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318B1 -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318B1
KR100331318B1 KR1019980024156A KR19980024156A KR100331318B1 KR 100331318 B1 KR100331318 B1 KR 100331318B1 KR 1019980024156 A KR1019980024156 A KR 1019980024156A KR 19980024156 A KR19980024156 A KR 19980024156A KR 100331318 B1 KR100331318 B1 KR 10033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frame
shoe
roll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060A (ko
Inventor
이민수
이종찬
방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3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4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 G03G15/75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for maintaining the lateral alignment of the ba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56Meandering prevention by controlling drive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6Meandering prevention by mark detection, e.g. op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들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무한궤도의 감광벨트의 폭방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감광벨트의 비정전잠상영역에 접촉되는 슈우부와, 감광벨트의 에지에 접촉되는 슈우부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슈우블럭; 감광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프레임의 타측과 슈우블럭 사이에 설치되며, 그 감광벨트에 종동되어 회전하면서 감광벨트의 접힘을 억제하는 롤러; 감광벨트의 폭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레이저 주사 유니트; 및 관통공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레이저 주사 유니트에서 주사되어 관통공을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감광벨트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여 양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고,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photosensitive belt of liquid electr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감광벨트의 주행시 발생하는 감광벨트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등의 인쇄기는 광을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주사하여 그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현상유니트를 이용하여 그 정전잠상에 소정 색상의 토너를 현상한 뒤 인쇄용지에 전사시켜 인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 본체 내에 설치된 구동롤러(20), 전사백업롤러(30) 및 스티어링롤러(41)에 각각 감겨 일정 궤도를 회전하는 감광벨트(10)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기 본체에는 감광벨트(10)의 주행방향을 따라 그 감광벨트(10)에 형성된 표면전위를 소거하는 소거램프(60), 표면전위가 리셋된 감광벨트(1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70), 감광벨트(10)에 광을 주사하여 각 칼라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레이저 주사 유니트(80) 및 정전잠상이 형성된 부분을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니트(9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쇄기에 있어서, 감광벨트(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롤러들(20)(30)(41)에 감긴채 선회하게 되므로 인쇄작업이 계속되다 보면, 감광벨트(10)가 롤러들(20)(30)(41)의 일정한 위치로부터 벗어나 롤러들의 길이 방향으로 사행(蛇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쇄기는 감광벨트(10)의 주행시 감광벨트(10)의 정확한 주행경로를 감지하여 감광벨트(10)의 사행 여부를 미도시된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50)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감광벨트(10)의 사행정보에 따라 그 감광벨트(1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스티어링장치(4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장치(40)는 프레임(4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판(46)과, 감광벨트(10)가 일정궤도를 따라 선회하도록 지지하는 스티어링롤러(41) 및, 감광벨트(10)가 구겨지지 않도록 스티어링롤러(41)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해 주는 한 쌍의 안정롤러(43)를 구비한다.
회동판(46)은 결합핀(미도시)에 의해 프레임(42)에 탄성 결합된 가이드바(44)에 설치되며, X-Y평면 상에서 상기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동되는데, 그러한 회동은 가이드바(44)와 프레임(42)에 개재된 스프링(45)에 의해 스티어링롤러(41)와 감광벨트(10) 사이의 접촉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불균형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한펀, 각각의 안정롤러(43)는 스티어링롤러(41)와 나란하도록 프레임(42)에 설치되어, 감광벨트(10)가 스티어링롤러(41)에 접촉되기 전,후에 있어 그 감광벨트(10)의 접힘을 방지한다.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50)는 레이저 주사 유니트(80)로부터 발사된 광이 감광벨트(10)와 직각으로 진행하도록 굴절시키는 프리즘(54)과, 이 프리즘(54)에 대향되도록 감광벨트(10) 상부에서 그 감광벨트(10)를 하방으로 지지하여 긴장시키는 슈우(52)와, 이 슈우(52)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광을 감지하는 광센서(56)를 포함한다. 슈우(52)의 일측에는 프리즘(54)을 통과한 레이저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5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50)에 있어서, 레이저 주사 유니트(80)에서 발사된 광은 주주사방향(도 3의 B 방향)으로 투사되어 프리즘(5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감광벨트(10)에 직각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광은 감광벨트(10)의 우측 에지를 경유하게 되고, 관통공(52a)을 통과하여 광센서(56)에 의해 검출된다. 즉, 상기 광의 경로 상에는 감광벨트(10)의 우측 에지가 일정한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광센서(56)에 감지되는 광량의 차이에 의해 감광벨트(10)의 사행을 감지하여 상기한 스티어링장치(40)로 하여금 감광벨트(10)의 사행량을 보정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있어서, 슈우(52)는 감광벨트(10)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감광벨트(10)의 주행시 상기 슈우(52)와 감광벨트(10) 간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감광벨트(10)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어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50)는 상기 스티어링장치(40)와 연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회동판(46)을 경사지게 함여 감광벨트(10)의 사행을 보정하는 방식이므로, 감광벨트(10)에 접힘 현상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안정롤러(43)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인쇄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감광벨트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감광벨트의 에지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인쇄기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프레임102...감광벨트110...슈우블럭
112...슈우부114...관통공120...롤러
130...레이저 주사 유니트140...광센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들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무한궤도의 감광벨트의 폭방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비정전잠상영역에 접촉되는 슈우부와, 상기 감광벨트의 에지에 접촉되는 상기 슈우부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슈우블럭;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슈우블럭 사이에 설치되며, 그 감광벨트에 종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벨트의 접힘을 억제하는 롤러;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레이저 주사 유니트; 및 상기 관통공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 주사 유니트에서 주사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01)의 일측에 설치된 슈우블럭(110)과, 감광벨트(102)에 종동되어 회전하는 롤러(120)와, 감광벨트(102)하부에 설치된 레이저 주사 유니트(130) 및 감광벨트(102) 상부에 설치된 광센서(140)를 구비한다.
감광벨트(102)는 미도시된 롤러들에 지지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주행한다.
슈우블럭(110)은 상부가 개방된 개구(112)가 형성된 하부슈우블럭(116)과, 후술할 광센서(140)가 설치되는 상부슈우블럭(118)을 구비한다. 하부슈우블럭(116)의 하면은 반원 형상의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감광벨트(102)의 비정전잠상영역(102)에 접촉되는 슈우부(112) 및 감광벨트(102)의 일측 에지에 접촉되는 슈우부(112)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114)을 포함한다.
롤러(120)는 샤프트(122)와 이 샤프트(122) 외주를 감싸는 롤러본체(124)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120)는 슈우블럭(110)의 일측과 프레임(101)의 타측 사이에 감광벨트(102)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롤러본체(124)가 샤프트(122)를 중심으로 감광벨트(102)에 종동되어 회전된다. 즉, 상기 슈우부(112)의 하면과 롤러본체(124)의 외주가 동일 선상에서 감광벨트(102)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샤프트(122)와 롤러본체(1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슈우블럭(110)과 프레임(10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라도 무관하다. 한편, 상기 롤러(120)는 감광벨트(102)의 접힘을 억제하는 안정롤러의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장치(도 1의 40)에 사용되는 안정롤러(43)의 기능을 한다.
레이저 주사 유니트(130)는 감광벨트(102)의 폭방향, 주로 정전잠상영역(102a)으로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광원(132),회전다면경(134) 및 렌즈결합체(136)를 구비한다.
광센서(140)는 관통공(114)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상부슈우블럭(118)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슈우블럭(118)은 프레임(101)에 설치된다. 이 광센서(140)는 레이저 주사 유니트(130)에서 주사되어 관통공(114)을 통과한 광을 수광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쇄기의 동작에 의해 감광벨트(102)가 주행되는 동안 레이저 주사 유니트(130)는 감광벨트(102)의 정전잠상영역(102a)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그 후, 상기 레이저 주사 유니트(130)로부터 주사된 광은 미리 셋팅된 감광벨트(102)의 비정전잠상영역(102b)의 에지 부위로 광을 주사하여 슈우부(112)의 관통공(114)으로 광을 주사한다. 이 상태에서, 감광벨트(102)가 사행없이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광센서(140)에 수광되는 광량이 소정의 량이 되므로 감광벨트(102)의 위치가 정상이라는 정보를 미도시된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감광벨트(102)가 그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주행하면, 광센서(140)에 수광되는 광량이 거의 없거나, 미리 정해진 광량보다 더많은 량의 광이 수광되어 감광벨트(102)의 사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을 과정에서 감광벨트(102)의 정전잠상영역(102a)은 롤러(120)에 접촉되도록 하고, 감광벨트(102)의 비정전잠상영역(102b) 일부에 슈우블럭(110)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감광벨트(102) 특히, 정전잠상영역(102a)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질의 화상을 얻으면서 감광벨트(10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장치의 안정롤러의 역할을 겸하게 됨으로써, 스티어링장치에 별도의 안정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상기 감광벨트 감지장치 및 스티어링장치를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감광벨트의 비정전잠상영역 일부에 접촉되는 슈우블럭을 채용함으로써 을 감광벨트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감광벨트의 정전잠상영역에는 이와 종동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채용함으로써 감광벨트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여 화상의 질을 높일수 있게 되고, 상기 롤러를 스티어링장치의 안정롤러로 겸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저렴화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1)

  1.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들에 지지되어 주행되는 무한궤도의 감광벨트의 폭방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비정전잠상영역에 접촉되는 슈우부와, 상기 감광벨트의 에지에 접촉되는 상기 슈우부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슈우블럭;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슈우블럭 사이에 설치되며, 그 감광벨트에 종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벨트의 접힘을 억제하는 롤러;
    상기 감광벨트의 폭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레이저 주사 유니트; 및
    상기 관통공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레이저 주사 유니트에서 주사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광을 수광하는 광센서;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감광벨트 위치감지장치.
KR1019980024156A 1998-06-25 1998-06-25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KR10033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156A KR100331318B1 (ko) 1998-06-25 1998-06-25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156A KR100331318B1 (ko) 1998-06-25 1998-06-25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60A KR20000003060A (ko) 2000-01-15
KR100331318B1 true KR100331318B1 (ko) 2002-05-09

Family

ID=1954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156A KR100331318B1 (ko) 1998-06-25 1998-06-25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3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60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533B1 (ko) 인쇄기용 감광벨트 조정장치
JPH0745495Y2 (ja) 連続記録紙を用いるプリンタの搬送異常検知機構
JP3088390B2 (ja) カラープリンタにおけるベルト蛇行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700984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of effectively detecting image data
US20060110198A1 (en) Paper detec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4271746A (ja) 画像形成装置
US20010011690A1 (en) Device for steering and tensioning a web
US200302192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belt
JP2000034031A (ja) ベルト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264479A (ja)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055397A (en) Photoreceptor web steering apparatus for printer
KR10033131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감광벨트위치감지장치
JP2007079490A (ja) 画像形成装置
KR100327241B1 (ko) 화상형성장치용 감광벨트 위치 감지장치
US11360413B2 (en) Imaging system
JP3812246B2 (ja) 画像形成装置
JP3135077B2 (ja) ベルト蛇行修正装置
KR100346710B1 (ko) 인쇄기의 인쇄 용지 두께 감지방법
KR100243119B1 (ko) 전자사진방식프린터
KR100331317B1 (ko) 인쇄기용감광벨트스티어링장치
KR100287154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스티어링 장치
KR100304631B1 (ko) 화상형성장치의 벨트 위치 감지장치
KR100265741B1 (ko) 화상형성장치용벨트위치검출장치
KR100304625B1 (ko) 인쇄기용 감광 벨트 스티어링 장치
JP3740864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