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244B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244B1
KR100239244B1 KR1019970033552A KR19970033552A KR100239244B1 KR 100239244 B1 KR100239244 B1 KR 100239244B1 KR 1019970033552 A KR1019970033552 A KR 1019970033552A KR 19970033552 A KR19970033552 A KR 19970033552A KR 100239244 B1 KR100239244 B1 KR 10023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mask
mask body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627A (ko
Inventor
노리오 시미즈
신이치로 나카가와
마사츠구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8001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섀도우 마스크형 칼라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한 4개의 측벽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틀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갖고 있고, 측벽 내, 긴변측의 한쌍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중앙 접합부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앙 접합부의 양쪽에 설치되고 마스크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오목부을 갖고 있으며, 각 오목부는 측벽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격을 규정하고 각 간격은 중앙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본 발명은 섀도우 마스크형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유효부의 주변부에 스커트부가 설치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과, 그 스커트부에 접합된 깔대기 형상의 퍼넬로 이루어진 외관 용기를 갖고 있다. 패널의 유효부의 내부면에는 3색 형광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그 내측에 섀도우 마스크가 배치되어 있다. 퍼넬의 네크내에 3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는 3전자빔은 퍼넬의 바깥쪽에 장착된 편향장치에서의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편향되고, 섀도우 마스크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칼라 화상이 표시된다.
섀도우 마스크는 3전자빔을 선별하기 위한 것이고 형광체 스크린과 대향하는 부분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주변부에 접합된 측벽부를 갖는 거의 직사각형의 마스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섀도우 마스크의 지지 방식으로서, 마스크 프레임의 코너부에 거의 쐐기형상의 탄성 지지체를 부착하고 이 탄성 지지체를 패널의 스커트부에 설치한 스터드핀에 고정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에서, 형광체 스크린에 색차이가 없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본체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통과한 3전자빔이, 3색 형광체층의 각각에 정확하게 랜딩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패널에 대해서 섀도우 마스크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최근 멀티미디어화에 대응하여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 3색 형광체층의 크기 및 그 배열피치를 작게 한 칼라 음극선관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에서는 3색 형광체층에 대한 빔 랜딩 어긋남의 여유도가 작아지므로, 통상의 칼라 음극선관 이상으로 정확한 빔 랜딩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거의 전 둘레가 마스크 프레임의 측벽부에 접하는 구조이므로, 마스크 프레임의 제조상의 편차 등에 의해 마스크 본체에 원하지 않는 힘이 가해져 패널에 대해서 섀도우 마스크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의 종횡비가 16:9인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는 통상의 칼라 음극선관에 비해 마스크 프레임의 긴 변측의 측벽부가 짧은 변측의 측벽부에 비해 훨씬 길기 때문에, 강도의 부족이나 대향 긴 측벽부 간의 간격(단축방향의 간격)의 편차에 의해 마스크 본체가 변형되기 쉽다. 또한,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 공정은 섀도우 마스크의 착탈작업이 반복하여 실시되고 이 착탈 작업시에 섀도우 마스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마스크 프레임이 휘어 흔들림이 발생하여 마스크 본체를 변형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3색 형광체 층에 대한 빔 랜딩의 차이가 발생한다.
한편, 3색 형광체층에 대한 빔 랜딩의 여유도가 작은 멀티미디어 대응의 칼라음극선관은, 외부 충격에 의한 섀도우 마스크의 위치 어긋남을 완화하기 위해, 섀도우 마스크의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마스크 프레임을 경량화하고 탄성지지체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마스크 프레임을 경량화하면 외부 충격이나 섀도우 마스크의 착탈시에 가하는 힘에 의해 마스크 프레임이 변형되고, 패널에 대해서 섀도우 마스크의 위치가 어긋나기 쉬워진다.
또한, 마스크 본체의 판 두께를 얇게 하고 형광체 스크린의 얼룩 발생의 주요원인인 전자빔 통과구멍의 크기,형상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지만, 마스크 본체의 막 두께를 얇게 하면 강도가 저하되고 마스크 본체 자체가 변형되기 쉬워진다.
섀도우 마스크가 열 팽창함으로써 형광체 스크린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소위 도밍(doming)에 의한 전자빔의 이동에 대해서 억제효과가 큰 인바(Invar)재로 이루어진 저열팽창 섀도우 마스크를 사용한 칼라 음극선관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열팽창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 방지 대책으로서 일본 특개평5-121009호 공보에는 마스크 프레임의 측벽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한 복수의 오목부를 설치한 섀도우 마스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목부를 설치한 경우에도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프레임의 접점은 면이므로, 마스크 프레임의 제조상의 편차나 칼라음극선관의 제조공정에서의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에 의해 마스크 본체의 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형광체 스크린 상에 색차이가 없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프레임의 디자인이 중요하지만, 종래의 섀도우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나 마스크 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고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마스크 본체나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품위가 양호한 화상이 표시되는 칼라 음극선관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상기 칼라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칼라음극선관의 전자총, 섀도우 마스크, 형광체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평면도,
도 3b 는 도 3a의 ⅢB-ⅢB를 따른 단면도,
도 4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측벽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측벽부의 각각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섀도우 마스크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선 ⅥB-ⅥB를 따른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섀도우 마스크의 평면도,
도 7b는 도 6a의 선 ⅦB-ⅦB을 따른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섀도우 마스크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선 ⅧB-Ⅷ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효부 2: 스커트부
3: 패널 4: 퍼넬
5: 스크린 8: 3전자빔
9: 전자총 10: 진공 외관 용기
23: 광차폐층 27: 마스크 본체
30: 마스크 프레임 32: 오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은 내부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 및 주변부에 스커트부가 설치된 패널과 상기 스커트부에 접합된 퍼넬로 구성된 외관 용기; 상기 외관 용기 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 상기 섀도우 마스크를 상기 스커트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한 4개의 측벽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 내,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돌출한 한쌍의 오목부를 각각 갖고 있다. 각 오목부는 상기 측벽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격을 규정하고 각 간격은 상기 접합부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커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를 지지한 4개의 측벽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틀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 내, 긴변측의 한쌍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 및 길이 방향 양단부에만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접합부를 갖으며 상기 접합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대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섀도우마스크의 마스크 프레임은 측벽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있으므로, 측벽 및 마스크 프레임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 및 이에 기인한 마스크 본체의 변형이 감소된다. 이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에 대한 섀도우 마스크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고 양호한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크 프레임의 측벽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이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고 마스크 프레임의 크기의 편차, 또는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 등이 마스크 본체에 주는 영향이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의 형상이나 마스크 프레임에 대한 마스크 본체의 고정을 적정화하고 마스크 프레임에 대한 마스크 본체의 어긋남이나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에 기인하는 마스크 본체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빔 랜딩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음극선관은 유리로 이루어진 진공 외관 용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진공 외관 용기(10)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1) 및 유효부의 주변부에 설치된 스커트부(2)를 갖는 패널(3)과 스커트부(2)에 접합된 깔대기형의 퍼넬(4)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3)의 유효부(1)의 내부면에는 청색, 녹색, 적색으로 발광하는 스트라이프형상의 3색 형광체층(20B,20G,20R) 및 이 형광체층 사이에 형성된 스트라이프형상의 광 차폐층(23)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진공 외관 용기(10)내에는 형광체 스크린(5)에 대향하여 후술하는 섀도우 마스크(21)가 배치되어 있다.
퍼넬(4)의 네크(7)내에는 3전자빔(8)을 방출하는 전자총(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총(9)으로부터 방출되는 3전자빔(8)은 퍼넬(4)의 바깥쪽에 장착된 편향장치(11)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편향되고, 섀도우 마스크(21)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5)이 수평, 수직 주사됨으로써 칼라화상이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21)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27)와, 마스크 본체(27)를 지지하는 마스크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27)는 형광체 스크린(5)을 대향하고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25)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27a)와 유효부(27a)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스커트부(26)를 갖고 있다. 마스크 프레임(30)은 긴 변측의 한쌍의 측벽(28L) 및 짧은 변측의 한쌍의 측벽(28S)을 갖고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27)는 그 스커트부(26)를 마스크 프레임(30)에 용접함으로써 지지되어 있다.
마스크 프레임(30)의 측벽 내, 한쌍의 긴변측의 측벽(28L)은 그 길이방향 중앙부 및 길이방향 양단부만이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에 접한 상태로 마스크 본체에 접합되고,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와 접하지 않는 부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측벽(28L)은 마스크 프레임(30)의 단축(V)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휘어지고 길이방향 중앙부 및 길이방향 양단부에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에 접촉한 중앙 접합부(32a) 및 한쌍의 단 접합부 (3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접합부(32a)의 양측에는 마스크 본체(2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쐐기형상의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2)의 위치에서의 한쌍의 측벽(28L) 사이의 간격(d)은 단축(V) 상에서의 측벽(28L) 사이의 간격(dv) 및 짧은 측의 측벽(28S) 근방에서의 측벽(28L) 사이의 간격(ds) 보다도 크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내, 긴변 부분은 대응하는 측벽(28L)의 중앙 접합부(32a) 및 단 접합부 (32b)에 접촉한 상태에서 마스크 프레임(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 접합부(32a) 및 단 접합부 (32b)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각 측벽(28L)과 마스크 본체(27) 사이에는 각각 오목부(34)에 의해 규정된 한쌍의 간격(36)이 형성되고 중앙 접합부(32a)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간격(36)은 중앙 접합부(32a)로부터 단 접합부 (32b)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간격(36)의 최대폭(W)이 약 1∼3㎜로 형성되고 측벽(28L)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간격(36)의 길이(L1)는 단축(V)과 측벽(28S) 사이의 거리을 L로 한 경우, L1=0.7∼0.9L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마스크 본체(27)의 짧은 짧은 변측의 스커트부(26)는 마스크 프레임(30)의 짧은 변측의 측벽(28S)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그 내측에 접하고 적절하게 여러 곳에서 측벽(28S)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섀도우 마스크(2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30)의 코너부의 고정된 거의 쐐기 형상의 탄성 지지체(15)를, 패널(3)의 스커트부(2)에 돌출되어 설치된 스터드핀(16)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 착탈 가능하게 패널(3)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 참조부호 "22"는 섀도우 마스크(21)에 부착된 내부 자기장 차폐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에 의하면, 마스크 프레임(30)의 측벽(28L)에 오목부(34)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프레임(30)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그 때문에, 섀도우 마스크(21)에 가해지는 외부력에 대해서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을 방지하고 패널(3)에 대한 섀도우 마스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종횡비가 16:9인 칼라음극선관에 대해서는, 통상의 칼라음극선관에 비해 마스크 프레임의 긴 변측의 측벽이 훨씬 길기 때문에 강도의 부족이나 대향하는 긴 변측 측벽간의 간격의 편차에 의해 마스크 본체가 변형되기 쉽지만, 상기와 같이 섀도우 마스크(21)를 구성함으로써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프레임(30)의 측벽(28L)에 오목부(34)를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7)와 측벽(28L) 사이에 간격(36)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28L)은 중앙 접합부(32a) 및 단 접합부(32b)만으로 마스크 본체(27)에 접촉하고 마스크 프레임(30)과 마스크 본체(27)의 접촉면적이 종래에 비해 대폭 감소된다. 그 결과, 마스크 프레임(30)의 제조상의 편차에 의해 마스크 본체(27)에 가해지는 원하지 않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마스크 프레임(3)과 마스크 본체(27)의 접촉부간의 간격, 즉 dv,ds 만을 정확하게 관리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7)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패널(3)에 대한 섀도우 마스크(21)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형광체 스크린을 구성하는 3색 형광체층에 대한 빔 랜딩의 어긋남을 작게 하고, 품위가 양호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4)의 형성에 의해 마스크 프레임(30)이 강화되므로 마스크 프레임을 경량화하여 탄성 지지체(15)로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또한 마스크 본체(27)의 판 두께를 얇게 해도, 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마스크 프레임(30)의 측벽(28L)은, 쐐기형상의 오목부(34) 및 이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간격(36)을 갖는 구성으로 했지만, 측벽(28L)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 및 양단부만이 마스크 본체(27)에 접촉하는 형상이면 오목부(34) 및 간격(36)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한 변형예에 의하면 각 오목부(34)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간격(36)은 중앙 접합부(32a)측의 단부(36a)만이 중앙 접합부(32a)로부터 단 접합부(32b)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남은 부분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한 변형예에 의하면 각 오목부(34)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간격(36)은 길이 방향 전역에 걸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한 변형예에 의하면 각 오목부(34) 및 간격(36)은 상술한 실시예와 역방향의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34) 및 간격(36)은 중앙 접합부(32a)측의 단이 가장 폭 넓게 형성되고 단 접합부(32b)를 향해서 서서히 폭이 좁하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21)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 프레임(30)에서 긴 변측의 측벽(28L)에 부가하여 짧은 변측의 측벽(28S)에도 한쌍의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측벽(28S)도 그 길이 방향 중앙부 및 길이 방향 양단부만이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에 접한 상태로 마스크 본체에 접합되고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와 접하지 않는 부분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각 측벽(28S)은 마스크 프레임(30)의 장축(H)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구부러지고 길이 방향 중앙부 및 길이 방향 양단부에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에 접촉한 중앙 접합부(42a) 및 한쌍의 단 접합부(4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접합부(42a)의 양측에는 마스크 본체(27)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의 위치에서의 한쌍의 측벽(28 S)간의 간격은 장축(H)상에서의 측벽(28S)간의 간격 및 긴 변측의 측벽(28L) 근방에서의 측벽(28S) 간의 간격보다 크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내, 짧은 변 부분은, 대응하는 측벽(28S)의 중앙 접합부(42a) 및 단 접합부(42b)에 접촉한 상태로 마스크 프레임(30)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앙 접합부(42a) 및 단 접합부(42b)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측벽(28S)과 마스크 본체(27) 사이에는 각각 오목부(40)에 의해 규정된 한쌍의 간격(44)이 형성되고, 중앙 접합부(42a)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간격(44)은 중앙 접합부(42a)로부터 단 접합부(42b)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짧은 단측의 측벽(28S)에도 오목부(40)를 설치함으로써 마스크 프레임(30)의 기계적 강도가 한층 향상됨과 동시에 마스크 본체(27)과 마스크 프레임(30)의 접촉면적이 한층 감소된다. 따라서, 한단과 마스크 본체(27)의 변형을 감소시키고 패널(3)에 대한 섀도우 마스크(21)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21)를 도시하고 있다.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 프레임(30)의 측벽(28L,28S)에는 각각 4개의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각 측벽(28L)에는 단축(V)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오목부(34)가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28L)은 중앙 접합부(32a) 및 단 접합부(32b)에 부가하여, 이 접합부(32a,32b) 사이에 위치한 중간 접합부(32c)를 갖고, 이 5개의 접합부를 통하여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벽(28L)과 스커트부(26) 사이에는 오목부(34)에 의해 4개의 간격(36)이 형성되고 각 간격은 중앙 접합부(32a)측에서 단 접합부(32b)를 향하여 폭이 서서히 넓어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측벽(28S)에는 장축(H)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오목부(40)가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28S)은 중앙 접합부(42a) 및 단 접합부(42b)에 부가하여, 이 접합부(42a,42b) 사이에 위치한 중간 접합부(42c)를 갖고 이 5개의 접합부를 통하여 마스크 본체(27)의 스커트부(26)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벽(28S)과 스커트부(26) 사이에는 오목부(40)에 의해 4개의 간격(36)이 형성되고 각 간격은 중앙 접합부(42a)측으로부터 단 접합부(42b)를 향하여 폭이 서서히 넓어 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오목부(34,40)의 형성에 의해 마스크 프레임(30)이 보다 강화되고 예를 들면, 섀도우 마스크(2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충격력을 오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21)를 도시하고 있다.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 프레임(30)의 한쌍의 긴 변측의 측벽(28L)의 중간부에는 단축(V)에 대해서 좌우 대칭으로 1개의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는 길이 방향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34)의 위치에서의 한쌍의 측벽(28L)간의 간격(d)과, 단축(V)상에서의 측벽(28L)간의 간격(dv)이 같고, 오목부(34)의 내부면은 곡률 무한대의 직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마스크 프레임(30)에 대하여 마스크 본체(27)의 긴 변부는 마스크 프레임(30)의 측벽(28L)측을 오목으로 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벽(28L)은 마스크 본체(27)의 긴 변측 스커트부(26)에 대해서 오목부(34)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한 중앙 접합부(32a) 및 오목부와 측벽의 경계에 위치한 한쌍의 단 접합부(32b)만 접촉하고 이 접합부에서 스커트부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접합부(32a)의 양측에는 단 접합부(32b)를 향하여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쐐기 형상의 간격(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섀도우 마스크(21)에서도 마스크 본체(27)의 짧은 단변측 스커트부(26)는 마스크 프레임(30)이 짧은 변측의 측벽(28S)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 그 내측에 접하고, 적절히 복수개의 용접점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 실시예에 관한 섀도우 마스크(21)에서도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에 의하면, 섀도우마스크의 마스크 프레임은 측벽에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있으므로, 측벽 및 마스크 프레임 전체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 및 이에 기인한 마스크 본체의 변형이 감소된다. 이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에 대한 섀도우 마스크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고 양호한 화상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크 프레임의 측벽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이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고 마스크 프레임의 크기의 편차, 또는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 등이 마스크 본체에 주는 영향이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마스크 프레임의 형상이나 마스크 프레임에 대한 마스크 본체의 고정을 적정화하고 마스크 프레임에 대한 마스크 본체의 어긋남이나 마스크 프레임의 변형에 기인하는 마스크 본체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빔 랜딩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내부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 및 주변부에 스커트부가 설치된 패널과 상기 스커트부에 접합된 퍼넬로 구성된 외관 용기;
    상기 외관 용기 내에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
    상기 섀도우 마스크를 상기 스커트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한 4개의 측벽을 갖는 직사각형 틀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측벽 안에,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은 그 측벽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접합부와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접합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오목부가 있고, 각 오목부는 상기 측벽과 마스크 본체 사이에 간격을 규정하고 각 간격은 상기 접합부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서서히 폭이 커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중앙 접합부와,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한쌍의 단 접합부를 갖고,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중앙 접합부와 대응하는 단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접합부로부터 단 접합부까지 연속하여 폭이 커지는 간격을 규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중앙 접합부,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한쌍의 단 접합부, 상기 중앙 접합부와 각 단 접합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중간 접합부, 상기 중앙 접합부와 중간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쌍의 제 1 오목부, 및 상기 중간 접합부와 단 접합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각 제 1 오목부는 상기 중앙 접합부로부터 중간 접합부까지 연속하여 폭이 커지는 간격을 규정하고, 상기 각 제 2 오목부는 상기 중간 접합부로부터 단 접합부 까지 연속하여 폭이 커지는 간격을 규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내부면에 형광체 스크린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의 유효부, 및 주변부에 스커트부가 설치된 패널과 상기 스커트부에 접합된 퍼넬를 구비한 외관 용기;
    상기 외관 용기내에서 상기 형광체 스크린에 대향하여 설치된 섀도우 마스크;및
    상기 섀도우 마스크를 상기 스커트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한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 구멍이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지지한 4개의 측벽을 갖는 거의 직사각형 틀 형상의 마스크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측벽 내에, 긴 변측의 한쌍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중앙 접합부와,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한쌍의 단 접합부를 갖고, 상기 중앙 및 단 접합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내에, 짧은 변측의 한쌍의 측벽은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중앙 접합부와,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접합된 한쌍의 단 접합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중앙 및 단 접합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간격을 두고 상기 마스크 본체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접합부와 단 접합부 사이에 위치한 간격은 상기 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접합부와 단 접합부 사이에 위치한 간격은, 상기 중앙 접합부로부터 단 접합부까지 서서히 넓어지는 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접합부와 단 접합부 사이에 위치한 간격은, 상기 중앙 접합부로부터 단 접합부까지 서서히 좁아지는 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접합부와 단 접합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간격의 측벽 길이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중앙 접합부와 짧은 변 측벽의 간격을 L로 한 경우, 0.7L 내지 0.9L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19970033552A 1996-07-12 1997-07-11 칼라 음극선관 KR100239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83160 1996-07-12
JP18316096 199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27A KR980011627A (ko) 1998-04-30
KR100239244B1 true KR100239244B1 (ko) 2000-01-15

Family

ID=1613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552A KR100239244B1 (ko) 1996-07-12 1997-07-11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18800B1 (ko)
KR (1) KR100239244B1 (ko)
CN (1) CN1084523C (ko)
DE (1) DE69709257T2 (ko)
MY (1) MY118882A (ko)
TW (1) TW388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0860C (zh) * 1999-12-27 2005-12-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阴极射线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20205A1 (fr) * 1978-03-13 1979-10-12 Videocolor Sa Tube a masque pour la television en couleurs
KR910005085B1 (ko) * 1988-02-03 1991-07-22 미쓰비시덴기 가부시기갸이샤 컬러수상관
JPH05121009A (ja) * 1991-10-25 1993-05-18 Nec Corp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27A (ko) 1998-04-30
CN1084523C (zh) 2002-05-08
DE69709257T2 (de) 2002-08-14
MY118882A (en) 2005-02-28
CN1170952A (zh) 1998-01-21
TW388050B (en) 2000-04-21
DE69709257D1 (de) 2002-01-31
EP0818800B1 (en) 2001-12-19
EP0818800A1 (en) 199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869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hadow mask and mask frame having round corners
EP0655762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01321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267801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23924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9990014196A (ko) 칼러음극선관
KR100341695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399336B1 (ko) 음극 선관
KR100344501B1 (ko) 샤도우 마스크 조립체를 구비한 컬러 음극선관
JPH0660822A (ja) 陰極線管
US6188170B1 (en) Color cathode ray tube including mask frame with protruding portions
US6307310B1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390270B1 (ko) 음극선관
US6396203B1 (en) Color shadow mask assembly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heat and vibration
KR100276354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399852B1 (ko) 음극선관
KR100360503B1 (ko) 확장된 유효 디스플레이 면적을 갖는 음극선관
US582168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uppressed doming
KR20020004855A (ko) 칼라음극선관
JPH1079233A (ja) カラー受像管
KR100852688B1 (ko) 자기 차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JP2000133163A (ja) カラー受像管
JPH1167118A (ja) カラー受像管
JP2001250488A (ja) カラー受像管
JP2001035407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