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256B1 -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 Google Patents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256B1
KR100242256B1 KR1019960066092A KR19960066092A KR100242256B1 KR 100242256 B1 KR100242256 B1 KR 100242256B1 KR 1019960066092 A KR1019960066092 A KR 1019960066092A KR 19960066092 A KR19960066092 A KR 19960066092A KR 100242256 B1 KR100242256 B1 KR 10024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ydraulic cylinder
boss
point
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304A (ko
Inventor
신이치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64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81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111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944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584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436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97007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0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the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structurally belonging to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 작업장치(4)를 연결한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로서, 상기 작업장치(4)의 승강이 유압 실린더(2)의 신축에 의한 4련 링크기구(3)의 승강에 의해서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상부 링크(7)와 하부 링크(8)와 후방부 세로 링크(9)를 각각 좌우 한쌍 갖춘 것에 있엇, 상기 유압실린더(2)가 서스펜션 스프링(17)을 통해 상기 4련 링크기구(3)에 부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2)의 단축에 의해서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상승하고,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2)의 신장에 의해서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장치 승강구조가 적용되어 있는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4련 링크기구의 측면도.
제3도는 4련 링크기구의 평면도.
제4도는 4련 링크기구의 전방부지점을 도시하는 종단 후면도.
제5도는 상부 링크의 전방부지점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서스펜션의 평면도.
제7도는 롤링잠금기구의 측면도.
제8도는 4련 링크기구의 후방부지점, 및 롤링잠금기구를 가리키는 종단 후면도.
제9도는 4련 링크기구의 각 링크, 및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찰·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
제10도는 유압실린더의 「실린더길이」의 변동에 대하는 「실린더하중」의 변동을 고찰·설명하기 위한 선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에 관한다. 이 작업장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승강된 4련(四連) 링크기구를 통해,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대하고 승강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의 대표로서는, 이양기의 모심기 장치 승강구조를 들 수 있다. 여기서는 4련 링크기구가 주행기체의 후방부에 갖추고 있어, 4련 링크기구의 상부 링크와 기체에 걸쳐 유압실린더가 가설되어 있다. 4련 링크기구의 후방부 링크에는, 모심기 장치(작업장치)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 유압실린더를 신장시켜 상부 링크를 쳐 올리는 것에 따라, 모심기 장치(작업장치)가 상승한다. 일반적으로는, 유압실린더와 상부 링크와의 사이에 서스펜션 스프링을 개재시키는 것에 따라, 유압실린더의 신축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라도 모심기 장치의 다소의 상하 동작이 허용된다.
상기 승강구조에 있어서는, 작업장치가 상승하고 있는 때에는, 유압실린더에 압축하중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 유압실린더의 강도를 설정하는 때는, 압축하중에 대하여 좌굴(buckle)하지 않은 강도로 설정하는 일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실린더통 및 피스톤 로드는, 지름이 큰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실린더통 및 피스톤 로드는, 지름이 큰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유압실린더 뿐만 아니라 4련 링크기구의 각 부재도, 대형으로 중량이 큰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승강구조에 통해서, 처음으로 서스펜션 스프링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서스펜션 스프링이 완충기능을 발휘하기 전에, 이러한 충격력에 의해서 링크부재의 일부가 변형할 우려가 있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4련 링크기구를 더욱 강성으로 높일 필요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농작업기는, 농로 등을 이동하는 때에는 작업장치가 상승된다. 이 이동시에는, 기체의 진동이나 동요에 의해서 4련 링크기구에 동적인 하중이 작용하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강도를 설정하는 때에는, 이 동적인 하중을 고려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앙기같은 농작업기에 있어서는, 작업장치(모심기 장치)가 롤링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농작업기에는, 잠금기구가 갖추어져 있다. 4련 링크기구가 상한까지 상승한 때에는, 잠금기구는 작업장치의 롤링을 저지하기도 하고, 4련 링크기구의 그 이상의 상승을 강제적으로 저지하기도 한다. 그 때문에 상한위치에 있는 4련 링크기구에는, 잠금기구의 작동력이 부하로서 더해진다. 따라서, 작업장치를 상승시키는 부하와 잠금기구를 작동시키는 부하와의 합력이 유압실린더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 합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의 용량이나 강도를 큰 것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4련 링크기구 및 그것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를 합리적으로 개량함으로써, 유압실린더 및 4련 링크기구를 경량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4련 링크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는, 청구범위 1에 기재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압실린더에는 인장 하중만이 작용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강도를 설정하는 때, 좌굴하지 않은 강도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어진다. 따라서, 인장 하중만이 걸리는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도, 소지름인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서스펜션 스프링은, 그 완충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작업장치에 외부에서 충격력이 작용한 때에는, 충격력이 직접 서스펜션 스프링에 작용하므로, 링크 구성부재의 휨이 경감된다.
유압실린더에는 압축하중도 벤딩하중도 작용하지 않으므로 소지름의 유압실린더로 충분히 된다. 이 때문에, 유압실린더를 포함시킨 4련 링크기구 전체가 경량으로 되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서스펜션 스프링이 효과적으로 완충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4련 링크기구의 변형이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경량이지만 내구성이 높은 4련 링크기구를 가지는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부 링크에는 인장 하중이, 하부 링크에는 압축 하중이, 후방부 세로 링크에는 벤딩 하중이 각각 작용한다. 따라서, 인장 하중만이 걸리는 상부 링크에 있어서는, 좌굴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상부 링크에는 압축하중도 벤딩하중도 작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 링크에 있어서는, 인장 강도만을 고려하는 것만으로 좋다. 그 때문에 상부 링크는, 가는, 혹은 얇은 부재로 충분히 된다. 이것은, 유압실린더를 포함시킨 4련 링크기구 전체의 경량화와, 비용의 일층의 절감과 이어진다.
청구범위 3에 기재된 구성을 가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의 하중은 지지부재를 통해, 후방부 세로 링크와 하부 링크를 연결하는 지점에 작용한다. 결국, 이 하중은 좌우로 나누어지고 나서, 지점축의 단부 가까이 작용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의 하중이 지점축의 중간부에 집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점축에 걸리는 벤딩부하(모멘트)가 적다.
또한, 후방부 세로 링크와 하부 링크를 연결하는 지점과, 지지부재의 지점을 달리 한 경우에는, 양지점 사이로 벤딩 및/또는 비틀림이 발생하는 일이 예측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태는, 양지점을 단일, 공통의 지점축의 위에 위치시키는 것에 따라 회피할 수 있다.
지점축에는 큰 벤딩하중이 걸리지 않기 때문, 지점축을 소지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벤딩도 비틀림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4련 링크기구의 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승강장치가 상승하고 있는 때, 유압실린더에는, 기체의 진동 및/또는 동요에 의해서 동적인 하중이 부가된다. 그러나, 청구범위 4에 기재의 구성으로서는, 4련 링크기구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압실린더가 단축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정적인 하중은, 4련 링크기구가 상승하고 있는 때의 쪽이, 하강하고 있는 때보다도 적다. 그 때문에 전체로서는, 실린더하중이 극단적으로 증대하는 것은 없다.
승강장치의 상승시에 유압실린더에 걸리는 하중이 경감되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강도가 작은 유압실린더를 쓸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유압실린더의 내구성은 높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한위치에서의 4련 링크기구에는, 작업장치를 상승시키는 부하에, 롤링로크를 거는 부하가 가해진다. 그러나 청구범위 5에 기재의 구성을 가한 경우에는, 링크구조 자체에 의해서 상승시의 실린더하중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감소분과, 롤링로크를 거는 부하가 상쇄된다. 그 때문에 전체로서는, 유압실린더에 걸리는 부하가 현저히 커지는 것은 없다.
그 결과, 하강상태와 상승상태와의 사이에서의 유압실린더에 이러한 부하의 변동이 비교적 작아지고, 4련 링크기구의 승강이 원할히 된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회로의 압력변동도 작아진다. 이 때문에, 작업장치를 자동승강하여 작업장치를 지면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에 유지하는 때, 그 제어가 고정밀도로 안정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에 인장 하중만이 걸린다. 여기서 청구범위 6에 기재의 구성을 가한 경우에는, 이 인장 하중은, 유압실린더 전단의 기단 보스를 통해 좌우의 상부 링크의 보스에게 분산한다. 유압실린더 전단의 기단보스 자체는, 비교적 짧다. 그렇지만, 이 기단보스는 좌우의 상부 링크의 보스에게 밖에서 끼움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긴 보스를 갖춘 것과 같다. 그런데도 단일의 지점축이 이것들의 보스에 끼워 통하기 위해서, 인장 하중은, 기단보스와 비교해서 훨씬 긴 지점축으로 분산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은, 지점축의 중앙부에 집중하는 일없고, 실질적으로 긴 보스를 통해 지점축으로 분산한다.
좌우의 상부 링크의 보스를 이용함으로써, 인장 하중이 지점축의 중앙부에 집중하는 구조와 비교하면, 지점축으로 발생하는 벤딩 모멘트가 작아진다. 또한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큰 인장 하중이, 종래보다도 소지름의 지점축으로 지지할 수 있고, 더구나, 지점축은 변형하지 않는다. 이것은 4련 링크기구 전체의 경량화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및 작용효과에 있어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후의 설명을 읽는 것에 따라 분명히 될 것이다.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는, 승용형 이앙기(농작업기의 일례)의 전체측면이 표시되고 있다. 이 이앙기의 주행기체(1)는, 4륜 구동으로 주행한다.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는, 유압실린더(2)에 의해서 승강된 4련 구동으로 주행한다.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는, 유압실린더(2)에 의해서 승강된 4련 링크기구(3)가 설정된다. 4련 링크기구(3)의 후방부에는, 4조심기의 모심기 장치(작업장치의 일례)(4)가 연결된다. 5는, 주행기체(1)의 기체프레임이다. 6은 기체프레임(5)의 후방부에 설정된 좌우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이다. 4련 링크기구(3)는, 각각이 좌우 한쌍의, 상부 링크(7)와 하부 링크(8)와 후방부 세로 링크(9)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링크(7)의 전단은 세로 프레임부(6)에, 지점(P1)을 통해서 피벗연결된다. 하부 링크(8)의 전단은 기체프레임(5)의 좌우에, 지점(P2)을 통해 피벗연결된다. 상부 링크(7)의 후단부는, 지점(P3)을 통해 후방부 세로 링크(9)에 피벗연결된다. 후방부 세로 링크(9)의 하부에는 보스부(10)가 설정되어, 이 보스부(10)에는, 모심기 장치(4)가 연결되어 있다. 모심기 장치(4)는, 전후방향의 축심(X) 주위에 롤링가능하다.
제3도∼제5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링크(7)는, 가는 각파이프재로, 좌우 한쌍이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된다. 양 상부 링크(7)는, 좌우의 세로 프레임부(6)의 사이에 배치되고, 단일, 공통의 지점축(11)에 의해서 연결된다.
하부 링크(8)는 각파이프재로 이루어진다. 각 하부 링크(8)의 전단부에는, 보스(8a)가 용접되어 있다. 보스(8a)는, 지점축(12)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지점축(12)은, 기체프레임(5)의 후방부에, 한쪽 지지형상으로 설치된다. 후방부 세로 링크(9)는, 판금 가공부재로 만들어진다. 후방부 세로 링크(9)는 후방에 개구한 U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후방부 세로 링크(9)의 하단에는 보스부(10)가 용접되어 있고, 후방부 세로 링크(9)의 상단에는 보스(9a)가 관통·고정되어 있다. 7a는 상부 링크(7)의 후단부에 용접된 보스이다. 이것들의 보스(7a)와 보스(9a)는 지점축(1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8b는, 좌우의 하부 링크(8)의 후방부에 용접된 보스이다. 9b는, 후방부 세로 링크(9)의 하부에 용접된 보소이다. 이것들의 보스(8b)와 보스(9b)는, 단일 공통의 지점축(1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유압실린더(2)는 단동형(單動型)의 것이 사용되어 있고, 압유의 공급에 의해서 단축한다. 유압실린더(2)는, 실린더통(2a)과, 실린더통(2a)에서 후방에 향하여 연장된 피스톤 로드(2b)로부터 구성된다. 실린더통(2a)의 전단에는, 기단보스(2c)가 용접되어 있다. 실린더통(2a)의 전단부는, 상부 링크(7)와, 세로프레임(6)과이 연결점에 피벗연결되어 있다. 결국, 실린더통(2a)의 전단부와, 상부링크(7)와, 세로프레임(6)이 지점축(11)을 공용하고 있다. 이것을, 제5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좌우의 상부 링크(7)의 전단부에는, 보스(7b)가 관통·고정되어 있다. 양 보스(7b)의, 내향 단부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것들의 내향 단부에는, 실린더통(2a)의 기단보스(2c)가 긴밀히 밖에서 끼움된다. 이 상태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프레임(6)에 고정된 좌우의 보스(6a)와, 상부 링크(7)의 좌우의 보스(7b)와, 실린더통(2a)의 기단보스(2c)에 걸쳐, 단일, 공통의 지점축(11)이 끼워 통해진다.
제2도∼제3도 및 제6도∼제7도를 참조하면, 15는, 서스펜션 스프링(17)을 받아내는 지지부재이다. 지지부재(1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형의 판재를 평면에서 보아 사다리꼴로 굴곡해서 형성된다. 지지부재(15)의 좌우 양단은, 지점축(14)에 연결되어 있다. 서스펜션 스프링(17)은,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의 좌우 양단에는 보스(15a)가 설치된다. 양 보스(15a)도, 하부링크(8)의 보스(8b)와 후방부 세로링크(9)의 보스(9b)로 지지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의 중앙부에는, 유압실린더(2)의 피스톤 로드(2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통해진다. 16는 스프링받이 와셔이고, 이것은 피스톤 로드(2b)의 일단(지지부재(15)에 끼워 통하는 쪽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서스펜션 스프링(17)은, 스프링받이 와셔(16)와 지지부재(15)의 중아부와의 사이에 설정된다. 18는 부시이고, 이것은, 베어링 금속재 혹은 플락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부시(18)를 지지부재(15)의 중앙부에 갖추는 것에 따라, 피스톤 로드(2b)의 슬라이드 저항이 적어진다. 스프링받이 와셔(16)는, 피스톤 로드(2b)에 장착한 너트(19)에 의해서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 조절에 의해서, 서스펜션 스프링(17)의 완충기능(쿠션기능)이 조정된다.
본 발명의 승강구조는 이상과 같다. 제어밸브(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의해서 유압실린더(2)에 압유가 공급되어 유압 실린더(2)가 단축하면, 4련 링크기구(3)가 상승하여, 모심기 장치(4)가 상승한다. 반대로, 유압실린더(2)로부터 압유가 배출되어 유압실린더(2)가 자유롭게 신장하면, 4련 링크기구(3)가 하강하여, 모심기 장치(4)가 그 자중으로 하강한다. 4련 링크기구(3)에는, 유압실린더(2)의 중립상태(유압실린더(2)의 단축이 정지한 상태)라도, 서스펜션 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한 융통범위내에서 다소는 상하 동작하는 여지가 있다.
제9도는, 4련 링크기구(3)의 각 링크(7, 8, 9) 및 유압실린더(2)에 작용하는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부 링크(7)에는 인장 하중이, 하부 링크(8)에는 압축하중이, 후방부 세로 링크(9)에는 벤딩하중이, 또한 유압실린더(2)에는 인장 하중이 각각 작용한다. 따라서, 인장 하중만이 걸리는 상부 링크(7)는, 인장 하중에 견뎌지는 강도의 가는 부재로 충분하다. 상부 링크(7)를 설계하는 때에, 좌굴까지 고려하는 필요는 없다. 이것은, 유압실린더(2)의 설계에 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유압실린더(2)에는 인장 하중만이 걸리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2b)도 소지름으로 충분하여진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는 평면에서 보아(제3도 참조) 대략 사다리꼴이고, 그 좌우 양단이 지점축(14)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유압실린더(2)로부터 지지부재(15)의 좌우 양단에 작용하는 하중은, 지점축(14)의 단부 가까이 작용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2)의 하중이 지점축(14)의 중간부에 집중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지점축(14)에는 큰 벤딩하중(모멘트)이 걸리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지점축(14)은 소지름인 축으로 충분하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서, 한쌍의 롤링잠금기구(20)에 관해 설명한다. 롤링잠금기구(20)는, 하부 링크(8)의 후단과 모심기 장치(4)의 전방부와의 사이에 설정된다. 롤링잠금기구(20)는, 4련 링크기구(3)가 상승되었을 때의, 모심기 장치(4)의 롤링을 기계적으로 제한한다.
모심기 장치(4)의 전방부에는, 프레임판(21)이 갖추어져 있다. 프레임판(21)의 좌우에는 브래킷(22)이 설정되고, 이 브래킷(22)에 견제로드(23)가 끼워 통하여 있다. 견제로드(23)의 상단에는 금구(23a)가 설치되고, 이 금구(23a)는 상기 하부 링크(8)의 후방연장부(8c)에, 전후방향의 긴 구멍(24)과 핀(25)을 통해 연결된다. 견제로드(23)에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26, 27)이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상측의 코일 스프링(26)은 브래킷(22)의 위에 위치하고, 아래쪽의 코일 스프링(27)은 브래킷(22)의 아래에 위치한다. 28 및 29는, 스프링받이 와셔이다. 스프링받이 와셔(28)는, 상측의 코일 스프링(26)의 상단을 받아낸다. 스프링받이 와셔(29)는, 아래쪽의 코일 스프링(27)의 하단을 받아낸다. 스프링받이 와셔(28)는, 견제로드(23)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받이 와셔(29)는 상하방향의 위치가 조절가능이고, 따라서, 코일 스프링(27)의 하단의 위치가 조절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롤링잠금기구(2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4련 링크기구(3)의 상승에 따라, 하부 링크(8)의 후방연장부(8c)가, 지점축(14) 주위에 윗족으로 요동한다. 이 때문에, 견제로드(23)가 위로 인장된다. 이 상태로 4련 링크기구(3)가 그 상한 가까이 오면, 좌우의 견제로드(23)는 아래쪽의 코일 스프링(27)을 밀착 근처까지 압축한다(제8도 참조). 이것에 의해서 모심기 장치(4)는, 전후방향의 축심(X) 주위에서의 롤링이 불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그 이상의 상승작동도 불가능하게 된다. 또 4련 링크기구(3)의 승강에 따라, 핀(25)은 전후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러나, 이 변위는 전후방향의 긴 구멍(24)에 의해서 흡수되기 때문에, 견제로드(23)의, 브래킷(22)에 대하는 각도는 대략 일정하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견제로드(23)가 브래킷(22)에의 끼워 통하는 부위로 구부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제10도는, 유압실린더(2)의 단축·신장(모심기 장치(4)의 상승·하강)에 따라, 유압실린더(2)에의 하중(부하)의 변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심기 장치(4)가 상승하는 것에 따라서, 유압실린더(2)의 하중은 감소하고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4련 링크기구(3)의 상한으로서는, 강제적으로 롤링로크 및 상한로크를 거는 부하가 가산된다. 그러나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련 링크기구(3) 자체는, 상승시의 쪽이 하중이 작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유압실린더(2)에, 특히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주행기체(1)의 후방부에 작업장치(4)를 연결한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로서, 상기 작업장치(4)의 승강이 유압실린더(2)의 신축에 의한 4련 링크기구(3)의 승강에 의해서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세로 프레임부(6), 상부 링크(7)와 하부 링크(8)와 후방부 세로 링크(9)를 각각 좌우 한 쌍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2)의 일단이, 상기 상부 링크(7)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6)를 연결하는 지점(P1)에 위치하는 지점축(1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의 타단이, 상기 후반부 세로 링크(9)와 상기 하부 링크(8)를 연결하는 지점(P4)에 위치하는 다른 지점축(14)에 대하여, 서스펜션 스프링(17)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2)의 단축에 의해서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상승하고, 상기 유압실린더(2)의 신장에 의해서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스프링(17)을 고정하는 지지부재(15)가, 상기 지점(P4)과 상기 유압실린더(2)와의 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상기 하부링크(8)가 그 후방부에 보스(8b)를 갖추고, 상기 후방부 세로 링크(9)가 그 하부에 보스(9b)를 갖추며, 상기 지지부재(15)가 그 양단에 보스(15a)를 갖추고, 이들 보스(8b, 9b, 15a)를 단일의 지점축(14) 위에서 피벗연결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2)에 작용하는 하중이 해당 유압실린더(2)의 단축에 따라 감소하도록, 상기 4련 링크기구(3)의 구조 및 승강작동범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련 링크기구(3)의 후방부에 상기 작업장치(4)가 롤링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구조가 롤링잠금기구(20)를 더욱 갖추어, 이 롤링잠금기구(20)가, 상기 4련 링크기구(3)가 상한까지 상승한 때에 상기 작업 장치(4)의 롤링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7)가 상기 유압실린더(2)의 좌우 양측에 나누어지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주행기체(1)의 좌우 한쌍의 세로 프레임부(6)의 각각에 보스(6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링크(7)의 각각의 전단에 보스(7b)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의 전단에 기단보스(2c)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보스(6a, 7b, 2c)에 걸쳐 단일의 지점축(11)이 끼워 통해 있고, 또한, 각각의 상기 보스(7b)가 내향으로 돌출하고, 양 보스(7b)에 걸쳐 상기 유압실린더(2)의 상기 기단 보스(2c)가 밖에서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KR1019960066092A 1996-05-02 1996-12-16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KR100242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64196A JP3318195B2 (ja) 1996-05-02 1996-05-02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96-111640 1996-05-02
JP8111640A JPH09294409A (ja) 1996-05-02 1996-05-02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96-111641 1996-05-02
JP19584696A JP3274361B2 (ja) 1996-07-25 1996-07-25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96-195846 1996-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304A KR970073304A (ko) 1997-12-10
KR100242256B1 true KR100242256B1 (ko) 2000-02-01

Family

ID=2731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092A KR100242256B1 (ko) 1996-05-02 1996-12-16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42256B1 (ko)
CN (1) CN10687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751A (zh) * 2018-07-28 2018-12-07 安徽南博机器人有限公司 一种滚刷可调整的洗地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427A (ko) * 1995-06-23 1997-01-24 이덕림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4992U1 (de) * 1988-12-02 1989-01-26 Rabewerk Heinrich Clausing, 4515 Bad Essen Bodenbearbeitungsgerät
JPH0870642A (ja) * 1994-09-09 1996-03-19 Kubota Corp 移植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427A (ko) * 1995-06-23 1997-01-24 이덕림 폴리스티렌 발포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315A (zh) 1997-11-12
KR970073304A (ko) 1997-12-10
CN1068758C (zh) 200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615559C2 (de) Einrichtung zur Begrenzung der Aufwärtsbewegung des Rahmens eines Fahrzeugs relativ zur Antriebsachse
RU2106550C1 (ru) Подвес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ряда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табилиз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US6343661B1 (en) Suspen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US5967597A (en) Vehicle cab suspension
US4640488A (en) Seat suspension
CA1237675A (en) Hydraulic stabilizing system for vehicle suspension
SK117496A3 (en) Suspension with interconnected torsion bars
JPH1016622A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US8186658B2 (en) Scissorless suspension system for a seat assembly and machine using same
US4858950A (en) Vehicle height adjusting device
US5299651A (en) Truck cab suspension system
US4140333A (en) Rear-axle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s
CN110023117A (zh) 车辆用悬架装置
KR100242256B1 (ko) 농작업기의 작업장치 승강구조
CN117279826A (zh) 用于可移动的作业机械的驾驶室的阻尼系统
EP0318438A1 (en) Suspension device for tilting cabs of commercial vehicles
EP1136425B1 (de) Bedienerplatz für mobile Arbeitsmaschinen
JP3274361B2 (ja)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3318194B2 (ja)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3405898B2 (ja)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駆動構造
CA2313900C (en) Suspen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JP3318195B2 (ja)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H09294409A (ja)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H1033011A (ja) 農作業機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S62369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