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207B1 -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207B1
KR100243207B1 KR1019970014139A KR19970014139A KR100243207B1 KR 100243207 B1 KR100243207 B1 KR 100243207B1 KR 1019970014139 A KR1019970014139 A KR 1019970014139A KR 19970014139 A KR19970014139 A KR 19970014139A KR 100243207 B1 KR100243207 B1 KR 10024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ble
tension arm
cam surface
ree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7146A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2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의 데크에 설치된 릴테이블에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는, 릴테이블의 외주에 감겨서 일단은 텐션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텐션아암 또는 데크에 연결된 밴드부재를 통해서,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제동토오크와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부품비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Description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에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레코더의 데크에는, 그 데크에 안착된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릴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그 테이프릴에 결합되는 릴테이블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릴테이블 주위에는 그 릴테이블에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1)에 힌지축(2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아암(20)과, 릴테이블(10)의 외주를 감싸며 양단이 텐션아암(20)에 연결된 밴드부재(30)와, 데크(1)에 힌지축(4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마찰부재(50)가 결합된 레버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텐션아암(20)은 인장코일스프링(29)에 의해 밴드부재(30)를 릴테이블(10)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레버부재(40)는 인장코일스프링(49)에 의해 마찰부재(50)가 릴테이블(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데크(1)에는, 슬라이드부재(60)가 로딩모터(90)의 회전력을 워엄(91)과 워엄기어(92)와 연결기어(93)와 기어부(65)를 통해 전달받아 화살표(A,B)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텐션아암(20)이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밴드부재(30)가 릴테이블(10)에 적절한 접촉력으로 접촉되며, 밴드부재(30)와 릴테이블(10)과의 마찰에 의해, 밴드부재(30)는 릴테이블(10)의 회전시에 그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크기의 적절한 제동토오크를 가하게 된다. 이처럼 릴테이블(10)에 적절한 제동토오크가 가해짐으로써, 테이프레코더의 플레이모드시에 그 릴테이블(10)에 결합된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릴로부터 풀려나오는 테이프는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풀려나오게 된다. 한편, 텐션아암(20)은 슬라이드부재(60)의 이동에 연동하여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이처럼 텐션아암(20)이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회동되면, 양단이 그 텐션아암(20)에 연결된 밴드부재(30)는 릴테이블(10)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릴테이블(10)은 밴드부재(30)에 의한 제동을 받지 않게 된다.
테이프레코더의 스톱모드시에는 회전되던 릴테이블(10)이 레버부재(40) 및 마찰부재(50)에 의해 정지되게 된다. 즉, 로딩모터(90)에 의해 슬라이드부재(6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슬라이드부재(60)의 캠부(61)에 의해 레버부재(40)의 접촉돌기(41)가 압압되면, 레버부재(40)는 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50)가 릴테이블(10)에 압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찰부재(50)가 릴테이블(10)에 압착되게 되면, 그 릴테이블(10)과 마찰부재(5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릴테이블(10)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가 릴테이블에 가해지게 되어 릴테이블(10)이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는,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부재들과,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부재들이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릴테이블의 제동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품수가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릴테이블에 제동토오크를 가하기 위한 구조가 개선되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제동토오크 및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가할 수 있도록 된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를 채용한 테이프레코더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레버부재에 의해 릴테이블이 제동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를 채용한 테이프레코더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텐션아암에 제2회동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텐션아암에 제3회동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데크 10...릴테이블
30...밴드부재 120...텐션아암
121...제1접촉돌기 122...제2접촉돌기
129...인장코일스프링 160...슬라이드부재
161...제1캠면 162...제2캠면
163...제3캠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는, 테이프레코더의 데크에 설치되어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릴과 결합되는 릴테이블을 제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아암과, 상기 릴테이블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텐션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텐션아암과 데크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밴드부재와, 상기 텐션아암을 제1회동위치와 제2회동위치 및 제3회동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아암회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릴테이블로부터 이간되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릴테이블에 접촉되어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제동토오크를 그 릴테이블에 가하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3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랠테이블에 압착되어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그 릴테이블에 가하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암회동수단은, 상기 데크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텐션아암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1캠면과 제2캠면 및 제3캠면 가지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텐션아암은 상기 제1캠면과의 접촉시에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2캠면과의 접촉시에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3캠면과의 접촉시에 상기 제3회동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할 때 그 텐션아암을 상기 제1캠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할 때 그 텐션아암을 상기 제2캠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탄성수단을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를 채용한 테이프레코더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텐션아암이 제1회동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인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텐션아암이 제2회동위치 및 제3회동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부재나 부위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는 부재나 부위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행하는 것으로서 그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테이프레코더의 데크(1) 상의 릴테이블(10) 주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는, 텐션아암(120)과, 밴드부재(30)와, 아암회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텐션아암(120)은 데크(1)에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밴드부재(30)는 릴테이블(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텐션아암(1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아암회전수단은, 텐션아암(120)이 제1회동위치와 제2회동위치 및 제3회동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그 텐션아암(120)을 회동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크(1)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동위치에 따라 텐션아암(120)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1캠면(161)과 제2캠면(162) 및 제3캠면(163) 가지는 슬라이드부재(160)와, 압축코일스프링(129)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120)이 상기 제1캠면(161)과 접촉될 때, 즉 텐션아암(120)에 슬라이드부재(16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접촉돌기(121)가 제1캠면(161)과 접촉될 때, 텐션아암(120)은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양단이 텐션아암(120)과 데크(1)에 각각 지지된 인장코일스프링(129)에 의해 텐션아암(120)의 제1접촉돌기(121)는 제1캠면(16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텐션아암(120)이 상기 제2캠면(162)과 접촉될 때, 즉 상기 텐션아암(120)의 제1접촉돌기(121)가 상기 제2캠면(162)과 접촉될 때, 텐션아암(120)은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텐션아암(120)의 제1접촉돌기(121)는 인장코일스프링(129)에 의해 제1캠면(16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텐션아암(120)이 상기 제3캠면(163)과 접촉될 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텐션아암(120)에 슬라이드부재(16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접촉돌기(122)가 제3캠면(163)과 접촉될 때, 텐션아암(120)은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회동위치에 위치된다.
한편, 텐션아암(120)이 제1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밴드부재(30)는, 그 양단이 그 제1회동위치 상의 텐션아암(120)에 의해 릴테이블(10)을 개재시켜서 적절한 크기의 힘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 상기 릴테이블(10)에 적절한 접촉압력으로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릴테이블(10)이 회전하게 되면 밴드부재(120)의 내주면과 릴테이블(10)의 외주면 사이에 발생되는 소정크기의 마찰력이 발생되고, 그 마찰력에 의해서, 릴테이블(10)에는 그 릴테이블(10)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크기의 적절한 제동토오크가 가해지게 된다.
텐션아암이, 도 3에 실선으로 그리고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동위치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화살표(R1)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릴테이블(10)과 인접된 제2회동위치에 위치될 때에는, 상기 밴드부재(30)의 양단을 잡아당기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게 되므로, 릴테이블(10)에 접촉되어 있던 밴드부재(30)가 릴테이블(1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릴테이블(10)의 회전시에 밴드부재(30)에 의해서 아무런 제동토오크도 가해지지 않게 된다.
텐션아암(120)이, 도 3에 실선으로 그리고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동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화살표(R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릴테이블(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회동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밴드부재(30)에는 텐션아암(120)에 연결된 양단을 통해서 더 큰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밴드부재(30)는, 텐션아암(120)이 제1회동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강하게 릴테이블(10)에 압착되어, 릴테이블(10)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그 릴테이블(10)에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테이프레코더의 플레이모드시에는 텐션아암(12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동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릴테이블(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부재(30)에 의해 적절한 크기의 제동토오크를 받으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그 릴테이블(10)에 결합된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릴로부터 풀려나오는 테이프는 적절한 장력을로 풀려나오게 된다.
만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120)이 제1회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테이프레코더의 빨리감기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로딩모터(90)가 작동하여 워엄(91) 및 워엄기어(92)와 연결기어(93) 및 기어부(165)를 통해 슬라이드부재(160)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접촉돌기(121)는 제1캠면(161)과 제2캠면(162)을 이어주는 슬라이드부재의 경사부(164)에 의해 눌리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텐션아암(120)은 인장코일스프링(129)을 인장시키면서 화살표(R1)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처럼 텐션아암(120)이 화살표(R1)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120)의 제1접촉돌기(121)가 인장코일스프링(129)에 의해 탄력적으로 슬라이드부재의 제2캠면(162)에 접촉되게 되면, 텐션아암(120)은 제2회동위치에 위치되고 로딩모터(90)의 작동이 멈추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양단이 텐션아암(120)에 연결되어 있던 밴드부재(30)는 그 텐션아암(120)의 회동에 따라 릴테이블(10)로부터 느슨하게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릴테이블(10)이 고속회전할 때 그 릴테이블(10)과 밴드부재(30)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그 밴드부재(30)에 의해서는 릴테이블(10)에 아무런 제동토오크도 가해지지 않게 된다.
만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120)이 제2회동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레코더의 스톱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로딩모터(90)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60)가 다시 화살표(R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60)의 경사면(165)은 텐션아암(120)의 제2접촉돌기(122)를 압압하여 텐션아암(120)을 화살표(R2)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슬라이드부재(16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돌기(122)가 슬라이드부재(160)의 제3캠면(163)에 접촉되면서 텐션아암(120)이 제3회동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그 양단이 텐션레버(120)에 연결된 밴드부재(30)에는 텐션레버(120)가 제1회동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큰 인장력이 작용되므로, 밴드부재(30)는 릴테이블(10)에 강하게 압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릴테이블(10)에는 그 회전토오크보다 더 큰 제동토오크가 작용하게 되므로, 회전하고 있던 밴드부재(120)는 정지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120)이 제3회동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인장코일스프링(129)에 의해 그 텐션아암(120)에 화살표(R2)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되나, 텐션아암(120)은 상기 인장력을 받는 밴드부재(30)의 인장응력에 의해 화살표(R2) 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부재(160)의 이동에 의해 텐션아암(120)이 제1회동위치와 제2회동위치와 제3회동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회전되며, 릴테이블(10)에 감겨서 양단이 텐션아암(120)에 연결된 밴드부재(30)의 장력이 그 텐션아암(120)의 회동위치에 의해 조절되고, 이에 따라 릴테이블(10)에 원하는 제동토오크가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은 레버부재(40)나 마찰부재(50)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비의 절감 및 조립작업성의 향상면에서 큰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부재(30)는 그 양단이 모두 텐션아암(120)에 연결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밴드부재(30)의 일단(도 3에 있어서 상측에 도시된 단)은 텐션아암(120)에 연결되고 타단(도 3에 있어서 상측에 도시된 단)은 데크(1)에 연결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텐션아암(120)이 슬라이드부재(16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재(160)의 캠면들(161,162,163)이나 텐션아암(120)의 접촉돌기들(121,122)의 위치 및 형상 등은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는, 릴테이블의 외주에 감겨서 일단은 텐션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텐션아암 또는 데크에 연결된 밴드부재를 통해서,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제동토오크와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모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부품비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Claims (3)

  1. 테이프레코더의 데크에 설치되어 테이프카세트의 테이프릴과 결합되는 릴테이블을 제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아암과,
    상기 릴테이블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텐션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텐션아암과 상기 데크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밴드부재와,
    상기 텐션아암을 제1회동위치와 제2회동위치 및 제3회동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아암회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릴테이블에 접촉되어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작은 제동토오크를 그 릴테이블에 가하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릴테이블로부터 이간되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3회동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랠테이블에 압착되어 릴테이블의 회전토오크보다 큰 제동토오크를 그 릴테이블에 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회동수단은, 상기 데크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텐션아암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1캠면과 제2캠면 및 제3캠면 가지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텐션아암은 상기 제1캠면과의 접촉시에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2캠면과의 접촉시에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3캠면과의 접촉시에 상기 제3회동위치에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1회동위치에 위치할 때 그 텐션아암을 상기 제1캠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제2회동위치에 위치할 때 그 텐션아암을 상기 제2캠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탄성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장치.
KR1019970014139A 1997-04-17 1997-04-1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KR10024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139A KR100243207B1 (ko) 1997-04-17 1997-04-1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139A KR100243207B1 (ko) 1997-04-17 1997-04-1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146A KR19980077146A (ko) 1998-11-16
KR100243207B1 true KR100243207B1 (ko) 2000-02-01

Family

ID=1950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139A KR100243207B1 (ko) 1997-04-17 1997-04-17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2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146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714Y2 (ko)
US5182691A (en) Magnetic head cleaning system for rotary head devices
KR10024320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브레이크 장치
JPH1055585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用テープ張力調節装置
EP0372250A2 (en) Magnetic recording/playback apparatus
JPH033866A (ja) 巻線機のテンション装置
US3737600A (en) Tape recorder control with shaft rotation sensing mechanism for actuating switch
JPH01317218A (ja) 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
KR950000303Y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슬랙 방지장치
JPH0345466B2 (ko)
JPH0216435Y2 (ko)
JPS5923252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5279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브레이크장치
JPH0255857B2 (ko)
JP3430716B2 (ja) 記録再生装置
KR900005076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가이드 포스트 압착장치
JP2662205B2 (ja) パチンコ機の弾球装置
KR93000048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디스크 브레이크장치
JP313697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50785B2 (ko)
KR940004320Y1 (ko) 브이씨알의 미들폴 및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JP3518154B2 (ja) 記録再生装置のテンションレギュレータ機構
KR930006584Y1 (ko) 브이씨알의 소프트 브레이크에 의한 릴구동토오크 감쇠장치
JP2767930B2 (ja) ピンチローラ駆動機構
JP313858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ブレー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