(130)의 레일구멍(131)(132)과 접촉되는 이송레일(112)(113)을 밀어주는 힘을 받게 된다.
이송기(130)에서 이송레일(112)(113)을 미는 힘은 이송기(130)의 폭과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의 길이비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좌측으로 이동하려는 힘보다 매우 크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기(130)의 레일구멍(131)(132)과 이송레일(112)(113)과의 마찰력은 매우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력에 의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의 이동을 크게 방해하게 된다.
한편 이송기(130)에서 이송레일(112)(113)에 가해지는 힘은 그 방향은 서로 반대이나 크기는 같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이송기(130)에서 이송레일(112)(113)에 가해지는 마찰력은 그 크기가 같게 된다.
그러나 상기 두마찰력은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의 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므로 서로 같은 방향을 같게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113)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은 오른쪽으로 작용하고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마찰력은 좌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는 이동이 방해를 받게되며 부드러운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된 마찰력을 상쇄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이송기(130)의 레일구멍(131)(132)과 이송레일(112)(113)사이의 마찰력을 제거하여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의 부드러운 좌,우이동을 보장한 것이다.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의 이동을 위해서는 손잡이(144)를 회전시키면 되는 것으로 손잡이(144)를 우회전시키면 톱니바퀴(140)가 이송레일(113)의 톱니(114)를 타고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톱니바퀴(14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톱니바퀴(140)와 상,하부덮개(133)(134)로 연결된 바퀴(15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44)를 좌회전시키면 상기와는 반대로 톱니바퀴(140)와 바퀴(150)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잡이(144)의 회전에 의해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좌우이동하면 이송기(130)에 삼각받침쇠(151)(152)로 장착된 바퀴(150)는 이송레일(112)을 타고 좌,우이송되며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사이에 버팀력을 유발시키고,
이송기(130)에 삼각받침쇠(141)(142)로 장착된 톱니바퀴(140)는 이송레일(113)의 톱니(114)를 타고 좌,우이송되며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3)사이에 버팀력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같이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113)사이에 유발되는 버팀력은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의 이동시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113)사이에서 받게되는 힘을 상쇄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쇄로 인하여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113)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소멸하게 된다.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113)사이의 마찰력이 해소되면 손잡이(144)를 돌리는 적은힘으로도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손잡이(144)를 돌리지 않게 되면 톱니바퀴(14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때에는 이송기(130)와 이송레일(112)(113)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에 의해 이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손잡이(144)를 회전시키면 부드럽게 좌,우이동되나 회전을 멈추면 좌,우이동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부수술시 복부근육을 횡방향으로 당겨주는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를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적은 힘만으로도 부드럽게 좌,우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며 수술 보조인원을 감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정형 횡방향 견인지레(110)의 일단에 이송레일(112)(113)을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레일(112)(113)을 타고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좌,우이동되게 끼워진 견인장치에서,
    이동형 횡방향 견인지레(120)가 고정된 이송기(130)에 이송레일(112)(113)이 끼워지는 레일구멍(131)(132)을 뚫어주고,
    이송기(130)내측에서 이송레일(112)과 접촉되는 바퀴(150)를 장착시키는 한편 이송레일(113)의 톱니(114)와 치합되는 톱니바퀴(140)를 장착시키며,
    상기 바퀴(150)와 톱니바퀴(140) 상,하부에는 각각 삼각받침대(141)(142)(151)(152)를 끼워주고,
    바퀴(150)와 톱니바퀴(140)는 각각 바퀴고정축(153)과 이송기축(143)에 끼워져 상,하부 덮개(133)(134)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2. 제 1 항에서, 이송기(130)내부에 장착되어 이송레일(112)과 접촉되는 바퀴(150)는 삼각받침쇠(151)(152)가 상하부에 장착되어 바퀴고정축(153)에 끼워진 후 상,하부덮개(133)(134) 외측에서 스냅링(154)(155)으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3. 제 1 항에서, 이송기(130)내부에 장착되어 이송레일(113)의 톱니(114)와 치합되는 톱니바퀴(140)는 이송기축(143)에 형성되며 톱니바퀴(140)상하부는 삼각받침쇠(141)(142)를 끼운 후 상하부 덮개(133)(134)외측에서 스냅링(146)(147)으로 톱니바퀴(1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KR1019980005698A 1998-02-24 1998-02-24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KR10024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98A KR100244937B1 (ko) 1998-02-24 1998-02-24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698A KR100244937B1 (ko) 1998-02-24 1998-02-24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705A KR19990070705A (ko) 1999-09-15
KR100244937B1 true KR100244937B1 (ko) 2000-03-02

Family

ID=1953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698A KR100244937B1 (ko) 1998-02-24 1998-02-24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13B1 (ko) 2020-03-23 2020-11-16 조순관 친환경 조립식 축대 겸용 계단
KR102303561B1 (ko) 2020-11-10 2021-09-23 조순관 친환경 조립식 다용도 계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213B1 (ko) 2020-03-23 2020-11-16 조순관 친환경 조립식 축대 겸용 계단
KR102303561B1 (ko) 2020-11-10 2021-09-23 조순관 친환경 조립식 다용도 계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705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8021B (fi) Päätön kiertävä kappaletavaroiden kuljetin, joka on varustettu erillisillä kuljetuselimillä
JP2003507243A (ja) タイヤ滑り止め装置
EP0092317A1 (en) Exercise device
EP2332862B1 (en) Bracket for conveyor-belt tensioning
KR100244937B1 (ko)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EP0159731A1 (en) Guide track for slaughtered poultry
US20070144428A1 (en) Easily mountable paper moistening device
EP0888984A1 (en) Movable backup bar assembly
DE60013439T2 (de) Förderer für kleiderbügel
DE60009789T2 (de) Spiralofen mit verbessertem Riemengetriebe
US3894534A (en) Physical therapy machine
US8282496B2 (en) Amusement apparatus
KR200401471Y1 (ko) 탁구용 자동볼공급장치
US7673586B2 (en) Birdcage attachments
ATE248520T1 (de) Anordnung zum anbringen einer verschlussklammer an einer verpackungshülle
AU2004202694A1 (en) Sling attachment device
JPH119026A (ja) 移植機のスクレーパ装置
KR20070115226A (ko) 육고기 양면칼집 성형기용 육고기 이송자세 변환장치
KR19990036507A (ko) 콤바인을 위한 예취줄기 반송장치
KR19990019325A (ko)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
EP0126190A1 (en) Dog lead or collar
JP2916731B2 (ja) 田植機
DE3620740A1 (de) Staurollenbahn
CA2165915C (en) Device for propelling a curling rock
DE02080638T1 (de) Öffnungsfähige Dachkonstruktion für ein 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