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092B1 -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092B1
KR100242092B1 KR1019920011017A KR920011017A KR100242092B1 KR 100242092 B1 KR100242092 B1 KR 100242092B1 KR 1019920011017 A KR1019920011017 A KR 1019920011017A KR 920011017 A KR920011017 A KR 920011017A KR 100242092 B1 KR100242092 B1 KR 10024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lephone line
telephone
signal
dat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643A (ko
Inventor
미호지 쭈무라
신노스케 타니구치
Original Assignee
츠무라 미호지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무라 미호지, 가부시키가이샤 리코스 filed Critical 츠무라 미호지
Priority to KR101992001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092B1/ko
Publication of KR94000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서로 다른 카데고리의 신호를 가입자(30)의 가정으로 전송하는 순서를 고안하여, 1회선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면서 정보전달기능을 확대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화국의 교환기(21)와 가입자의 가정(30)에 설치된 전화기(31)를 연결하는 전화 회선(40)의 유휴 시간에는, 이 전화 회선(40)을 이용하여 전화국(20)의 외부에 설치된 센터(10)로부터 가입자의 가정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를 전재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대응해서 센터(10)에는, 서로 연관되는 소정의 갯수의 데이터군으로 구성된 복합데이터를 복수개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12)와,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면서 1개의 복합데이터에 기억된 데이터군을 차례대로 판독하여 아나로그화 하며, 아나로그화 된 데이터를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키는 송신수단(13)을 설치한다.
그리고, 가입자의 가정(30)에는 전화 회선(40)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틀화 하며, 소정의 갯수의 데이터군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각 데이터군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수신장치(32)와 수신장치(32)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각 데이터군과 대응하여 작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단말기(3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센터(10)에서는 음악과 화상이라고 하는 서로 다른 카데고리의 데이터군을 전송하고, 가입자의 가정(30)에서는 이들의 서로 다른 데이터군을 조합하여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1회선의 전화 회선(40)을 이용한 정보전달기능을 확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럭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터 11,11′,11″ : 센터기기
12 : 데이터 베이스 20 : 전화국
21 : 교환기 22 : 전화국용 교환장치
30 : 가입자의 가정 32 : 수신장치
33 : 단말기
본 발명은, 전화국 교환기와 전화 가입자 사이에 연결된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유휴 시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신은 전화국 교환기와 가입자의 전화기를 전화선으로 서로 연결하므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전화기의 수화기를 혹스위치로부터 들면, 전화국 교환기와 가입자의 전화기를 연결하는 전화선에 의해 폐회로가 형성되며, 상기한 폐회로를 매개체로 하여 전송되는 신호는 음성 신호로 변화된다.
종래로부터 전화 회선의 유휴 시간을 이용하여 음악 등의 발송 데이타를 가입자의 가정으로 일방전송(unidirectional transmission)하는 데이타 전송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장치로는, 전화국의 외부에 설치된 센터에 음성이나 음악 등의 아나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센터기기를 설치하고, 전화국에 설치된 전화국용 교환장치는 가입자의 전화 회선을 교환기나 또는 센터기기중에서 선택하여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며, 가입자의 가정에는 스피커가 내장된 가정용 장치를 전화 회선에 접속시켜서 설치하므로써, 가입자의 가정에 설치된 수화기를 훅스위치로부터 들면 전화국용 교환 장치를 교환기쪽으로 전환시켜서 전화통화를 가능한 상태로 하며, 수화기를 훅스위치에 올려놓아 전화회선이 유휴상태로 되면, 전화국용 교환장치를 센터쪽으로 전환시켜서 센터기기로부터의 방송신호를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각 가입자의 가정에 설치된 가정용 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실제로는 복수의 센터기기를 하나의 전화국용 교환장치에 접속시키고 있으며, 각 가입자의 가정에 설치되는 가정용 장치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해 전화국용 교환장치의 ON/OFF와 교환기기의 선택(채널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센터기기로부터의 방송신호로는, 상기한 음악이나 음성 이외에 예컨데, 문자나 화상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정용 장치로 화상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방송신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그 선택은 한 종류로 한정된다.
예컨데, 음악과 화상이라고 하는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방송신호를 송신하지만, 가입자의 가정에 설치된 가정용 장치에서는 이들 방송신호를 조합하여 출력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정보전달의 확대가 요구되는 상황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센터로부터 송신되는 서로 다른 카테고리의 신호를 가입자의 가정으로 전송하는 순서를 고안하여, 1회선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면서 정보전달기능을 확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화국의 교환기와 가입자의 가정에 설치된 전화기를 연결하는 전화 회선의 유휴 시간에는, 이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전화국의 외부에 설치된 센터로부터 가입자의 가정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장치를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에 대응해서 센터에는, 서로 연관되는 소정의 갯수의 데이터군으로 구성된 복합데이터를 복수개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면서 1개의 복합데이터에 기억된 데이터군을 차례대로 판독하여 아나로그화 하며, 아나로그화된 데이터를 전화 회선으로 출력시키는 송신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가입자의 가정에는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틀화 하며, 소정의 갯수의 데이터군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각 데이터군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수신수단과, 수신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각 데이터군과 대응하여 작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단말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센터에서는 송신수단이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면서 1개의 복합데이터에 기억된 데이터군을 차례대로 판독하여 아나로그화 하며, 아나로그화 된 데이터를 전화 회선으로 출력시킨다.
한편, 가입자의 가정에는, 수신수단이 전화 회선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틀화 하며, 소정의 갯수의 데이터군으로부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각 데이터군을 동시에 출력시키고, 이들 각 데이터를 수신한 각각의 단말기가 각각 작동한다.
그러므로, 예컨데, 센터에서는 음악과 화상이라고 하는 사로 다른 카테고리의 데이터군을 전송하고, 가입자의 가정에서는 이들의 서로 다른 데이터군을 조합하여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1회선의 전화 회선을 이용한 정보전달기능을 확대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타 전송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20)은 전화국을, (30)은 가입자의 가정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한 전화국(20)에는 교환기(21)가, 상기한 사용자의 가정(30)에는 전화기(3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교환기(21)는 아나로그 전화 회선(40)을 매개체로 하여 전화기(31)와 연결되어 있다.
전화기(31)의 수화기를 훅스위치로부터 돌면 상기한 교환기(21)와 상기한 전화기(31) 사이에는 상기한 전화 회선(40)에 의해 폐회로가 형성되면서, 폐회로를 매개체로 하여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10)은 상기한 교환기와는 별도로 설치된 센터이며, 상기한 센터에는 제1센터기기(11), 제2센터기기(11′) 및 제3센터기기(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각 센터기기는 음성신호나 음악신호가 포함된 방송신호의 전송에 사용된다.
다음에 제1센터기기(1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데이터 베이스(12)
데이터 베이스(12)에는, 서로 관련이 있는 2개의 데이터군 X와 Y로 만들어지는 복수 항의 복합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데이터군으로 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복합데이터의 각 항이 3개 이상의 데이터군으로 되어도 좋으며, 중요한 것은, 센터(1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카테고리의 수 만큼 설정되면 좋다. 또, 데이터 베이스(12)는 모드 제어데이터의 기억에도 사용된다.
(2) 송신수단(13)
송신수단(13)은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여서, 동기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복합데이터 항의 신호의 순서에 따라서 데이터군 X와 Y를 판독하고, 상기한 데이터를 아나로그 방송신호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한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비동기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한 송신수단(13)은 데이터군 X와 Y중의 적당한 것을 판독하고, 아나로그 방송신호로 변환시켜서 상기한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킨다.
전송수단(40)은 다음의 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① 제1송신기(13a)
제1송신기(13a)는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여, 한 쪽의 데이터군 X를 판독하고 출력시킨다.
② 제2송신기(13b)
제2송신기(13b)는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여, 한 쪽의 데이터군 Y를 판독하고 출력시킨다.
③ 송신제어기(13c)
송신제어기(13c)는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여 모드 제어데이터를 판독하며, 모드 제어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제1송신기(13a)로부터의 출력과 제2송신기(13b)로부터의 출력 사이에서 변환시킨다.
또, 송신제어기(13c)는 데이터군 X와 Y의 송신시간을 계산하고, 상기한 데이터군 X와 Y의 판독 및 송신을 명령한다.
상기한 모드 제어데이터의 제어를 받는 2가지의 작동모드는 동기모드와 비동기모드가 있다.
동기모드에서는 데이터군 X와 Y를 차례대로 송신하는 반면에, 비동기모드에서는 상기한 데이터군 X와 Y가 복합해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전송된다.
④ 모뎀(13d)
모뎀(13d)은 제1송신기(13a)와 제2송신기(13b)로부터 수신한 디지틀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고, 그들 신호를 방송신호의 형태로 하여 상기한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킨다.
한편, 전화국(20)에는 전화 회선(40)을 교환기(21)나 또는 세종류의 센터기기(11,11′,11″)(제1센터기기(11)인 경우에는 모뎀(13d)을 거쳐서)중의 한 곳으로 전환 및 연결시키는 전화국용 교환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가입자의 가정(30)에는 다음과 같은 장치가 설치된다.
(1) 수신장치(32)
수신장치(32)는 상기한 전화 회선(40)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나로그 방송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시키기고, 데이터군 X와 Y가 모두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상기한 데이터군을 모두 동시에 출력시킨다.
수신장치(32)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① 모뎀(32a)
모뎀(32a)은 전화 회선(40)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나로그 송신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시킨다.
② 수신기(32b)
상기한 모뎀(32a)으로부터 방송신호 형태의 데이터군 X와 Y를 수신하였을 때, 동기모드이며, 수신기(32b)는 먼저, 제1데이터군 X를 일시적으로 버퍼에 기억시킨 후, 제2데이터군 Y를 제2버퍼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데이터군 Y의 입력완료를 트리거로 하고, 데이터군 X를 제1단말기(33a)로, 데이터군 Y를 제2단말기(33b)로 각각 출력시킨다. 또, 상기한 수신기(32b)는 상기한 방송신호로부터의 모드 제어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제어기(32c)로 출력시킨다.
비동기모드인 경우에는, 상기한 모뎀(32a)으로부터의 각 데이터군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한 수신기(32b)는 데이터군 X와 Y중의 하나를 해당하는 단말기(33a 또는 33b중의 한 곳)으로 송신한다.
③ 동기제어기(32c)
수신기(32b)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면, 모드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제1단말기(33a)와 제2단말기(33b)의 작동개시를 지시한다.
즉, 동기모드에서는 수신기(32b)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완료 신호를 받는 즉시 동기제어기(32c)는 제2단말기(33b)에 작동개시를 지지한다.
또, 제1단말기(33a)의 클럭신호와 동기화된 펄스를 제2단말기용 클럭신호로 하여 제2단말기로 송신한다.
(2) 단말기(33)
상기한 수신기(32b)로부터 수신되는 각 데이터군 X와 Y에 따라, 데이터군 X에 대해서 제1단말기(33a)가, 데이터군 Y에 대해서 제2단말기(33b)가 각각 작동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수화기를 훅스위치로부터 들면, 전화국용 교환장치(22)를 교환기쪽으로 전환시켜서 통화가 가능하며, 수화기를 훅스위치에 올려놓는 등의 전화기의 유휴 시간에는 전화국용 교환장치(22)를 교환기기 쪽으로 전화시켜서 3개의 센터기기(11,11′,11″)중의 어느 한 센터기기로부터 발신되는 방송신호를 전화 회선(40)을 사용하여 2개의 단말기(33a), (33b)로 전송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기(33a), (33b)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해 전화국용 교환장치(22)의 ON/OFF와 교환기기의 선택(채널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센터기기를 선택하면, 동기모드인 경우에는 송신기(13a), (13b)가 데이터 베이스(12)에 기억된 1개의 복합데이터로부터 데이터군 X와 Y를 차례대로 판독한 후, 모뎀(13d)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이 방송신호를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킨다.
가입자의 가정에서는, 모뎀(32a)에서 방송신호가 디지틀 신호로 변환되며, 수신기(32b)에서 2개의 데이터군 X와 Y의 입력이 완료되면, 각 데이터군 X와 Y를 동시에 출력시켜서 각 데이터군에 해당하는 단말기(33a) (33b)를 각각 작동시칸더,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센터(10)로부터 서로 관련되는 데이터 X와 Y를 송신하고, 가입자의 가정(30)에서는 이들 데이터군 X와 Y를 서로 연계시켜서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1회선의 전화회선(40)을 이용한 정보전달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장치의 다중번지성(multiple addressing capacity)을 이용하여 모든 단말기로의 송신신호를 일회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호 관련되는 데이터군 X와 Y로는, 예컨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MIDI 데이터
예컨데, 카라오케(カラオケ)용 음악 데이터이다.
② 문자/화상 데이터
예컨데, 카라오케용 문자/화상 데이터이다.
③ 사용요금
④ 곡명 목록
구체적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라오케용 MIDI 데이터를 데이터군 X로 하고, 카라오케용 문자/화상 데이터를 Y로 하는 경우에는, 제1단말기(33a)에는 MIDI 음원(sound source)을, 제2단말기(33b)에는 문자/화상 표시장치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면, 센터(10)에서는 카라오케용 한 쌍의 데이터 MIDI 데이터와 문자/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가입자의 가정(30)에서는, MIDI 데이터는 MIDI 음원에, 문자/화상 데이터는 문자/화상 표시장치에 동기시켜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카라오케의 기능을 양호한 상태로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문자/화상 표시장치로는 다음과 같은 2종류가 있다.
(A) 문자 전용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이 장치는, 문자표시 제어기와 문자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문자표시제어기는 다음과 같은 제어를 실시한다.
① 수신된 문자 데이터와 문자용 표시제어 데이터를 버퍼에 기억시킨다.
②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표시제어 데이터를 발췌한다.
③ 발췌한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문자나 도트 매트릭스로 표시된 기호를 표시하도록 문자표시기를 제어한다.
④ 비동기모드인 경우에는,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는 즉시, 표시를 시작한다.
⑤ 동기모드인 경우에는, 동기제어기의 표시시작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시작한다.
⑥ 표시가 시작된 후에는,동기제어기의 클럭신호에 따라서 동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문자표시기는 발광다이오드 매트릭스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로써, 문자이외에 간단한 기호도 표시할 수 있다.
(B) 문자와 화상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장치
이 장치에는 표시제어기와 CRT표시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표시제어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어가 실시된다.
① 수신된 문자/화상 데이터와 표시제어 데이터를 버퍼에 기억시킨다.
② 수신된 데이터에서 표시제어 데이터를 발췌한다.
③ 발췌한 데이터에 따라서 문자 도트 매트릭스로 표시된 기호를 표시하도록 CRT 표시기를 제어한다.
④ 동기모드인 경우에는, 동기제어기의 표시시작 신호에 따라서 표시를 시작한다.
⑤ 표시가 시작된 후에는, 동기제어기의 클럭신호에 따라서 동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CRT 표시기는 디지틀 입력이 가능한, 공지의 CRT 표시기이다. 그리고, MIDI 데이터에 의한 방송 대신에 PCM 방식에 의한 방송을 설치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전화국의 교환기(21)와 가입자의 가정(30)에 설치된 전화기(31)를 연결하는 전화 회선(40)의 유휴 시간에, 이 전화 회선(40)을 이용하여, 전화국(20)의 외부에 설치된 센터(10)로부터 가입자의 가정(30)으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전화 회선(40)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센터(10)는 ① 서로 연관되는 소정이 갯수의 데이터군으로 된 복합데이터를 복수개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12)와, ②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면서 1개의 복합데이터에 기억된 데이터군을 차례대로 판독하여 아나로그화 하여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키는 송신수단(13)으로 구성되며, 가입자의 가정(30)에 설치되는 장치는, ③ 상기한 전화 회선(40)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틀화 하며, 소정의 갯수의 데이터군의 입력이 완료되면 각 데이터군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수신장치(32)와, ④ 상기한 수신장치(32)로부터의 신호를 출력을 수신하여 각 데이터군과 대응하여 작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단말기(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송신수단(13)은, ①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12)를 참조하면서 대응하는 데이터군을 판독하여 출력시키는 복수의 송신기(13a), (13b), ② 각 데이터군의 송신시간을 계산하여, 각 송신기로 데이터군의 판독 및 송신을 지시하는 송신제어기(13c), ③ 상기한 각 송신기로 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아나로그 방송신호로 변환시켜서 전화 회선(40)으로 출력시키는 모뎀(13d)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수신장치(32)는 ④ 상기한 전화 회선(4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송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변환시키는 모뎀(32a), ⑤ 상기한 모뎀(32a)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방송신호의 데이터군을 각각 별도의 버퍼에 저장하고, 최후의 데이터군의 입력완료를 트리거로 하여서, 각 데이터군을 대응하는 단말기(33)로 각각 출력시키는 수신기(32b), ⑥ 상기한 수신기(32b)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각 단말기(3a), (33b)의 작동개시를 지시하는 동기제어기(32c)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데이터 베이스(12)에는 모드 제어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한 송신제어기(13c)는 상기는 데이터 베이스(12)로부터 상기한 모드 제어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모드 제어제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동기모드인 경우에는 데이터군을 차례대로 송신하며, 비동기모드인 경우에는 데이터군을 복합시키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송신하도록 각 송신기(13a), (13b)의 출력을 전환시키는 기능이 있고, 상기한 수신기(32b)는 동기모드인 경우에는, 방송신호의 데이터군을 각각 별도의 버퍼에 기억시키며, 최후의 데이터군의 입력완료를 트리거로 하여 각 데이터군을 대응하는 단말기(33a), (33b)로 출력시키고, 동시에, 방송신호중의 모드 제어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시키며, 비동기모드인 경우에는, 1개의 데이터군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데이터군에 대응하는 단말기(33a와 33b 중의 한 곳)로 출력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상기한 동기제어기(32c)는 모드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동기모드인 경우에는, 수신기(32b)로부터 데이터 입력완료 신호를 받는 즉시 각 단말기(33a), (33b)에 작동시작을 지시하며, 각 단말기(33a), (33b)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동기화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데이터군은 카라오케용 MIDI 데이터이며, 제2데이터군은 카라오케용 문자/화상 데이터이고, 제1단말기가 상기한 MIDI 데이터를 수신하는 MIDI 음원이며, 제2단말기가 상기한 문자/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문자/화상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KR1019920011017A 1992-06-24 1992-06-24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KR10024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017A KR100242092B1 (ko) 1992-06-24 1992-06-24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017A KR100242092B1 (ko) 1992-06-24 1992-06-24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43A KR940001643A (ko) 1994-01-11
KR100242092B1 true KR100242092B1 (ko) 2000-02-01

Family

ID=1933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017A KR100242092B1 (ko) 1992-06-24 1992-06-24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0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643A (ko) 199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536E (en) Call management system with protocol converter and port controller
US4893310A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US4740955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voice and digital data capability and employing a plurality of voice and data buses in main service unit and serial packetized transmission to and from telephones
EP0238257B1 (en) Integrated calling directory
US4140877A (en) Muliple highway time division multiplexed PABX communication system
KR860008668A (ko) 비데오회의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되는 작업 스테이션 및 그 인테페이스 방법
US3585306A (en) Tandem office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EP0331838B1 (en) Digital key telephone system
US5027341A (en) Station line switching control system
US5353337A (en)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by telephone line
KR100242092B1 (ko) 전화 회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장치
JP2898739B2 (ja) オフトーク通信装置
JPS58179062A (ja) 送受信兼用型フアクシミリ装置
JP3454923B2 (ja) 制御信号伝送方法及び構内交換機システム
JPS5619265A (en) Automatic transfer control system
EP0578860A1 (en)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by telephone line
JP3783274B2 (ja) 通信端末
KR10042462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언어 선택 방법
KR950014624B1 (ko) 피씨엠 음성신호 교환장치
KR0178253B1 (ko) 키폰전화기의 버튼확장장치
JP3206000B2 (ja) 静止画像伝送装置
JPH01291561A (ja) 構内交換機
JPH0591196A (ja) 電話交換機
JPH02122793A (ja) キーテレホンシステム
JPH0379145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