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119B1 - 전자사진방식프린터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119B1
KR100243119B1 KR1019970040352A KR19970040352A KR100243119B1 KR 100243119 B1 KR100243119 B1 KR 100243119B1 KR 1019970040352 A KR1019970040352 A KR 1019970040352A KR 19970040352 A KR19970040352 A KR 19970040352A KR 100243119 B1 KR100243119 B1 KR 10024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light
emitting diod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428A (ko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0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1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51Meandering prevention using edge limit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23Transfer belt

Abstract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개시한다.
개시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진 감광벨트 가장자리에 소정의 광을 직접 주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주사된 광을 감지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올바른 진행위치를 감지하는 광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감광벨트의 올바른 진행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가 개선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가 제공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 내에 채용된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가 개선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정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 드라이빙 롤러(Driving Roller)(11), 백업 롤러(Back-up Roller)(12), 및 스티어링 롤러(Steering Roller)(13)들에 의해 회전 운동하는 감광벨트(OPC Belt)(14)의 회전궤도 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리셋장치(15)와, 컬러별로 마련된 복수개의 광주사 유니트(LSU)(16) 및 현상기(17)가 설치되며, 또한 건조장치(18), 전사 롤러(Transfer Roller)(19), 및 퓨징 롤러(Fusing Roller)(2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광주사 유니트의 광학적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주사 유니트(16)는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광원부(16a)와, 이 광원부(16a)에서 주사된 빔이 감광벨트(14)에 주사되도록 편향시키는 빔편향기(16c)와, 이 빔편향기(16c)에서 편향되는 광신호에 포함된 에러를 보정하는 f-θ 렌즈(16e)와, 상기 광원부(16a)에서 주사된 발산 빔을 집속시키는 수속렌즈(16b)가 구비되어 있다. 고속 주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빔편향기(16c)로 구동부와, 이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다반사면을 갖는 회전다면경(16d)이 채용된다. 상기 수속렌즈(16b)는 상기 광원부(16a)와 빔편향기(16c)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의 종류에 따라 광변조기(미도시)가 더 채용될 수 있으며, 광경로를 변환하기 위한 반사경(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주사 유니트(16)의 상측에는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20)는, 감광벨트(14)의 상, 하면으로 브라켓(21)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1)의 하측으로 즉, 상기 감광벨트(14)의 저면으로 프리즘(2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1)의 상측으로 즉, 상기 감광벨트(14)의 상면으로 에지 디텍터(2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10)는 상기 감광벨트(14)의 진행 방향의 좌, 우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감지하여 그 양을 전기적으로 환산하고 이 값을 스티어링 모터(Steering Motor)(미도시)로 피이드백(Feedback)하여 스티어링 롤러(13)에 의해 조정된다. 즉, 상기 광주사 유니트(16)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빔이 주사되면, 상기 프리즘(22)을 통하여 굴절되어 상기 감광벨트(14)의 에지부로 주사한다. 그러면, 상기 감광벨트(14)의 편심량을 상기 에지 디텍터(25)가 그 양을 측정하여 스티어링 모터에 전달하여 상기 감광벨트의 편심량을 조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20)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광주사 유니트(16)로부터 빔을 받아 상기 프리즘(22)을 통하여 그 빔으로 상기 감광벨트(14)의 편심량을 측정하는데, 소정의 각도로 상기 프리즘(22)에 굴절되어 직진하는데 이 빔이 정확하게 굴절되지 못하면 상기 프리즘의 위치 및 조립상태를 조정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조와, 조정이 용이한 감광벨트의 에지 디텍트가 구비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채용된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 31: 감광벨트 16: 광주사유니트
17: 현상기 18: 건조장치
19: 전사롤러 20: 가압롤러
21: 용지 32: 브라켓
33: 발광 다이오드 34: 광 센서
300: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는,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 측으로 직접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그 감광벨트의 일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감광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광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 센서에 의해 감지된 광량에 의해서 상기 감광벨트가 정해진 궤도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감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구성은 도 1과 유사하므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특징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는, 소정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 드라이빙 롤러(11), 백업 롤러(12), 및 스티어링 롤러(13)들에 의해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 운동하는 감광벨트(14)와, 상기 감광벨트 상에 설치된 리셋장치(15)를 거쳐 무한궤도로 진행되는 상기 감광벨트(14)에 입력된 화상에 대응되는 광을 주사하며 컬러별로 마련된 복수개의 광주사 유니트(16)가 구비되며 또한, 현상기(17), 건조장치(18), 전사 롤러(19), 및 퓨징 롤러(2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특징부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이러한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300)는, 무한궤도를 따라서 회전 운동을 하는 감광벨트(31)의 가장자리부가 그 상,하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가 형성된 브라켓(32)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32)의 하측에는 즉, 상기 감광벨트(31)의 저면 가장자리로 이 감광벨트(31) 측으로 소정의 광을 직접 조사하는 광원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발광 다이오드(33)는 감광벨트(31)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그 감광벨트(31)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2)의 상측에는 즉, 상기 감광벨트(31)의 상방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33)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들이며 그 받아들여진 광량을 전기적신호로 변환시키는 광 센서(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 센서(34)는 감광벨트(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33)와 대향되게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33)에서 직접 감광벨트(31) 측으로 직접 조사되는 광이 상기 광 센서(34)로 들어가고 그 광 센서(34)로 들어가는 광량은 감광벨트(31)의 에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광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31)의 올바른 진행궤도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된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300)가 마련된다. 이는 종래의 광주사 유니트에서 조사되는 빔이 프리즘을 통해 에지 디텍터에 신호를 보내 감광벨트의 올바른 진행 여부를 감지하는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200)와는 다르게, 상기 발광 다이오드(33) 자체의 광이 상기 광 센서(34)에 신호를 보냄으로서 감광벨트(31)의 진행되는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이는 광주사 유니트(16; 도 1참조)에서 주사되는 빔이 상기 감광벨트(31)의 인쇄되는 영역만을 주사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에 채용된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300) 자체 내에서 상기 감광벨트(31)의 에지부에 조사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3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광주사 유니트(16)는 인쇄되는 영역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게 하는 작업만을 수행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주사 유니트(16)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31)의 스켄(Scan)되는 폭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상기 감광벨트(31)의 정상적인 위치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미리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벨트(31)가 정상 위치를 벗어나면 상기 광 센서(34)로 들어가는 광량이 변화되며 광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광량을 통해서 감광벨트(31)가 주행위치로부터 벗어난 정도가 감지되며 그 양을 전기적으로 환산하여 스티어링 모터(Steering Motor)(미도시)로 피이드백(Feedback)한다. 이렇게 피이드백된 데이터를 받은 스티어링 모터는 그 벗어난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스티어링 롤러(13; 도 1참조)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감광벨트(31)가 정위치에 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광을 직접 감광벨트에 조사하므로써, 상기 광의 방향이 편향되지 않아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조정이 필요 없으며, 또한 감광벨트 에지 감지장치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채용됨으로서, 제조원가가 보다 낮아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감광벨트로 주사되는 빔이 상기 감광벨트의 에지부에 주사될 필요가 없으므로 광주사 유니트가 감광벨트의 폭에 대하여 스켄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무한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감광벨트와,
    상기 감광벨트 측으로 직접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부 주위에 그 감광벨트의 일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감광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광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 센서에 의해 감지된 광량에 의해서 상기 감광벨트가 정해진 궤도를 따라 주행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감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KR1019970040352A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프린터 KR10024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52A KR100243119B1 (ko)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52A KR100243119B1 (ko)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28A KR19990017428A (ko) 1999-03-15
KR100243119B1 true KR100243119B1 (ko) 2000-02-01

Family

ID=1951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52A KR100243119B1 (ko) 1997-08-23 1997-08-23 전자사진방식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1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28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8530C (en) Optical beam scanner
US8810622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having optical box on which a beam splitter is dispose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697184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40114029A1 (en) Apparatus to generate laser beam detect signal
US10498920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278900A (ja) 媒体シート位置判定装置
US9864934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rrection method
CN103376550A (zh) 图像形成装置
US7630111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663558A (en) Optical beam scanning unit with slit for producing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US5896158A (en) System for registration of a photoconductor bel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system
KR100243119B1 (ko) 전자사진방식프린터
US5745817A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paper detector thereof and paper detecting method thereof
US6052135A (en) Combination erase bar and belt position detector system for use with an electrophotographic imaging system
US20070296802A1 (en) Optical multi-beam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50104950A1 (en) Apparatus to control color registration and image density using a single mark and method using the same
US6512585B1 (en) Laser scanning position detecting device
JP742420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3131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JP3424985B2 (ja) 走査光学装置
KR100607997B1 (ko) 화상 형성장치
KR100304631B1 (ko) 화상형성장치의 벨트 위치 감지장치
JP200534962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光量調整方法
JP4197806B2 (ja) 走査光学系およびその焦点位置調整方法
JP4933970B2 (ja) 走査光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