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726B1 -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726B1
KR100241726B1 KR1019970039049A KR19970039049A KR100241726B1 KR 100241726 B1 KR100241726 B1 KR 100241726B1 KR 1019970039049 A KR1019970039049 A KR 1019970039049A KR 19970039049 A KR19970039049 A KR 19970039049A KR 100241726 B1 KR100241726 B1 KR 10024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personal computer
unit
main processing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485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7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유니트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시스템을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및 확장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시스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주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교환 시스템에 내장되고 교환 시스템의 각 유니트들과 시스템버스를 통해 접속되며 유니트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하며 그에 따라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응되게 해당 유니트를 구동하는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와, 교환 시스템의 외부에서 통신 버스를 통해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와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보드를 구비하며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른 메시지를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교환 시스템에서 주 제어장치로 이용한다.

Description

교환 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 시스템의 각종 유니트(unit)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 시스템은 각종 전용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제어 유니트들과, 필요시 개개의 보조 기능만 전용으로 수행하는 보조 유니트들과, 이 유니트들을 제어하는 주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보조 유니트들은 주변(peripheral) PBA(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로 제공된다. 이러한 교환 시스템은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그에 따라 주 제어장치도 시스템 내부에 내장하여 시스템 내부에서 주 제어 처리를 하는 방식을 채용하여 왔었다.
이러한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주 제어장치로 사용되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에 채용되는 OS(Operating System)는 전용성을 가진다. 그리고 시스템의 확장은 시스템 버스를 확장하거나 I/O(Input/Output) 제어 유니트를 거쳐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추가할 때 메인 프로세서의 업그레이드(upgrade)가 필수적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교환시스템은 전용의 주 제어장치가 내장됨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시킬 때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게 될 뿐만아니라 비용도 많이 든다. 또한 소프트웨어(software)도 전용 OS만을 사용함으로써 해당 교환 시스템의 구조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면 개발하기 곤란하고, 그에따라 소프트웨어의 폐쇄성을 가지기 때문에 기능 업그레이드를 할 때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곤란하며, 시스템 구조가 달라지는 경우 각종 보드(board)들도 그에따라 달라져야만 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교환 시스템내에 전용의 주 제어장치를 내장함에 따라 업그레이드 및 확장이나 다양한 시스템 기능을 구현이 곤란하며 시스템 구조가 달라지는 경우 각종 보드들도 달라져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을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및 확장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시스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주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내의 각종 보드들을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 구조하에서도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주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 시스템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보인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의 상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의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 시스템에 내장되고 교환 시스템의 각 유니트들과 시스템버스를 통해 접속되며 유니트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하며 그에 따라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응되게 해당 유니트를 구동하는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main processing unit)와, 교환 시스템의 외부에서 통신 버스를 통해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와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보드를 구비하며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른 메시지를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하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 시스템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통상적인 교환 시스템에 전용의 주 제어장치를 내장시키는 대신에 교환 시스템의 외부에 PC를 연결하여 주 제어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PC(100)는 범용 PC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미합중국 인텔(INTEL)사의 32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 80486급 이상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채용한 PC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PC(100)에 시스템 제어보드(102)를 내장시킴과 아울러 통상적인 교환 시스템에서 주 제어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설치(install)한다. 시스템 제어보드(102)는 통신 버스(110)를 통해 다수의 교환 시스템(104∼108)과 연결된다.
그리고 교환 시스템(104)은 서로간에 시스템 버스(124)를 통해 접속되는 T1 제어 유니트(114)와 E1 제어 유니트(116)와 I/O 제어 유니트(118)와 라인 프로세싱 유니트(120)를 가지며, 라인 프로세싱 유니트(120)에는 다수의 라인 카드(122)가 접속되어 구성되는 통상적인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주 제어장치 대신에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를 가진다. T1 제어 유니트(114)와 E1 제어 유니트(116)와 I/O 제어 유니트(118)와 라인 프로세싱 유니트(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 제어 유니트들에 해당하는데,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는 이들과 시스템 버스(124)를 통해 접속되며, 통신 버스(110)를 통해 PC(100)의 시스템 제어보드(102)에 연결된다. 나머지 교환 시스템들(106,108)도 비록 그 구체적인 구성은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교환 시스템(104)의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와 마찬가지로 기능 제어 유니트들과 통신 버스(110)에 연결되는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를 가진다.
상기 통신 버스(110)는 PC(100)와 교환 시스템들(104∼108)간을 연결하는 통신 포트로서 네트워킹(networking)이 용이한 LAN(Local Area Network)이나 JTAG 버스등을 사용 가능하며, 이 경우 10Mbps 이상의 전송이 가능하다. 도 1에서 통신 버스(110)는 LAN을 사용한 예를 보인 것이며, 그에 따라 시스템 제어보드(102)는 상용 LAN 카드를 사용한다.
도 2는 상기한 메인 처리 유니트(112)의 상세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버퍼(200)와 LAN 인터페이스(202)와 LAN 콘트롤러(204)와 CPU(206)와 메모리부(208)로 구성하며, 버퍼(200)와 LAN 콘트롤러(204)와 CPU(206)와 메모리부(208)는 버스(216)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버퍼(200)는 시스템 버스(124)를 통해 도 1의 유니트들(114∼120)과 접속된다. LAN 인터페이스(202)는 통신 버스(110)를 통해 PC(100)의 시스템 제어보드(102)와 접속되고, LAN 콘트롤러(204)는 LAN 인터페이스(202)와 접속된다. 메모리부(208)는 CPU(206)의 프로그램 및 참조데이터를 저장하는 롬(ROM: Read Only Memory)(210)과, CPU(206)의 처리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212) 및 D 램(Dynamic RAM)(214)으로 구성한다. D 램(214)은 주로 CPU(206)의 LAN 프로세싱에 이용된다. CPU(206)는 버퍼(200)를 통해 유니트들(114∼120)로부터 각종 이벤트(event)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LAN 콘트롤러(204)를 통해 PC(100)로 전송하며 PC(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대응되게 해당 유니트를 구동한다.
상기한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는 통상적인 교환 시스템의 주 제어장치와 비교할 때 자체 처리기능은 없고, 유니트들(114∼120)로부터의 이벤트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여 PC(100)로 전송하고 PC(100)로부터 메시지를 받아서 관련 유니트를 구동시키는 기능만을 가진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의 CPU(206)의 처리 흐름도를 보인 도 3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100)의 처리 흐름도를 보인 도 4를 참조하면, 유니트들(114∼12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될 때 CPU(206)는 도 3의 (3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302)단계에서 이벤트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여 PC(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PC(100)는 도 4의 (400)단계에서 교환 시스템(104)의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402)단계에서 이벤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른 메시지를 (404)단계에서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의 CPU(206)는 (304)단계에서 PC(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대응되는 유니트를 구동시킨다.
참고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라인 카드(122)의 한 가입자로부터 전화가 와서 T1 선로를 통해 대국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예를 든다. 이러한 경우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어 훅크 오프(hook off)하면,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라인 프로세싱 유니트(120)가 그 상태를 인지한다. 그리고 라인 프로세싱 유니트(120)가 상태 인지에 따른 결과를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로 전송하면,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는 가입자의 훅크 오프를 알리는 메시지를 통신 버스(110)를 통해 PC(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PC(100)는 훅크 오프 관련 정보를 입수하고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에 메시지를 보내어 라인 제어 유니트(120)에 지시하여 가입자로부터 다이얼에 따라 입력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에 PC(100)는 그 결과에 따라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112)에 메시지를 보내 T1 제어 유니트(114)를 구동하여 가입자를 대국과 연결시킨다.
따라서 PC(100)에 의해 통상적인 주 제어장치의 기능이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이때 PC(100)는 교환 시스템(104)와 분리되어 있으므로 교환 시스템(104)내의 각종 보드들은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 구조하에서도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신 버스(110)로서 LAN이나 JTAG 버스와 같은 개방형 구조(open architecture)를 적용함으로써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OS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전용의 OS만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PC(100)를 이용함에 따라 DOS(Disk Operating System)나 윈도즈(Windows)와 같은 상용 OS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용 네트워킹 접속을 위하여 시스템 제어보드(102)로서 상용 카드를 사용 가능함으로써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PC(100)에 다수의 교환 시스템(104∼108)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필요한 경우 1개의 교환 시스템마다 PC(100) 1대씩 전용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C를 주 제어장치로 이용함에 따라 시스템을 용이하게 업그레이드 및 확장시킬 수 있고 다양한 시스템 기능을 구현할 있으며 시스템내의 각종 보드들을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 구조하에서도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환 시스템에 내장되고 상기 교환 시스템의 각 유니트들과 시스템버스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유니트들로부터 각종 이벤트 발생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전송하며 그에 따라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응되게 해당 유니트를 구동하는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와,
    상기 교환 시스템의 외부에서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와 연결되는 시스템 제어 보드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상기 메시지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른 메시지를 상기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로 전송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가, LAN임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가,
    상기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기 유니트들과 접속되는 버퍼와,
    상기 LAN을 통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시스템 제어보드와 접속되는 LAN 인터페이스와,
    상기 LAN 인터페이스와 접속되는 LAN 콘트롤러와,
    상기 버퍼를 통해 상기 이벤트들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메시지를 상기 LAN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응되게 해당 유니트를 구동하는 CPU와,
    상기 CPU의 프로그램 및 참조데이터를 저장하며 처리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버스가, JTAG 버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가, 상기 통신 버스를 통해 다른 교환 시스템의 메인 프로세싱 유니트에도 공통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KR1019970039049A 1997-08-16 1997-08-16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KR10024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49A KR100241726B1 (ko) 1997-08-16 1997-08-16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49A KR100241726B1 (ko) 1997-08-16 1997-08-16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5A KR19990016485A (ko) 1999-03-05
KR100241726B1 true KR100241726B1 (ko) 2000-02-01

Family

ID=1951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49A KR100241726B1 (ko) 1997-08-16 1997-08-16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7195A (zh) * 2012-11-22 2013-04-24 北京中创信测科技股份有限公司 七号信令采集系统时隙/数据交换控制器及其实现方法
KR20190057492A (ko) 2017-11-20 2019-05-29 이존구 회전의자가 구비된 접철식 낚시좌대
KR102466527B1 (ko) 2022-03-31 2022-11-11 최광수 폴딩타입 좌대를 갖는 낚시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5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1815B2 (ja) 専用コントローラ無しで動作する集積化modem
US6799225B2 (en) Controllerless modem
JP3007907B2 (ja) プログラム可能な通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通信交換機構
US5678059A (en) Technique for time-sharing a microprocessor between a computer and a modem
US6081856A (en) Adapter and method for emulating the operation of a peripheral device of a computer
US5864710A (en) Controllerless modem
US5119088A (en)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eripheral equipment with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CN114064234B (zh) 修复wmi服务的方法和装置
KR100241726B1 (ko) 교환시스템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주 제어장치
US5729601A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having separated exchange unit and general-purpose control unit
CN101296132A (zh) 一种监测网卡的方法、系统及一种监测装置
US6647100B1 (en) Universal Serial Bus datapump command interpreter
KR100255421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데이터처리용통합단말장치및방법
CN114610668B (zh) 一种智能串口屏与bmc交互的方法及装置
CN113867787A (zh) 一种服务器网卡之间的切换系统和方法
JP3465637B2 (ja) 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KR0168946B1 (ko) 이더넷을 이용한 전전자 교환기의 제어계 부팅 방법
KR100388971B1 (ko) 키폰 시스템의 주변보드의 폴페일시 처리 장치 및 그방법
JP4174272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
KR0145479B1 (ko) 키폰시스템에서 동작프로그램 확인가능모드 구현방법
JP353313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960013979B1 (ko) 병렬처리 소프트웨어 구조에서 알.2 신호방식의 입중계선 점유 제어방법
KR100279212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일반가입자의비정상상태경보장치와그방법
KR10021081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핸들러 리셋 장치
KR20010028249A (ko) Isdn 기본 가입자 인터페이스 블록에 있어서 제어보드와 가입자보드간의 통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