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179B1 -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179B1
KR100241179B1 KR1019970082327A KR19970082327A KR100241179B1 KR 100241179 B1 KR100241179 B1 KR 100241179B1 KR 1019970082327 A KR1019970082327 A KR 1019970082327A KR 19970082327 A KR19970082327 A KR 19970082327A KR 100241179 B1 KR100241179 B1 KR 100241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ylinder
gas
nozzle body
gas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021A (ko
Inventor
양만규
Original Assignee
양만규
태영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만규, 태영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만규
Priority to KR101997008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1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4Applying a pressurised flui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jected material inside the mould cavity, e.g. for preventing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3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29C45/23Feed stopp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4Applying a pressurised flui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jected material inside the mould cavity, e.g. for preventing shrinkage marks
    • B29C2045/1741Seals preventing pressurized fluid to escape from the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는, 금형 캐비티(18)에 사출된 용융수지의 냉각수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용적분을 보충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매끄럽고, 수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내부로 불활성의 고압가스를 삽입하는 가스사출성형기(10)에 있어서 :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노즐바디(14)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하게 개공되어 형성되는 실린더실(42);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내측으로 불활성 가스를 삽입시킬 때, 삽입되는 고압가스가 사출기의 실린더(11)로 역류되지 않게 가스사출성형기(10)의 내측에 용융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즐바디(14)의 직경보다 다소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통로(13)와 동일한 개폐홀(41)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노즐바디(14)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게 상기 실린더실(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피스톤부재(40); 상기 피스톤부재(40)가 상기 실린더실(42)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될 때, 외부에서 전달되는 공기압이 유실되지 않게 상기 실린더실(42)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에어를 상기 실린더실(42)에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연결구(43′44′)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14)의 실린더실(42)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실린더커버(43,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가스사출성형기의 소형화 및 작동이 간편하고, 재료비의 감소 및 수입대체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본 발명은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스사출성형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출성형기의 소형화 및 작동이 간편하고, 사출성형기의 소형화에 따른 재료비의 감소 및 수입대체 등의 효과가 있는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성형품은 용도에 적합한 수지를 선택하고, 이를 압축성형, 압출성형, 사출성형 중에서 적당한 방법을 선택하여 성형함으로써 소망의 제품이 성형한다.
현재, 전자 OA 기기를 중심으로 팩시밀리세트, 워드프로세서, 소형 컴퓨터 하우징 등의 성형품의 생산이 날로 증가됨에 따라 이러한 성형품 등에 대한 치수 안정성, 수려한 외관 및 가벼운 중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미국특허 3211605호 및 제 3687582호에서는 발포제를 첨가함으로써 뒤틀림과 수축을 방지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 방법에 따른 성형품은 제조된 표면이 조잡하고 가스의 흐름자국으로 인하여 특유의 나무무늬 형상을 뛴다.
또한, 합성수지는 본질적으로 일반금속에 비해 10배 이상의 성형수축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사출성형방법에 의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성형품을 얻기 어렵게 된다.
이에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영국특허 제 2139548호, 미국특허 4,740,150호, 미국특허 제4,824,732호, 미국특허 제 4,943,407호, 일본특허공고 소 57-14968호 및 일본특허공고 소53-2532호에 의하면, 사출중 불활성 가스를 삽입하는 가스사출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로는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안정한 질소기체를 사용하고, 기체의 삽입방법으로는 노즐(nozzle)을 통한 방법, 금형의 탕구(스프루)를 통한 방법, 금형 캐비티(mold cavity)을 통한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방법은, 사출성형직후 금형 캐비티 안의 용융수지에로 200kg/cm2내외의 고압가스를 삽입하는 방법으로써 용융수지의 냉각수측으로 인해 생기는 용적분을 고압가스의 팽창으로 보충함으로써 적어도 수지가 고착냉각되기까지는 정확히 성형품의 외형이 금형의 캐비티 형상으로 유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지의 수축 및 뒤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금형 캐비티 안의 용융수지로 고압가스를 삽입할 때, 사출기 실린더로부터 수지가 유입되는 수지통로를 밀폐시킴으로써 고압가스가 사출기 실린더로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제1도에 상기와 같이 고압가스의 삽입시 고압가스가 사출기 실린더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통로의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일부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장치(10)의 노즐바디(14) 선, 후단에 노즐(15)과 사출기 실린더(11)가 일체로 결합되고, 노즐(15)의 단부에 분해 가능하게 노즐팁(16)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노즐(15)의 소정부위에 고압가스를 금형 캐비티(18)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스유입구(17)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바디(14), 노즐(15), 노즐팁(16)의 내측으로 상기 사출기 실린더(11)로부터 연장된 수지통로(1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출성형장치(10)는, 용융된 수지를 상기 수지통로(13)를 통하여 금형 캐비티(18) 내에 사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전방에 스프루부쉬(19)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단부에 결합된 노즐팁(16)이 상기 스프루부쉬(19)에 삽입되어 탕구(19′)를 통하여 용융된 수지가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내부로 누설없이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지의 사출완료 후, 금형 캐비티(18) 내에 삽입된 수지는 냉각수축되지만, 연화상태에 있는 한, 내부압력가스의 팽창에 의해 수지의 수축 및 뒤틀림 현상으로 인한 용적분이 발생되고, 이때 상기 용적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15)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가스유입구(17)를 통하여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상기 금형 캐비티(18) 안의 용융수지에로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금형 캐비티(18) 내의 용융수지가 고압가스의 팽창력에 의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형상에 충분히 그 치수를 보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유입구(17)를 통하여 유입되는 고압가스는 상기 노즐(15)과 노즐팁(16)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지통로(13)를 통하여 금형 캐비티(18) 내의 수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유입구(17)를 통한 고압가스의 유입시 상기 노즐팁(16)과 노즐(15)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사출기 실린더(11)로 형성되는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고압가스가 상기 사출기 실린더(11)로의 역류없이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수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지통로(13)의 폐쇄는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5)이 결합되는 노즐바디(14)의 소정부위가 종 방향으로 개공되어 개폐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홈(14′)은 상기 개폐홈(14′)의 직경과 비슷한 길이의 개폐부재(20)가 삽입되어 상기 개폐홈(14′)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0)는 상기 수지통로(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개폐부재(20)의 횡방향으로 개폐공(21)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홈(14′)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개폐홈(14′)를 밀폐시킨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2)의 단부에 피니언기어(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23)의 양측부에 제1, 제2랙기어(24,2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랙기어(24,26), 실린더(25,27)에 의해 구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개폐부재(20)의 구동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상기 개폐부재(20)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제1도의 A-A 단면도가 도시된다.
먼저, 사출기 실린더(11)로부터 용융수지의 사출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20)의 개폐홀(21)이 상기 노즐바디(14)의 수지통로(13)와 동일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노즐팁(16), 노즐(15), 노즐바디(14) 및 개폐부재(20)의 수지통로(13) 및 개폐홀(2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사출기 실린더(11)의 스크류(12)의 가압력에 의해 용융된 수지가 상기 수지통로(13)를 통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어 사출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융수지의 사출이 완료된 후, 성형품이 매끄럽고, 수축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가스유입구(17)를 통하여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상기 금형 캐비티(18) 내의 용융수지에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압가스가 사출기의 실린더(11)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가스유입구(17)의 외측에 설치된 가스송입밸브(미도시)를 열기 전에 상기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수지통로(13)의 밀폐는 다음과 같다.
상술한 랙기어(24)가 연결된 제1실린더(25)에 공기압을 인가시키게 되면, 상기 제1실린더(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24)가 제2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랙기어(24)가 상기 개폐부재(20)의 일측에 결합된 회전축(22)의 단부에 형성된 피니언기어(23)와 치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랙기어(23)가 직선운동될 때, 상기 피니언기어(23)는 회전운동되고, 상기 피니언기어(23)의 회전운동이 상기 회전축(22)을 통하여 상기 개폐부재(2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20) 역시 상기 노즐바디(14)의 개폐홀(14′) 내부에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폐홀(21)이 상기 수지통로(13)와 연통되는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즐바디(14)의 수지통로(13)와 개폐부재(20)의 개폐홀(21)이 제1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20)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수지통로(13)가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지통로(13)가 밀폐되면 상기 가스유입구(17) 외측의 가스송입밸브(미도시)를 열어 상기 금형 캐비티(18)에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금형 캐비티(18) 내의 용융수지가 내부압력가스의 팽창에 의해 발생되는 수지의 수축 및 뒤틀림 현상의 용적분을 고압가스의 팽창으로 보충함으로써 상기 금형 캐비티(18) 내의 용융수지가 금형 캐비티(18) 형상으로 유지되면서 소망의 제품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 사출기 실린더(11)로부터 용융된 수지의 사출시 상기 수지통로(13)의 개방은, 제2실린더에 공기압을 인가시키면, 상기 수지통로(13)의 밀폐시 제2도에 2점 쇄선의 위치로 슬라이드된 제2랙기어(26)가 다시 최초의 상태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23)가 상기 수지통로(13)의 밀폐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22)의 회전력이 회전축(22)에 의해 개폐부재(20)에 전달되어 상기 개폐부재(20)가 수지통로(13) 밀폐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폐부재(20)의 개폐홀(21)이 상기 노즐바디(14)의 수지통로(13)와 일직선으로 연통되게 됨으로써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수지통로(13)가 개방되어 사출기의 실린더(11)로부터 사출되는 용융수지가 상기 금형 캐비티(18)로 사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가스사출성형장치(10)의 수지통로(13)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따르면, 상기 개폐부재(20)와 개폐홈(14′)의 접합부를 통한 사출액이나 고압가스의 누출이 심하게 발생되고, 상기 개폐부재(2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랙기어(24,26)와 상기 랙기어(24,26)를 구동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25,27) 및 피니언기어(23) 등의 설치로 사출성형장치(10)의 대형화에 의한 설치곤란과 아울러 재료비가 과다하게 지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수지통로와 개폐장치의 접합부를 통한 수지 및 고압가스 등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사출성형기의 소형화 및 작동이 간편하며, 사출성형기의 소형화에 따른 재료비의 감소 및 수입대체 등의 효과가 있는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가스사출성형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일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일부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사출성형기 11 : 실린더(사출기)
12 : 스크류 13 : 수지통로
14 : 노즐바디 15 : 노즐
16 : 노즐팁 17 : 가스유입구
18 : 금형 캐비티 19 : 스프루부쉬
19′ : 탕구 20 : 개폐부재(종래)
21 : 개폐홀 22 : 회전축
23 : 피니언기어 24,26 : 제1, 제2랙기어
25,27 : 제1, 제2실린더(종래) 40 : 피스톤
41 : 개폐홀 42 : 실린더실
43,44 : 제1, 제2실린더커버 43′44′ : 호스연결구
80 : 개폐부재 81 : 개폐홀
82 : 피스톤로드 83 : 에어실린더
84,85 : 밀폐부재 85′ : 관통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는, 금형 캐비티에 사출된 용융수지의 냉각수측으로 인해 발생되는 용적분을 보충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매끄럽고, 수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 캐비티의 내부로 불활성의 고압가스를 삽입하는 가스사출성형기에 있어서 : 상기 가스사출성형기의 노즐바디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하게 개공되어 형성되는 실린더실; 상기 금형 캐비티의 내측으로 불활성 가스를 삽입시킬 때, 삽입되는 고압가스가 사출기의 실린더로 역류되지 않게 가스사출성형기의 내측에 용융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통로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즐바디의 직경보다 다소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통로와 동일한 개폐홀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노즐바디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게 상기 실린더실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실린더실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될 때, 외부에서 전달되는 공기압이 유실되지 않게 상기 실린더실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에어를 상기 실린더실에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실린더실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실린더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는, 금형 캐비티에 사출된 용융수지의 냉각수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용적분을 보충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매끄럽고, 수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 캐비티로 고압가스를 삽입시키는 가스사출성형기에 있어서 : 고압가스를 삽입시킬 때, 상기 가스사출성형기의 내측에 용융된 수지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지통로를 밀폐시키도록 노즐바디의 직경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통로에 대응되는 개폐홀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하게 개공되는 개폐홈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홈을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홈의 내측에서 상기 노즐바디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일측에 피스톤이 결합되어 콤푸레셔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개폐홈의 내측에서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사출성형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고, 제4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는, 피스톤부재(40), 실린더실(42) 및 제1, 제2실린더실커버(4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실(42)은, 가스사출성형기(10)의 노즐바디(14)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되게 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부재(40)가 삽입되어 왕복운동될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부재(40)는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노즐바디(14) 직경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가스사출성형기(10)의 수지통로(13)와 대응하는 개폐홀(41)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실(42)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노즐바디(14)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지통로(1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부재(40)의 양측에 상기 실린더실(42)과 피스톤부재(40)의 접합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실린더실커버(43,44)는, 중앙부에 콤푸레셔로부터 압축된 공기압을 상기 실린더실(42)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호스연결구(43′,44′)를 지니며, 콤푸레셔(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에어가 유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부재(40)를 효과적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실(42)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실(42)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실린더커버(43,44)의 결합은 통상의 방법으로 볼트 등을 채용하여 결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그 결합방법을 제한하지는 아니하고 다만 결합 완료시 상기 실린더실(42)에 유입된 에어가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누설되지 않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는, 개폐부재(80) 및 에어실린더(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부재(80)는, 노즐바디(14)의 직경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편심되게 가스사출성형기(10)의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통로(13)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개폐홀(81)을 지니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노즐바디(14)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되게 개공되어 형성되는 개폐홈(14′)에 삽입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개폐홈(14′) 내에서 왕복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홀(81)에 의해 상기 수지통로(13)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80)와 상기 개폐홈(14′)의 접합부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접합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83)는, 피스톤로드(82)가 상기 개폐부재(8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소정부위에 설치되고, 콤푸레셔(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로드(82)가 왕복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80)가 개폐홈(14′)에서 상기 노즐바디(14)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홈(14′)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재(80)의 양측부에 밀폐부재(84,8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에어실린더(83)가 설치되는 일측의 밀폐부재(85)의 중앙부에 관통공(8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관통공(85′)을 통하여 개폐부재(80)의 일측에 결합된 피스톤로드(82)가 왕복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의 작동을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사출성형기(10)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먼저 사출기 실린더(11)의 스크류(12)의 가압력에 의하여 용융된 수지가 가스사출성형기(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지통로(13)를 통하여 소망의 제품을 성형하는 금형 캐비티(18)의 내부로 사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융수지의 사출이 완료된 후, 상기 용융수지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지가 금형 캐비티(18)의 형상에 충실하지 못하고 수축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제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가스유입구(17)를 통하여 금형 캐비티(18)의 용융수지로 삽입시킴으로써 용융수지의 수축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소망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압가스의 삽입시, 삽입되는 고압가스가 상기 수지통로(13)를 통하여 사출기의 실린더(11)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수지통로(13)의 밀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실(42)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1, 제2실린더커버(43,44)의 제2실린더커버(44)의 중앙부에 형성된 호스연결구(44′)에 연결된 에어호스(미도시)를 개방하여 콤푸레셔(미도시)로부터 전달된 에어를 상기 실린더실(42)로 유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실(42)로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40)가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실(42)에서 유동되게 되고, 이때, 상기 피스톤부재(40)의 길이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개폐홀(41)이 최초 수지통로(13)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여 연통되었던 것이 상부로 이동되어 서로 엇갈리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부재(40)의 외주면이 상기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지통로(13)의 밀폐 후, 가스유입구(17)를 통하여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금형 캐비티(18)의 용융수지로 유입시켜 상기 고압가스에 의해 수지가 수축 및 뒤틀림 없이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형상에 충실하게 성형되어 소망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제품이 성형된 후, 수지의 재차 사출시 상기 수지통로(13)의 개방은 상기 수지통로(13)의 밀폐시 개방되었던 제2실린더실커버(44)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실커버(43)의 호스연결구(43′)에 연결된 에어호스(미도시)를 개방하면 상기 제1실린더실커버(43)의 호스연결구(43′)를 통하여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실(42)의 내측에 설치된 피스톤부재(40)가 대향측에 설치된 제2실린더실커버(44) 측으로 슬라이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부재(40)의 단부가 상기 제2실린더실커버(44)의 내측에 계합되면서 상기 피스톤부재(40)의 개폐홀(41)과 가스사출성형기(10)의 수지통로(13)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연통됨으로써 사출기의 실린더(11)로부터 사출되는 용융수지가 금형 캐비티(18)로 재차 사출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출기 실린더(11)로부터 금형 캐비티(18)에 사출된 수지가 수축이나 뒤틀림 없이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형상에 충실하게 외관이 매끄러운 소망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의 구동을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형 캐비티(18)에 용융수지의 사출 완료 후, 상기 금형 캐비티(18) 내의 수지가 수축이나 뒤틀림 없이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형상에 충실하게 성형될 수 있도록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용융수지로 삽입시킬 때, 가스사출성형기(10)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실린더(83)에 피스톤로드(82)가 상기 에어실린더(83)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에어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82)가 에어실린더(83)의 내측으로 구동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로드(82)에 일측이 결합된 개폐부재(80)가 노즐바디(14)의 개폐홈(14′)에서 슬라이드되어 개폐부재(80)의 개폐홀(81)이 수지의 사출시 가스사출성형기(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지통로(13)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연통되었다가 제4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80)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수지통로(13)가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80)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수지통로(13)가 밀폐된 후, 노즐(15)의 소정부위에 설치된 가스유입구(17)를 통하여 고압의 불활성 가스를 금형 캐비티(18)의 용융수지로 유입시켜 금형 캐비티(18) 내의 용융수지가 수축이나 뒤틀림 없이 금형 캐비티(18)의 형상에 충실하게 성형되어 소망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의 제품이 생산된 후, 수지의 재차 사출시 상기 수지통로(13)의 개방은 에어실린더(83)에 에어를 반대로 공급시켜 상기 에어실린더(83)의 피스톤로드(82)가 반대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80)가 상기 수지통로(13)의 밀폐시의 반대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개폐부재(80)의 개폐홀(81)과 가스사출성형기(10)의 수지통로(13)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연통됨으로써 사출기의 실린더(11)를 통하여 사출되는 용융수지가 금형 캐비티(18) 내로 재차 사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홈(14′)의 양측부에 밀폐부재(84,85)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개폐홈(14′)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어 상기 개폐부재(80)가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의 구성과 작동에 따르면, 수지통로와 개폐장치의 접합부를 통한 수지 및 고압가스 등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차단되고, 상기 사출성형기의 소형화 및 작동이 간편하며, 사출성형기의 소형화에 따른 재료비의 감소 및 수입대체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금형 캐비티(18)에 사출된 용융수지의 냉각수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용적분을 보충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매끄럽고, 수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내부로 불활성의 고압가스를 삽입하는 가스사출성형기(10)에 있어서 :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노즐바디(14)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하게 개공되어 형성되는 실린더실(42); 상기 금형 캐비티(18)의 내측으로 불활성 가스를 삽입시킬 때, 삽입되는 고압가스가 사출기의 실린더(11)로 역류되지 않게 가스사출성형기(10)의 내측에 용융된 수지가 유동되는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노즐바디(14)의 직경보다 다소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통로(13)와 동일한 개폐홀(41)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노즐바디(14)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게 상기 실린더실(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피스톤부재(40); 상기 피스톤부재(40)가 상기 실린더실(42)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될 때, 외부에서 전달되는 공기압이 유실되지 않게 상기 실린더실(42)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중앙부에 에어를 상기 실린더실(42)에 유입시키기 위한 호스연결구(43′44′)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14)의 실린더실(42)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실린더실커버(43,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2. 금형 캐비티(18)에 사출된 용융수지의 냉각수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용적분을 보충하여 성형품의 외관이 매끄럽고, 수축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 캐비티(18)로 고압가스를 삽입시키는 가스사출성형기(10)에 있어서 : 고압가스를 삽입시킬 때, 상기 가스사출성형기(10)의 내측에 용융된 수지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지통로(13)를 밀폐시키도록 노즐바디(14)의 직경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지통로(13)에 대응되는 개폐홀(81)이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14)의 소정부분이 종 방향으로 관통하게 개공되는 개폐홈(14′)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홈(14′)을 왕복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재(80); 상기 개폐부재(80)가 상기 개폐홈(14′)의 내측에서 상기 노즐바디(14)의 종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재(82)의 일측에 피스톤(82)이 결합되어 콤푸레셔로부터 전달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82)이 왕복운동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80)가 상기 개폐홈(14′)의 내측에서 왕복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사출성형장치(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KR1019970082327A 1997-12-31 1997-12-31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KR100241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327A KR100241179B1 (ko) 1997-12-31 1997-12-31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327A KR100241179B1 (ko) 1997-12-31 1997-12-31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021A KR19990062021A (ko) 1999-07-26
KR100241179B1 true KR100241179B1 (ko) 2000-02-01

Family

ID=1953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327A KR100241179B1 (ko) 1997-12-31 1997-12-31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1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021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9318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s of plastics material
US5798080A (en) Method of producing a hollow resin body and apparatus therefor
CA2107346A1 (en) Plastic Injection Molding Nozzle with Gas Assist
AU4349089A (en) Injection moulding
CA2405616A1 (en) Injection unit for injection moulding machines with continuously operating plasticizing unit
US5993723A (en)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method
US52001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
ATE275030T1 (de) Mikrospritzgiessmaschine
US5208046A (en) Nozzle apparatus for 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
KR100241179B1 (ko) 가스사출기의 수지통로 개폐장치
JPH10166391A (ja) 多層成形体の射出成形機
US5304058A (en) Injection nozzle
WO1995028275A1 (fr) Structure creuse en resine renfermant un arbre incorpore et procede de moulage par injection permettant de realiser cette piece
US5306134A (en) Fluid forcing nozzle
US6413076B1 (en) Shut-off nozzle
JPH09262872A (ja) 射出成形金型
JP3595384B2 (ja) 射出成形機の二色射出成形用ノズル
US5785999A (en) Injection apparatus for molding synthetic resin hollow or foamed body
US200700297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n injection molded part made of plastic
JP3011247B2 (ja) 射出成形機
KR100345532B1 (ko) 병마개의 내,외부캡 성형용 사출금형 및 그 성형물
JPH11198192A (ja) 射出成形用金型
JP2776244B2 (ja) 加圧流体圧入排出装置
US20050100629A1 (en) Nozzl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10138305A (ja) 射出圧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