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971B1 -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971B1
KR100242971B1 KR1019970020829A KR19970020829A KR100242971B1 KR 100242971 B1 KR100242971 B1 KR 100242971B1 KR 1019970020829 A KR1019970020829 A KR 1019970020829A KR 19970020829 A KR19970020829 A KR 19970020829A KR 100242971 B1 KR100242971 B1 KR 10024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ircuit
frequency
horizontal deflection
display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905A (ko
Inventor
권중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9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개시되는 여러 해상도를 지원하는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Cathode Ray Tube Display Monitor)의 수평편향 구동회로는 정전류 공급회로와 가변전류 공급회로를 구비한다.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해상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평편향 구동회로는 변화된 수평 주파수 변화를 쫓아 수평 드라이브 전류가 변화된다. 그러므로 종래에 해상도 변화에 따른 수평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수평편향 구동회로가 하한 주파수에서는 드라이브 부족이, 상한 주파수에서 드라이브 과대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이 과소 또는 과대 동작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CRT display monitor)의 수평편향 구동회로(horizontal deflection circuit)에 관한 것이다.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호스트(예컨대 컴퓨터)로부터 R(red), G(green), B(blue)의 비디오 신호들(video signals)과 그리고 수평/수직 동기 신호(horizontal/vertical synchronous signals)를 수신하여 CRT 상에 비디오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1도에는 일반적인 CRT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210은 비디오출력회로, 220은 CPU, 310은 마이콤, 320은 수직구동회로, 330은 수직출력회로, 340은 수평구동회로, 350은 수평출력회로, 360은 비디오프리앰프, 370은 비디오출력회로, 380은 CRT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서, 컴퓨터(200)의 비디오출력회로(210)로부터 마이콤(310)으로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Video)는 색상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그리고 동기 신호(Sync)는 수평 시작 위치 및 수평 종료 위치를 나타내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시작위치 및 수직종료위치를 나타내는 수직동기신호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300)는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한다. 호스 컴퓨터(200)는 각각의 해상도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갖는 동시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니터(300)로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모니터(300)는 입력되는 동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해상도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200)에서 단순한 텍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낮은 해상도를 갖는 텍스트 모드에 해당되는 동기신호(Sync) 및 텍스트 이미지의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300)로 출력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호스트 컴퓨터(200)는 해당되는 해상도 및 색상표 시범위를 갖는 그래픽 모드의 동기신호(Sync) 및 그래픽 이미지의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니터(300)로 출력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니터(300)는 상기 동기신호(Sync)에 기초하여 CRT 화면상에 상기 비디오 신호(Video)를 편향시켜 이미지를 표시한다.
호스트 컴퓨터(200)에서 제공되는 비디오신호(Video)는 비디오프리앰프(360)를 통해 미리 증폭되고, 비디오출력회로(370)에서 다시 적합한 출력 신호로 증폭되어 CRT(380)로 출력된다. 이와 더불어,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V-Sync, H-Sync)는 각기 수직구동 및 출력회로(320, 330)와, 수평구동 및 출력회로(340, 350)를 통해 CRT(380)로 인가되어 상기 비디오신호가 CRT(380)상의 소정의 위치로 편향되게 한다.
그런데, 다양한 그래픽 모드를 지원하는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그래픽 모드에 따라 수평동기 및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가 변화됨으로 인하여 낮은 주파수의 동기신호에서는 수평편향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의 레벨이 부족하여 수평편향 구동이 부족하게 되고, 높은 주파수의 동기신호에서는 수평편향 구동회로의 출력신호의 레벨이 높아져 수평편향 구동이 과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동기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안정적인 수평편향 구동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CRT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편향 구동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편향 구동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수평편향 구동회로에서 구동전압과 구동전류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컴퓨터 210 : 비디오출력회로
220 : CPU 300 : 모니터
310 : 마이콤 320 : 수직구동회로
330 : 수직출력회로 340 : 수평구동회로
341 : 정전류 공급회로 342 : 가변전류 공급회로
350 : 수평출력회로 360 : 비디오프리앰프
370 : 비디오출력회로 380 : C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수평구동회로 및 수평출력회로를 포함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CRT로 수평편향신호를 제공하는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수평편향 구동회로는: 상기 수평구동회로는, 상기 수평편향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1차코일에 유도된 기전력을 2차코일측으로 전달하는 구동트랜스와; 상기 구동트랜스의 1차코일의 타단측으로 일정한 전류를 공급시키기 위한 정전류 공급회로와; 일단이 전원전압과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트랜스의 1차코일과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주파수에 따라 1차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전류공급수단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있어서, 상기 정전류 공급회로는; 상기 전원전압과 접지간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분합저항들과; 상기 제1 및 제2 분압저항들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구동트랜스와 상기 전원전압간에 전류 패스를 제공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전압간에 접속된 저항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Cathode Ray Tube Display Monitor)의 수평편향 구동회로는 정전류 공급회로와 가변전류 공급회로를 구비하여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해상도가 변화됨에 따라 수평편향 구동회로는 변화된 수평 주파수 변화를 쫓아 구동 전류를 변화시킨다. 그러므로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도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의 주파수는 31KHZ~70KHZ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편향 구동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CRT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편향 구동회로는 크게 수평구동회로(340A)와 그리고 수평출력회로(350A)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구동회로(340A)는 정전류 공급회로(341), 가변전류 공급회로(342), 구동트랜스(HDT20), 스우칭 트랜지스터(Q21), 저항(R24) 및 콘덴서(C21)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류 공급회로(3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20)의 에미터와 전원(Eb)간의 저항(21)이 접속되어 에미터전류를 공급한다. 그리고 전원(Eb)과 접지간에는 저항 R20과 R23이 직렬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Eb)와 저항(R20)간에는 전류가 일정방향으로 흐르도록 다이오드(D20)가 접속된다. 저항 R20과 R23의 접속점은 트랜지스터(Q20)의 베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저항 R20과 R2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20)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정전류 공급회로(341)의 전원(Eb)과 트랜지스터(Q20)의 컬렉터간에는 가변전류 공급회로(342)의 저항(R10)이 병렬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20)의 컬렉터와 접지간에는 콘덴서(C20)가 접속된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서, 상기 정전류공급회로(341)의 트랜지스터(Q20)의 hFE가 충분히 큰 경우에 구동트랜스(HDT20)의 1차측으로 흐르는 전류(IST20)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1]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트랜스(HDT20)의 1차측으로 흐르는 전류(IST20)는 각 저항값들에 의해 결정되는데 기본적으로 수평 동기 신호가 최소주파수(예컨대 31KHZ)일 때 여유량을 갖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주파수 증가와 더불어 전류(IST20)가 증가하면 증가된 전류는 저항(R10)에 의해 분배된다. 이와 같이, 저항(R10)의 저항 값과 트랜지스터(Q20)의 컬렉터 전류(IC20)의 량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수평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전류(IST20)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동기신호가 최대주파수(예컨대 70KHZ)인 경우에, 콘텐서(C20)의 임피던스(Xc)는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됨에 따라 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20)의 콜렉터 및 저항(R10)을 통해 트랜스(HDT20)의 1차측으로 흐르는 전류(IST20)의 일부는 콘덴서(C20)를 통해 접지측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구동트랜스(HDT20)의 1차측의 전압(EC20)이 감소하게 된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은 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구동트랜스(HDT20)의 수평구동전압(EC20)과 수평구동전류(IST20)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실선(A→B)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구동회로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q, r)은 가변전류공급회로(342)만에 의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VA는 최소주파수일 때, VB는 최대주파수일 때 적정 구동전압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구동주파수가 OHz로부터 최소 수평편향 주파수(fL)까지 수평구동전압 VA의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평구동주파수가 최대주파수(fH)일 때의 구동전압은 예컨대 VB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주파수(fL)의 A점과 최대주파수(fH)의 B점간의 수평구동전압은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져 있다.
제3도에서 종래의 방법에서의 보정은 점선, 본 발명에서의 보정은 실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수평 주파수의 증가와 전류(IST20)가 증가하면 증가분의 전류만을 저항(R10)에 따라 공급하기 때문에 저항(R10)의 값을 높게 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저항(R10)의 값과 전류(IST20)의 량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보정 개시점과 보정량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원 전압이 낮더라도 충분한 보정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CRT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편향 구동 회로는 수평편향 구동전압을 보다 낮은 전압에서 사용할 수 있어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수평 편향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수평 구동이 과소 또는 과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넓어 주파수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Claims (2)

  1. 수평구동회로(340A) 및 수평출력회로(350A)를 포함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CRT로 수평편향신호를 제공하는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수평편향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회로(340A)는, 상기 수평편향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21)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21)의 스위칭에 따라 1차코일(T1)에 유도된 기전력을 2차코일(T2)측으로 전달하는 구동트랜스(HDT20)와; 상기 구동트랜스(HDT20 )의 1차코일(T1)의 타단측으로 일정한 전류를 공급시키기 위한 정전류 공급회로(341)와; 일단이 전원전압(Eb)과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트랜스(HDT20)의 1차코일(T1)과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주파수에 따라 1차코일(T1)에 공급되는 전류는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전류공급수단(3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수평편향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공급회로(341)는; 상기 전원전압(Eb)과 접지간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분합저항들(R20, R23)과; 상기 제1 및 제2 분압 저항들(R20, R23)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상기 구동트랜스(HDT20)와 상기 전원전압(Eb)간에 전류 패스를 제공하는 트랜지스터(Q20)와; 상기 트랜지스터(Q20)와 상기 전원전압(Eb)간에 접속된 저항(R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디스플레이의 수평편향 구동회로.
KR1019970020829A 1997-05-27 1997-05-27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KR10024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29A KR100242971B1 (ko) 1997-05-27 1997-05-27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29A KR100242971B1 (ko) 1997-05-27 1997-05-27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905A KR19980084905A (ko) 1998-12-05
KR100242971B1 true KR100242971B1 (ko) 2000-02-01

Family

ID=1950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829A KR100242971B1 (ko) 1997-05-27 1997-05-27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9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905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0972A (en) Self-diagnosis arrangement for a video display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KR0124387B1 (ko) 픽쳐인픽쳐기능을 구비한 영상디스플레이기기의 화면상태안정화 방법 및 그 장치
US6710781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different display mode and method thereof
KR100242971B1 (ko) 모니터의 편향신호 구동회로
US4649325A (en) Scanning CRT control system
JP3321140B2 (ja) ビデオ表示装置
KR100247391B1 (ko) 영상신호의 패스 스로우(pass through) 기능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04430B1 (ko) 자동 키네스코프 바이어스 제어 장치
KR100195567B1 (ko) 음극선관 구동회로
KR100218007B1 (ko) 다중 동기 방식 모니터의 상 사이즈 자동 조정 방법
JPH0650425B2 (ja) デイスプレイの垂直走査の制御装置と方法
KR200156516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KR200172693Y1 (ko) 래스터의 수평 위치 조절회로
KR200200453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편향요크커넥터이탈감지회로
KR880000992B1 (ko) 컴퓨터용 모니터
KR200155998Y1 (ko) 동기신호의 판별에 의한 오버 레이지 제한 회로
US7248233B2 (en) Control circuit and process for a cathode ray tube display control apparatus
KR0143676B1 (ko)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파라미터 조정방법
KR200187011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전류제한회로
KR100206068B1 (ko) 모드별 상하왜곡 화상보정회로
KR100588140B1 (ko) 영상표시기기의 포커스전압 안정화회로
KR970005656Y1 (ko)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KR19990014466U (ko) 수직 센터 보정회로
JPH0851579A (ja) 映像表示装置
JPH01175378A (ja) 輝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