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667B1 -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667B1
KR100244667B1 KR1019970016411A KR19970016411A KR100244667B1 KR 100244667 B1 KR100244667 B1 KR 100244667B1 KR 1019970016411 A KR1019970016411 A KR 1019970016411A KR 19970016411 A KR19970016411 A KR 19970016411A KR 100244667 B1 KR100244667 B1 KR 10024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chemical
sensor
measuring device
storage
liqui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904A (ko
Inventor
사토시 나카지마
다카오 데라다
다카히데 다나카
히데키 엔도
미사코 이나가미
Original Assignee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10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971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114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978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270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11116A/ja
Application filed by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7007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01Enzyme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3Devices therefor, e.g. test element readers, circui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의 수명이 완료하는 등에 주의를 기울이기 않고, 높은 정밀도로 소변 검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할 때마다 측정회수 또는 측정하는 날마다 측정일수를 각각 계수하여, 예컨대 측정회수가 180회, 측정일수가 90일에 달하하는 경우, 센서의 수명 완료가 도래했다고하여(ST20), 센서 교환지시를 실행하는 동시에, 이후의 측정을 금지한다. 또, 측정회수가 170∼179회, 혹은 측정일수가 85∼89일에 달하면, 센서의 수명 완료가 가까워진 것이라하여 센서 교환지시를 행한다(ST21).

Description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BIOCHEMICAL MEASURING DEVICE AND KEEPING CASE}
본 발명은 소변, 혈액등의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으로써, 생체액중의 특정한 물질을 측정하는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소변 혈액등의 생체액 중에 포함된 특정 물질을 측정하는 종래의 생화학 측정기에는, 검출부에 고정화 효소와 한 쌍의 전극을 지니는 바이오 센서(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예컨대 소변을 검출부에서 효소 반응시켜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그 특정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다. 이런 종류의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센서의 검출부를 습윤상태와 활성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비측정시에는 보존액중에 침지해 놓은 것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종래 측정기의 생화학 센서는 상당히 품질이 양호한 것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동일한 생화학 센서로 며칠 또는 몇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센서에는 자연적인 수명이 있어서, 그 수명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높은 정밀도로 측정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센서의 사용일수를 기록하거나, 사용회수를 메모한다는 것은 번잡한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화학 센서의 수명 완료가 도래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알 수 있는 생화학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측정 온도가 고온인 경우, 평상시와는 다른 반응과 출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측정에 오차가 생겨, 역시 높은 정밀도로 측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측정 온도가 고온인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고온시의 측정을 피할 수 있는 생화학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생화학 측정기에 있어서는 수명 완료의 도래 등에 의해, 생화학 센서를 교환하게 되는데, 이미 수회 사용하고 있는 센서와 미사용인 센서에서는 측정 과정에서의 처리가 서로 다르게 된다. 예컨대, 새로운 센서의 경우에는 사용 개시시에 일정 시간 보존액에 침지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센서의 사용/미사용을 일일이 장치에 입력하는 것은 번잡하며, 경우에 따라 외관상 신/구를 구별짓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한 생화학 센서의 신/구(미사용/사용)의 구별을 자동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생화학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바이오 센서의 고정화 효소중의 물질은 세정에 의해 제거할 수 있지만, 전기 화학적 작용에 의해 전극면에 부착한 물질은 세정으로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이것이 축적되면 측정 정밀도가 저하되며, 바이오 센서의 수명을 단축시켜 교환 시기를 앞당기게 된다.
본 발명은 센서부의 전극에 부착된 물질을 제거하여, 센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생화학 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의 생화학 측정기를 수납 보관하고, 또 보관시에 바이오 센서의 건조를 막을 수 있는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5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에 사용되는 효소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함께,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함께,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 도 4,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함께,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3, 도 4, 도 5, 도 6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함께,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함께,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에 나타내는 흐름도와 함께, 동 실시 형태의 측정기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를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동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센서 검출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6은 동 검출부의 센서 출력과, 전극의 인가 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측정 종료에서부터 다음 측정 승인(OK)까지의 회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보관 케이스의 안쪽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9은 동 보관 케이스의 배면측에 벽걸이용 부착판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동 보관 케이스의 본체 커버를 열어 임시 보관 컵에 소변 측정기를 임시로 놓아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 보관 케이스의 배면측에 벽걸이용 부착판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동 보관 케이스의 본체 커버를 열고 또 소변 측정기를 집어낸 상태에서의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23은 동 보관 케이스에 수납되는 보존액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4는 동 보관 케이스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벽걸이용 부착판의 바깥쪽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센서 유니트
2 : 전류 전압 변환기
3 : AD 변환기
4 : MPU
5 : 표시기
61 : 전압 인가회로
62 : 저항
63 : 증폭기
72a, 72b : 전극
110 : 케이스 본체
112 : 소변 측정기 보관구(측정기 수납부)
114 : 보존액 용기 장착구(보존액 용기 수납부)
115 : 본체 커버
116 : 임시 보관 컵
118 : 본체 커버의 내측 공간(측정기 임시 보관부)
120 : 교정액 컵 장착구(교정액 용기 수납부)
122 : 커버
131 : 리드 스위치
142 : 교정액 컵(교정액 용기)
170 : 보존액 용기
본원 특허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1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사용정도를 계수하는 사용정도 계수수단과, 이 사용정도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사용정도가 소정치를 넘으면 이에 응답하여 경고를 발하는 경고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정도란 예를 들어, 사용회수, 사용일수 등이다. 이 생화학 측정장치에서는 사용회수 등의 사용정도가 사용할 때마다 사용 정도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다. 이 계수치의 기준치를 센서의 수명이 완료되기 전의 소정치로 설정해 놓으면, 상기 계수치가 상기 소정치에 이르는 경우, 부저, 점멸 표시 등의 경고 알림수단이 작동하여, 측정자는 센서의 수명 완료가 가까워진 것을 알 수 있어서, 미리 교체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서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사용정도를 계수하는 사용정도 계수수단과 이 사용정도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된 사용정도가 소정치를 넘으면, 이에 응답하여 이후의 측정을 금지하는 측정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사용정도 계수수단이 소정치, 즉 센서의 수명 완료에 상당하는 값에 이르는 경우, 측정 로크수단이 이후의 측정을 강제적으로 금지한다. 따라서, 센서의 수명이 완료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측정을 계속하는 결점이 해소된다.
또, 청구항 3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서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측정시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측정수단과, 이 온도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경고를 발하는 경고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계측된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 사실이 경고 알림수단에 의해 알려진다. 따라서, 측정자는 고온하에서의 측정을 중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따른 생체 측정기는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서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측정시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측정수단과, 이 온도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측정을 금지하는 측정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계측된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계측 로크수단이 측정을 강제적으로 금지한다. 그 때문에, 오차가 많은 고온 하에서의 측정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효소와 전극을 조합하여,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생화학 센서의 전극에 통상의 측정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인가하는 역전압 인가수단과, 역전압 인가시의 생화학 센서 출력의 변화의 유무에 따라 그 생화학 센서의 사용/미사용을 판별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비측정시 전극에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면, 새로운 센서라면 생화학 센서의 출력이 변화하지 않고, 다 사용한 구센서라면 생화학 센서의 출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생화학 센서의 출력의 변화 유무에 의해 생화학 센서의 신/구를 판별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효소와 전극을 조합하여,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며, 또한 비측정시에 생화학 센서의 검출부를 습윤상태와 활성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보존액에 침지시키는 보존액 용기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상기 생화학 센서의 전극에 통상의 측정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인가하는 역전압 인가수단과, 역전압 인가시의 생화학 센서 출력의 변화 유무에 의해 그 생화학 센서의 사용/미사용을 판별하는 제1 판별수단 그리고 보존액 용기중에 상기 생화학 센서의 검출부를 삽입한 상태에서의 생화학 센서의 출력의 변화 유무에 의해 생화학 센서의 미사용 여부와 보존액 용기중의 보존액 유무를 판별하는 제2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비측정시 전극에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면, 새로운 센서인 경우 생화학 센서의 출력이 변화하지 않고, 다 사용한 구센서인 경우 생화학 센서의 출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생화학 센서의 출력 변화 유무를 제1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함으로써, 센서의 신/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어서, 통상의 극성으로 생화학 센서의 검출부를 보존액 용기에 침지한 상태에서 생화학 센서의 출력에 쇼크가 생기는지, 안정적인지를 제2 판별수단에 의해 판별한다. 쇼크가 있는 경우, 신센서인 반면, 안정 출력인 경우는 구센서이다. 제1 판별수단에서 출력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구센서가 아니며, 또한 그 후에 제2 판별수단에서 출력이 변화가 없는 경우는 보존액 없음이라고 판정되고, 출력에 쇼크가 있는 경우는 신센서라고 판별된다.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7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서 증감하는 물질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측정종료를 확인하는 측정종료 확인수단과, 측정종료의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전극에 측정·대기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인가하는 전압 인가수단을 특징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측정중에 인가되는 정극성 전압에 의한 전극 화학 작용으로 전극에 물질이 부착한다. 측정 종료시,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역방향의 전기 화학 작용에 의해 전극에 부착하고 있는 물질이 이산한다.
또, 청구항 8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서 증감하는 물질을 한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측정 종료를 확인하는 측정종료 확인수단과, 측정종료의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전극에 측정·대기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인가하고, 그 후 일정 시간에 걸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수단을 특징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화학 측정기에서는 측정 종료후의 역극성 전압의 인가에 의해 전극에 부착하고 있는 물질이 이산하고, 또한 그 후, 정극성 전압 인가로 복귀시키므로써 센서 출력이 조기에 안정화되어, 차기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한 생화학 측정기 보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의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보관 케이스는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를 구비하고, 측정기 수납부에 측정기를 수납하면, 측정기의 센서 검출부가 자동으로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배치된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배치되어, 센서가 보존액에 침지된 상태로 측정기가 보관된다. 따라서, 생화학 측정기가 예를 들어 소변 측정기인 경우는 보관 케이스를 화장실의 적당한 곳에 놓아둠으로써, 소변을 검사시 측정기를 즉시 보관 케이스에서 꺼내고, 검사 종료후(센서의 세정후)에는 보관 케이스에 수납해 놓을 수 있어서, 소변 측정기의 보관 장소가 곤란해지는 일은 없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보존액 용기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에 대한 보존액 용기의 장착·분리가 용이하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보존 케이스는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생화학 측정기의 표시부가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를 보관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표시부를 알아볼 수 있어서,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적어도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는 생화학 측정기 부분을 덮는 본체 커버를 구비하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를 보관 케이스에 수납한 후, 본체 커버를 덮음으로써, 생화학 측정기등에 먼지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특히 생체액 검사 도중에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고 싶은 경우에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에 예를 들어,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측을 삽입하여 일시적으로 놓아둘 수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교정액을 수용하는 교정액 용기를 수납하는 교정액 용기 수납부를 구비한다. 생화학 측정기가 소변 측정기인 경우, 일반적으로, 소변 측정기는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센서를 교정액에 침지시켜 교정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보관 케이스는 그 교정액을 넣은 교정액 용기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교정액 용기의 수납도 편리해진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교정액 용기가 교정액 용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에 대한 교정액 용기의 장착·분리가 용이하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냈을 때에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구비하기 때문에, 측정기 수납부에 생화학 측정기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에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커버로 닫아 놓으면, 측정기 수납부 또는 이 측정기 수납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는 보존액 용기내에 먼지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위생적이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커버가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내면, 자동적으로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가 커버에 의해 닫히게 되어 있어 편리하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 보존액 용기 수납부 및 본체 커버 외에 본체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관 케이스는 본체 커버에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커버를 열면,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나타나,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둘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청구항 19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임시 보관 컵을 수납하는 임시 보관 컵 수납부이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경우는 임시 보관 컵 수납부의 임시 보관 컵에 예컨대 측정기의 센서측을 삽입하면 좋고, 일시 보관하기가 용이하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생화학 측정기가 리드 스위치를 내장하고 있고, 이 리드 스위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자석이 측정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생화학 측정기측의 리드 스위치와 측정기 수납부측의 자석과의 관계에 의해, 예를 들어 측정기 수납부에 생화학 측정기를 수납했을 경우, 측정기의 리드 스위치가 오프로 되고,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냈을 경우, 리드 스위치가 온이 되도록 설정해 놓으면, 생화학 측정기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어 편리하고,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을 잊어서 불필요하게 전지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의 배면측에 벽면 설치용 구멍을 지니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가 소변 측정기인 경우, 보관 케이스를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어서, 화장실 바닥 뿐만 아니라 생화학 측정기의 설치 장소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케이스 본체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수납된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을 확인하기 위한 창을 지니기 때문에, 보존액의 오염이나 잔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소변 측정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는 센서 유니트(1); 이 센서 유니트(1)에 흐르는 검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 전압 변환기(2); 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 이 AD 변환기(3)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여러 가지 측정을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MPU(4); 측정 결과, 결과의 판정 지표, 경고, 지시 등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기(5); 온도 측정 회로(6); 교정 저항(7); 센서 커버 착탈 검출 스위치(8); 교정 스위치(9); 부저(10); EEPROM(11);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12); 및 리셋 스위치(13)를 구비하고 있다.
MPU(4)는 또한 내부에 AD 변환을 위해 사용하는 타이머(14); 센서 커버 착탈 검출 스위치(8); 교정 스위치(9)의 온/오프를 수신하는 입출력 회로(15); 시계(16); 온도나 교정 저항을 수신하기 위한 8비트의 AD 변환기(17); 소변 측정을 위한 처리 연산을 실행하는 CPU(18); ROM(19); RAM(20); LCD 드라이버(21); SiO 채널(22);및 부저(10), EEPROM(11) 등과 접속하기 위한 I/C 회로(23)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유니트(1)의 효소 센서는 고정화 효소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그 일례로서, 도 2에 나타내는 것을 조금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효소 센서는 센서 홀더(1a)에 장착된 기초 전극(20)과 이 기초 전극(20)상에 적층된 고정화 효소막(23)으로 구성되는 일체화 플래너형 효소 센서(28)이다. 기초 전극(20)으로는 다음 2가지 예 ①, ②를 들 수 있다.
① 전압→전류 변환소자로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이 경우, 절연된 게이트부를 가장 외부에 설치하고, 그 외부에 계속해서 고정화 효소층을 형성하여, 효소 반응에 따른 pH 변화를 게이트 전압 변화(드레인 전류 변화와 동시에 변환된다)로 하여 취한다.
② 전류→전압 변환소자로서 플래너형의 효소 전극·과산화 수소 전극을 사용한다. 이 경우, 감응부 표면에 고정화 효소층을 형성하여, 효소 반응에 따른 효소나 과산화수소의 증감을 기초 전극의 산화 전류 변화로서 취한다. 전극으로는 각종의 금속이 이용되지만, 작용극으로서는 주로 백금(Pt)를 이용하고, 참조극·대극에는 금(Au), 백금(Pt), 은(Ag) 등을 사용한다.
효소 센서(28)에 사용되는 효소로는 다음과 같은 효소 ① 내지 ④를 예시할 수 있다.
① 글루코오스 산화 효소(GOD)
글루코오스 + O2→ 글루콘산 + H2O2
산소(O2)의 소비(감소)와 과산화수소(H2O2)의 발생(증가) 및 글루콘산의 발생(pH 감소)을 동반한다.
② 젖산 산화 효소(L0D)
L-락테이트 + O2→ 피루베이트 + H2O2
산소(O2)의 소비(감소)와 과산화수소(H2O2)의 발생(증가)를 동반한다.
③ 유레아제
요소 + H2O → 2NH3+ CO2
암모니아의 발생(수소 이온 농도의 감소에 의한 pH의 증가)과 CO2가스의 증가를 동반한다.
(4) 유리카제
요산 + O2+ 2H2O → 알란토인 + H2O + CO2
산소(O2)의 소비(감소)와 과산화수소(H2O2)의 발생(증가) 및 CO2가스의 증가를 동반한다.
고정화 효소막(23)의 예로는 상기한 것과 같은 효소로 이루어지는 고정화 효소층(25)을 상하층으로 보호하는 샌드위치 구조가 대표적이다. 고정화 효소층(25)은 관능기를 지니는 가교재를 사용하는 가교법, 겔의 격자중이나 고분자로 피복하는 포괄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보호막(24)은 필요에 따라 전극 표면에의 간섭 물질의 투과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기초 전극(20) 및 고정화 효소층(25)과의 밀착성·안정성이 필요하며, 아세틸셀룰로오스나 이온 교환성막재료 등이 이용된다. 상부 보호막(26)은 고정화 효소층(25)의 보호, 고정화 효소층(25)에의 기질의 확산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고정화 효소층(25)과의 밀착성과 기계적 강도가 필요하다.
이들 각 층의 형성에는 딥 코팅법이나 스핀 코팅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보호막(24)은 5% 아세틸셀룰로오스 박막(용매조성; 아세톤 : 시클로헥사논 = 3 : 1)을 금속 전극(22)에 적하하여, 2000 rpm으로 5초간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고정화 효소층(15)은 0.1M 인산 완충액(pH7.0)으로 조정된 0.5%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과 효소를 혼합한 효소 용액을 하부 보호막(24)과 마찬가지로 스핀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보호막(26)은 2.5% 아세틸셀룰로오스 박막(용매조성; 아세톤 : 에탄올 = 1 : 1)을 1 cm/초로 딥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전극(20)으로서의 플래너형 과산화수소 전극은 예를 들어, 세라믹이나 수지 필름의 절연성 필름(21)의 표면에 금속 전극(22)으로서 예를 들어, 백금·금·은의 박막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고정화 효소막(23)은 고정화 효소층(25)으로서 GOD나 LOD를 가교 고정하고, 더욱이 상부 보호막(26)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나일론 격자나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막(27)을 별도로 상부 보호막(26)에 밀착시킨 것이다.
한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는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측정기 본체(32)에 센서(3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측정기 본체(32)의 표면측에 측정치(요당 등)나 각종의 지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LCD)(34)가 설치되며, 측정기 본체(32)의 두부에 전지 커버(3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센서(33)의 선단부에는 소변을 검출하는 검출부(33a)가 개구되어, 이 검출부(33a)에 소변을 접촉시킨다. 또한, 측정기 본체(32)의 안쪽에는 교정을 위한 교정 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MPU(4)등 회로의 대부분은 측정기 본체(32)에 내장 또는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센서 유니트(1)는 도 10의 센서(33)에 상당한다.
한 실시 형태에 따른 소변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의 외관 사시도를 도 11에, 안쪽의 외관 사시도를 도 18에 나타낸다. 이 보관 케이스는 화장실의 바닥에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벽걸이용 부착판을 이용하여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 보관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110)에,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소변 측정기(31)를 센서(33)측을 하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소변 측정기 보관구(측정기 수납부)(112);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장착구(보존액 용기 수납부)(114); 케이스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소변 측정기(31)를 보관구(112)에 수납한 상태에서 보관구(112)로부터 드러내는 소변 측정기(31) 부분 등을 덮는 본체 커버(115); 소변 측정기(31)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임시 보관 컵(116)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임시 보관 컵 수납부(측정기 임시 보관부로서 본체 커버(115)의 내측 공간)(118); 및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 교정액을 수용하는 교정액 컵(교정액 용기)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교정액 컵 장착구(교정액 용기 수납부)(120)를 구비한다.
또, 보관구(112)에서 소변 측정기(31)를 꺼냈을 때에 보관구(112)를 닫는 커버(122)가 케이스 본체(1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0)는 그 배면측(배후판(124))에 벽면 설치용 구멍(대구멍(126a), 소구멍(126b))을 갖는다.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 앞측에는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을 알아보는 확인창(128)이 설치되어, 보존액의 오염이나 잔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보존액(완충액이라고도 한다)은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를 습윤상태와 활성상태로 유지하고, pH 또는 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산염이 사용된다.
더욱이, 각 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 19에는 벽걸이용 부착판을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측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도 20에는 본체 커버(115)를 열어 임시 보관 컵(116)에 소변 측정기(31)를 놓아둔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도 21에는 벽걸이용 부착판을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측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배면도(소변 측정기(31)는 도시하지 않음)를, 도 22에는 소변 측정기(31)를 꺼내고, 또한 본체 커버(115)를 연 상태에서의 평면도(상면도)를 도시하였다.
보관 케이스의 보존액 용기 장착구(114)에 배치되는 보존액 용기는 예를 들어,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보존액 용기(170)는 뚜껑(171)이 있으며, 뚜껑(171)을 분리하여, 장착구(114)에 보존액 용기(170)를 셋트한다. 그리고, 소변 측정기(31)를 보관구(112)에 수납하였을 때에, 센서(33)(검출부(33a))가 보존액 용기(170)내의 보존액에 침지되는 동시에, 표시부(34)가 보관구(112)로부터 드러나도록 되어 있다(도 19 및 도 20 참조).
또한, 보존액 용기(170)는 뚜껑(171)을 분리하면, 그 개구부에 예를 들어, 고무질의 패킹(172)이 끼워서 부착되어 있다. 이 패킹(172)에 의해,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와 보존액 용기(170)의 개구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보관 케이스에 소변 측정기(31)를 수납한 상태에서 보존액 용기(170)내에 먼지 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존액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패킹(172)의 적절한 탄성에 의해, 소변 측정기(31)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보관 케이스를 벽면에 설치할 때에 사용하는 벽걸이용 부착판은 예를 들어,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다(배면측은 도 21 참조). 이 벽걸이용 부착판(180)은 자신을 벽면에 나사로 고정하기 위한 나사 삽입공(181)을 지니는 동시에, 하부에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측의 큰 구멍(126a)에 대응하는 큰 걸어맞춤편(182a)를 지니며, 상부에 작은 구멍(126b)에 대응하는 작은 걸어맞춤편(182b)를 갖는다. 또, 부착판(180)의 측면에는 케이스 본체(110)와의 위치맞춤 표식기(183)가 융기 형상으로 설치되고, 케이스 본체(110)의 배면측에는 마찬가지로 위치맞춤 표식기(129)가 융기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위치맞춤 표식기(129, 183)를 맞춘 상태에서, 큰 걸어맞춤편(182a)이 큰 구멍(126a)에 들어가고, 작은 걸어맞춤편(182b)이 작은 구멍(126b)으로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벽걸이용 부착판(180)을 화장실의 벽면의 적소에 고정하여, 부착판(180)의 위치맞춤 표식기(183)에 케이스 본체(110)의 위치맞춤 표식기(129)를 맞추어, 케이스 본체(110)를 아래로 미끄러트리면, 큰 구멍(126a)과 작은 구멍(126b)에 각각 큰 걸어맞춤편(182a)과 작은 걸어맞춤편(182b)이 걸어맞춰져서, 보관 케이스를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소변 측정기(31)를 수납하는 소변 측정기 보관구(112)로부터는 통형상부(130)가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이 통형상부(130)에 의해 소변 측정기(31)가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지지된다. 통형상부(130)의 아래쪽의 원형 개구는 좁게 되어 있으며, 이 원형개구에 센서(33)의 기단이 걸어맞춰짐으로써, 센서(33)의 검출부(33a)가 보존액 용기(170)내의 보존액에 침지하는 동시에, 표시부(34)가 통형상부(130)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소변 측정기(31)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통형상부(130)의 내벽면에는 자석(131)이 노출 형상으로 매립되어 있다(도 22 참조). 자석(131)은 소변 측정기(31)에 내장된 리드 스위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구(112)에 소변 측정기(31)를 수납하였을 때에 리드 스위치에 대면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리드 스위치는 보관구(112)에 소변 측정기(31)를 수납했을 경우 오프가 되며, 소변 측정기(31)를 꺼냈을 경우 온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보존액 용기(170)의 하측)에는 추(1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추(132)는 등이 높은 형상의 케이스 본체(110)의 중심을 낮게 하여, 마루에 놓아두었을 때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철이나 납등의 금속제로 된 것 또는 플라스틱등의 비금속제로 된 것 등, 체적에 비해 비교적 무거운 것이면 된다.
본체 커버(115)는 케이스 본체(110)에 설치된 축지부(134)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지부(134)는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본체 커버(115)측에 설정된 한쌍의 축편(134a)과 이 축편(134a)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 본체(110)측에 설치된 축편(134b)을 축(도시하지 않음)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임시 보관 컵(116)은 본체 커버(115)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임시 보관 컵(116)은 그 측면에서부터 180°반대 방향으로 신장된 한쌍의 지지편(136)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본체 커버(115)의 내측에는 임시 보관 컵(116)의 한쌍의 지지편(136)에 각각 걸어맞추는 한쌍의 직선형 돌기(138)가 형성되는 동시에, 임시 보관 컵(116)의 측면에 접촉하는 한 벌의 접촉편(14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임시 보관 컵(116)을 본체 커버(115)의 내측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본체 커버(115)를 연 상태에서, 임시 보관 컵(116)을 접촉편(140)을 따라 하강시켜, 지지편(136)이 돌기(138)에 맞부딪칠 때까지 지지편(136)을 돌기(138)에 걸어맞추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시 보관 컵(116)이 본체 커버(115)에 장착되어, 본체 커버(115)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19과 같이 되며, 본체 커버(115)를 열면, 임시 보관 컵(116)의 개구가 상향으로 되어,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측을 삽입함으로써 소변 측정기(31)를 일시적으로 놓아둘 수 있다(도 20 참조). 임시 보관 컵(116)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본체 커버(115)를 연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꺼내면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임시 보관 컵(116)은 본체 커버(11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임시 보관 컵(116)을 본체 커버(115)에 일체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본체 커버(115)를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케이스 본체(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여, 임시 보관 컵(116)을 세정할 때는 본체 커버(115)를 분리하도록 하면 된다.
교정액 컵(142)을 수납하는 교정액 컵 장착구(120)로부터는 상기 통형상부(130)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짧은 통형상부(144)가 하측으로 신장되어 있고, 이 통형상부(144)에 의해 교정액 컵(142)이 지지된다. 소변 측정기(31)의 교정을 행하는 경우는 교정액 컵(142)에 교정액을 넣고,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를 삽입하면 된다. 물론, 교정액 컵(142)의 착탈은 용이하다.
소변 측정기 보관구(112)를 개폐하는 커버(122)는 케이스 본체(110)에 설치된 축지부(14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축지부(146)는 도 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커버(122)측에 설치된 한쌍의 축편(146a)을 케이스 본체(110)에 설치된 한쌍의 축편받이(146b)에 각각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맞춤으로써 구성된다. 또, 축지부(146)에 예를 들어, 스프링을 설치하여, 커버(122)가 보관구(112)를 항상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보관구(112)로부터 소변 측정기(31)를 꺼내면, 자동적으로 커버(122)가 보관구(112)를 닫기 때문에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보관 케이스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하는 경우는 그대로 놓아두면 된다.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벽걸이용 부착판(180)을 벽면에 고정하고, 이 부착판(180)에 보관 케이스를 장착한다. 보관 케이스의 사용에 대해서는 보존액을 넣은 보존액 용기(170)를 뚜껑(171)을 벗긴 상태에서 보존액 용기 장착구(114)에서부터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에 장착하여, 소변 측정기(캡을 떼어낸 것)를 보관구(112)에 삽입한다. 그러면, 소변 측정기(31)의 센서(33)(검출부(33a))가 보존액 용기(170)내의 보존액에 침지하는 동시에, 표시부(34)가 보관구(112)에서부터 드러난 상태가 된다. 또, 본체 커버(115)의 내측에 임시 보관 컵(116)을 셋트하는 동시에, 교정액 컵(142)을 교정액 컵 장착구(120)에 셋트한다. 그리고, 본체 커버(115)를 닫아 놓으면 된다(도 19 참조). 여기서, 본체 커버(115)를 열면, 소변 측정기(31)의 표시부(34)가 나타나기 때문에, 센서(33)가 보존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표시부(34)의 표시 내용(사용회수, 사용일수, 준비중 또는 측정 여부등의 표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소변 검사를 하는 경우는 본체 커버(115)를 열어 소변 측정기(31)를 꺼낸다. 그러면, 소변 측정기(31)의 전원이 온으로 되기 때문에, 측정 준비가 갖춰지면, 센서(33)에 소변을 걸어(혹은 센서(33)를 채뇨 용기내에 담그어) 측정을 개시한다. 측정이 종료하면, 측정치가 표시부(34)에 표시된다. 그 후, 센서(33)를 세정하여, 다시 보관구(112)에 소변 측정기(31)를 수납하고(이 시점에서 소변 측정기(31)의 전원이 오프가 된다), 본체 커버(115)를 닫으면 된다.
소변 검사 도중에(특히 센서(33)를 세정하지 않고 있을 때) 소변 측정기(31)를 일시적으로 놓아두고 싶은 경우는 본체 커버(115)를 연 상태에서는 임시 보관 컵(116)이 상향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임시 보관 컵(116)에 소변 측정기(31)를 삽입하면 된다(도 20 참조). 또, 소변 측정기(31)를 교정하는 경우는 교정액 컵(142)이 교정액 컵 장착구(120)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또는 교정액 컵(142)을 집어내고 나서, 교정액 컵(142)에 교정액을 넣고, 소변 측정기(31)의 교정 스위치(36)를 눌러 교정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생화학 측정기로서 소변 성분을 측정하는 소변 측정기를 기술하고 있지만, 혈액 성분을 측정하는 측정기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3내지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의해,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동작의 일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측정기 본체에 전지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지가 삽입되면, 초기화 처리가 실행되고[단계 ST(이하, ST라 약칭한다) 1], 표시기(5)의 모든 세그먼트를 2초간 점등한다(ST2). 도 12의 (a)에 실제의 전 점등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계속해서, 전지 전압이 2.5V 이상인가?를 판정한다(ST3). 만일, 전지 전압이 2.5V 미만이면, 표시기(5)에 밧데리 로우 표시를 3초간 행한다(ST4). 여기서, 전압이 2.3 V 이상인 경우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지교환"의 점멸 표시를, 2.3V 미만이면 도 12의 (c)와 같이 “전지교환"의 연속 점등 표시가 이루어진다. 이 표시를 보고, 측정자는 전지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전지 전압이 2.5V 이상인 경우는 표시기(5)의 모든 세그먼트를 소등하고(ST5), 전지 전압이 정상인 것을 측정자에게 알린다.
이어서, 커버 착탈 스위치(8)의 온/오프를 체크하여, 커버 장착의 유무를 판정한다(ST6). 여기서 커버 장착이란 소변 측정기 본체(3)를 보관용의 케이스 본체(40)에 장착하는 것을 말한다. 커버에 장착되어 있으면, ST6의 판정 예에 의해 ST7로 옮기어, 교정 저항을 판독하여(ST8), 카운트다운 센서 준비중 표시(M)로 옮긴다. 커버가 장착되어 있는 데도 센서 장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는 ST7의 판정 아니오에 의해 대기(B)로 옮긴다. 커버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ST6의 판정 아니오에 의해 ST9로 옮기어, 센서 장착 여부를 판정한다.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면, ST9의 판정이 예에 의해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L)로 옮긴다. 반대로, 센서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새로운 센서 장착대기 센서 교환지시(J)로 옮긴다.
대기(B)에 들어 가면(도 4, 도 5 참고), 10초후에 소등하고, 우선 커버 장착여부를 판정한다(ST10). 커버가 장착되어 있으면, 이 ST10에 멈춰 대기한다. STl0에서 커버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벗겨지면), 판정 아니오에 의해 다음 전지 전압이 2.5V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ST11). 전지 전압이 2.5V 미만인 경우는 표시기(5)에 도 12의 (b), (c)와 같이, 전지 교환 표시를 하고(ST12),전지 전압 Vb가 2.5V 이상인 경우는 계속해서 센서 사용일수를 카운트한다(ST13). 이 사용일수의 카운트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사용일수가 일정 이상이 되면, 경보를 발하거나, 측정에 로크를 걸기 위해서 행해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회수 에러가 있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ST14). 보존액이 새고 있는 등으로 검출부가 충분히 습윤상태와 활성상태로 유지되지 않은 경우등에 의해, 회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표시기(5)에 보존액 교환 표시가 이루어진다(ST15). ST14에서 전회 회수 에러 유무가 아니오인 경우, ST16로 옮겨 센서 장착 여부를 판정한다. 센서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는 새로운 센서 장착대기, 센서 교환지시(J)로 옮긴다. ST16에서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판정 예에 의해 ST17로 옮겨, 온도가 소정 범위인가?를 판정한다. 온도 측정회로(6)에서 측정된 온도가 미리 규정하는 온도 이하이면, 판정 예에 의해 ST19로 옮긴다. 그러나, 규정 온도를 넘고 있으면, 그 내용을 표시기(5)에 표시하거나, 부저(10)를 동작시켜 현재 온도가 측정에 부적정하다는 것을 알린다(ST18). 또, 이 알림과 동시 또는 단독으로 현재 온도가 규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이후의 측정 속행을 금지하는 로크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ST19에서는 검출부의 전극에,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소변 센서의 출력이 변화 여부를 판정한다. 전압에 변화가 없는 경우는 신센서이다. 전압에 변화가 있으면 구센서이다. 구센서의 경우에는 구센서이라는 내용을 기억해 놓는다(ST19a). ST19에서 신센서인 경우에는 직접, 구센서인 경우는 ST19를 경유하여 ST20로 옮겨, 센서 수명의 정상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서가 180회 사용에 달했는지 혹은 90일 사용에 달했는지를 판정한다. 어딘가에 달했으면, 센서의 수명이 다하였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센서 장착대기, 센서 교환지시(H)로 옮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의 (d)의 오른쪽이나 왼쪽의 어느 한 표시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센서 사용이 180회 또는 90일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센서사용이 170회 또는 85일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T21). 상기 판정이 예인 경우는 센서 교환시기에 이르고 있다고 판단하여, 상승 검출대기(C)로 옮긴다[참조: 도 14의 (h)]. 센서사용이 170회 또는 85일에 달하지 않은 경우는 아직 센서의 교환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ST22로 옮긴다. ST22에서는 임의 교정인가? 즉 교정 스위치(9)압하(누름) 여부를 판정한다. 교정 스위치(9)가 2초 이상 눌려 있는 경우는 상승 검출대기, 보존액 교환표시(P)로 옮긴다[참조: 도 14의 (g)]. ST22에서 교정 스위치(9)가 눌려 있지 않을(2초 미만, 또는 누르지 않음)때는 ST23으로 옮기어, 전회에 검출부 세정 여부를 판정한다. 세정되어 있으면 상승 검출대기(C)로 옮기고[참조: 도 13의 (e)], 세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승 검출대기, 보존액 교환표시(C)로 옮긴다[참조: 도 13의 (f)].
이 소변 측정기에서는 통상의 측정은 전원 투입에서부터 대기(B), 상승 검출대기, 측정가표시(C)를 지나서, 소변 등이 검출부에 부착되고, 상승 검출이 이루어지면, 측정 결과, 판정 지표를 얻기 위한 연산(D)으로 옮기고, 그 후 하강 검출대기, 세정지시 표시(E), 회수대기, 보존액 교환지시(S) 등을 경유하여 대기(B)로 복귀하는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새로운 센서 교환대기, 센서 교환지시(J)에 들어 가면(도 6 참고), 커버 장착 여부를 판정하여(ST24), 커버 장착이면 대기(B)로 옮겨, 표시기(5)를 소등한다. ST24에서 커버가 미장착인 경우는 ST25로 옮겨, 5분 경과인가?를 판정한다. 5분 경과한 경우는 새로운 센서 장치대기, 표시기 소등 센서 미장착(k)으로 옮긴다. ST25에서 5분 경과가 아니면 ST26으로 옮겨, 2초 이상 교정 스위치(9)를 눌렀는가?를 판정한다. 상기 판정이 예인 경우, 사용회수, 사용일수를 리셋하고(ST27), ST24로 복귀한다. ST26에서의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ST28로 옮겨, 센서 장착여부를 판정한다. 센서가 미장착된 경우, ST24로 복귀하지만, 센서가 장착된 경우는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L)로 옮긴다.
또, 새로운 센서 교환대기, 표시기 소등, 센서 미장착(k)에 들어가면, 커버 장착 여부를 판정하여(ST29), 상기 판정이 예인 경우에는 대기, 표시기 소등(B)으로 옮기고, 상기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센서 장착 여부를 판정하여(ST30), 센서가 미장착된 경우는 ST29로 복귀하고, 센서가 장착된 경우는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L)로 옮긴다.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L)로 들어 가면(도 7 참고), 우선 교정 저항판독을 수행하고(ST31), 계속해서 센서 장착 여부를 판정한다(ST32). 센서가 미장착된 경우에는 새로운 센서 장착대기, 센서 교환지시(J)로 옮긴다. ST32에서 센서가 장착된 경우에는 ST33로 옮기어, 3분 경과인가?를 판정한다. 3분이 경과되었으면,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 부저 알림중(O)으로 옮긴다. ST33에서 3분경과인가?의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 계속해서 커버 장착 여부를 판정하여(ST34), 판정이 아니오의 경우는 ST32로 옮겨, 커버가 장착되기를 기다린다. ST34에서의 판정이 예인 경우는 카운트다운 센서 준비중 표시(M)로 옮긴다.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 부저 알림중(O)으로 들어가면, 2분 경과인가?를 판정하여(ST35), 2분이 경과하였으면 커버 장착대기, 표시기 소등(N)으로 옮긴다. ST35에서의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2분 미만), 커버 장착 여부를 판정하고(ST36), 상기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ST35로 복귀하여 커버 장착을 기다린다. ST36의 판정이 예인 경우에는 카운트다운 센서 준비중 표시(M)로 옮긴다. 커버 장착대기, 표시기 소등(N)에서는 커버 장착 여부를 판정하여(ST37), 상기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에는, 여기서 대기하고, 상기 판정이 예인 경우에는 카운트다운 센서 준비중 표시(M)로 옮긴다.
카운트다운 센서 준비중 표시(M)로 들어가면 (도 8 참고), 우선 검출부를 보존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소변 센서 출력을 체크하여, 출력 변화 여부를 판정하고, ST19의 판정도 고려하여, 센서의 신/구 여부 또는 보존액 존재 여부를 판정한다(ST38). 센서 출력에 변화가 있어, ST38의 판정이 신센서인 경우에는 일수, 회수를 리셋하여, 일수 카운트를 개시하고(ST39), ST41로 옮긴다. ST38의 판정이 구센서인 경우에는(ST19의 단계에서 판정되고 있다) 사용이 180회 또는 90일에 도달하였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도달한 경우는 대기, 표시기 소등(B)으로 옮긴다. ST40에서 180회 또는 90일 미만인 경우는 카운트다운 종료인가?를 판정하고 (ST41), 미종료인 경우는 커버 장착 여부를 판정하여(ST42), 커버가 장착된 경우에는 ST41로 복귀하고, 커버가 미장착된 경우에는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L)로 옮긴다. 커버가 장착된 경우는 ST41로 복귀한다. 카운트다운 센서 준비중의 표시예는 도 14의(i)에 나타냈다. 여기서는 300, 299, 298, …으로 카운트다운된다.
ST38에서 센서 출력에 변화가 없는 경우, 보존 용기내에 보존액이 없는 것이라 판정되어, 보존액 에러(AA)로 옮겨, 부저(10)가 울린다(도 9 참고). 그 후, 3분 경과할(ST44) 때까지는 커버 장착 여부(ST45)를 체크하여, 커버가 장착된 경우는 ST44, ST45을 반복한다. ST45에서 커버가 미장착된 경우에는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L)로 옮긴다. ST44에서 3분이 경과하면, 보존액 에러, 보존지시 표시, 부저 알림중(AB)으로 옮겨, 2분 경과할(ST46) 때까지 커버 장착중(ST47)은 ST46, ST47에서 대기하며, ST46에서 2분 경과하면 보존액 에러 표시기 소등(AC)으로 옮기고, 또한 커버를 벗기면 커버 장착대기, 보존지시 표시(L)로 옮긴다. ST47에서 커버 미장착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소변 측정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혈액등의 다른 생화학 측정기로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5는 센서 유니트(1)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전압 인가회로(61)로부터 센서의 전극(72a)에 전압 Vb를 가하도록 되어 있다. 전극(72b)은 증폭기(63)의 입력단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항(62)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62)의 다른 단부는 접지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63)로부터 센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전압 인가회로(61)는 CPU(18)로부터의 전환 지령신호 ME에 의해, 정극성의 +0.4V, 역극성의 -0.4V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로에서, 측정을 위해, 소변이 검출부(33a)에 걸리면, 고정화 효소와 요물질(기질)이 전기 화학반응을 일으켜, 그에 의해 전압 인가회로(61)→전극(72a)→효소막→전극(72b)→저항(62)→접지의 순으로 전류가 흘러, 저항(62)의 양단에 전류에 따른 전압을 얻을 수 있고, 이 전압이 증폭기(63)에서 증폭되어, 센서 출력으로서 A/D 변환기(3)에 입력되게 된다. 이 센서 출력의 변화 정도 검출에 의해, 소변중의 물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소변 측정 처리는 종래의 처리와 같다. 이어서, 실시 형태의 소변 측정기의 측정 개시에서부터 차기 측정 OK로 될 때까지의 동작을 설명한다. 측정 종료후의 처리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종료 시점후의 동작을 특히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변 측정기(31)가 케이스 본체(110)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 또는 소변 측정기(31)가 케이스 본체(110)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소변이 검출부(33a)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센서의 검출부(33)에는 아무런 반응도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전압 인가회로(61)에서 전극(72a)으로, 도 16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0.4V의 전압을 인가하고 있지만, 전극(72a), 전극(72b), 저항(6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도 16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센서 출력은 0 레벨이다.
소변 측정기(31)를 케이스 본체(110)에서 꺼낸 상태에서, 소변 측정기(31)의 검출부(33a)에 소변을 걸면, 센서(33)가 효소 반응을 개시하여, 전극(72a, 72b), 저항(62)의 회로에 전류가 흐른다. 그 결과, 센서 출력은 예컨대 도 16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측정 개시점 a와 같이 전류 변화에 따라서 상승한다. 이 동안, 도 16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극(72a)의 인가 전압은 +0.4V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MPU(4)는 센서 출력의 변화분에서, 소변중의 물질을 연산하여, 그 값을 표시기(5)(도 10의 표시부(34))에 표시한다.
효소 반응이 진행되면, 전류 변화도 멈춰, 센서 출력은 도 16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일정하게 된다. 센서 출력이 일정하게 되면, 회수 대기, 센서 준비중 표시의 단계에 들어가, 표시기(5)에 그 내용이 표시된다. 이 단계에 들어 가면, 도 17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선 커버(115) 장착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51). 여기서, 커버(115)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소변 측정기(31)가 케이스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여, 회수 대기, 센서 준비중 표시, 보존지시 표시의 단계로 복귀한다. 이 단계에서의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115)가 장착되어 있어, 단계(ST51)의 판정이 예인 경우는 소변 측정기(31)가 케이스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센서(33)의 검출부(33a)가 보존액 용기의 액중에 침지되어 있다고 추정되기 때문에, 이어서 세정 정상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52). 실제로 검출부(33)가 보존액중에 침지되어 있으면, 검출부(33a)의 소변이 세정되기 때문에, 세정의 진행과 함께 센서 출력은 도 16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센서 출력 레벨이 레벨 VTH1보다 작아지면[도 16의 (A)의 b점], 세정이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 판단하여, 단계 ST52의 세정 정상인가?의 판정이 예가 되어, 단계 ST53으로 옮긴다.
단계 ST53에서는 센서의 출력이 도 16(A)의 레벨 VTH2에 달했는지, 즉 전극(72a)에 역전압을 인가해도 좋은 레벨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레벨 VTH2은 VTH1<VTH2이며, 센서 출력이 거의 제로에 가깝고, 센서가 거의 측정전과 같은 상태에 달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레벨이며, 센서 출력이 이 점(c점)을 넘어서 작아지면, 완전히 세정이 이루어져, 측정 종료시라 간주한다.
단계 ST53의 판정이 예가 되면, 도 16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역극성의 -0.4V를 전극(72a)에 인가한다(단계 ST54). 그리고, 이 역극성의 전압을 30초동안(=T1)에 걸쳐, 계속 인가한다(단계 ST54, ST55). 이 역극성의 전압 인가에 의해, 접지→저항(62)→전극(72b)→전극(72a)→전압 인가회로(61)의 순으로 전류가 흘러, 측정중과는 역극성의 전류가 흐른다. 이 역전류에 의해, 전극(72a), 전극(72b)에는 측정시와는 반대의 전기 화학반응이 생기고, 전극(72a), 전극(72b)에 부착되어 있던 물질이 전극(72a), 전극(72b)를 떠난다. 이에 따라, 전극(72a, 72b)도 측정전과 같은 청정한 상태가 된다.
역극성의 인가를 개시하고 나서 30초가 경과하면, 단계 ST55의 판정이 예가 되어, 단계 ST56으로 옮긴다. 단계 ST56에서는 도 16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다시 +0.4V의 정극성의 인가 전압으로 한다. 센서 출력은 도 16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역극성의 전압 인가에 의해, 갑자기 임펄스적으로 일단, 부(-)로 떨어져, 천천히 제로 레벨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안정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번에는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여, 다시 임펄스적으로 센서 출력을 되돌린다. 이 정극성의 전압은 여기서는 30초간 인가된다(단계 ST57). 30초 정도의 정극성 전압의 인가에 의해, 센서 출력을 조기에 제로 레벨로 하여, 안정화화할 수 있다. 단계 ST57의 판정에서 회수 정상 부저가 알림을 수행한다(ST58). 이에 의해서, 다음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소변 측정기는 회수 종료에 의해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도 17의 세정은 보존액에 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ST52∼ST58의 처리는 세정수(맹물)로 세정하고, 측정 완료하는 경우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사용정도를 계수하여, 사용정도가 소정치를 넘으면 경고를 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센서의 수명이 다하기 전에 센서를 교환할 수 있어서, 센서의 열화에 의한 측정 오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측정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사용정도를 계수하여, 사용정도가 소정치를 넘으면, 이후의 측정을 금지하여, 센서를 교환하지 않으면 다음 측정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센서가 열화된 것을 알지 못하고 계속 사용하는 결점을 피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정밀도가 높은 측정을 계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계측된 온도가 소정치를 넘으면, 그 사실이 경고되어 알려지기 때문에, 측정자는 측정 오차가 생길 정도로 고온인 것을 알 수 있어서, 측정을 중지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계측된 온도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 측정이 금지되기 때문에, 측정 오차가 생기는 정도의 고온에서의 측정이 속행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신뢰성이 높은 측정을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비측정시에 전극에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그 때의 생화학 센서의 출력에 의해 센서의 신/구를 판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비측정시에 전극에 역자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때의 생화학 센서와 보존액 용기에 생화학 센서의 검출부를 침지한 상태에서의 생화학 센서의 출력 변화에 의해 판단하기 때문에, 신/구센서의 구별뿐만 아니라, 보존액 용기중의 보존액의 유무도 확인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7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측정을 종료하면, 전극에 측정, 대기 시와는 다른 역극성의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인가하기 때문에, 전극에 부착되어 있는 물질을 이산시킬 수 있어, 전극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따른 생화학 측정기는 측정을 종료하면, 전극에 측정, 대기 시와는 다른 역극성의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인가하고, 그 후 더욱 일정 시간에 걸쳐 정전극의 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전극에 부착한 물질을 이산시킬 수 있어서, 전극 활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센서 출력을 조기에 제로 레벨로 되돌려, 안정화함으로써 조기에 다음 측정으로 들어 갈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측정기 수납부에 측정기를 수납하면, 측정기의 센서 검출부가 저절로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배치된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배치되어, 센서가 보전액에 침지된 상태로 측정기가 보관된다. 따라서, 생화학 측정기가 예를 들어, 소변 측정기인 경우는 보관 케이스를 화장실의 적소에 놓아둠으로써, 소변 검사시 소변 측정기를 바로 보관 케이스에서 꺼내고, 검사 종료후에(센서의 세정 후)는 보관 케이스에 수납해 둘 수 있어서, 소변 측정기의 보관 장소가 곤란하게 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보존액 용기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에 대한 보존액 용기의 장착·분리가 용이해 진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는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생화학 측정기의 표시부가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를 보관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표시부를 알아볼 수 있고, 표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적어도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는 생화학 측정기 부분을 덮는 본체 커버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를 보관 케이스에 수납한 후, 본체 커버를 닫음으로써, 생화학 측정기등에 먼지등이 부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생체액 검사 도중에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고 싶은 경우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에 예를 들어,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측을 삽입하여 일시적으로 놓아둘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교정액을 수용하는 교정액 용기를 수납하는 교정액 용기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다. 생화학 측정기가 소변 측정기인 경우, 일반적으로, 소변 측정기는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센서를 교정액에 침지하여 교정할 필요가 있는데, 그 교정액을 넣은 교정액 용기를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교정액 용기의 수납에도 편리하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교정액 용기가 교정액 용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에 대한 교정액 용기의 장착 ·분리가 용이해 진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와 보존액 용기 수납부 외에,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냈을 때에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닫는 커버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기 수납부에생화학 측정기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 때에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커버로 닫아 놓으면, 측정기 수납부와 이 측정기 수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는 보존액 용기내에 먼지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서는 커버가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내면, 자동적으로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가 커버에 의해 닫히게 되어 있어 편리하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상기 측정기 수납부, 보존액 용기 수납부 및 본체 커버 외에, 본체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보관 케이스에 의하면, 본체 커버에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 커버를 열면,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나타나게 되어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둘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청구항 19에 기재의 보관 케이스에서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가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 놓아두는 임시 보관 컵을 수납하는 임시 보관 컵 수납부이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경우는 임시 보관 컵 수납부의 임시 보관 컵에 예를 들어, 측정기의 센서측을 삽입하면 되어, 일시적인 보관이 용이하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생화학 측정기가 리드 스위치를 내장하고, 이 리드 스위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자석이 측정기 수납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생화학 측정기측의 리드 스위치와 측정기 수납부측의 자석과의 관계에 의해, 예를 들어 측정기 수납부에 생화학 측정기를 수납하였을 때에 측정기의 리드 스위치가 오프로 되고,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냈을 때에 리드 스위치가 온이 되도록 설정해 놓으면, 생화학 측정기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온/오프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고,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을 잊어서 불필요하게 전지가 소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케이스 본체의 배면측에 벽면 부착용의 구멍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생화학 측정기가 소변 측정기인 경우, 보관 케이스를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어서, 화장실의 바닥 뿐만 아니라, 자유롭게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한 보관 케이스에는 본체 케이스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수납된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을 확인하기 위한 창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보존액의 오염이나 잔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8)

  1. 효소와 전극을 조합하여,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생화학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생화학 센서의 전극에 통상의 측정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인가하는 역전압 인가수단과; 역전압 인가시의 생화학 센서의 출력 변화 유무에 의해 상기 생화학 센서의 사용/미사용을 판별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
  2. 효소와 전극을 조합하여,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한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며, 또 비측정시에 생화학 센서의 검출부를 습윤상태와 활성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보존액에 침지시키는 보존액 용기를 구비하는 생화학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생화학 센서의 전극에 통상의 측정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인가하는 역전압 인가수단과; 역전압 인가시의 생화학 센서의 출력 변화 유무에 의해, 상기 생화학 센서의 사용/미사용을 판별하는 제1 판별수단과; 보존액 용기중에 상기 생화학 센서의 검출부를 삽입한 상태에서의 생화학 센서의 출력 변화의 유무에 의해, 생화학 센서의 미사용 여부 또는 보존액 용기중의 보존액의 유무를 판별하는 제2 판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
  3.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이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생화학 측정기에 있어서,
    측정종료를 확인하는 측정종료 확인수단과; 측정 종료의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전극에 측정·대기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인가하는 전압 인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
  4. 생체액을 효소 반응시킴에 따라 증감하는 물질을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검출하는 생화학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생화학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량 변화로부터 특정 생화학 물질을 측정하는 생화학 측정기에 있어서,
    측정종료를 확인하는 측정종료 확인수단과; 측정 종료의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전극에 측정·대기시와는 역극성인 전압을 일정 시간에 걸쳐 인가하고, 그 후 일정 시간에 걸쳐 정극성의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
  5.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지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액 용기 수납부는 보존액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7.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는 동시에, 생화학 측정기의 표시부가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8.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적어도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는 생화학 측정기 부분을 덮는 본체 커버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9.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와;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0.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지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와;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교정액을 수용하는 교정액 용기를 수납하는 교정액 용기 수납부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액 용기 수납부는 교정액 용기를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2.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의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와; 측정기 수납부에서 생화학 측정기를 꺼냈을 때에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닫는 커버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측정기 수납부의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4.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며, 액성분을 검출하는 센서를 장착한 생화학 측정기를 센서측을 하향으로 하여 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측정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생화학 측정기의 센서 보존액을 수용하는 보존액 용기를 수납하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와; 케이스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적어도 측정기 수납부로부터 드러나는 생화학 측정기 부분을 덮는 본체 커버와; 상기 본체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측정기 임시 보관부를 구비하고, 생화학 측정기를 측정기 수납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센서의 검출부가 보존액 용기 수납부의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중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 임시 보관부는 생화학 측정기를 일시적으로 놓아두는 임시 보관 컵을 수납하는 임시 보관 컵 수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화학 측정기는 리드 스위치를 내장하고, 상기 리드 스위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자석을 상기 측정기 수납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그 배면측에 벽면 설치용의 구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 보관 케이스.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보존액 용기 수납부에 수납된 보존액 용기내의 보존액을 확인하기 위한 창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학 측정기용의 보관 케이스.
KR1019970016411A 1996-05-01 1997-04-30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 KR100244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0645A JPH09297134A (ja) 1996-05-01 1996-05-01 生化学測定器用保管ケース
JP96-110645 1996-05-01
JP8111403A JPH09297832A (ja) 1996-05-02 1996-05-02 生化学測定器
JP96-111403 1996-05-02
JP8127003A JPH09311116A (ja) 1996-05-22 1996-05-22 生化学測定器
JP96-127003 1996-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904A KR970075904A (ko) 1997-12-10
KR100244667B1 true KR100244667B1 (ko) 2000-03-02

Family

ID=2731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411A KR100244667B1 (ko) 1996-05-01 1997-04-30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44667B1 (ko)
CN (2) CN110924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630B1 (ko) * 2008-02-29 2010-10-05 주식회사 유비케어 혈당측정시험지 관리 방법 및 혈당측정시험지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5420B2 (ja) * 2009-09-18 2014-05-28 日立化成株式会社 イオン選択性電極カートリッ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3340A (ja) * 1990-02-07 1991-10-17 Fuji Electric Co Ltd 回転電機のモニタリング装置
JPH05142173A (ja) * 1991-11-19 1993-06-08 Daikin Ind Ltd 空気質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3340A (ja) * 1990-02-07 1991-10-17 Fuji Electric Co Ltd 回転電機のモニタリング装置
JPH05142173A (ja) * 1991-11-19 1993-06-08 Daikin Ind Ltd 空気質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630B1 (ko) * 2008-02-29 2010-10-05 주식회사 유비케어 혈당측정시험지 관리 방법 및 혈당측정시험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3855C (zh) 2005-10-19
KR970075904A (ko) 1997-12-10
CN1421698A (zh) 2003-06-04
CN1168978A (zh) 1997-12-31
CN1109241C (zh)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862A (en) Portable biochemical measurement device using an enzyme sensor
EP0964060B1 (en) Measurement device for quantitating substrate
RU2238548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анализир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варианты), 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измерения концентрации анализир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TWI285263B (en) Method, system and kit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sample within an electrochemical cell, and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in a sample
US810106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analyte concentration using time resolved amperometry
US808827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analyte concentration using time resolved amperometry
US20120111739A1 (en) Dual Frequency Impedance Measurement of Hematocrit in Strips
PL208126B1 (pl) Sposób wyznaczania objętości próbki biologicznej
JPH05509408A (ja) 浸潤中に微細加工されたセンサーを分析に使用するための方法
WO2009035599A1 (en) Urinalysis sensors and devices
JPH09297832A (ja) 生化学測定器
KR100244667B1 (ko) 생화학 측정기 및 그 보관 케이스
ES2286209T3 (es) Determinacion de la adecuacion del volumen de muestra en biodetectores.
JP3991173B2 (ja) 液体サンプルとコントロール液の弁別の方法
CA3097508A1 (en) Salivary urea nitrogen rapid detection
JPH09311116A (ja) 生化学測定器
JP2943739B2 (ja) 尿糖計および尿糖測定方法
JP2002071636A (ja) 物質濃度定量方法及び装置
JP3424399B2 (ja) 尿中成分濃度測定装置
JP2001050956A (ja) 尿検査装置
JP2003004690A (ja) 電気化学センサ測定装置及びその測定方法
KR20060107054A (ko) 온도 보정기능을 갖는 생체정보측정용 무선통신단말기
JP2002071680A (ja) 排泄物測定装置
JPH1038837A (ja) 自動多項目同時尿検査装置
JPS6249256A (ja) 生化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