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737B1 -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 Google Patents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737B1
KR100244737B1 KR1019970057934A KR19970057934A KR100244737B1 KR 100244737 B1 KR100244737 B1 KR 100244737B1 KR 1019970057934 A KR1019970057934 A KR 1019970057934A KR 19970057934 A KR19970057934 A KR 19970057934A KR 100244737 B1 KR100244737 B1 KR 100244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erration
ship
oil
aberrations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271A (ko
Inventor
조일형
Original Assignee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황해웅
Priority to KR101997005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7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04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propuls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2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addle wheels, e.g. of stern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를 형성하는 수차에 의한 추진력과 함께 조향능력을 가지는 동시에 수차로 하여금 해수면의 오염유류를 제거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수차(水車)를 이용한 유회수선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원유를 사용함에 따라 원유생산증대와 함께 이송거리가 증가되고 이에 의한 해난사고가 빈발되어 기름 유출의 위험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난사고로 해양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름 유출사고시 초기에 누유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회수기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나 효과적인 누유회수 선박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를 수차에 의한 부력과 추력을 얻도록 구성 함께 누유회수 속도를 증대하는 누유회수 선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발명으로 본 발명은 수차를 선수와 선미측에 각각형성되는 수차를 구성하여 선박의 부력을 형성하는 한편 선수의 수차는 조향성능을 부여함과 함께 수차의 회전과 외주면의 날개에 의한 추력을 얻고 상기 날개와 함께 구성된 누유를 흡착하는 부러쉬가 형성되어 해난사고로 인한 누유를 흡착제거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차(水車)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본 발명은 날개를 형성하는 수차에 의한 추진력과 함께 조향능력을 가지는 동시에 수차로 하여금 해수면의 오염유류를 제거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수차(水車)를 이용한 유회수선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해상을 이동하는 선박은 공기와 물로부터 저항력을 받게되나 추력에 의하여 이 저항력을 극복하고 전진하게된다.
이러한 추력장치는 사람의 힘으로 움직이는 노와 돛이 이용되고 산업기술이 발달하면서 수차와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의 프로펠러들 및 로켓분사장치에 의한 기계적인 추진 방식이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수차는 육상에서와는 달리 물과의 마찰력이 작아 해상에서는 원하는 추력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수차를 이용한 선박은 선박의 현측이나 선미에 수차를 구성시킨바 있는 외륜선은 선박의 배수령에 따라 수차의 잠기는 정도가 달라지고, 배가 운동을 할 때 수차가 물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배의 항로를 유지하기가 곤란하였으며, 거친 해양에서는 수차가 손상받기 쉬었다. 이 밖의 여러 가지 운영상의 결점들 때문에 추진장치로 프로펠러가 등장한 이후에 그 효용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원유를 사용함에 따라 원유 생산증대와 함께 이송거리거 증가되고 이에 의한 해난사고가 빈발되어 기름 유출의 위험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난사고로 해양환경 파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름 유출사고시 초기에 누유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유회수기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러한 방제작업에 사용되는 유회수기는 선박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선박등에 의하여 오염현장으로 운반되어 유출된 기름을 해수로 부터 분리 제거하는 기계적 장치를 말하고 이러한 유회수기의 기본원리 중에 하나로 누유의 정성과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누유를 회전하는 드럼(Drum)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식이 있다.
즉, 본 발명출원인의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1997년 제34475호에서 알려진바와 같이 동력모터로 연동되는 한쌍의 연동롤에 연동된 브러쉬벨트와 이 브러쉬벨트에는 브러쉬를 구성시켜 회전할 때에 해면의 누유층이 브러쉬벨트에 형성된 브러쉬에 흡착되어 누유를 수거하도록 하는 브러쉬벨트 스키머와 브러쉬벨트 스키머의 하단부를 해수와 이격시켜 브러쉬의 회전으로 물이 차 올라가는 펌핑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차단부와, 이 차단부내로 유입된 물을 펌핑하여 브러쉬의 회전으로 물이 앞으로 이동하는 펌핑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물펌핑부와, 브러쉬벨트의 브러쉬에 흡착된 누유층을 제거하는 누유회수부로 이루어지는 펌핑업 현상 방지시스템을 장착한 브러쉬벨트 스키머로 구성된 유회수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선고안은 선박과 별도로 유회수장치를 선박에 장착하는 것이며 전용의 유회수선박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또 회수된 누유를 운송하는 또다른 선박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특히 누유의 회수속도가 느려 그 회수능력의 한계와 부두에 접안할 때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단점들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륜선이 갖는 단점들만 보완한다면 수차를 갖는 외륜선의 재등장도 기대할 수 있음과 함께 누유회수 속도를 증대하는 누유회수 선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발명으로 본 발명은 수차를 선수와 선미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차를 구성하여 선박의 부력을 형성하는 한편 선수의 수차는 조향성능을 부여함과 함께 수차의 회전과 외주면의 날개에 의한 추력을 얻고 상기 날개와 함께 구성된 누유를 흡착하는 브러쉬가 형성되어 해난사고로 인한누유를 흡착제거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수차를 이용한 선박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체 20 : 수차
30 : 날개 40 : 누유
50 : 스크레퍼 60 : 누유저장탱크
본 발명품은 수차를 이용하여 같은 동력원을 가지고 추진과 동시에 누유를 회수할 수 있는 유회수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선수와 선미측에 각각의 수차를 구성함과 함께 수차의 외주면에는 날개와 브러쉬를 형성시켜 부력과 추력을 얻는 동시에 누유흡입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체(10)의 선미 또는 현측(舷側)에 수차(20)를 축설치하되, 수차(20)의 외주면에 돌설된 날개(30)를 돌설시켜 선박의 동력으로 수차(20)가 회전되어 추력을 얻게 되는 선박에 있어서, 선체(10)의 선수와 선미측에 날개(30)를 돌설한 각각의 수차(20)를 축설하여 선체(10)의 부력과 함께 선박의 동력에 의한 회전으로 추력을 얻도록 하며 선수측의 수차(20)는 조향능력을 부여함과, 수차(20)외주면에는 날개(30)와 함께 브러쉬를 형성시켜 해난사고로 유출된 누유(40)을 흡착할 수 있게 되고 흡착수거된 누유(40)는 스크레퍼(50)에 의해 제거되어 누유저장탱크(60)로 수집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브러쉬는 누유(40)의 흡착력이 증대되는 부직포 등으로 대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추진수차(20)는 전륜과 후륜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수차(20)는 고무튜브와 내면이 공중상태의 드럼 및 수지재의 원통등으로서 부력과 함께 견고성이 양호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은 조향장치 2는 동력원동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체(10)의 원동기(2)로 연동되는 수차(20)를 구성하되, 전륜수차(20)에는 조향장치(1)를 구비하여 추진력과 함께 조향능력을 부여된 본 발명의 누유제거선박을 공지와 같이 운항하게된다.
해난사고로 인하여 해상에 오일이 유출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을 이용하게 된다.
즉, 해양오염유출 사고시 유회수선은 원동기(2)의 동력으로 수차(20)를 빠르게 회전시켜 수차날개(30)에 의한 추진력과 조향장치(1)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사고현장으로 이동한다.
사고현장에서 누유가 많이 모인 지점을 따라 수차(20)를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운항한다. 이때 해수 중에 떠 있는 누유(40)는 수차(20)의 표면에 흡착되어 회전되면서 수차(20)에 흡착된 기름은 누유 분리판인 스크레퍼(50)에 의해 분리됨과 함께 저장탱크(60)로 낙하 저장된다. 이때 유회수량은 수차(20)의 회전속도에 따라 제거능력을 변환시킬 수 있으며 운항하면서 누유를 수집하게 되어 광범위한 지역으로 유출된 누유의 회수가 용이하다.
상기 본발명의 수차(20)는 선박에 부력을 주도록 함과 함께 추진력을 가지며 특히 선박의 배수량과 운동에 관계없이 수차가 물밖으로 완전히 나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공기가 채워진 유연한 고무튜브로 제작되어 높은 파고시 수차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 함과, 또한 추력을 얻기 위하여 여러개의 날개(30)형성된 수차(20)가 선체(10)저면부로 형성되기 때문에 선체(10)가 수차(20)에 의해 부력을 가지게된다.
따라서 선체(10)의 중량으로 수차(20)가 해수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향장치(1)에 의해 선수측의 수차(20)를 조절하여 수차의 방향을 이동함으로서 회전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회전거리를 짧게 함으로서 유회수 능력을 향상시키는 특징도 함께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추진장치를 갖는 선박은 수상뿐만 아니라 육상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므로 공기 부양선과 같이 수륙양용선으로 이용될 수 있고 수륙양용선의 장점인 선박을 접안하는데 필요한 부두시설이나 하역에 필요한 장비(Crane)가 필요치 않게 되며, 또한 하역을 위하여 기다리는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유회수선은 회수된 기름을 자주 육상에 하역시키면서 작업을 해야하며 또한 오염된 해변에서도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수륙양용선으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선체를 튜브형의 수차에 의해 부력과 함께 추력을 얻어 선박을 운항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해상과 육상을 함께 운항할 수 있는 특징과 수차에 의한 누유제거 능력도 함께 구성되어 선박의 운항으로 누유를 신속히 수거할 수 있게 되는 장점 및 선수측의 수차에 조향능력을 부여시켜 선박의 조향성과 빠른 운항속도를 발휘하게된 장점을 가진 발명이다.

Claims (5)

  1. 선박의 선체(10) 선미 또는 현측에 수차(20)를 축설치하되, 수차(20)의 외주면에 돌설된 날개(30)를 돌설시켜 선박의 동력으로 수차(20)가 회전되어 수차를 얻게되는 선박에 있어서, 선체(10)의 선수와 선미측에 날개(30)를 돌설한 각각의 수차(20)를 축설치하여 선체(10)의 부력과 함께 선박의 동력에 의한 회전으로 추력을 얻도록 구성하며 선수측의 수차(20)는 조향장치(1)에 의한 조향능력을 부여함과, 튜브형의 수차(20)외주면에는 날개(30)와 함께 브러쉬를 형성시켜 유출된 누유(40)를 흡착시켜 스크레퍼(50)에 의해 제거 누유저장탱크(60)로 수집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선체(10)의 하단측으로 수차(20)를 구성시켜 선박의 부력과 함께 하중에 의해 수차가 해수면위로 노출됨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유연성의 튜브로 구성되는 수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선수 수차를 조향장치로 연동시켜 선박의 조향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전륜구동형 수차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KR1019970057934A 1997-11-04 1997-11-04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KR100244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934A KR100244737B1 (ko) 1997-11-04 1997-11-04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934A KR100244737B1 (ko) 1997-11-04 1997-11-04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71A KR19990038271A (ko) 1999-06-05
KR100244737B1 true KR100244737B1 (ko) 2000-03-02

Family

ID=1952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934A KR100244737B1 (ko) 1997-11-04 1997-11-04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0249B2 (en) 2004-10-26 2009-06-02 Nam Soo Park Acceleration system for link belt-mounted ship
KR20230009055A (ko) * 2021-07-08 2023-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친수 톱니 임펠러형 오일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91131B (zh) * 2023-07-18 2023-09-22 浙江大学海南研究院 垃圾收集模块及垃圾收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0249B2 (en) 2004-10-26 2009-06-02 Nam Soo Park Acceleration system for link belt-mounted ship
KR20230009055A (ko) * 2021-07-08 2023-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친수 톱니 임펠러형 오일 이송 장치
KR102539808B1 (ko) 2021-07-08 2023-06-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친수 톱니 임펠러형 오일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7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520B2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US3314540A (en) Removal of oil films from water
US50229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moval of floating pollutants from a water surface
US3860519A (en) Oil slick skimmer
US10233604B2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US3744257A (en) Water-surface cleansing ship
US3666098A (en) Method and appratus for confining and collecting an oil slick
US3818708A (en) Floating barrier
KR100488391B1 (ko) 수륙양용 해양오염 방제장치
EP3024718B1 (en) Oil recovery system
US4477348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3986959A (en) Oil spill apparatus
US3142281A (en) Vessel for clearing floating liquids and garbage from stretches of water or ships
US4340321A (en) Oil boom for open sea skimmer barge
KR100244737B1 (ko) 수차를 이용한 유회수선박
JPS5949965B2 (ja) オイルフエンス
US20120207544A1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llecting Viscous Material
US4399040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51222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moval of floating pollutants from a water surface
US20140116951A1 (en) Stationary Boom Support System
KR100285772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선
FI119115B (fi) Menetelmä öljy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US4379054A (en) Open sea skimmer barge
US5384043A (en) Skimmer having a retractable dynamic inclined plane
JP3153777B2 (ja) 油による海洋汚染域の浄化装置および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