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251B1 -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251B1
KR100241251B1 KR1019970056567A KR19970056567A KR100241251B1 KR 100241251 B1 KR100241251 B1 KR 100241251B1 KR 1019970056567 A KR1019970056567 A KR 1019970056567A KR 19970056567 A KR19970056567 A KR 19970056567A KR 100241251 B1 KR100241251 B1 KR 10024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ball
ball
pin
sol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858A (ko
Inventor
김일수
Original Assignee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현, 아남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규현
Priority to KR101997005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2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솔더볼 어레이공정에서 솔더볼을 놓을 때 솔더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는 종전의 방식 즉, 볼안착홈을 갖는 진공홀을 이용하여 솔더볼을 잡는 방식을 완전히 배제하고, 진공흡착홀이 있는 핀을 통해 솔더볼을 잡는 방식을 채택하여 솔더볼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솔더볼을 놓을 때도 전혀 문제가 없게 함으로써, 솔더볼 어레이공정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본 발명은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전과 같이 볼안착홈을 이용하여 솔더볼을 잡는 방식을 배제하고 진공흡착홀을 갖는 핀을 이용하여 솔더볼을 잡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볼을 놓을 때 솔더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게 한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Ball grid array package)는 대부분의 반도체패키지에 적용되고 있는 핀 형태의 인출단자 대신에 솔더볼 형태의 인출단자를 갖추고 있는 패키지로서, 한정되어 있는 좁은 면적에서도 많은 수의 인출단자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 고집적화 등을 추구하고 있는 오늘날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를 제조할 때,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볼을 어레이하는 장치를 그 안출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솔더볼 어레이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솔더볼 어레이장치는 진공튜브(10)가 연결되는 커버(11)와 다수의 진공홀(12)을 갖춘 하우징(13)과 이것들을 움직여주는 무빙플레이트(14)가 차례로 적층 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진공홀(12)의 하단부는 깔대기 모양의 볼안착홈(15)으로 되어 있어서, 솔더볼을 잡을 때 흡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솔더볼 어레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수의 솔더볼이 담겨져 있는 트래이의 상부에 장치 전체를 위치시킨 다음, 장치 내부에 진공압을 가하면 솔더볼이 각각의 볼안착홈내로 빨려 들어가 흡착되므로서 솔더볼을 잡을 수 있게 되고, 계속해서 장치 전체를 솔더볼 랜드가 형성되어 있는 PCB의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그 위치에서 진공압을 제거하면 솔더볼이 볼안착홈으로부터 떨어져 나오게 되므로서 반도체패키지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솔더볼 어레이장치에서는 솔더볼이 깔대기 모양의 볼안착홈내에 완전히 파묻힌 상태로 흡착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잡을 수는 있으나 진공압을 제거해도 솔더볼을 둘러싸고 있는 부위의 정전기력이나 표면장력 등에 의해 잘 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솔더볼 어레이공정의 효율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볼안착홈이 깔대기 형성으로 되어 있어서, 2 내지 3개의 솔더볼이 동시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솔더볼 어레이공정에서 솔더볼을 놓을 때 솔더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를 안고 있는 종전의 방식 즉, 볼안착홈을 갖는 진공홀을 이용하여 솔더볼을 잡는 방식을 완전히 배제하고, 진공흡착홀이 있는 핀을 통해 솔더볼을 잡는 방식을 채택하여 솔더볼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솔더볼을 놓을 때도 전혀 문제가 없게 함으로써, 솔더볼 어레이공정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더볼 어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1에서의 일부 확대 단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솔더볼 어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공튜브 11: 커버
12: 진공홀 13: 하우징
14: 무빙플레이트 15: 볼안착홈
16: 진공흡착홀 17: 핀
18: 공간부 19: 핀블럭
20: 스톱핀 21: 스프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진공튜브(10)가 연결되어 있는 커버(11)와, 진공흡착홀(16)을 갖는 다수의 핀(17)이 갖추어져 있는 하우징(13)과, 상기 커버(11) 및 하우징(13) 전체를 움직여주는 무빙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11)와 하우징(13)을 상하 조합하여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18)가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이 공간부(18)는 상기 핀(17)의 진공흡착홀(16)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하여 핀(17)의 끝단으로 솔더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핀(17)들은 하나의 핀블럭(19) 상에 일체 설치되고, 상기 핀블럭(19)은 교체할 수 있도록 하우징(13)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솔더볼 어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솔더볼 어레이장치는 일정한 진공압이 유지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인 커버(11) 및 하우징(13)과, 실질적으로 솔더볼을 잡을 수 있는 수단인 핀(17)과, 이것들을 소정의 위치로 움직여주는 수단인 무빙플레이트(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1)는 밑면에 일정면적의 요입부를 다수개 갖는 스트립형태의 판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튜브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11)는 상기 하우징(13)의 상부를 덮으면서 조합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3)의 안쪽으로는 일정한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부(18)가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13)은 후술하는 핀블럭(19)을 삽입할 수 있는 사각 관통부를 다수개 갖는 일종의 스트립형태의 사각블럭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13)은 스톱핀(20)과 스프링(21)을 매개로 하여 그 아래쪽에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14)와 조합되고, 하우징(13)이 갖는 각각의 관통부에는 핀블럭(19)이 하나씩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핀블럭(19)은 윗쪽에 소정의 깊이로 된 요입부를 갖는 사각블럭으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요입부가 상술한 바 있는 커버(11)의 밑면 요입부와 하나로 합쳐지면서 밀폐된 공간부(18)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핀(17)은 실질적으로 솔더볼을 집는 수단으로서, 일종의 주사기바늘과 같이 진공흡착홀(16)을 갖는 스테인리스 또는 세라믹 재질의 핀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핀(17)은 핀블럭(19)의 요입부 바닥면을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핀(17)에 의해 핀블럭(19)의 공간부(18)는 핀(17)이 갖는 진공흡착홀(16)을 통해 외부와 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간부(19)내에 형성되는 진공압이 핀(17)의 끝단까지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핀(17)의 끝단에 솔더볼을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핀(17)은 하우징(13)의 저면 즉, 핀블럭(19)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는 길이를 갖게 됨에 따라 트래이 내에 담겨져 있는 솔더볼과 직접 접촉하면서 솔더볼을 잡을 수 있으며, 핀(17)이 갖는 진공흡착홀(16)의 직경은 솔더볼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솔더볼을 놓을 때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특히, 핀(17)의 하단면은 솔더볼의 구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안쪽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되어 있어서, 솔더볼을 잡을 때 확실한 흡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솔더볼 어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솔더볼을 어레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솔더볼이 담겨져 있는 트래이의 상부에 솔더볼 어레이장치 전체를 이동시킨 다음, 커버의 상부에 연결된 진공튜브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진공압을 가하면, 이때 형성되는 진공압에 의해 각각의 핀 끝단에는 솔더볼이 하나씩 붙게 되고, 이렇게 솔더볼을 흡착한 상태로 솔더볼 어레이장치 전체를 PCB에 위치시킨 다음, 이와 동시에 진공압을 제거하면, 핀으로부터 솔더볼이 떨어져 나오면서 바로 아래쪽에 있는 반도체패키지의 인쇄회로기판 상에 놓여질 수 있게 되므로서, 솔더볼 어레이공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볼은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흡착면적만을 이용하여 핀의 끝단에 붙어 있다가 떨어지게 되므로 진공압 제거와 동시에 곧바로 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핀의 재질이 하우징, 핀블럭 등과 이질감을 가질 수 있으면서 정전기력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않는 스테인레스나 세라믹 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전과 같이 진공압을 제거해도 솔더볼이 잘 떨어지지 않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핀을 이용하여 솔더볼을 잡고 놓을 수 있도록 된 솔더볼 어레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솔더볼 어레이공정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진공튜브(10)가 연결되어 있는 커버(11)와, 진공흡착홀(16)을 갖는 다수의 핀(17)이 갖추어져 있는 하우징(13)과, 상기 커버(11) 및 하우징(13) 전체를 움직여주는 무빙플레이트(14)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11)와 하우징(13)을 상하 조합하여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부(18)가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이 공간부(18)는 상기 핀(17)의 진공흡착홀(16)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하여 핀(17)의 끝단으로 솔더볼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핀(17)들은 하나의 핀블럭(19) 상에 일체 설치되고, 상기 핀블럭(19)은 교체할 수 있도록 하우징(13)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KR1019970056567A 1997-10-30 1997-10-30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KR10024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567A KR100241251B1 (ko) 1997-10-30 1997-10-30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567A KR100241251B1 (ko) 1997-10-30 1997-10-30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58A KR19990034858A (ko) 1999-05-15
KR100241251B1 true KR100241251B1 (ko) 2000-02-01

Family

ID=1952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567A KR100241251B1 (ko) 1997-10-30 1997-10-30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2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58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8870A (en) Top loading test socket for ball grid arrays
US5419710A (en) Mounting apparatus for ball grid array device
US5646447A (en) Top loading cam activated test socket for ball grid arrays
US6069481A (en) Socket for measuring a ball grid array semiconductor
US7753695B2 (en) Socket with wire-shaped contacts
US20110076894A1 (en) Lower profile electrical socket configured with wafers
KR19990064101A (ko) 반도체 디바이스 시험장치
TWI827885B (zh) 電連接器
US20060194455A1 (en) Land grid array socket
KR100581237B1 (ko) 테스트용 소켓의 격자 배열
JP2004309496A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デバイスの取付装置
KR100241251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의 솔더볼 어레이장치
TWI708448B (zh) 電性零件用插座
KR20150049085A (ko) 볼 마운트 모듈
US6512294B1 (en) Adsorbing device, sucker and mounting device for conductive member, adsorbing method and mounting method for conductive member,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09426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otecting device
KR100773194B1 (ko) 볼 그리드 어레이 패키지용 소켓
US20060121751A1 (en) LGA socket connector with floating cover
EP0843892A1 (en) Top loading socket for ball grid arrays
US6065986A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
US6270357B1 (en) Mounting for high frequency device packages
CN109427625B (zh) 去除多个焊料特征的方法和焊料去除设备
US7241147B2 (en)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a circuit board and an integrated circuit
JP6395876B2 (ja) はんだボールマウンタのガイドボード
JP2005252259A (ja) ビージーエーパッケージ真空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