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280B1 -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280B1
KR100241280B1 KR1019970044752A KR19970044752A KR100241280B1 KR 100241280 B1 KR100241280 B1 KR 100241280B1 KR 1019970044752 A KR1019970044752 A KR 1019970044752A KR 19970044752 A KR19970044752 A KR 19970044752A KR 100241280 B1 KR100241280 B1 KR 100241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weight
low
oil composition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224A (ko
Inventor
유성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28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280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저 증발형 엔진오일(low evaporation type engine oil)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소정제형 또는 특수정제형 석유를 기유(base oil)로 사용하고, 그 외 점도지수 향상제, 마찰특성 조정제, 산화 방지제, 내마모제, 청정분사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한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연기관에 사용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low evaporation type engine oil)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정제형 또는 특수정제형 석유를 기유(base oil)로 사용하고, 여기에 점도지수 향상제, 마찰특성 조정제, 산화 방지제, 내마모제, 청정분사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한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엔진오일이란 자동차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에서 피스톤의 섭동시 발생되는 마찰을 줄여주는 윤활 작용, 엔진의 각 부분을 냉각, 청소 및 방청하는 작용과 연소실에서의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엔진오일은 크랭크 기구 및 각종 엔진 부위의 윤활 기능 및 냉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당한 점도 특성, 고하중에서의 윤활 성능인 극압성, 산화안정성 및 마찰 특성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당한 특성을 가지는 기유와 첨가제 등이 알맞게 배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작용을 하는 엔진오일은 1) 저온에서 원하는 점성도를 얻고 휘발성을 제한하기 위한 유체성분, 2) 초기 점성도(VI)를 개선하기 위한 고 함량의 점도지수 개선제 및 3) 다른 윤활기능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여러 첨가제 등이 필요하다. 내연기관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엔진오일 조성물은 여러 특성들 즉, 열안정성, 내산화성, 저휘발성, 저온시동 및 최대 운전조건에서 우수한 윤활성을 나타내기에 적합한 점성도 등의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우수한 유성(oilness)을 가져야 하며, 적정한 점도(viscosity) 특성을 가져야 하며, 산화에 대한 안전성(stability)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엔진오일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엔진오일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SAE (자동차 기술자 협회 :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ASTM (미국 재료 시험 협회 : formly 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및 API (미국 석유 기구 :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등의 여러 기관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기관들에 의하여 수년 동안 엔진오일에 관한 여러 표준들이 설정되고 개량되어 왔다.
기존의 엔진오일은 용제 정제형 및 수소정제형의 석유계 기유를 2∼3 종류 혼합한 기유에 점도지수 향상제, 마찰조정제, 내마모제, 산화방지제 및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얻은 엔진오일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용제 정제형 및 수소정제형의 석유계 혼합 기유를 사용한 엔진오일은 탄소수가 낮은 오일성분과 탄소수의 범위가 넓은 오일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엔진작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면서 탄소수가 낮은 오일성분 중 일부는 증발하여 연소가스와 혼합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기유의 증발로 엔진오일의 양이 부족하게 되면 엔진의 섭동부위에 충분한 윤활유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엔진의 마모 및 윤착 등의 작동불량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온에서 작용하는 엔진오일에 있어서 요구되는 물성들을 연구해 오던 중, 탄소수가 낮은 오일성분이 가능한 함유되지 않도록 탄소수의 범위가 좁은 수소정제형 및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를 1∼2 종 혼합한 기유와 각종 첨가제를 함유한 저 증발형 엔진오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정제형 및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를 1∼2 종 혼합한 기유에 각종 첨가제를 포함한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소정제형 및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를 1∼2 종 혼합한 기유에 점도지수 향상제, 마찰특성 조정제, 산화 방지제, 내마모제, 청정분사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이 포함된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탄소수가 낮은 성분이 가능한 함유되지 않도록 탄소수 범위가 좁은 수소정제형 및 특수정제형 기유를 1∼2 종 혼합한 기유가 사용된다.
엔진오일은 고온, 고압의 극한 조건에서 오일 자체의 변성이 적고 점도가 일정해야 하므로, 기유 중에 내열성이 좋은 이소파라핀(iso-paraffin)이 다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석유계 기유를 수소정제(hydro-cracking)하여 이소파라핀이 30∼50 중량% 정도 함유되도록 이성화(isomerization) 처리한 기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소정제 후 용제탈납을 실시하여 유동점이 -25℃가 되도록조절하고, 탄소수가 20 이하인 저 탄소수의 오일성분을 제거하여 탄소수가 C20∼C50이 되도록 증류분류(distillation)한 기유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분자량이 50,000∼100,000인 저분자형 폴리이소부틸렌(PIB)을 점도지수 향상제로 3∼5 중량% 첨가하는데, 폴리이소부틸렌은 엔진오일의 전단에 의해 탄소사슬 구조가 절단되어 저 탄소수 성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엔진오일의 수명을 향상시키며, 엔진오일의 증발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마찰특성 조정제로 애쉬리스 형(ashless type)의 황(sulfur)-인(phosphorus)계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2∼3 중량% 첨가하는데, 애쉬리스 형의 마찰특성 조정제는 연소 후에 불순물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다. 황(sulfur)-인(phosphorus)계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은 황과 인을 탄소수가 12 이상인 지방산과 반응시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0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아민계 항산화제 및 페놀계 항산화제를 1:5∼5:1의 함유비로 구성된 혼합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혼합 산화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산화조건에서도 엔진오일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내마모제로 아연 디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zinc dialkyldithio phosphate)와 아연 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zinc alkyldithio- phosphate)가 사용되는데, 아연 디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가 1 - 3 중량%로, 아연 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가 2 - 5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애쉬 형(ash type)의 첨가제가 산화 열화시 생성되는 불용성 화합물에 의한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청정분산제가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오일에는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가 함유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기유 1과 이성화 처리되어 이소파라핀이 함유된 기유 3을 각각 50 중량%로 사용하고, 여기에 점도지수 향상제로서 폴리 이소부틸렌(PIB)을 3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1 중량%, 청정분사제 2 중량%, 내마모제 4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를 1 중량% 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2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마모성(ASTM D4172), 산화안정도 및 전단안전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기유 1(30 중량%)과 이성화 처리되어 이소파라핀이 함유된 기유 3(50 중량%) 및 기유 4(20 중량%)을 사용하고, 여기에 점도지수 향상제로서 폴리 이소부틸렌(PIB)을 5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아민:페놀=1:1)를 0.5 중량%, 청정분사제 2 중량%, 내마모제 4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2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마모성(ASTM D4172), 산화안정도 및 전단안전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은 이성화 처리되어 이소파라핀이 함유된 기유 3(60 중량%)과 기유 4(40 중량%)을 사용하고, 여기에 점도지수 향상제로서 폴리 이소부틸렌(PIB)을 5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아민:페놀=1:5)를 0.5 중량%, 청정분사제 2 중량%, 내마모제 4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 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2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마모성(ASTM D4172), 산화안정도 및 전단안전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4〉
본 발명은 이성화 처리되어 이소파라핀이 함유된 기유 3과 기유 4를 각각 50 중량%씩 사용하고, 여기에 점도지수 향상제로서 폴리 이소부틸렌(PIB)을 3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산화방지제(아민:페놀=5:1)를 0.5 중량%, 청정분사제 2 중량%, 내마모제 4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중량%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2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마모성(ASTM D4172), 산화안정도 및 전단안전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교실시예〉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기유 1과 기유 2를 각각 50 중량%씩 사용하고, 여기에 점도지수 향상제로서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5 중량%, 유동점 강하제 3 중량%,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1 중량%, 청정분사제 2 중량%, 내마모제 4 중량%, 그리고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를 1 중량% 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100 중량%의 엔진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엔진오일 조성물은 -20℃에서 점도와 40℃에서 동점도(kinetic viscosity)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마모성(ASTM D4172), 산화안정도 및 전단안전성을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한 엔진오일의 조성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제조한 엔진오일 조성물의 물성 시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기유(중량%) 기유 1 60 50 30 - -
기유 2 40 - - - -
기유 3 - 50 50 60 50
기유 4 - - 20 40 50
첨가제(중량%) 점도지수향상제 PMMA 5 - - - -
PIB - 3 5 5 3
유동점 강하제 3 3 3 3 3
내마모제 4 4 4 4 4
산화 방지제 1(아민계) 1(페놀계) 0.5(아민: 페놀=1:1) 0.5(아민: 페놀=1:1) 0.5(아민: 페놀=1:1)
청정 분사제 2 2 2 2 2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 1 1 1 1 1
항목 비교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점도(-20℃, cP) 3650 3500 3230 2940 2650
동점도(40℃, cSt) 32.0 32.3 31.0 30.5 29.8
점도지수 165 168 172 178 182
전단안전성(%) 18 15 12 10 8
증발량(NOACK, %) 18 15 12 10 8
내마모성(mm) 0.46 0.43 0.42 0,41 0.41
산화 안정도 전산가 3.8 3.2 2.8 1.8 2.0
불용분 2.6 2.1 1.8 1.1 1.2
상기 표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 증발성 엔진오일 조성물은 기존의 엔진오일에 비하여 증발량이 감소하였으며, 전단안전성, 내마모성 및 산화안정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 증발성 엔진오일 조성물은 수소정제형 또는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를 사용하여 증발량이 감소하였고, 점도지수 향상제로서 폴리 이소부틸렌을 사용하여 점도지수가 증가되어 고온 및 극압 조건의 엔진에서 엔진오일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Claims (7)

  1. 수소정제형 또는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를 1∼2 종 혼합한 기유에 점도지수 향상제, 마찰특성 조정제, 산화 방지제, 내마모제, 청정분사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및 기타 첨가제가 포함된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수소정제형 또는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는 이소파라핀(iso-paraffin)이 30∼50 중량% 함유되도록 이성화(isomerization) 처리한 기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수소정제형 또는 특수정제형 석유계 기유는 탄소수가 C20∼C50이 되도록 증류분류(distillation)한 기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점도지수 향상제로 분자량이 50,000∼100,000인 저분자형 폴리 이소부틸렌(poly isobutylene)을 3∼5 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마찰특성 조정제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애쉬리스 형(ashless type)의 황(sulfur)-인(phosphorus)계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2∼3 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화학식 1
  6. 제 1항에 있어서, 내마모제로 아연 디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zinc dialkyldithiophosphate)와 아연 알킬디티오 포스페이트(zinc alkyldithio- phosphate)를 2 - 5 중량%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로 아민계 항산화제 및 페놀계 항산화제가 1:5∼5:1의 함유비로 구성된 혼합 산화방지제를 0.5∼1 중량 %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KR1019970044752A 1997-08-30 1997-08-30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KR100241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52A KR100241280B1 (ko) 1997-08-30 1997-08-30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52A KR100241280B1 (ko) 1997-08-30 1997-08-30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24A KR19990021224A (ko) 1999-03-25
KR100241280B1 true KR100241280B1 (ko) 2000-02-01

Family

ID=1952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752A KR100241280B1 (ko) 1997-08-30 1997-08-30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8861B2 (ja) * 2008-04-07 2013-09-11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MX2012001681A (es) * 2009-08-07 2012-05-08 Basf Se Composicion lubricante que contiene acido alquileter carboxilic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168A1 (en) * 1992-01-23 1993-08-05 Pieter Jan Dirk Muntz Lubricating oil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5168A1 (en) * 1992-01-23 1993-08-05 Pieter Jan Dirk Muntz Lubricating oi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2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0368B2 (ja)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KR970707264A (ko) 윤활제 첨가제 제형물(lubricant additive formulation)
JP2005516106A (ja) 内燃機関用の低灰分、低リンおよび低硫黄エンジン油
JPH06336592A (ja) 潤滑油組成物
JP2016506996A (ja) アミン化合物をベースとする潤滑剤組成物
RU2659785C2 (ru) Смазочн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ростого полиглицеринового эфира
EP0855437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KR101080784B1 (ko) 가솔린 엔진오일 조성물
KR100241280B1 (ko) 저 증발형 엔진오일 조성물
JPH07150169A (ja) 潤滑油組成物
KR20120011635A (ko) 연비향상형 저점도 디젤 엔진오일 조성물
JP3609526B2 (ja) 潤滑油組成物
WO1996037581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JP3719534B2 (ja) 潤滑油組成物
CN107001972B (zh) 用于内燃发动机的润滑油组合物
JP4095750B2 (ja)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KR100346352B1 (ko) 윤활유 조성물
US3944491A (en) Lubricants
JP3529467B2 (ja) 潤滑油組成物
JP3554087B2 (ja) 潤滑油組成物
KR100706434B1 (ko) 자동 변속기용 윤활유 조성물
KR20110051852A (ko) 디젤 엔진오일 조성물
KR101420433B1 (ko) 유압작동유 조성물
JP3925953B2 (ja) 潤滑油組成物
JPH07150173A (ja) 潤滑油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