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796B1 - 중첩식 몰드로 구성된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중첩식 몰드로 구성된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796B1
KR100240796B1 KR1019930011166A KR930011166A KR100240796B1 KR 100240796 B1 KR100240796 B1 KR 100240796B1 KR 1019930011166 A KR1019930011166 A KR 1019930011166A KR 930011166 A KR930011166 A KR 930011166A KR 100240796 B1 KR100240796 B1 KR 10024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mold
molding machine
platen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229A (ko
Inventor
리차드헙스트
Original Assignee
리차드헙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차드헙스트 filed Critical 리차드헙스트
Publication of KR94000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2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two or more fixed moulds, e.g. in tand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첩식몰드(10)를 가지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중첩식몰드(10)는 그들사이에 중앙플래튼(13)을 둘러싼 두개의 외부몰드부(3, 7)를 포함한다. 중앙플래튼(13) 및 몰드부(3, 7)는 속이빈 형 공동을 형성하고 속이빈 형 공동을 위하여 커넥터개구부(27) 및 주입덕트(15)가 제공된다. 또한 사출성형기는 속이빈 형 공동을 각각 개시 및 폐쇄시키기 위하여 몰드부(3, 7) 및 중앙 플래튼(13) 사이에 상호이동을 실행하기 위해 구동 및 폐쇄유닛(11)을 포함한다. 또한, 사출성형장치는 커넥터개구부(27)에 연결될 수 있고, 몰드부(3, 7) 및 중앙플래툰(13) 사이의 상호이동 동안 커넥터개구부(27)에 연결된 채 유지될 수 있는 사출성형기(29)를 포함하며, 사출성형기(29)는 중앙 플래튼(13)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첩식 몰드로 구성된 사출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부가적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1도의 장치의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에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7 : 몰드부 10 : 중첩식 몰드
11 : 구동 및 폐쇄유닛 13, 13' : 중앙플래튼
15 : 주입덕트 25, 25' : 스노클
27, 27' : 커넥터 개구부 29 : 사출성형기
31 : 분사실린더 41 : 위치 설정 실린더
43 : 피스톤로드 49 : 관통개구부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가 중앙플래튼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사출성형장치에관 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종류의 사출성형장치는 JP-U2 62-1848로 부터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사출성형장치에는 중앙플래튼을 갖는 중첩식 몰드와, 이동가능한 하나의 외부몰드부와, 고정되는 다른 몰드부가 제공된다. 이동가능한 몰드부는제1의 피스톤 실린더 유닛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몰드부는 중앙플래튼 상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되는 피니언과 맞물려지는 스퍼랙이 제공된다. 또한 고정몰드부에는 중앙플래튼 상에 저널되는 피니언과 맞물려지는 스퍼랙 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어에의 해서 이동가능한 몰드부가 이동하는 동안 전체의 중첩식 몰드를 연속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기어의 작용에 기인하여 중앙플래튼은 이동가능한 몰드부와 비교할 때 1/2속도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종래의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사출성형기는 중앙플래튼 맞은편에 있는 측면상의 고정몰드부 옆에 배치된다. 사출성형기는 캐리지상에 배치되므로 이동가능한 몰드부 및 중앙플래튼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캐리지에는 제2의 피스톤실린더유닛 이 제공된다. 후자의 실린더는 사출성형기의 캐리지와 단단하게 연결되는 반면 피스톤로드는 고정몰드부와 단단하게 연결된다. 피스톤로드상의 피스톤은 서로 크기가 다른 피스톤의 양측면상에 효과적인 표면영역을 가지는 이중작용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출성형기는 고정몰드부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사출성형기는 고정몰드부에 있는 관통개구부를 통하여 뻗어있는 길다란 분사실린더에 의하여 중앙플래튼에 연결된다. 분사실린더 마우스피스는 중앙플래튼의 유입개구부에 대하여 가압된다. 마우스피스에 가해진 압력은 제2의피스톤실린더 유닛에 의해 미리 정해질 것이다.
중첩식 몰드가 제1의 피스톤실린더유닛을 작동 시키는 것에 의해 개방될 때, 후자의 이동동안 사출성형기가 중앙플래튼을 뒤따르는 제2의 피스톤실린더유닛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분사실린더 마우스피스는 중앙플래튼의 유입커넥터 개구부에 접촉한 채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중앙플래튼과 함께 사출성형기는 중첩식몰드의 이동을 개시및 폐쇄하는 동안 분리되지 않는 유닛이다. 중앙플래튼 및 사출성형기 사이의 요구반응력은, 한편으로는 피니언, 스퍼랙, 이동가능한 몰드부 및 제1의 피스톤실린더유닛을 경유하여 중앙플래튼으로 부터, 다른한편으로는 사출성형기, 그것의 캐리지, 실린더, 피스톤, 피스톤로드 및 고정몰드부를 경유하여 설치 베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종래의 사출성형기는 사출성형기마우스피스와 중앙플래튼 사이에 작용되어야만하는 실질적인 압력이 이러한 매우 복잡한 이동경로에 걸쳐서 사출성형기의 베이스에 의해서 지지되어야만 하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의 공작기계의 또다른 단점은 사출성형 기가 제2의 피스톤실린더유닛의 연속적인 제어 및 작동을 경유하여 고정몰드부 상에 제2의 피스톤실린더유닛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기계의 상기 언급된 형태에 기인하여 중앙플래튼을 연속적으로 뒤따라야만하는 것이다. 따라서, 중첩식몰드를 각각 개시 및 폐쇠시키기 위한 각각의 이동동안 제2의 피스톤실린더유닛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은 강제적이다. 이는 비교적 복잡한 제어를 요구하고 특히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피스톤실린더유닛에서의 누출로 인한 결함의 원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성형기가 피스톤실린더유닛을 연속적으로 제어하고 작동시킬 필요없이, 더 유리한 반응력의 작용을 가지며, 더윽 간단한 사출성형기의 디자인으로 된 중앙플래튼과항상 접촉한채 유지되도록 전술한 종류의 사출성형장치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중앙플래튼에 사출성형기률 직접적으로 연결하는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사출성형기와 중앙플레튼 사이의 직접적인 기계적 연결은 사출성형기의 가동중에, 즉 중첩식몰드의 각각의 주기적인 개시 및 폐쇄동안, 중앙플래튼과 사출성형기 사이 에 제공될 수 있는 가동수단이 가동되거나 제어될 필요가 없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반대로, 사출성형기의 조립 동안에만 한번 사출성형기를 중앙플래튼과 연결시키기에 전적으로 충분한 반면, 사출성형치의 가동의 전시간 동안 이러한 두가지 요소는 비교적 많은 수량의 플라스틱 재질부품을 생산한 후에 기계상에 표준 서비스률 수행하거나 새로운 몰드가 삽입되어야 할 때까지 서로 접촉한 채 유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성형기는 로드수단에 의해서 중앙를 래튼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사출성형기와 중앙플래튼 사이에 단단한 기계적 연결이 두요소가 로드에 의해 상호연결되어서 매우 간단하게 성립되므로 두 요소간의 요구된 압력 또는 접촉력 이 로드를 적절히 기계적으로 기울게하는 것에 의해서설정되는 장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수단은 위치설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로서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플래튼과 사출성형기 사이의 연결동안 원격제어 및 자동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수단은 볼트로서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근본적으로 비용이 덜들고 간단한 형태의 커넥터(볼트)가 사용되어 실질적인 비용절감을 가져오는 장점이 얻어진다. 중앙플래튼과 사출성형기 사이의 상호연결이 몰드교환동안 또는 통상의 서비스가동 중에 즉, 오직 비교적 큰시간 간격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사출성형기의기능이 볼트에 의해 중앙플래튼과 사출성형기를 연결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하나의 대안에 따르면, 가장 최근의 종래의 기술에 관하여 상기에서 설명 한 바와같이, 몰드부 중 하나는 고정되도록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대안에 따르면, 정반대로 되어, 중앙플래튼은 고정되도륵 만들어 질 것이고 양 몰드부는 후자에 관해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첩식 몰드가 폐쇄되고 사출성형기의 분사실린더의 배출을 위혀 그 끝에 커넥터 개구부를 가질 때 몰드부의 관통개구부를 통하여 뻗어 있는 스노클이 중앙플래튼에 제공된다.
물론, 다시 정반대로 중첩몰드가 폐쇄될때 하나의 몰드부에서 관통개구부를 통하여 뻗어 있고 중앙플래튼의 커넥터 개구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배출개구부가 그 끝에 제공되는 사출성형기의 분사실린더의 배출단말부 상에 스노클이 재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몰드부 사이에 중앙플래튼을 둘러싸는 두개의 외부몰드부를 구비한 중첩식몰드와, 속이 빈 형 공동을 각각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몰드부 및 상기 중앙플래튼 사이에서 상대적 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구동 및 폐쇄유닛과, 커넥터 개구부에 연결 시키기 위해 적용되고 몰드부 및 중앙플래튼 사이에서 상대적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 개구부에 연결된채로 유지되는 사출성형기로 구성되며, 상기 몰드부의 두 측면상에 있는 상기중앙플래튼이 몰드부와 함께 속이 빈 형 공동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커넥터개구부 및 주입덕트를 가지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사출성형기가 중앙플래튼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사출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서 설명되어 진다.
제1도에 도시된 사출성형장치는 사출몰드부(3)를 받치고 있는 고정몰드설치판재(1), 및 이동가능한 사출몰드부(7)를 받치고 있는 이동가능한 몰드설치판재(5)를 구비한 중첩식 몰드(10)를 갖는다. 이동가능한 몰드설치판재(5)는고정몰드설치판재(1)에 관하여 안내장치에 의해 인도되고 각각의 개시 및 폐쇄운동을 위한 구동 및 폐쇄유닛(11)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고, 요구된 폐쇄압력을 받게된다.
중첩식몰드(10)는 몰드부 "3"과 "7" 사이에 소위 중앙플래튼(13)이 제공된다.몰드부(3,7) 및 중앙플래튼(13)에는 주형오목부(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제공되고, 서로 인접하며 그리고 속이빈 형 공동을 형성한다. 또한, 중앙플래튼(13)에는 몰드부(3,7) 및 중앙플래튼에 의해 형성된 속이빈 주형공동내로 용융품라스틱물질을 주입시키고 분산시키기 위하여 주입덕트(15)가 제공된다.
중앙플래튼(13)은 몰드부(3,7)에 대하여 안내장치(17)률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2 : 1 변속을 할 수 있는 구동기어(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음)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몰드설치판재(5)와 결합되므로, 이동가능한 몰드설치판재(5)의 각각의 개시 및 폐쇄이동 동안에, 중앙플레튼(13)은 개시이동경로의 1/2의 속도로개시 이동경로의 1/2이상까지 움직이게 될 것이다. 그러한 구동기어 변속을 예를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스퍼랙(19,21)은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고, 고정설치판재(1) 및 이동가능한 설치판재(5) 각각에 연결되어 있고, 중앙플래튼(13)상에 저널되는 피니언(23)과 맞물려진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2 : 1의 변속비를 갖는 구동기어 변속은 또한 예를들어 워엄기어 또는 체인전동에 의해서 다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중앙플래튼(13)에는 고정몰드 설치판재(1)에 인접한 측면에서 돌출파이프 형상의 커넥터노즐이 제공된다. 상기 노즐은 통상 스노클(25)로 동일시되고 중앙주입 덕트(15')를 가지며, 스노클(25)의 단말부에서 커넥터 개구부(27)로 되어있다. 몰드설치판재(1)뿐만 아니라 몰드설치판재(1)에 의해 지지되는사출몰드부(3)는 중첩식몰드(10)의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개구부(27)는 고정몰드설치판재(1)의 배면에 걸쳐 돌출되는 위치까기 스노클(25)을 수용하기위한 중앙개구부(28)가 제공된다.
사출성형기(29)는 제1도에서의 몰드설치판재(1)의 오른쪽 측면상에 위치한다. 사출성형기(29)는 분사실린더(31,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음)가 제공되고 그안에 회전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크류 컨베이어를 갖는다. 유압식또는 전기회전구동수단(35)에 의해서 스크튜컨베이어(33)는 플라스틱물질을 소성화시키고 균질화시키기 위하여 회전된다. 반면에 유압식실린더(37)가 사출성형작용을 수행하도록 스크류컨베이 어(33)의 축방향이동율 위하여 제공된다. 분사실린더(31)는 단말부에 노즐을 구비한 원추형 마우스피스(39)를 갖는다. 상기 노즐은 스노클(25)의 커넥터개구부(27)내로 맞추기위하여 적용된다.
전체의 사출성형기(29)는 스노클(25)의 커넥터개구부(27)를 향하여 분사실린더(31)의 마우스피스(39)를 가압하기 위하여 유압식 위치설정실린더(41)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중앙플래튼(13)의 중앙주입덕트(15')로 분사실린더(31)의 꼭맞는 결합이 성립된다. 유압식 위치설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3)은 고정몰드 설치판재(1)에 개구부를 통하여 인도되고 중앙플래튼(13)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유압식 위치설정실린더(41)를 사용하는 대신에 중앙플래튼 및 사출성형기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위치설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3)와 같은 로드처럼 작용하는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또한 성립될 수 있다.
분사실린더(31)가 제1도의 위치설정실린더의 왼쪽 챔버에서 압력유체의 작용에 의해서 중앙플래튼(13)의 스노클(25)을 향하여 가압될때, 중앙플래튼(13) 및 전체의 사출성형기(29)는 단단하게 결합된 유닛으로써 작용해서 사출성형기(29)가 중앙플래튼(13)의 각각의 개시 및 폐쇄 이동을 수행 하게된다. 중앙플래튼(13)에 사출성형기(29)를 결합시 키는 것에 의해서, 커넥터 개구부(27)에 마우스피스(39)의 결합은 전체의 사출성형 과정동안 보장된다. 즉 많은 분사사이클에 걸쳐서 속이 빈 주형 동공의 각각의 개시 및 폐쇄 이동을 포함한다.
위치설정실린더(41)의 가압힘은 사출성형기(29)와 중앙플래튼(13)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피스톤로드(43)를 경유하여 작용해서, 두개의 외부몰드부(1,3)(5,7)각각과 중앙플래튼(13)사이의 폐쇄힘은 블균일하게 분산될 수 없게된다.
제2도는 약간 변형 된 실시예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설치판재(11) 및 몰드부(3)의 중앙개구부(28)를 통하여 뻗어 있는 커넥터노즐 또는 스노클(25')은 중앙플래튼(13)에 연합되지 않지만, 대신에 마우스피스(39)의 연장부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플래튼(13)에는 스노클이 제공되지 않지만 대신에 압력을 작용시키므로써 스노클(25')의 선단에 결합되기 위한 단지 별도로 형성된 커넥터 개구부(27')를 갖는다.
이 방법에 있어서, 중앙플래튼(13)의 주입덕트(15)는 근본적으로 감소되므로,색깔이 변화되거나 물질이 변화되는 동안 중앙플래튼(13)의 주입덕트(15)에 잔류하는 물질의 양은 근본적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중앙플래튼(13)의 주입덕트(15)의 청소는 간단해진다. 스노클(25)의 중앙구멍에 잔류하는물질의 양은 중앙플래튼(13)으로부터 분사실린더(31)를 분리한 후에 자유공간내로 간단하게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물질의 손실은 줄어들고 색깔이 변화되거나 물질이 변화되는 동안에 물질의 잔여량에 의해서 다음단계의 분사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의 위험은 급격하게 감소된다.
제3도에 도시되는 사출성형기의 실시예는 하기 에서 "13'"로 표시된 중앙플래튼이 이동될 수는 없지 만, 대신에 설치 베이스부(45)에 의해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점에서 제1도의실시 예와 구별된다. 반대로, 두개의 몰드설치판재(1,5)는 거기에 붙여진 몰드부(3,7)를 갖고 중앙플레튼(13')의 양옆으로 배열되며,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지고 중앙플래튼(13')상에 저널되는 피니언(23)과 맞물려지는 스퍼랙(19,21)에 의해서 상호이동되기 위하여 단단하게 결합된다.
만약 구동 및 패쇄유닛(11)의 피스톤(11a)이 중앙플래튼(13')에 대하여 몰드부(7)률 가압하기 위해 제3도에서 설치판재(5)상에 오른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면, 동시에 제3도에서 왼쪽방향의 힘은 몰드부(3)의 몰드설치판재(1)상에 가해질 것이다. 몰드설치판재(1,5)의 이동은 고정중앙플래튼에 관하여 정확한 상호이동을 위해 맞물려 지는 변속(19,21,23)을 경유하여 일치된다. 다른 구동장치들이 고정중앙플래튼(13')에 관해 상호의 개시 및 폐쇄운동 각각에 있어서 몰드설치판재(1,5)를 구동시키는데 사용되는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출성형기(29)는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동시에 단단한 결합을 얻기 위해 중앙플래튼(13')에 연결된 스노클(25)의 커넥터 개구부(27)에 분사실린더(31)의 연결마우스피스(39)를 위해 위치설정실린더(41)를 경유하여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스노클(25)이 중앙플래튼(13')상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분사실린더(31)의 마우스피스(39)상에 제공된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설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3)는또한 중앙플래튼(13')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위치설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측면상에 배치된 위치설정실린더(41)의 작동챔버가 압력유체의 영향을 받을때전체의 사출성형기(29)는 중앙플래튼(13')의 스노클(25)에 대해 가압되어 사출성형기(29) 및 중앙플래튼(13')은 단단하고 고정된 유닛으로 작용하게된다. 스노클(25)은 분사실린더(31)가 연결될때 긴 만큼의 용적이 되고. 여기에 몰드부(3)의 몰드설치판재(1)의 개시 및 폐쇄운동 각각은 수행 하기에 가능한 충분한 공간이 있다.
따라서,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사실린더(31)는 차후의 분사사이클 동안 중앙플래튼(13')에항상 연결된 채 유지될 것이고 각 분사 사이클을 위해 다시 분리하거 나 연결시킬 필요가 없다. 고정중앙플래튼(13')에 위치설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3)를 단단하게 연결시키는 대신에, 피스톤로드(43)는또한 다른 고정멈춤체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에 몰드설치판재(1)를 통하여 연장될 필요가 없다.
제4도 (a) 및 (b)는 만약 종레의 장치에서 각 분사 사이클 동안 분사실린더(31)의 결합 및 분리가 필요하다면, 제1도의 사출성형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도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그 목적을 위해서 제4(a)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끌어당기는 로드로서 작용하며 제1도에서의 사출성형기(29)의 위치설정실린더(41)와 중앙플래튼(13)을 상호연결시키는 각각의 피스톤로드(43)는 세분된다. 즉, 피스톤로드(43)는 예를들어 볼트(47)에 의해서 피스톤로드(43)에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된 연장로드(43')가 제공된다. 연장로드(43')는 중앙플래튼(13)으로 고정몰드 설치판재(1)의 관통개구부(49)를 통하여 뻗어있고, 단단하지만 분리는 가능하지않게 동시에 또한 볼트(51)에 의해서 증앙플래튼(13)에 연결된다.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장로드(43')는 생략되고, 대신에 플랜지(53)가 피스톤로드(43)의 볼트(47)가 맞춰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을 갖게끔 제공될 것이다. 플랜지(53)는 볼트에 의해서 고정몰드 설치판재(1)에 부착되어서 제1도의 사출성형장치의 위치설정실린더(41)는 고정 멈춤체로서 고정몰드 설치판재(11)에 연결된다.
제4도의 변형예에 있어서 장치의 배열은 연장로드(43')는 피스톤로드(43)가분출한 것이 아니라, 대신에 피스톤로드(43)에 관해 치환된 것이다. 그 목적을 위하여, 플랜지(53) [제4(b)도] 대신에 횡단수단온 예를들어 제4도에 도시된 볼트(47)에 의해서 양 피스톤로드(43)(제1도)에 연결된다. 연장로드(43')는 피스톤로드(43)에 대하여 측면상에 이러한 횡단수단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43)에 대하여 오프세트되어서, 중앙플래튼(13)에 연결시킨다.
장치배열의 또다른 변형(도시되지 않음)에 있어서 장치의 양 몰드 설치판재(1,5) 및 중앙플래튼(13)은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지고, 적절하게 부착된 수단에의해서 중앙플래튼(13)이나 몰드설치판재(1)에 배향된 노즐측면은 고정될 수있다. 사출성형기(29)의 위치설정실린더(41)는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몰드설치판재(1)에 배향된 노즐측면이나 중앙플래튼(13)에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한 장치 배열에 의해서 고정몰드 설치판재상에 작용하는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 각 성형사이클 동안 이동가능한 중앙플래튼에 결함 및 분리되는 분사실린더를 가지는 종래의 사출성형장치는 제1도에 따른 장치나 제2도에 따른 장치로 전환가능하다. 즉 영구히 부착된 사출성형기와 함께 플래튼이 통상의 고정유닛이 되거나 통상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몰드부 사이에 중앙플래튼(13,13')을 둘러싸는 두개의 외부몰드부(3,7)를 구비한 중첩식몰드(10)와, 속이빈 형 공동을 각각 개방 및 폐쇄시키기 위해 상기몰드부 (3,7) 및 상기 중앙플래튼(13,13') 사이에서 상대적이동을 실행하기위하여 제공되는 구동 및 폐쇄유닛(11)과, 커넥터개구부(27)에 연결 시키기 위해적용되고 상기 몰드부(3,7) 및 중앙플래튼(13) 사이에서 상대적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커넥터개구부(27)에 연결된 채로 유지되는 사출성형기(29)로 구성되며, 상기 몰드부의 두 측면상에 있는 상기 중앙플래튼(13,13')이 상기 몰드부(3,7)와 함께 속이빈 형 공동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 커넥터개구부(27) 및 주입덕트(15)를 가지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29)가 상기 중앙플래튼(13,13')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29)는 로드수단에 의해서 상기 중앙플래튼(13,1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수단은 위치설정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3)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출성형장치 .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수단은 볼트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5.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3) 중 하나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6.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플래튼(13')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7. 제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노클(25)이 상기 중앙플래튼(13,13') 상에 제공되고, 상기 중첩식몰드(10)가 폐쇄될 때 상기 몰드부중 하나의 관통개구부(49)를 통하여 뻗어 있고, 상기 사출성형기(29)의 분사실린더의 배출수단에 연결을 위해 커넥터개구부(27)가 구비된 단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스노클(25')이 상기 사출성형기 (29)의 분사실린더(31)의 배출단말부에 제공되고, 상기 중첩식몰드(10)가 폐쇄될 때 상기 몰드부(3)중 하나의 관통개구부(49)를 통하여 뻗어있고, 상기 중앙플래튼(13)의 커넥터개구부(27')에 결합시키기위하여 단말부 및 배출개구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KR1019930011166A 1992-06-17 1993-06-16 중첩식 몰드로 구성된 사출성형장치 KR100240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19924A DE4219924A1 (de) 1992-06-17 1992-06-17 Spritzgießmaschine mit Etagenwerkzeug
DEP4219924.7 1992-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229A KR940000229A (ko) 1994-01-03
KR100240796B1 true KR100240796B1 (ko) 2000-01-15

Family

ID=646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166A KR100240796B1 (ko) 1992-06-17 1993-06-16 중첩식 몰드로 구성된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82158A (ko)
EP (1) EP0576837B1 (ko)
JP (1) JP2645795B2 (ko)
KR (1) KR100240796B1 (ko)
AT (1) ATE131435T1 (ko)
CA (1) CA2098211C (ko)
DE (2) DE4219924A1 (ko)
DK (1) DK0576837T3 (ko)
ES (1) ES208255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1094B1 (en) * 1993-11-01 2001-01-09 John W. Von Holdt Universal mold
JP2002544004A (ja) * 1999-05-10 2002-12-24 モールド‐マスターズ、リミテッド 多段スタック金型における溶融物分岐方法および装置
DE19935139C2 (de) * 1999-07-27 2002-02-28 Hekuma Herbst Maschb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Kunststoffkörpers
US6840753B2 (en) * 2002-11-12 2005-01-11 Douglas J Bachan Stack mold support for an injection molding system
TW560420U (en) * 2002-11-20 2003-11-01 Ind Tech Res Inst Nozzle contact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US7452201B2 (en) * 2003-09-12 2008-11-18 Injectnotech Inc. Injection molding valve gate system and activating mechanism
CH707792A1 (de) * 2013-03-26 2014-09-30 Schöttli AG Vorrichtung zum Zuführen des flüssigen Kunststoffs in ein Etagenwerkzeug.
FR3019773B1 (fr) 2014-04-15 2017-02-10 Plastisud Moule en tandem pour la realisation de pieces injectees en matiere synthetique
DE102015112508A1 (de) 2015-07-30 2017-02-02 Netstal-Maschinen Ag Spritzgießmaschine mit Etagenwerkzeug für Spritzprägeanwendungen
AT520325B1 (de) 2018-03-07 2019-03-15 Engel Austria Gmbh Formgebungs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94041A1 (fr) * 1974-12-09 1976-07-09 Manceau Marcel Presse a injecter les matieres plastiques avec plateau intermediaire
JPS6218418Y2 (ko) * 1981-03-14 1987-05-12
DE3300652A1 (de) * 1983-01-11 1984-07-12 Pharma-Gummi Wimmer West Gmbh, 5180 Eschweiler Spritzpress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pritzgussteilen
NL8401452A (nl) * 1984-05-07 1985-12-02 Stork Plastics Machinery Bv Spuitgietmachine.
DE3706687A1 (de) * 1987-02-09 1988-12-01 Stuebbe Gmbh Maschf Spritzgiessmaschine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teilen im spritzgiess- oder reaktionsspritzgiessverfahren
US5112558A (en) * 1988-01-29 1992-05-1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ing process
US5044927A (en) * 1990-05-17 1991-09-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clamping equilization system
US5069615A (en) * 1990-09-04 1991-12-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tack mold with insulated runner
JP3103231B2 (ja) * 1993-01-28 2000-10-30 川崎製鉄株式会社 サイド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6837B1 (de) 1995-12-13
DE59301147D1 (de) 1996-01-25
US5382158A (en) 1995-01-17
JPH07276432A (ja) 1995-10-24
ATE131435T1 (de) 1995-12-15
JP2645795B2 (ja) 1997-08-25
EP0576837A1 (de) 1994-01-05
DE4219924A1 (de) 1993-12-23
KR940000229A (ko) 1994-01-03
ES2082552T3 (es) 1996-03-16
CA2098211C (en) 2000-03-07
CA2098211A1 (en) 1993-12-18
DK0576837T3 (da) 199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5991A (en) Mechanism for the automatic manufactu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 particularly from recyclable plastic
KR100240796B1 (ko) 중첩식 몰드로 구성된 사출성형장치
KR101282089B1 (ko)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합된 시스템 장치
US4629410A (en) Dual-hopper injection unit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KR920009273B1 (ko) 형 체결 장치
CA1277115C (en) Hydraulic system for a toggle-type plastic injection molding machine capable of precision coining
US6086356A (en) Valve device for an injection nozzle used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6517337B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drive groups
JPS6336925B2 (ko)
US3245122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e-casting workpieces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
JPH05177643A (ja) 成形機の型締装置
US3645492A (en) Ejection actuator for plastic injection mold
US4636167A (en) Injection moulding clamp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ulding machine
US3981655A (en) Molding apparatus selectively operable for either injection or transfer molding
KR20000035914A (ko) 고속의 고정클램프
US6015281A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heated nozzle touch plate
US33954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lding
WO1998056563A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with integrated carriage assembly
KR100696026B1 (ko) 사출 성형기의 복합식 형체 장치
EP1378333A1 (en) Shut-off nozzle
JPS62236717A (ja) 射出成形機
JPS60240428A (ja) 射出成形機
JP3860908B2 (ja) 均等圧ユニット及び該均等圧ユニットを備えたトランスファ機構
EP0480351B1 (en) Shutter-type clamping device
US6811392B2 (en) Traction type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