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656Y1 -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656Y1
KR970005656Y1 KR2019940012225U KR19940012225U KR970005656Y1 KR 970005656 Y1 KR970005656 Y1 KR 970005656Y1 KR 2019940012225 U KR2019940012225 U KR 2019940012225U KR 19940012225 U KR19940012225 U KR 19940012225U KR 970005656 Y1 KR970005656 Y1 KR 970005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mode
monitor
voltage
flyback transform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085U (ko
Inventor
신현국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2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656Y1/ko
Publication of KR950034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0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기 모드 제어부1Q1-Q2: 트랜지스터
FBT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D1: 다이오드
C1 : 콘덴서R1-R3: 저항
본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스팬드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는 모든 상태가 정상적인 온 모드와, 순간적으로 전압이 감소되는 대기 모드와, 대기 모드보다 긴 시간동안 전압이 감소되는 서스팬드 모드와, 소비되는 전력이 최소가 되는 오프 모드가 있다.
상기 모니터가 온 모드인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세서(1)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Hs)(Vs)가 모드 모니터의 메인보오드(2)에 인가되고, 모니터의 대기 모드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Vs)만이 메인 보오드(2)에 인가되며, 서스팬드 모드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Hs)만이 인가되고, 오프 모드에서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Hs)(Vs)모두가 메인 보오드(2)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 보오드(2)에 인가되는 펄스 파형의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Vs)(Hs)는 수직 동기 신호 발생부(2a) 및 수평 동기 신호 발생부(2b)에 각각 인가되고 각각 삼각 파형의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는 수직 구동부(2c) 및 수평 구동부(2d)에 인가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음극선관과 연결된 수직 편향 코일 및 수평 편향 코일을 구동시키기 위한 크기로 증폭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의 메인 보오드(2)에서 출력되는 화면 밝기 신호(Con)는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에 인가되어 그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의 2차측 코일에 여자된 전압의 크기에 의해 모니터의 전체 화면의 밝기가 조정된다.
상기 모니터가 대기 모드 또는 서스팬드 모드로 되면, 모니터 화면 밝기는 메인 보오드(2)로 부터 입력되는 고전위 상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이 2차측 코일에 여자된 전압이 그대로 음극선관(3)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모니터의 화면에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가 무너진 상태로 디스플레이되어 화질이 떨어지게 되면, 또한 소비되는 전력도 대기 모드나 서스팬드 모드가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대기 모드시 메인 보오드에서 저전위 상태의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화면의 전체 밝기가 어두어지게 함으로써, 대기 모드시 화질을 높일 수 있는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평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여자된 전압에 의해 화면의 전체 밝기를 조정하는 모니터의 화면 밝기 제어 회로에 있어서, 모니터가 대기 모드로 될때 플라이 백 트랜스의 여자된 출력을 정지시키고, 모니터가 서스팬드 모드가 될때 플라이 백 트랜스의 여자된 전압을 출력시는 대기 모드 제어부를 더 포함시키는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회로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수평구동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1)와, 그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여자되고, 그 여자된 전압에 의해 화면의 전체 밝기가 제어되는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와, 메인 보오드등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그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의 여자된 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대기 모드 제어부(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대기 모드 제어부(10)는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의 2차측 코일에 여자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1)및 콘덴서(C1)와, 메인 모오드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에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2)가 스위칭된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어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류된 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R1)는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측과 에미터측 간의 항상 일정한 전위 차를 유지시키기 위한 저항이며, 미설명 부호(R2)(R3)는 바이어스용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에 대기 모드 제어 회로에 있어서, 우선, 메인 보오드의 수평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그 트랜지스터(Q1)의 턴온에 의해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가 여자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에 의해 여자된 전압은 대기 모드 제어부(10)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류된다.
한편, 모니터가 대기 모드가 되면, 제어 신호(C)가 저전위 상태로 메인 보오드에서 출력되며, 그 제어 신호(C)에 의해 대기 모드 제어부(10)의 트랜지스터(Q2) 턴오프되고, 그 트랜지스터(Q2)의 턴오프에 의해 대기모드 제어부(10)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에 의해 정류된 전압은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출력되지 못하고, 따라서 화면이 전체적으로 어두어져 비디오 신호가 보이지 않게 된다.
그때, 상기 대기모드 제어부(1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기존의 소비 전력의 80%이하로 줄어들게 된다.
한편, 모니터가 서스팬드 모드로 되면, 메인 보오드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C)는 고전위 상태이고, 그 고전위 상태의 제어 신호(C)에 의해 대기 모드 제어부(10)의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며, 그 트랜지스터(Q2)가 턴온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대기 모드 제어부(10)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류된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FBT)의 출력 전압이 출력되어 화면의 밝기가 밝아지고, 따라서 수직 동기 신호가 무너진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된다.
그때, 상기 대기 모드 제어부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기존의 소비 전력에 비해 약 15%이하로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는 화면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출력 전압이 대기 모드일 때 입력되는 저전위 상태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화면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출력전압이 서스팬드 모드일 때 입력되는 고전위 상태의 제어신호에 의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대기 모드시 화면의 밝기가 어두어져 수평 동기 신호가 무너진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아 화질이 상승되고 소비되는 전력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평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여자된 전압에 의해 화면의 전체 밝기를 조정하는 모니터의 화면 밝기 제어 회로에 있어서,
    모니터가 대기 모드로될 때 플라이 백 트랜스의 여자된 전압의 출력을 정지시키고, 모니터가 서스팬드 모드가 될 때 플라이 백 트랜스의 여자된 전압을 출력시키는 대기 모드 제어수단을 더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 제어 수단은 상기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에 여자된 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 및 콘덴서와,
    메인 보오드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 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가 스위칭된 상태에 따라 스위칭되어 그 다이오드 및 콘덴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대기 모드 제어 회로.
KR2019940012225U 1994-05-30 1994-05-30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KR970005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225U KR970005656Y1 (ko) 1994-05-30 1994-05-30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225U KR970005656Y1 (ko) 1994-05-30 1994-05-30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85U KR950034085U (ko) 1995-12-18
KR970005656Y1 true KR970005656Y1 (ko) 1997-06-09

Family

ID=1938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225U KR970005656Y1 (ko) 1994-05-30 1994-05-30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6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85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529B1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US6054981A (en) Power saving modes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US5616988A (en) High energy-saving circuit for a display apparatus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KR19980085433A (ko) 리모콘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US6275221B1 (en) Low consumption power circuit using an electronic switch in a display monitor
KR970005656Y1 (ko) 모니터의 대기 모드제어 회로
US6259217B1 (en) Wide band horizontal size regulation circuit of a display
JP2959693B2 (ja) 節電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60007920B1 (ko) 멀티모드 모니터의 전원전압 제어회로
KR0123418B1 (ko) 모니터의 뮤트신호 발생회로
KR19980051598A (ko) 듀티(Duty)변경 회로
KR0150701B1 (ko) 밧데리구동티브이의화면밝기조절장치와조절방법
KR0170555B1 (ko) 음극선관의 휘도 자동조정회로
KR200150312Y1 (ko) 음극선관 보호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
KR940004033Y1 (ko) 음극선관의 캐소우드 전위 안정장치
JPH0696879A (ja) 陰極放電管駆動用電源装置
KR100247596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라스터 제어회로
KR1002428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사이즈 조절 회로
KR0122616Y1 (ko) 번인모드시 라스터제어장치
KR20010060986A (ko) 영상표시기기의 절전회로
KR870000552B1 (ko) 고압 안정화회로
KR20010097187A (ko) 영상표시기기의 스크린 전압 제어장치
JPH0816122A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用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